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3276Y1 -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Door)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Door) 개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50003276Y1 KR850003276Y1 KR2019830010737U KR830010737U KR850003276Y1 KR 850003276 Y1 KR850003276 Y1 KR 850003276Y1 KR 2019830010737 U KR2019830010737 U KR 2019830010737U KR 830010737 U KR830010737 U KR 830010737U KR 850003276 Y1 KR850003276 Y1 KR 8500032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open
- relay
- opening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정면측 도어 개방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후면측 도어 개방장치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정면측 도어를 재개방시키기 위한 지연회로.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후면측 도어를 재개방시키기 위한 지연회로.
제5도는 도어 스위치의 구동에 의한 타임챠트.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가 서로 마주 보게 설치된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엘리베이터의 대향된 출입구들이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단지 일측의 도어만이 개방되도록 하며, 이 도어가 폐쇄된 후 필요에 따라서 타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한 도어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가 각층에 한개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의 전기적 개폐 제어방법에 문제가 없이 쉽게 조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층에서 관통으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가 관통형으로 설치된 경우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방법에서 정면측의 도어와 후면측의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면 승객이 통로로 이용할 수 있을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대한 법규의 규제에 어긋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출입구가 같은 층에서 관통으로 설치된 경우에 정면측 및 후면측의 도어 개방보턴(Button)들 중 우선적으로 먼저 눌리워진쪽 즉, 먼저의 개방지령이 있는 쪽의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방하도록 하고, 이때에는 후의 개방지령이 있는 쪽이 폐쇄되어 있도록 하며, 폐쇄된 도어의 개방지령을 기억시켰다가 개방된 도어가 폐쇄된 후에 개방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를 같은 층에서 동시에 개방되도록 하지 않고 일측만 먼저 개방되도록 한 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특징 및 장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정면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개방회로로서 여기에서GS(F)는 정면측의 케이지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정면측의 도어 개폐 확인용 스위치이며, 엘리베이터의 정면측의 케이지 도어가 폐쇄되어 있으면 온되어 있고, 열려 있으면 오프된다.
스위치(GS(F))에 직결된 2F는 스위치 GS(F)가 온되었을 때 정면측의 케이지 도어의 개폐 상태를 체크(Check)하기 위한 계전기이다.
DS(F1) DS(Fn)은 각층의 정면측의 승갑로 도어에 부착된 스위치들이며, 여기에 연결된 1F는 정면측의 승갑로 도어가 모두 폐쇄되어 있을 때 여자되는 정면 도어개폐 확인용 계전기이다(즉, 정면측의 승갑로 도어 중 어느 한 것이 열려 있으면 계전기(1F)는 소자된다.
3F는 엘리베이터의 정면측 도어의 개폐 지령을 주기 위한 계전기로서 계전기(3F)가 여자되면 정면 도어가 폐쇄되도록 되어 있으며, 소자되면 정면 도어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2F1은 정면측의 스위치(GS(F))가 폐쇄되었을 때 여자되는 계전기(2F)의 a접점이다.
3R2는 제2도에서 설명하겠지만 후면측 도어 개폐지령용 계전기(3R)의 소자될때(즉, 후면측 도어가 열릴때) b접점 (3R2)-(2F1)-(3F)로 통하여 정면측의 도어를 폐쇄하기 위한 계전기(3R)의 b접점이다. (계전기(3F)가 여자될 때에는 정면측 도어가 폐쇄되고 소자될 때에는 정면측 도어가 개방됨).
2R2는 후면측의 케이지 스위치(GS(R))가 오프될 대 후면측의 케이지 도어 개폐 확인용 계전기(2R)가 소자되면 (2R2)-(2F1)-(3F1)를 통ㅎ여 정면측 도어 개폐 지령용 계진기(3F 를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SHOE(F)는 정면측의 케이지 도어가 상호 폐쇄될 때 도어의 끝부분에 승객의 손이나 기타 다른 물건이 걸리면 스위치로 구성된 SHOE(F)를 개방시켜서(3F를 오프) 정면측의 도어를 재개방시키도록 하기 위한 기계적인 도어용 안전 재개방 스위치이다.
보턴(OPEN(F))은 정면측의 운전바에 장치되어 있는 것으로 정면측의 도어를 정면측 케이지 운전바에서 개방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 보턴(OPEN(F))을 누르면 정면측 도어개폐 지령용 계전기(3F)를 소자시키므로서 정면측의 도어가 열리도록 한 것이다. 계전기(4F)는 정면측 도어의 개방용 보턴 OPEN(F)에 의하여 바로 소자된다. (제4도의 지연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임) 타이머(8F)는 엘리베이터의 정면측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 일정한 시간후에 조정 가능함)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자동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것이며, 8F1은 이때 개방되어 정면측의 도어 개폐 지령용 계전기(3F)를 여지시켜 정면측의 도어를 자동적으로 폐쇄한다.
보턴(H. OPEN(F))은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정면측의 승갑로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경우 보턴(H. OPEN(F))에 의하여 정면측의 승갑로 도어를 재개방 한다. Fi(F)는 건물층에 엘리베이터가 정확하게 도착했을 때를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이때 아래의 보턴(H. OPEN(F))이 조작 가능함).
9F는 엘리베이터가 정확하게 도착하였을 때 Fi(F)가 체크된 상태에서 승갑로의 보턴(H. OPEN(F))에 의하여 동자되도록 한 계전기이다. (즉, 단추(H. OPEN(F))에 의하여계전기(9F)가 여자되면 정면측의 도어 개폐지령용 계전기(3F)가 접점 SHOE(F)-OPEN(F)-9F1-8F1-7F2-3F를 통하여 여자되던 것을 계전기(9F)의 b접점(9F1)이 오프되어 3F를 소자시켜서 정면측의 도어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서는 후면측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개방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GS(R)은 후면측의 케이지 도어에 부착된 후면측의 도어 개폐 확인용 스위치이며, 엘리베이터의 후면측 도어가 폐쇄되어 있으며 단락된 상태이고, 열려 있으면 오프된 상태이다. 릴레이(2R)는 스위치(GS(R))가 단락될 때 후면측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치(DS(R1)~DS(Rn)는 각층의 후면측 도어에 부착되었으며, 계전기(1R)는 후면측의 승갑로 도어 모두가 폐쇄되어 있을 때 여자되는 후면측 도어의 개폐 확인용이다. (즉, 어느 한곳이라도 개방되어 있으면 계전기(1R)는 소자된다)
릴레이(3R)는 엘리베이터의 후면측 도어에 개폐지령을 주며, 계전기(3R)가 여자되면 후면측의 도어는 폐쇄되어 소자되면 후면측 도어가 개방된다. 계전기(2R)의 접점(2R1)은 후면측의 케이지 도어 스위치GS(R))가 폐쇄되었을 때 단락된다. 계전기(3F)의 b접점(3F2)은 정면 도어가 개방될 때(즉, 계전기(3F)가 소자될 때) 후면측 도어를 (3F2)-(2R1)-(3R)-을 통하여 후면측의 도어구동 계전기(3R)를 여자시켜 후면 도어를 폐쇄한다. 계전기(2F)의 b접점(2F2)은 정면측 케이지 스위치(GS((F))가 개방될 때(즉, 정면 도어가 개방될 때), (2F2)-(2R1)-(3R)을 통하여 후면측 도어 구동계전기(3R)을 여자시켜 후면측 도어를 폐쇄한다. 기계적 안전스위치(SHOE(R))는 후면측 케이지 도어가 폐쇄될 때 승객의 손이나 다른 물건이 걸리면 후면측 도어를 재거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턴(OPEN(R))은 후면측 운전바에 설치되어 있으며 누르면 후면측 도어 개폐 지령용 계전기(3R)를 소자시켜서 후면 도어가 개방된다. 계전기(4R)는 보턴(OPEN(R))에 의하여 소자된다. 타이머(8R)는 엘리베이터의 후면측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일정한 시간후에(조정 가능함) 엘리베이터의 후면측 도어를 자동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것이며, 8Ri는 이때 개방되어 후면측의 도어 개폐 지령용 계전기(3R)을 여자시켜 후면측의 도어를 자동적으로 폐쇄한다.
보턴(H. OPEN(R))는 후면측의 승갑로 도어가 폐쇄된 경우 후면의 승강로 측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Fi(R)은 건물상에서 엘리베이터가 정확하게 도착하는 시간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즉 Fi(R)이 검사되었을 때 (H. OPEN(R))에 의해 조작가능)
계전기(9R)는 Fi(R)이 검사된 상태하에서 후면측의 승강로에서 보턴(H. OPEN(R))에 의하여 여자된다(즉, 보턴(H. OPEN(R))에 의해서 계전기(9R)가 여자되면 후면 도어개폐 지령용 계전기(3R)는 b접점(9R1)이 개방되어서 소자되어 후면측 도어가 개방된다).
제3도에 있어서는 정면측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지연로회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계전기(1x)의 a접점(1x1)은 엘리베이터가 건물상에서 정확히 도어 개방 영역에 왔을 때를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계전기(4F)의 b접점(4F1)은 정면측의 운전바에 있는 도어 개방 보턴(OPEN(F)에 의하여 개방된다. 계전기(2F)의 a접점(2F3)는 정면측의 케이지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단락된다. 계전기(9F)의 a접점(9F2)는 정면측의 승강로의 보턴(H. OPEN(F))에 의하여 단락된다. 계전기(1R1)의 b접점(1R1)은 각층의 후면 승강로 도어가 모두 폐쇄되어 있을 때 단락된다. 지연계전기(7F)는 정면측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만약 정면 도어는 폐쇄되어 있고 후면측 도어는 개방되고 있을 때, 정면측의 운전바이 있는 보턴(OPEN(F))이나 승강로측에 부착된 보턴(H. OPEN(F))를 누르면, 바로 (X1)-(4F1)-(2F3)-(1R1)-(7F)의 회로를 통하여 정면측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지연계전기(7F)를 여자시키게 된다(어느 한쪽 도어만 열림). 계전기(7F)의 a접점(7F1)은 (7F)가 여자시 자체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1F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각 정면측의 승강로가 폐쇄되어 있을 때 여자되는 계전기(1F)의 a접점이다.
제4도는 후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지연회로이며, 1x2는 엘리베이터가 건물에서 정확한 도어 개방 영역위치에 왔을 때를 체크하기 위한 계전기(1F)의 a접점이다.
4R1은 후면측의 운전바에 있는 보턴(OPEN(F))을 누르면 소자되는 계전기(4R)의 b접점이다. 2R3는 후면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 여자되는 계전기(2R)의 a접점이다. 9R2는 후면 승강로의 보턴(H. OPEN(R))에 의해 여자되는 계전기(9R)의 a접점이다. 지연계전기(7R)는 후면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만약 후면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정면측 도어는 개방되고 있을 때, 후면측의 승강로 및 운전바에서 후면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후면측의 운전바에 있는 보턴(OPEN(R))이나 승강로 측에 장치된 보턴(H. OPEN(R))를 누르면(X2)-(4R1)-(2R3)-(1F1)-(7R)을 통하여 후면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지연계전기(7R)를 여자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즉, 기억후에 정면측의 도어가 개방되고 폐쇄된 후에 곧바로 후면 도어 지령 계전기(3R)를 계전기(7R)의 b접점에 의해 소자시키므로서 후면측의 도어가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접점(1R2)은 각 후면측의 승강로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 여자되는 계전기(1R의 a접점이다.
그리고 제5도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측에 부착된 케이지 도어스위치(G.S)와 건물상의 각 승강로 도어에 부착된(DS(1)~DS(n)의 승강로 스위치가 단락되는 시간관계를 나타낸 시간 도형으로서,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될 때에는 케이지스위치(GS)가 먼저 개방되고 각 승강로의 도어스위치(DS)는 스위치(GS)가 개방된 후 S초 후에 개방된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케이지 스위치(GS)와 승강로 스위치(DS)의 구동시간차를 활용하여 출입구가 같은 층에서 관통형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중 정면 도어가 개방될 때에는 후면 도어에 폐쇄지령을 주도록 구성되었으며, 상대측의 도어가 개방되고 있을 때 폐쇄된 도어에 개방 지령이 있으면 기억하였다가 먼저 개방 구동된 도어가 개방되고 나서 완전히 폐쇄된 후에는 개방지령을 기억하였던 폐쇄된 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회로에서 같은 층의 관통형 출입구에서 정면도어 및 후면 도어가 모두 폐쇄된 경우에 정면측의 승강로 및 케이지 측에서서나 후면측의 승강로 및 케이지 측에서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회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승객이 같은 층에서 정면의 승강로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 바로 후면측의 도어로 나가고자 할 때에는 제1도의 정면측의 승강로에 부착된 보턴(H. OPEN(F))을 누르게 되면 (H)-(OPEN(F))-(Fi(F))-(9F)를 통하여 정면측의 도어 개방용 계전기(9F)가 여자된다.
이때 정면측의 도어 개폐 지령 계전기(3F)는 (SHOE(F))-(OPEN(F))-(9F1)-(8F1)-(7F2)-(3F)를 유지하던 것을 정면측의 승강로 도어 개방계전기(9F)의 여자와 동시에 b접점(9F1)이 개방됨에 따라 정면특의 도어 개폐 지령용 계전기(3F)를 소자시켜서 엘리베이터의 정면측 도어가 개방된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승객이 정면측의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되면 케이지에 탑승하여 폐쇄된 후면 도어를 개방하도록 운전바의 보턴(OPEN(R))을 누르면 계전기(4R)이 소자되어, 제4도에서 도시된 (1X1)-(4R1)-(1R3)-(1F1)-(7R)의 회로를 통하여 후면측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기억 지연 계전기(7R)을 여자시킨다(이 계전기는 자체 a접점(7R1)으로 유지됨).
그러나 계전기(7R)의 b접점(7R2)은 개방상태이지만, 현재 정면측의 도어가 개방 구동중에 있으므로 정면측의 도어 개폐확인용 계전기(2F)와 정면측의 도어 개폐지령 계전기(3F)가 소자상태가 되어서, (2F2, 3F2)-(2R1)-(3R)을 통하여 계전기(3R)를 계속 여자하고 있는 상태이다(즉, 접점(7R2)가 개방상태이지만 계전기(3R)를 소자시켜 주지 못하므로 폐쇄된 후면측의 도어는 개방되지 않음).
그리고 정면측 도어는 개방 구동후(개방상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b접점(3F2)을 통해 정면측의 도어 폐쇄용 타이머(8F)가 오프되고, (SHOE(F))-(OPEN(F))-(9F1)-(8F1)-(7F2)-(3F)의 회로를 통해 계전기(3F)를 여자시켜 정면 도어를 폐쇄한다.
이때 정면측의 도어가 폐쇄될 때에는 제5도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정면 케이지 도어 스위치(GS(F))가 먼저 구동하므로 이때 정면케이지 계전기(2F)가 여자되면(2F2)-(2R1)-(3R)의 경로를 통하여 후면측의 도어 개폐 지령계전기(3R)의 유지회로를 개방시키게 되므로서 바로 후면측의 도어가 개방되게 된다. (즉, 앞에서 후면측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지연계전기(7R)은 정면측의 승강로 스위치(DS)가 구동될 때까지 유지되어 있으므로 b접점(7R1)으로도 회로가 개방된 상태이다).
상술한 도어 개방장치의 도어 개방을 위한 상호관련 동작을 좀더 부언하면, ,제5도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위헤 취부되어 있는 도어 모터를 구동하여 케이지 도어 중 열거나 닫히게 하여 케이지 도어에 의해서 서로 링크되어 있는 승강로 도어를 열거나 닫히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케이지 도어에 취부되어 있는 케이지 스위치와 승강로 도어에 취부되어 있는 승강로 도어 스위치의 시간차이를 이용한 것으로 즉, 도면 제5도에서 도어 개방시는 케이지 스위치(GS)가 승강로 스위치(DS)보다 S시간 차이 만큼 먼저 오프되어 2F 및 2R가 1F 및 1R보다 먼저 구동되고 바대로 도어 폐쇄시 케이지스위치(GS)가 승강로 스위치(DS)보다 S시간 차이만큼 먼저 온하여 1F 및 1R가 2F 및 보다 먼저 오프 된다.
본 고안은 위에 설명된 시간 차이를 이용한 것으로, 정면 도어가 열려 있을 때 제2도에서 개방(R)보턴을 누르면 4R가 오프되어 제4도에서 1X2-4R1-2R3-1F1-7R로 7R가 온되고, 이때 정면측의 도어가 구동중에 있으므로 2F와 3F가 오프 상태에서 2F2-2R1-3R로 계속해서 3R을 구동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닫혀있던 후면측의 도어는 열리지 않는다.
이후 정면측 도어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제1도에서 8F를 통해서 3F를 구동시켜 정면 도어는 닫힌다. 이때 정면측의도어가 닫힐때는 제5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케이지도어 스위치 GS(F)가 먼저 구동하므로 이때 정면 케이지 릴레이 2F가 구동하면 제2도에서 2F2-2R1-3R를 통해서 후면측 도어 3R가 오프하므로 후면측 도어가 열리게 된다. 이때 후면측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7R을 정면측의 승강로 스위치 DS(R)가 구동할 때까지 유지되어 있으므로 7R1으로 회로가 오프된 상태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정면측의 도어가 구동시에 후면측의 닫혀 있는 도어에 개방지령이 있으면 후면 도어가 바로 열리지 않고 개방 지령을 등록하였다가 정면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게 되면 등록된 후면측의 도어를 개방시켜 상호 확실한 동작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의 같은 층에 관통형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도 양측의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는 일이 없이 순차적으로 우선 순위에 따라서 하나씩 개방되고 폐쇄되므로 안전 사고의 염려가 없는 것이다.
Claims (2)
- 엘리베이더의 출입구가 마주보는 관통형인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정면측 도어 개폐확인용 스위치GS(F), 정면 케이지 도어 개폐상태 확인 계전기(2F), 각층의 후면측 도어의 스위치 DS(F1)∼DS(Fn), 정면 도어 개폐확인용 계전기(1F), 정면 도어 개폐 지령 계전기(3F), 기계적 도어 안전 재개방스위치SGOE(F), 개방보턴OPEN(F), 지연회로 구동계전기(4F), 타이머(8F), 재개방보턴 H.OPEN(F), 확인구동계전기(9F)로 구성된 정면도어 개폐회로와, 후면측 도어 개폐확인용 스위치 GS(R), 후면 케이지 도어 개폐상태 확인 계전기(2R), 스위치 DS(R1)∼DS(Rn), 후면도어개폐 확인용 계전기(1R), 후면도어 개폐지령 계전기(3R), 기계적 도어 안전재 개방스위치 SHOE(R), 개방보터 OPEN(R), 지연회로 구동계전기(4R), 타이머(8R), 재개방보터 H.OPEN(R), 확인구동 계전기(9R)로 구성된 후면도어 개폐회로와, 그리고 정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지연회로 및 후면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지연회로로 구성하며, 케이지 스위치(GS)와 승강로스위치(DS)의 구동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같은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도어들이 동시에 열리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인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및 후면 도어 개방 지연회로는 도어 개방영역 위치 체크 계전기(IX1,IX2),정면 및 후면측 도어 개방 지연계전기(7F,7R) 및 상기 정면 도어 개폐회로의 접점(9F2,4F1,1F2,2F3,7F1및 1R1)들과 후면 도어 개폐회로의 접점(9R2,4R1,1R2,2R3,7R1및 1F1)들로 각각 구성된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30010737U KR850003276Y1 (ko) | 1983-12-16 | 1983-12-16 |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Door) 개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30010737U KR850003276Y1 (ko) | 1983-12-16 | 1983-12-16 |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Door) 개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4926U KR850004926U (ko) | 1985-08-07 |
KR850003276Y1 true KR850003276Y1 (ko) | 1985-12-30 |
Family
ID=7016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30010737U KR850003276Y1 (ko) | 1983-12-16 | 1983-12-16 |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Door) 개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50003276Y1 (ko) |
-
1983
- 1983-12-16 KR KR2019830010737U patent/KR8500032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4926U (ko) | 1985-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50003276Y1 (ko) |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Door) 개방장치 | |
KR890006465Y1 (ko) | 자동차 엘리베이터의 스토퍼 장치 | |
JP2569192B2 (ja) | 乗客コンベアの運転装置 | |
USRE25665E (en) | Variable standing time control | |
KR840002452Y1 (ko) |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 |
US2867291A (en) | Electrical control system | |
KR850001705Y1 (ko)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
JP2544493B2 (ja) | エレベ―タ―の非常時運転装置 | |
JP2670194B2 (ja) | ダムウエータの保守運転装置 | |
KR900003147Y1 (ko) | 유압 엘리베이터의 제어회로 | |
JPH08259137A (ja) | 油圧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 |
JPH0313488A (ja) | エレベータの扉開閉制御装置 | |
KR910009235Y1 (ko) |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회로 | |
JPS594359B2 (ja) | エレベ−タの扉制御装置 | |
KR890007325Y1 (ko) | 입체 주차장의 광전장치 고장시 구동회로 | |
JPH0761730A (ja) |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 |
JPS6113491Y2 (ko) | ||
KR920003544Y1 (ko) |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 |
JPS5911507B2 (ja) | エレベ−タ−ドア安全装置 | |
KR890004628Y1 (ko) | 엘리베이터의 귀착지령 제어회로 | |
KR100296405B1 (ko) | 엘리베이터 장난 부름 방지회로 | |
JPH0138134Y2 (ko) | ||
JPH023490Y2 (ko) | ||
JPH0511274Y2 (ko) | ||
JP2732974B2 (ja) | エレベータのスイツチ動作の異常検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1022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