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462Y1 -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및 고장 표시회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및 고장 표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462Y1
KR890006462Y1 KR2019850017079U KR850017079U KR890006462Y1 KR 890006462 Y1 KR890006462 Y1 KR 890006462Y1 KR 2019850017079 U KR2019850017079 U KR 2019850017079U KR 850017079 U KR850017079 U KR 850017079U KR 890006462 Y1 KR890006462 Y1 KR 890006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lay
power supply
elevator
suppl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7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112U (ko
Inventor
차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7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462Y1/ko
Publication of KR870010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4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4Mechanical devices that can be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및 고장 표시회로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운전반내 부름 등록회로.
제2도는, 본 고안의 동작 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아트.
제3도는, 본 고안에서의 부름 등록회로.
제4도는, 본 고안에서의 고장표시 회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E : 초음파 센서 R1~R4: 1층~4층 부름등록 릴레이
TA :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 TB : 3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
RB : 푸쉬버튼 PL : 고장표시 램프
BZ : 고장표시 버져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내부의 운전반에 부름 등록이 되어있는 상태를 검출하여 행성 부름등록을 무효화 함과 동시에 고장 상태를 즉각 외부에 알려 주도록 하여 신속한 아프터서어비스를 할수 있도록한 엘리베이터의 부품등록 및 고장표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회로 구성으로서,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 4층 부름등록용 푸쉬버튼(4B)을 눌렀을때에는 4층 부름등록용 푸쉬버튼(4B)이 접속되어 4층 부름등록 릴레이(R4)가 구동됨에 따라그의 접점 (4a)에 의하여 자기유지 (Self Holding)상태가 되므로, 엘리베이터는 4층 부름에 대하여 서어비스를 행하게 된다.
이어서, 엘리베이터가 4층에 도착하게 되면, 리세트 회로(내부 회로는 생략함)의 리세트 동작에 의하여 해당 4층 부름등록 릴레이(R4)가 오프되므로 다음 부름 등록에 대기하게 된다.
그러나 4층 부름등록용 푸쉬버턴(4B)이 고장으로 인하여 외부 조작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온 상태로 있게되면 다른층에 대한 서어비스를 완료한후에 다시 4층에 대한 서어비스를 행하게 되는 것이므로 불필요한 운전을 반복하게 된다.
만인 승객에 대한 서어비스가 없을 경우에 서어비스를 대기하게 되는 층, 즉 그 건물에서 어떤 한개층에 집중적인 부름이 발생할 경우에 승객에 대한 서어비스를 완료한 엘리베이터가 반드시 그층으로 와서 다음 부름등록에 대기하도록 지정된 기준층으로 복귀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기준층과 고장난 부름등록용 푸쉬버턴에 해당하는 층, 즉, 기준층과 4층 사이를 반복하여 상승, 하강하게된다.
또한 승객 한사람이 탑승 하여 운전반 내의 모든 부름등록용 푸쉬버턴을 누르고 내려 버리는 경우에는, 승객이 엘리베이터내에 없더라도 눌려진 버턴 수만큼의 층으로 엘리베이터는 서어비스를 행하게 된다.
따라서 서어비스가 불필요한 층에도 운행을 행하게 됨으로써 운전효율 저하는 물론 전력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엘리베이터 내에 승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내의 운전반에 부름이 등록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하여 행선 부름 등록을 무효화 하도록 함과 동시에, 고장 상태를 즉각 외부에 알려주도록 하여 운전 효율의 향상은 물론 전력 소모를 줄일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단자(+)와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1~4층 부름등륵 릴레이(R1~R4)와 부름등록용 푸쉬버턴(1B∼4B)을 각각 직렬 접속하고, 그이 직렬 접속점에는 부름등록 릴레이(R1~R4)의 각 a접점 (la∼4a)을 통하여 리세트 회로를 연결 접속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회로에 있어서, 1초 카운트용 타이머 릴레이(TA)의 b접점(TAb1)과 엘리베이터내의 승객의 유, 무를 검출하는 초음과 센서(SE)를 직렬 접속하여 상기 전원단자(+), (-) 사이에 접속하고, 전원단자(+)에 일측이 접속된 상기 초음파 센서(SE)의 a 접점(SEa1)에는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의 a 접점(TAa)을 병렬 접속하고, 그의 타측에는 상기 부름등록 릴레이(R1~R4)의 각 b 접점(1b∼4b)을 통하여 타측이 전원단자(-)에 접속된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의 일측을 직렬 접속하며, 또한 상기 초음파 센서 (SE)의 a 접점(SEa2)과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의 b 접점 (TAb2)을 직렬 접속하여, 일측이 전원단자(+)에 접속된 3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B)의 a 접점(TBa1)에 병렬로 접속하고, 이 병렬접속점에는 3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B)의 리세트용 푸쉬버턴(RB)을 통하여 타측이 전원단자(-)에 접속된 3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B)를 접속하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단자(+)에 접속된 상기 3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B)의 a 접점(TBa2), (TBa3)에는 타측이 전원단자(-)에 접속된 고장표시램프(PL) 및 버져(BZ)를 각각 접속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의 회로에서, 승객이 없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내의 운전반에서 어떠한 층에 대한 부름등록이 있게되면, 그 층에 대한 해당 부름등록 릴레이(R1~R4)가 구동됨에 따라 그의 a 접점(la∼4a)이 온 상태로 되므로, 상기해당 부품등록 릴레이(R1~R4)는 자기 유지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의 유, 무를 검출하는 초음파센서(SE)가 승객이 없음을 검출하게됨에 따라 구동되므로, 그의 a 접점(SEa1), (SEa2)은 온 상태로 되고, b 접점(SEb)은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오프상태로 된 초음파센서(SE)의 b 접점(SEb)에 의하여 리세트 회로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되므로, a 접점(la∼4a)에 의하여 각각 자기유지 상태로 되어 있던 부름등록 릴레이(R1~R4)를 리세트 시키게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내에 승객이 없을 경우에 운전반에서 부름 등록이 있게 되면, 운전반내의 부름등록을 해제시킴으로써 승객이 없을 경우의 불필요한 서어비스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초음파센서(SE)가 구동됨에 따라 온 상태로된 a 접점(SEa)에 의하여는 각 부름등록릴레이(R1), (R2), (R3), (R4)의 b 접점(1b), (2b), (3b), (4b)을 통하여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므로,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가 1초동안 카운트 동작을 하게된다.
이어서 1초가 경과되어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가 구동되면, 평상시 도통 상태인 그의 b 접점(TAb1)이 오프 상태로 되어 초음파 센서(SE)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됨에 따라, 초음파 센서(SE)를 리세트 시킴과 동시에, 그의 a 접점 (TAa)이 온 상태를 되므로 1초 타이머릴레이 (TA)는 자기 유지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초음파 센서(SE)는 엘리베이터의 전반에서 부름이 발생되어도 오프 상태인 1초 타이머릴레이(TA)의 b 접점(TAb)에 의하여 리세트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지만, 1초 타이머릴레이(TA)는 부름등록릴레이 (R1~R4)의 b 접점 (1b), (2b), (3b), (4b)중 어느 하나의 오프 동작에 의하여 구동이 정지 되어 초기 상태로 되므로, 승객의 장난에 의한 과다한 부름등록에 대한 불필요한 서어비스를 억제 할수가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내부의 행선 부름 등록용 푸쉬버턴이 어떤 고장에 의하여 계속하여 온 상태를 유지하면,초음파센서(SE)가 승객이 없는 것으로 검출하여도 부름등롤릴레이(R1) (R2), (R3), (R4) 모두가 리세트 되지 아니하고 고장난 부름등륵용 푸쉬버턴에 해당하는 층의 부름등록 릴레이는 계속하여 구동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의 a 접점은 온 상태로 되고 b 접점은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때의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는, 상기한 바와같이 고장난 부름등록용 푸쉬버턴에 해당하는 층의 부름등록 릴레이가 구동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오프 상태로 된 그의 b 접점에 의하여 전원 공급이차단되므로, 구동 되지 않게된다.
즉,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에는, 전원(+)→접점(SEa1)→접접(1b)→접점(2b)→접점(3b)→접점(4b)→1초타이머 릴레이(TA)→전원(-)의 순으로 전원이 투입되지만, 접점 (1b), (2b), (3b), (4b)중 1개 이상이 오프 상태로 되면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구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3초 카운트용 타이머 릴레이(TB)에 도통 상태인 초음파센서(SE)의 a 접점(SEa2)과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 (TA)의 b 접점 (TAb2) 및 3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B)의 리세트용 푸쉬버튼(RB)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3초 카운트용 타이머 릴레이(TB)가 구동되므로, 그의 a 접점(TBa1), (TBa2), (TBa3)이 온 상태로 됨과 동시에, 온 상태로 된 a 접점(TBa1)에 의하여는 자기유지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3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B)가 구동되어 그의 a 접점(TBa1), (TBa2), (TBa3)이 온 상태로 되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3초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B)의 a 접점(TBa2)을 통하여 고장표시램프(PL)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고장 표시램프(PL)가 점등되어 엘리베이터 관리실에 대기하고 있는 관리인에게 시각적인 표시방법으로 고장 상태임을 알리게 되고, 또한 3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B)의 a 접점(TBa3)을 통하여는 버저(BZ)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므로, 버걱(BZ)가 구동되어 경보음을 발하게된다.
즉, 엘리베이터내의 운전반에서의 부름 등록용 푸쉬버턴에 고장상태가 발생되면, 시각 및 청각적인 고장 신호를 발하여 엘리베이터의 관리인 에게 고장 상태임을 알려주어 즉각적인 조처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그의 동작 상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승객의 유, 무를 검출하는 초음파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부에 승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내의 운전반에 행성 부름등록이 되어있는 경우가 발생되면, 행선 부름등록을 무효화 하도록 하여 승객의 과다한 장난에 대한 불필요한 서어비스를 방지할수 있음과 동시에, 고장난 부름 등록용 푸쉬버턴을 검출하여 그 고장여부를 외부에 알려 줌으로서 즉각적인 아프터 서어비스를 행할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운전 효율의 향상은 물론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최대한 감소 시킬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전원단자(+)와 전원단자(-)와의 사이에 1~4층 부름등록 릴레이(R1~R4)와 부름등록용 푸쉬버튼(1B~4B)을 각각 직렬 접속하고, 그의 직렬접속점에는 부름등록 릴레이(R1~R4)의 각 a 접점(la∼4a)을 통하여 리세트회로를 연결 접속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회로에 있어서,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 (TA)의 b접점(TAb1)과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의 유, 무를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SE)를 직렬 접속하여 상기 전원단자(+), (-) 사이에 접속하고, 전원단자(+)에 일측이 접속된 상기 초음파 센서(SE)의 a 접점(SEa1)에는 1초 카운트용 타이머 릴레이(TA)의 a 접점(TAa)을 병렬 접속하고, 그의 타측에는 상기 부름등록 릴레이(R1~R4)의 b 접점(1b~4b)을 통하여 타측이 전원단자(-)에 접속된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의 일측을 집렬 접속하며, 또한 상기 초음파센스(SE)의 a 접점(SEa2)과 1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A)의 b 접점(TAb2)을 직렬 접속하여, 일측이 전원단자(+)에 접속된 3초 카운터용 타이머릴레이(TB)의 a 접점(TBa1)에 병렬로 접속하고, 이 병렬 접속점에는 3초 카운터용 타이머릴레이(TB)의 리세트용 푸쉬버턴(RB)을 통하여 타측이 전원단자(-)에 접속된 3초 카운트용 타이머릴레이(TB)를 직렬 접속하고, 전원단자(+)에 접속된 상기 3초 카운트용 타이머 릴레이(TB)의 a 접점(TBa2), (TBa3)에는 타측이 전원단자(-)에 접속된 고장 표시램프(PL) 및 버져 (BZ)를 각각 접속하여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부름등록 및 고장표시 회로.
KR2019850017079U 1985-12-18 1985-12-18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및 고장 표시회로 KR890006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079U KR890006462Y1 (ko) 1985-12-18 1985-12-18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및 고장 표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079U KR890006462Y1 (ko) 1985-12-18 1985-12-18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및 고장 표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112U KR870010112U (ko) 1987-07-10
KR890006462Y1 true KR890006462Y1 (ko) 1989-09-23

Family

ID=1924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7079U KR890006462Y1 (ko) 1985-12-18 1985-12-18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및 고장 표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4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112U (ko) 198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6462Y1 (ko) 엘리베이터의 부름 등록 및 고장 표시회로
JP3595685B2 (ja) エスカレーター
JP2667573B2 (ja) エレベーターのサービス階切放し手段
JPH0859112A (ja) エレベータの通話装置
JP2596618B2 (ja) エレベータ安全スイツチの短絡装置
KR920003544Y1 (ko)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JPH0638058Y2 (ja) エレベータの非常通報時の表示装置
JP2518219Y2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H0667466U (ja) エレベータの通話装置
KR890000024Y1 (ko) 엘리베이터 신호 회로
JPH07232873A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装置
KR930000287Y1 (ko) 엘리베이터 행선층 부름등록회로
JPH0812208A (ja) 盲人用エレベータの階床表示装置
JPH0730263U (ja) エレベータの警報装置
KR910004977Y1 (ko) 기계식 2단 주차 설비에서의 안전장치
JPH0125648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101976A (ja) エレベータのインチング運転装置
JPS597752Y2 (ja) 照明装置
JPH0725555A (ja) エレベータの報知装置
JPH05201667A (ja) エレベータのスイツチ動作の異常検出装置
KR960010230B1 (ko) 엘리베이터의 이사중 운전제어회로
JP2539513B2 (ja) エレベ―タの案内装置
JPH0227262B2 (ko)
JPH05193857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呼び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H05229749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内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