KR880004002Y1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002Y1
KR880004002Y1 KR2019850014838U KR850014838U KR880004002Y1 KR 880004002 Y1 KR880004002 Y1 KR 880004002Y1 KR 2019850014838 U KR2019850014838 U KR 2019850014838U KR 850014838 U KR850014838 U KR 850014838U KR 880004002 Y1 KR880004002 Y1 KR 880004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loor
door
contac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4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368U (ko
Inventor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4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002Y1/ko
Publication of KR870008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0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5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human behaviour or misbehaviour, e.g. forcing th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적인 회로도.
제2도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안전 경보 장치의 부착 상태도.
제4도는 제3도의 안전 경보 장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N : 층 검출 릴레이 1-1, 2-1,...N-1 : 층 검출 릴레이의 접점
DS : 도어 개폐검출 스위치 A1,A2,...An: 안전 경보 장치
13 : 도어 17 : 승강로 전면벽
18 : 표시램프 19 : 부저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승강기가 없는 층에서 도어를 강제로 열었을 경우에 램프 및 부저에 의해 승강기가 없음을 알려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다가 퇴근시 또는 어떤 이유로 엘리베이터 운행을 정지시키고자 할때 승강기내 운전반에 있는 승강기 정지 스위치를 "온"시켜 정지 시키고, 관리 측면상의 이유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강제로 닫아두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이 강제로 문을 닫은뒤 승강기를 다시 이용하고자 할때는 도어키로 문을 강제로 열어 승강기 운전반내의 승강기 정지 스위치를 "오프"시킨 다음 엘리베이터를 운행해야 했다.
그러나, 이와같은 승강기 관리 방식은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즉, 승강기 관리자가 항상 3층에서 승강기를 정지시켜 놓고 문을 닫은뒤 퇴근한다 했을때 그 다음날 출근하여 도어키로 문을 열고나서 승강기의 운전반 조작스위치를 동작 시키고자 승강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않고 무심코 발을 내딛게 되나, 승강기가 제3자의 조작에 의해 다른 층에 위치하고 있을때는 추락사고의 위험을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운전자가 엘리베이터 도어를 강제로 열고 무심코 발을 내딛게 될때 승강로 속으로 떨어져 목숨을 잃게 되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승강기가 없는 층에서 강제로 열었을 경우에 램프 및 부저로 승강기가 없음을 알려주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원의 (+)단자에 연결된 가동접점 S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cage)가 상승 또는 하강할때 항상 케이지와 함께 움직일수 있도록 한 접점이며, 이와 대응한 고정접점 F1-Fn이 층마다 설치되어 있고 각 고정접점과 전원의(-)단자 사이에 층 검출 릴레이(1,2,...N)가 연결되어 있어, 만약 케이지가 1층에 있다면 가동접점 S가 고정접점 F1과 접속되고 따라서 릴레이(1)가 여자되어 1층에 케이지가 있음을 검출하고, 이 릴레이(1)의 내부접점(1-1)이 개방 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DS1-DSn은 각층에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의 접점을 나타낸것으로, 릴레이 내부접점(1-1,2-1,...N-1)과 직렬 연결되어 도어가 개방되면 그 대응되는 접점이 폐쇄되게 한 것이다.
즉, 각층의 도어 개폐 검출 스위치 DS는 제2도에 나타낸 도어의 구성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레일(16)의 안내를 받으며 좌우로 이동하는 롤러(15)가 취부된 행거(14)에 고정된 좌측 및 우측 도어(13)의 열림 및 닫힘을 검출하기 위해 도어상측의 개폐지점 중앙에 도어개폐 검출 스위치DS를 설치한 것이고, 도어(3)가 개방되면 그 접점(DS1,DS2....DSn)이 폐쇄된다.
또한, 릴레이 접점(1-1,2-1,...N-1)및 도어 스위치 접점(DS1,DS2....DSn)을 개재하여 전원의 (+)단자와 (-)단자 사이에 연결된 A1,A2,...An)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 경보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이 안전 경보 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통상의 램프(18)와 부저(19)로 구성되고 도어(13)를 열면 바로 보일수 있는 위치의 각층마다 승강로 벽(17)에 부착시켜 승강기가 각층의 승강로(12)내에 없을때 도어(13)를 강제로 열면 상기 릴레이 접점과 스위치 접점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장치(A)의 램프(18)가 점등되고 부저(19)가 울려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제1도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엘리베이터의 승강기가 1층에 있고, 엘리베이터 운전자가 2층에서 도어(13)를 강제로 열었을 경우는, 릴레이(1)만이 여자되므로 그 접점(1-1)이 개방되고 그 나머지의 접점(2-1,3-1,...N-1)은 폐쇄 상태에 놓여있다.
여기서, 2층의 도어를 강제로 열게되면 도어 개폐 검출 스위치 DS2가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원단자(+)→릴레이 접점(2-1)→도어 스위치 접점(DS2)→램프(18)및 부저(19)→전원단자(-)로 폐회로가 구성되어 2층의 승강로벽에 부착된 안전경보장치(A)의 램프(18)및 부저(19)가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에 따르면 케이지가 없는 층에서 엘리베이터 도어를 강제로 열게되면 램프(18)에 불이 켜지고 부저(19)가 울리게 되어 케이지가 없음을 경보해 줌으로서, 운전자가 실수로 승강로에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실용상 큰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층 검출 릴레이(1,2,...N)의 접점(1-1,2-1,...N-1)과 직렬로 각층에 설치된 도어 개폐 검출스위치 DS의 접점(DS1,DS2,...DSn)이 연결되고, 상기 층검출 릴레이의 접점과 도어 개폐 검출 스위치의 접점을 개재하여 전원의 양단 사이에 각층의 안전경보장치(A1,A2,...An)를 연결하여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없는 층에서 도어를 강제로 열었을때 그 대응하는 상기층 검출 릴레이의 접점 및 도어 개폐 검출 스위치의 접점이 폐쇄되어 안전 경보장치를 동작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경보장치(A1,A2,...An)는 각각 표시램프(18)와 부저(19)로 구성되고, 각층의 승강로 전면벽(17)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2019850014838U 1985-11-11 1985-11-11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880004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4838U KR880004002Y1 (ko) 1985-11-11 1985-11-11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4838U KR880004002Y1 (ko) 1985-11-11 1985-11-11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368U KR870008368U (ko) 1987-06-11
KR880004002Y1 true KR880004002Y1 (ko) 1988-11-10

Family

ID=1924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4838U KR880004002Y1 (ko) 1985-11-11 1985-11-11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0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368U (ko) 198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706448A (ko) 승강기 도어 부정조작 방지 시스템(Elevator door tampering protection system)
KR880004002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N107140496B (zh) 垂直电梯底坑检修复位装置
KR930007074Y1 (ko) 엘리베이터 도아 안전회로
SU11847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спечени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KR840002452Y1 (ko)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CN217516486U (zh) 一种预防乘场人员坠落电梯井的报警装置
RU2000107590A (ru) Реле-контактная защита лифта
KR960013182B1 (ko) 리프터 운전 제어장치
JPS54104149A (en) Safety device of door of elevator
KR0116958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경보장치
SU13645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спечени безопасности работы лифта
JPS6457196A (en) Controller of emergency core cooling
KR870000467Y1 (ko) 엘리베이터 운전제어장치
KR920003548Y1 (ko) 정전시 엘리베이터의 도어록킹장치 개방구역 검출회로
SU1036651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подъемником
KR940000680Y1 (ko) 엘리베이터 정전시 구출운전회로
SU15024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малогрузовым лифтом
JPS5842376Y2 (ja) 乗客コンベヤの運転装置
KR890006462Y1 (ko)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및 고장 표시회로
JPH0480193A (ja) エスカレータ又は動く歩道の制御装置
JPS6030559Y2 (ja) エスカレ−タの自動給油制御装置
KR850001697B1 (ko)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RU2148009C1 (ru) Устройство безопасной работы лифта
JPS6347281A (ja) エレベ−タ−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