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414B1 - 자기(自己)유도성 인덕터와 수동유도성 인덕터를 포함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 Google Patents

자기(自己)유도성 인덕터와 수동유도성 인덕터를 포함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414B1
KR930000414B1 KR1019900011829A KR900011829A KR930000414B1 KR 930000414 B1 KR930000414 B1 KR 930000414B1 KR 1019900011829 A KR1019900011829 A KR 1019900011829A KR 900011829 A KR900011829 A KR 900011829A KR 930000414 B1 KR930000414 B1 KR 930000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s
forming
electrically conductive
coil
conductive str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337A (ko
Inventor
미노루 타까야
아쯔시 사또
아끼히꼬 후지시와
Original Assignee
티이디이케이 가부시기사이샤
사또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007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13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006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1391B2/ja
Application filed by 티이디이케이 가부시기사이샤, 사또 히로시 filed Critical 티이디이케이 가부시기사이샤
Publication of KR91000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自己)유도성 인덕터와 수동유동성 인덕터를 포함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제1도(a) 내지 제26도(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제1도(b) 내지 제26도(b)는 동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도(a) 내지 제26(a)에 각각 상응하는 단면도.
제27도는 제1도(a) 내지 제26도(a) 및 제1도(b) 및 제26도(b) 및 제26도(b)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등회로선도.
제28도는(a) 내지 제62도(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턱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제28도는(b) 내지 제62도(b)는 동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28도(a) 내지 제62도(a)에 각각 상응하는 단면도.
제63도는 제28도(a) 및 제28도(b) 내지 제26도(b)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복합권 선형 적측인덕터의 등회로선도.
제64도 내지 제8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공정의 스텝을 도시한 평면도.
제82도는 제64도 내지 제81도에 도시한 공정에 의해 제조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등회로 선도.
제82도(a) 내지 제96도(a)는 종래의 적층인덕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제83도(b) 내지 제96도(b)는 제83도(a) 내지 제96도(a)에 각각 상응하는 단면도.
제97도는 제83도 내지 제96도에 도시한 공정에 의해 제조한 종래의 적층 인덕터의 등회로선도,
제98도 내지 제105도는 종래의 적층변성기의 제조공정의 스텝을 도시한 평면도.
제106도는 종래의 적층변성기의 사시도.
제107도는 제98도 내지 제105도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적층변성기의 등회로선도.
제108도 내지 제112도는 종래의 또 다른 적층변성기의 제조방법의 스텝을 도시한 평면도.
제113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중간 또는 센터 탭을 가진 적층변성기의 제조공정의 스텝을 도시한 평면도.
제114도는 제113도에 도시한 스텝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센터탭을 가진 적층 변성기의 권선을 도시한 평면도.
제115도는 제113도에 도시한 스텝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중간 또는 센터탭을 가진 적층변성기의 등회로선도.
제116도 내지 제124도는 종래의 중간 또는 센터탭을 가진 적층변성기의 제조공정의 스텝을 도시한 평면도.
제125도는 제116 내지 124도에 도시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탭을 가진 적층변성기의 개략회로선도.
제126도는 종래의 탭을 가진 또 다른 적층변성기를 도시한 개략선도.
제127도 내지 제15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두줄 권선형적층변성기의 제조공정의 스텝을 도시한 평면도.
제160도는 제127도 내지 제159도에 도시한 공정에 의해 제조한 탭을 가진 두 줄 권선형적층변성기의 권선을 도시한 개략선도.
제161도는 제127도 내지 제159도에 도시한 공정에 의해 제조한 탭을 가진 두줄 권선형적층변성기의 등회로선도.
제162도는 제127도 내지 제159도에 도시한 공정에 또다른 변형에 의해 제조한 탭을 가진 두줄권선형적층 변성기의 등회로선도.
제163도는 종래의 두줄 권선형적층변성기의 등회로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3, 84, 89, 90, 92, 93, 98, 99, 101, 102, 113, 116, 121, 122, 126, 127, 131, 132, 144, 145, 146, 147, 153, 154, 155, 156, 159, 160, 161, 162, 164, 165, 166, 167, 170, 171, 172, 173, 175, 176, 178, 181, 182, 305, 306, 313, 315, 318, 319, 327, 329, 333, 335, 343, 345, 349, 351 : 전기전도성 스트립
85, 86, 94, 95, 114, 118, 119, 123, 124, 128, 129, 148, 149, 150, 151, 309, 311, 321, 323, 337, 339, 353, 355 : 전기 전도성 스트립의 단부 (일부분)
81, 82, 87, 88, 91, 96, 97, 100, 105, 111, 112, 11, 117, 120, 125, 130, 133, 141, 142, 143, 152, 157, 158, 163, 168, 169, 174, 179, 180, 183, 301, 303, 307, 317, 325, 331, 341, 347, 357, 364 : 자성층,
290 : 센터탭 c, d, e, f : 단자용인출부
a, b : 센터탭용인출부 P1, S1:외부접속용단자
T1, T2, T3: 접속용 콘덕터 스트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기(自己) 유도성 인턱터 및 수동유동성 인덕터를 포함하는 적층구조형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성기와 같은 자기 유도성 인턱터 및 수동 유도성 인덕터를 포함하는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란, 종래의 프린팅 방법, 스퍼터링, 증발 및 CVD법과 같은 기상(Vapor phase) 방법등을 사용하므로서 적층 또는 층형성 공정으로 병렬로 형성된 복수의 전기 콘덕터 권선세트를 포함하는 구조의 인덕터를 의미한다. 또한 “인덕터”라는 용어는, 자기 유도성 인덕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직렬로 또는 수동유도성 인덕터 또는 변성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병렬로 연결된 하나의 권선 또는 복수의 전기 콘덕터 권선에 의해 실현되는 인덕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한다. 상기 고려된 인덕터는 변성기동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덕터 또는 지금까지 알려진 기타 인덕터에 의한 인덕터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될수 있다. 그외에, 상기 인덕터는 필터 회로, 복합 LC회로칩, 복합 LR회로칩 복합 LCR회로칩 및 다이오우드, 트랜지스터, 더어미스터등과 같은 기타 회로소자와 병합된 다양한 집적회로등에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는 필수 불가결한 회로 구성물과 같이 인덕터를 필요로 하는데에는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인덕터는 그의 독립이용에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의 이름으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공고소 57-39521호, 일본국 특허공개소 59-22304호, 일본국 특허 공고소 63-14487호 및 미국 특허 제4,322,698호에 있어서, 자성 표기라이트층 및 코일 형성 스트립형 콘덕터층이 상호 교호로 용착 또는 적층되고 계속해서 통합구조로 소결되는 소결 적층인덕터의 통합구조를 제안했다. 이들 사전의 제안에 의한 적층인덕터에서, 각각 약 반회전(1권수의 반)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복수의 프린트콘덕터스트립층은 이들 콘덕터 스트립층사이에 프린트 페라이트 자성층의 가장자리 부를 끼워 넣으므로서 상호 연결되어 각각 반회전정도의 콘덕터스트립층의 상기 층을 적층하는 방향으로 감진 코일을 구성하도록 연결한 후, 그 위에 이와같이 얻어진 전체코일을 통합구조로 소결시킨다.
이하, 본 발명과 관계된 종래 기술에 대하여 본 발명의 보다나은 이해를 돕기위해서 첨부된 제83도 내지 제11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부가적으로 적층인덕터 제조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큰 표면적을 가진 단일한 박리가 용이한 기판위에 복수의 적층 인덕터를 동시에 공급하여 적층을 수행한다. 그런,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적층 인덕터가 제조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언급한 도면에서, 도면(a)는 평면도이고, 도면(b)는 도면(a)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대해 도시한 제83도 내지 제97도를 참조하여, 높은 편평도 및 평활도를 가진(알루미늄등과 같은) 기판재질의 표면에 중착된 폴리에스테르층(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을 가진 용이하게 스트라이프 가능하거나 박리가 용이한 기판(도시되지 않음)이, 표면이 전기적 절연 코우팅으로 용착될 수 있는, 전기적인 절연성 및 자기투자성을 가진 자성페라이트층(1)으로 프린트된다. 다음에, 제8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패턴으로 자기 페라이트층(1)위에 프린트된 것은 포기라이트층(2)이며, 이는 다른 프린팅공정에의해 프린트편차(두께차)의 보상을 요하며, 그후 제8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일인출 콘덕터 스트립(3)의 프린팅을 수행한다. 계속해서, 제8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페라이트층(5)을 오른쪽 절반위에 프린트하여 코일 인출 콘덕터 스트립(3)의 개시단부(4)를 노출된 상태로 남긴다. 그후 제8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약 반회전 정도의 코일을 형성하는 전기전도성스트립(6)을 개시단부(4)에 접속되도록 프린트하여, 제8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코일형성 콘덕터스트립(6)의 일단부가 노출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표면의 왼쪽절반 위에 자성페라이트층(7)을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8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회전정도의 코일을 형성하는 코일형성 콘덕터스트립(9)을 코일형성 콘덕터 스트립(6)의 일단부(6)의 일단부(8)와 전기적 접속하여 프린트한다.
그후, 제9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 페라이트층(11)을 오른쪽 절반위에 프린트하여 코일형성 콘덕터스트립(9)의 일단부(10)를 노출된 상태로 남긴다. 그 다음 단계에서, 제9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형성 콘덕터스트립(12)을 코일형성콘덕터스트립(9)의 단부(10)와 접속하여 반회전정도도의 코일을 형성하도록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9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페라이트층(13)을 왼쪽 절반위에 프린트하여 코일형성 콘덕터스트립(12)의 일반부(14)를 노출상태로 남기고, 제9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형성 콘덕터스트립(15)을 코일형성콘덕터스트립(12)의 일단부(14)와 접속하여 반회전정도의 코일을 형성하도록 프린트한다. 그후 제9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페라이트층(17)을 오른쪽 절반위에 프린트한다. 제92도에 도시한 단계까지의 적층공정을 통하여, 약 2회전정도의 코일을 형성하도록 연결한 콘덕터스트립(3), (6), (9), (12), (15)을 적층구조로 용착시킨다. 소정의 권수를 가진 코일을 실현하기위해서, 제91도 내지 제94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콘덕터스트립 적층단계를 각각 권수에 상당하도록 반복한다. 설명의 편의상, 적층 공정이 제94도에 도시한 제조스텝에서 종료된 것으로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권수에 상당하는, 여기서는 간단한 예로서 2권수에 상당하는 코일형성 콘덕터스트립을 형성한후에, 제9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인출 전기콘덕터스트립(18)을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9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 페라이트층 (19)을 전체표면위에 프린트한후, 그 위에 이와같이 얻어진 생성물을 소결한다. 최종적으로, 외부접속에 필요한 단자를 베이킹등의 방법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적층 인덕터는 완성된다. 적층 인덕터의 등전기회로선도를 제97도에 도시한다.
또 종래의 다른 프린트 기술에 의한 적층인덕터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제98도 내지 제1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이 종래 기술은 일본국 특허 출원소 59-22304호를 참조한다). 이들 도면은 프린팅방법, 스퍼터링, 증발등에 의한 전형적인 기상방법과 같은 적층 기술을 사용하므로서 적층 인덕터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은 적층인덕터는 프린팅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상술하면, 제98도 내지 제107도는, 적층콘덕터스트립에 의해 형성하여 점(P1)에서 점(P2)까지 연장된 제1코일감기의 회전축이 점(S1)에서 점(S2)까지 연장된 제2코일감기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갈라져 있는 종래기술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공정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에 고려되는 적층인덕터는 변성기에 사용할 예정이다. 반대로, 제108도 내지 제112도는 집중적으로 용착된 코일 형성 콘덕터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중심축을 가진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공정이며, 여기에서, 제1권선형성 콘덕터스트립은 제2권선형성 콘덕터스트립과 동축으로 위치한다.
제2종래기술의 방법을 설명하면, 제9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 페라이트등의 재질로된 자성층(31)을 박리가 용이한 가판(도시되지않음)위에 프린트한 후, 제1권선콘덕터스트립(32)을 반 회전정도 자기층(31)위에 프린트한다. 콘덕터스트립(32)의 일단부(P1)를 자성층(31)의 주변부에서 인출한다. 그후, 제99도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32)을 콘덕터스트립(32)의 일반부(33)를 제외한 부분에 다른 자성층(34)으로 피복하고, 인출 단부(S1)를 가진 제2권선콘덕터스트립(35)을 반회전정도 프린트함과 동시에 콘덕터스트립(32)의 일단부(33)와 접속하여 반회전정도의 콘덕터스트립 (36)을 형성한다. 그후, 제10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또 다른 자성층(39)을 일단부 (37)(38)가 노출되도록 콘덕터스트립(35)(36)위에 프린트하여 용착시킨후, 콘덕터스트립(40)(41)을 각각 일단부(37)(38)와 접속하여 각각 반회전정도 프린트 한다.
그후, 제10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40)(41)의 일반부(42)(43)가 노출을 유지하는 패턴으로 자성층(44)을 프린트에 의해 용착한 후, 일단부(42)(43)와 접속하여 각각 반회전에 상당하는 콘덕터스트립(45)(46)을 프린트한다. 제10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47)을 자성층(39)의 경우처럼 프린트한 후, 콘덕터스트립(45)을 반회전정도에 상당하는 콘덕터스트립(49)으로 연장하는 반면 콘덕터스트립(46)을 콘덕터 스트립(48)의 매개체를 통하여 오른쪽위에 종료단부(P2)로 인출한다. 그후 제10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50)을 자성층(44)의 경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프린트하고, 콘덕터스트립(49)의 일단부는 콘덕터스트립(51)을 프린트하므로서 적층구조의 왼쪽위에 종료단부(S2)로 인출한다, 최종적으로 제10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52)을 던체표면위에 프린트한다. 설명한 회전수를 가진 제1코일감기 콘덕터스트립 또는 제2코일감기 콘덕터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01도에 도시한 적층스텝을 필요한 회수에 상당하도록 반복한다. 소정의 콘덕터스립을 적층한 후, 적층구조를 소결하고 적절한 형의 전기전도성 페이스트를 인출단부(P1), (P2), (S1), (S2)에 각각 베이킹하여, 적층인덕터 칩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108도 내지 제112도에 도시한 제3종래기술에 의해 제조한 적층인덕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이 종래기술은 일본국 특허출원소 59-22304호를 참조한다)
제3종래기술에 의한 인덕터를 설명하면, 제10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충(62)을 박리용이한 기판(도시하지 않음)위에 프린트하고, 인출단부(P1)를 가지는 반회전정도의 제1코일감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자성층(62)의 표면에 콘덕터스트립(63)을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10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70)을 콘덕터스트립(63)의 일부를 노출한 채로 프린트하고, 그위에 반회전정도의 콘덕터스트립(65)을 콘덕터스트립(63)의 일단부에 접속하여 프린트하고, 반면, 오른쪽에 위치하는 일출단부(S1)로부터 연장한 제2코일선의 반회전정도를 형성하도록 콘덕터스트립(66)을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1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67)을 콘덕터스트립 (65)(66)의 단부를 노출시킨채로 프린트하고, 그위에 각각 반회전 정도의 콘덕터스트립(68)(69)을 각각 콘덕터스트립(65)(66)의 일반부와 접속하여 프린트한다. 제1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70)을 프린트 한후, 콘덕터스트립(71)을 콘덕터스트립(68)의 노출단부로부터 적충구조의 왼쪽에 위치하는 인출단부(P2)로 연장하도록 프린트하는 반면, 대략 U자형상의 콘덕터스트립(72)을 콘덕터스트립(69)의 노출단부로부터 적층구조의 오른쪽에 인출단부(S2)로 연장하도록 프린트 한다. 권선의 소정의 회전수를 가진 적층인덕터는 제110도에 도시한 적층스텝을 반복하므로서 얻어지며, 제110도의 패턴을 제외한 연속하는 유사하는 스텝은 소정의 횟수를 기판에 수직인 축에 대하여 180° 회전하는 것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제1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회전수에 상당하는 적층을 완성한 후에, 자성층(73)을 프린트한후, 그 전체 구조를 소결하고, 외부접속용의 단지(S1)(S2)(P1) (P2)를 베이킹에 의해 형성하므로서, 적층인덕터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간 또는 센터탭을 가지는 변성기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2이상의 인덕터를 결합한 복합구조도 제안되었다. 이를위해, 첨부된 도면중 제116도 내지 제125도에 도시한 제조공정(제4종래예에 의한)코오스로 제125로 도시한 센터 또는 중간 탭(237)을 제공하는 방법 또는 제83도 내지 제96도(제1종래예)의 제조공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제126도에 도시한 센터 또는 중간 탭(299)을 제공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제116도 내지 제12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기절연재료의 자성 페라이트층 (241)을 박리 용이한 기판(도시되지 않음)의 전표면위에 프린트하고, 그위에 제1코일을 형성하기 위한 콘덕터스트립(243)을 자성페라이트층(241)위에 반회전정도 프린트하고, 인출단부(245)를 형성하도록 왼쪽 외부로 빼낸후, 제2코일를 형성하기 위하여 반회전정도의 콘덕터스트립(243')을 프린트하고, 콘덕터스트립(243)을 인출단부(245')를 형성하도록 오른쪽 외부로 빼낸다. 센터 또는 중간탭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출단부 (245)(245')를 베이킹하고,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그위에 단자(269)(273)을 제12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부에 부착하거나 또는 콘덕터스트립(243)(243')을 교호로 프린팅에 의해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및 제2코일의 각부를 구성하는 콘덕터스트립(243)(243')를 각각 프린트하고, 이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방향으로 상호 떨어져 있다. 다음, 제1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243)의 일단부(247)(247')를 각각 노출한 채로 자성페라이트층(249)를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1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251)(251')을 각 단부(247)(247')와 접속하여 각각 반회전정도 프린트한후, 제1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페라이트층 (255)을 콘덕터스트립(251)(251')의 단부(253)(253')를 노출한 채로 프린트하고, 계속해서 제1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257)(257')을 단부(253)(253')와 각각 접속하여 각각 반회전정도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1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257)(257')의 단부를 노출한 채로 자성 페라이트층(261)를 프린트한다. 소정의 회전수를 가진 코일을 실현하기 위해, 제117도 내지 제120도에 도시한 적층공정을 필요한 수만큼 반복한다.
소정의 수로 적층을 완료한 후에 제1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 (263)(263')을 콘덕터스트립(257)(257')의 단부(259)(259')에 각각 접속되도록 프린트한후, 인출단부(265)(265')를 각각 형성하도록 오른쪽 및 왼쪽외부로 빼낸다. 다음에, 제1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페리이트층(267)을 전체 표면에 프린트하고, 그위에 상기 적층구조를 소결한다. 최종적으로 외부접촉에 필요한 단자(269)(271) (273)(275)를 베이킹으로 형성하므로서, 센터 또는 중간 탭을 가진 적층변성기을 얻을 수 있다. 제125도는 중간탭을 가진 이 적층 변성기의 등회로선도이다.
(제5종래에 의한)종간탭을 가진 적층변성기의 제조공정의 다른예에 대해서는 (제1종래에 의한)제83도 내지 제99도에 도시한 제조공정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예의 경우에, 콘덕터(5)로부터 적층구조의 왼쪽으로 인출된 전기 콘덕터(도시하지 않음)을 제89도에 도시한 공정을 수행하여 동시에 프린트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제12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간탭(299), 제1탭(285) 및 제2탭(295)을 가진 인덕터 또는 변성기를 제조할 수 있다.
제116도 내지 제124도에 도시한 적층공정으로 실현된 중간탭을 가진 적층변성기는 제1코일 및 제2코일이 병렬적층에 의해 구성되므로 그 두께가 감소하는 유리한 효과도 있으나, 그 반면 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제1코일 및 제2코일의 적층에 의해 실현된 제126도에 도시한 중간탭을 가진 적층변성기에서는, 적층변성기의 층이 폭에 대해서는 유리한 효과로 제어할 수가 있으나, 그 반면 그 층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적층변성기는 종래 기술분야에서 요구되는 소형화에 필요한 요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가 없다.
(제2종래예에 의한)제98도 내지 제107도에 도시한 두줄 감기공정에 관련하여, 제162도에 도시한 등회로 형태를 가지는 변성기는 제100도에 도시한 스텝에서 콘덕터(41)로부터 적층구조의 오른쪽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인출콘덕터(도시하지 않음)의 제조에 의하여 얻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98도 내지 제112도에 도시한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는 겨우 코일용의 2개의 전기콘덕터가 각 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체 두께가 증가하는 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제163도에 도시한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의 경우에는, 적층변성기의 폭은 폭의 치수에 관하여 유리하게 제어될 수 있으나, 중간탭(c)에 의해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층을 적층하므로써 실현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코일을 가진 적층변성기이므로 그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적층구조의 인덕터는 일반적으로 필터회로, 중간주파수(IF)변성기등의 다양한 회로에 이용되고, 다수의 주파수대에서 이용된다. 그러한 상황에 있어서, 인덕터의 인덕턴스(L)를 다양한 폭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적층인덕터는 다음 식으로 주어지는 인덕턴스(L)(H안의)를 가진다.
즉,
Figure kpo00000
여기에서 A는 코일권선의 단면적(m2), l은 자속의 통로의 길이(m), μe는 유효투자율(Wb/A.m), N은 회전수(권수)이다. 식(1)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인덕턴스(L)를 증가하기 위해서는 권수(N)를 증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물론, 인덕턴스는 권수의 제곱(N2)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제83도 내지 제96도와 관련하여 상술한 적층인덕터의 경우에, 코일형성 콘덕터스프립(3)(6)(9)을 제89도에 도시한 상태까지 프린트스텝으로 1회전정도 형성한다.이것은 자성페라이트층 및 코일형성 콘덕터스트립을 포함하는 적어도 5개의 층에 상당하는 두께로 코일형성 콘덕터스트립에 의해 1회전 이상은 실현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페라이트층(5)이 제83도와 관련하여 상술한 프린트에 의한 두께차를 보상하기 위해 형성되는 경우 층수의 합계는 6이 된다).
반대로, 제98도 내지 제107도 및 제108도 내지 제112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적층인덕터의 경우, 전기에너지화로 각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속방향은 권수와 같은 방향이기 때문에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인덕턴스를 증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이들 종래 방법은 소위 두줄 코일의 실현과 관계된다.
따라서, 인덕터로써 상기 코일을 사용하기 위해서, 예를들면, 단자(P2),(S1)는 외부 콘덕터를 거쳐 접속되어야만 한다. 상술한 기타 종래예의 인덕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상태에 비추어, 본 발명의 인덕터에서는 적층두께가 가능한 최소로 되는 반면 그의 인덕턴스(L)가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는 복합권성형 적층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원리는 첨부된 도면 제2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도에서, 점(P1), (P2)사이에 연장되는 코일권선은 도면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보이는 것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감겨 있는 반면, 점(S1), (S2)사이에 연장되는 코일권선은 도면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있다. 코일 또는 권선의 감기는 방향에 대한 이러한 정의는 설명을 통하여 타당하게 받아 들여 질 것이다. 제27도를 참조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권선의 단자단부(P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단자단부(S2)와 접속되는 경우, 상술한 접속결과, 코일은 개시단부(P1)로부터 단자단부(S1)로 연장되는 전체 권선이 지속적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기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쌍의 코일권선의 권선의 개시단부 또는 단자단부에 접속되는 경우, 전체로써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복합 또는 결합 코일권선을 얻을 수 있다. 발명자들은, 적층인덕터의 스트립 또는 전기콘덕터층의 패턴 형성에 상술한 사실 또는 원리를 적용하므로써, 인덕터 코일의 권수가 주어진 적층 두께에 대하여 종래의 인덕터와 비교할 때 2배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대략 같은 두께의 적층구조를 가지는 종래 인덕터의 권수보다 동일 두께의 구조에서 2배 이상 권수를 증가시킨 적층인덕터를 실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종래 인덕터의 인덕턴스보다 약 4배 증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구조의 두께를 증가할 필요없이 충분히 높은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한 향상된 구조의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향상된 구조의 인덕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본 발명의 원리 및 기타 목적에 비추어,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에 의하여 복수의 전기절연 부재를 교호로 가지는 복수세트의 코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을 적층하므로써 형성된 적층구조를 가지는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를 제공하며, 각각의 상기 세트내의 상기 전도성 스트립은 상기 전기절연 부재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인접한 것끼리 접속하므로써 코일을 형성하며, 이와같이 형성된 복수세트의 코일은 적어도 거의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감겨있고, 상기 복수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의 적어도 두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선식 통로를 지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어도 두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으로 형성된 코일은 상기 코일의 개시단부, 중간부 및/또는 종료 단부에서 상호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의하여, 분쇄된 전기전도성 재료의 페이스트 및 분쇄된 전기절연성 재료의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기절연층과 교호로 복수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을 적층형태로 용착하므로써 복수세트의 코일이 대략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박리가 용이한 기판위에 전기절연층을 프린트하므로서 용착하는 제1스텝과, 적어도 두 세트의 상기 전기전도성 스트립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기는 코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제1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을 용착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전기전도성 스트립의 종료단부가 노출을 유지하는 패턴으로 전기절연층을 프린트하므로써 용착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형성된 상기 제1의 복수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의 대응종료 단부와 접속된 개시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2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상기 전기절연층 위에 프린트하여 용착하는 제4스텝과, 상기 제2스텝 내지 제4스텝을 소정 횟수로 반복하는 제5스텝과, 이렇게 형성된 적층구조의 전체 표면 위에 전기절연층을 용착하는 제6스텝과, 상기 제1층 형성스텝, 중간층 형성스텝 및 최종층 형성스텝중 하나에서 상호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부분에서 프린트하여 적어도 두 세트의 코일이 반대방향으로 감기도록 상호 연결하는 제7스텝과, 상기 기판을 박리하는 제8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는 기상방법에 의해 제고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의하여, 소정 패턴의 마스크를 사용하므로써 스프터링 등과 같은 기상방법을 사용하여 복수의 전기 절연층과 교호로 복수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을 적층형태로 용착하여 복수세트의 코일이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대략 회전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박리가 용이한 기판위에 전기절연층을 형성하는 제1스텝과, 적어도 두 세트의 상기 전기전도성 스트립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기는 코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제1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을 형성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형성된 전기전도성 스트립의 종료 단부가 노출을 유지하는 패턴으로 전기절연층을 형성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형성된 상기 제1의 복수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의 대응 종료 단부와 접속되 개시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2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을 상기 전기절연층 위에 형성하는 제4스텝과, 상기 제2스텝 내지 제4스텝을 소정횟수로 반복하는 제5스텝으로 구성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감긴 적어도 두세트의 코일은 제1적층스텝, 중간적층스텝 및 최종적층스텝중의 하나에서 서로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부분에서 상호 연결된다.
상술한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중간탭 또는 여러개의 중간탭을 가진 소형적층 변성기는 상술한 중간스텝에서 노출된 콘덕터를 형성하므로써 충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중간 또는 센터탭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프린트된 제1코일권선 및 제2코일권선의 개시단부 또는 종료단부를 연결하므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에 의해 자성층의 주변부에서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목적에 의하면, 주어진 인덕턴스 값에 대하여 소형화된 크기내의 두줄 코일을 실현하거나 또는 주어진 크기의 두줄 코일에 대하여 인덕턴스 값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 특징 및 부수적인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1도(a) 내지 제26도(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 또는 공정에 포함된 스텝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1도(b)내지 제26도 (b)는 이에 상응하는 각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제28도(a),(b)내지 제63도(a),(b)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다. 제1도 내지 제26도 및 제28도 내지 제63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각 복합권선형 적층인 덕터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적층된 2세트의 코일권선 콘덕터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반대로, 제64도 내지 제82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 의한 공정으로 제조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가정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두세트의 콘덕트스트립 및(반시계방향으로 가정되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두 세트의 콘덕터스트립이 합해서 4세트의 코일권선형성 콘덕터스트립에 병합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를 형성하도록 적층된다. 어떠한 실시예에서도, 코일권선형 콘덕터스티립은 적어도 공동축을 중심으로 감기게된다.
비록 단일 기판에서 복수의 인덕터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상례이나, 이하,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가 박리용이한 기판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적층공정은 본질적으로 지금까지 공지된 프린팅 방법을 이용해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적층용착은 스퍼터링법, 증발법등의 다른 박막기술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현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2 또는 4세트의 코일권선형 콘덕터스트립을 가지는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를 위해서 적층패턴으로 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2세트의 콘덕터스트립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세트의 코일권선형성 콘덕터스트립을 가지는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코일권선형성 콘덕터스트립은 지금까지 알려진 어떠한 전기전도성 재료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자성층은 지금까지 알려진 어떠한 자성체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덕터스트립은 적절한 결합재로 반죽된 분쇄된 Ag, Au, Cu, Pd, Ag-Pd합금등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적합하다면, 기타 전기전도성 페이스트로 사용될 수 있다. 증발공정이 이용되는 경우, 콘덕터 재료는 Al, Ni, Cr-Au등중의 어느 것도 가능하다. 자성층의 재료로서는, Zn 페라이트, Ni-Cu-Zn페라이트, Fe2O페라이트등의 자성체 또는 유전체와 같은 전기절연 재료로 피복된 자성부재 또는 필요한 경우에 따라 자성재료를 언급한다. 전기절연층에 대한 재료로서는, 유리층, 알루미나층, 티탄산 바륨층, 산화 티탄층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는 저항기, 커패시터, 트랜지스터 및/또는 다이오우드 등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회로에 통합 또는 별개로 병합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에 대해 제1도 내지 제26도를 참조하여 상술하며, 도면중(a)는 평면도, (b)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도(a) 및 제1도(b)를 참조하면, 자성층(81)을 박리가 용이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전체 표면에 프린트한다. 제2도(a) 및 제2도(b)에 도시한 패턴으로, 자성층(82)을 프린트하여 용착하므로써, 그 층용착 공정결과 편차(두께의 불균일)보상을 요하는 형상이 만들어진다. 계속해서, 제3도(a) 및 제3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권선을 인출하기 위해서 한쌍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이하 콘덕턴스트립이라 칭함)(83),(84)을 텔레스코우픽 패턴으로 대략 상호 대칭적으로 프린트하므로써 용착하며, 이들 각 콘덕터스트립은 약 1/4회전(1권수의 1/4배)에 상당하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언급된 전기전도성 스트립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 제4도(a) 및 제4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덕터스트립(83)(84)의 단부(85),(86)가 노출을 유지하는 패턴으로, 자성층(87),(88)을 각각 오른쪽 및 왼쪽 영역에 프린트한다. 이들 자성층(87),(88)은 제2도(a),(b)에 도시한 자성층(82)의 모양을 보충하도록 프린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자성층(87),(88)은 상술한 종래 인덕터의 대응 자성층보다 얇은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종래 인덕터의 자성층의 약 절반에 상당하는 두께이다. 이는 이하에 설명되는 자성층에도 유효하다. 다음에, 제5도(a) 및 제5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권선부를 형성하는 전기콘덕터스트립(90),(89)을 각각 콘덕터스트립(83),(84)의 노출단부(85),(86)와 연결되도록 텔레스코우픽 패턴으로 상호 대칭적으로 프린트하므로써 용착한다. 계속해서, 제6도(a) 및 제6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콘덕터스트립(90),(89)의 수직다리부와 함께 중간 또는 중심부에서 대략 자성층(91)을 프린트한다. 그후, 제7도(a) 및 제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콘덕터스트립(92),(93)을 각각 전기콘덕터스크립 (90),(89)의 다리부와 전기 접속하여 상호 편차를 두어프린트한다. 다음에, 제8도(a) 및 제8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층(96),(97)을 각각 좌우영역에 프린트하여, 콘덕터스트립(92),(93)의 단부(94),(95)를 노출시킨다. 계속해서, 제9도(a) 및 제9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덕터스트립(92),(93)의 노출단부(94),(95)와 상호 접촉하여 대칭하여 대칭적으로 텔레스코우픽 패턴으로 전기콘덕터스트립(99),(98)을 프린트하여 형성한 후, 제10도(a) 및 제10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층(100)을 중심영역에서 대략 콘덕터스트립(98)(99)의 수직다리부(98),(99)와 함께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11도(a) 및 제1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전기콘덕터스트립 (101),(102)를 각각 콘덕터스트립(98),(99)의 수직다리부와 전기 접속하여 상호 편차를 두어 프린트한다.
제4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적층스텝을 각각 제12도 내지 제19도 및 제20도 내지 제25도에 도시한 공정 스텝내에서 반복한다. 코일권선에 대한 소정의 권수는 이에 상당하는 수가 되도록 유사한 적층공정을 반복하므로써 실현될 수 있다. 소정의 권수를 실현하기 위하여 적층공정의 완료한 후에, 제25도에 도시한 적층스텝을 수행하고, 이로써 점(P1),(P2) 사이에 연장되는 코일권선형성 콘덕터의 종료단부(P2) 및 점(S1),(S2) 사이에 연장되는 코일권선형성 콘덕터의 종료단부(S2)를 상호 접속하고, 최종적으로 그 전체표면위에 자성층(105)을 프린트 한다. 그후 적층구조를 소성로에서 소결하고 외부접속용의 단자(P1)(S1)를 베이킹에 의해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를 완료할 수 있으며, 제27도는 이 인덕터의 등회로선도이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제28도 내지 제6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도에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28(a) 및 제28(b)를 참조하면, 자성층(111)을 박리가 용이한 기판(도시되지 않음)의 전체표면 위에 프린트하여 용착한다. 그후, 제29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112)을 프린트하고, 그 프린트 공정결과 층의 두께 불균일이 생겨 이의 보상이 요구된다. 계속해서, 제30도(a) 및 제30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권선을 인출하기 위하여 한쌍의 전기콘덕터스트립(113)을 콘덕터스트립(P1)과 전기접촉하여 프린트한다. 전기콘덕터스트립(113)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에서 처럼, 1/4 회전정도에 상당하는 길이가 바람직하며, 이는 이하에 설명하는 전기콘덕터스트립에도 유효하다. 콘덕터스트립(113)은 콘덕터스트림(S1)에 접속되지 않도록 프린트해야 한다. 다음에, 제31도(a) 및 제3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층(115)을 각각 좌우영역위에 프린트하고 큰덕터스트립의 일부분(114) 및 콘덕터스트립(S1)의 단부는 노출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들 자성층(115)은, 제29도(a) 및 제20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층(112)의 모양을 보충하도록 프린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자성층(115)와 두께는 상술한 종래 인덕터의 대응 자성층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종래 인덕터의 자성층의 약 절반에 상당하는 두께인 경우이다. 이는 이하에 설명하는 자성층에도 유효하다.
다음에, 제32(a) 및 제3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의 감기(권선)부를 형성하는 전기콘덕터스트립(116)을 콘덕터스트립(113)의 노출단부(114)에 접속되도록 프린트하고, 동시에, 다른 코일권선부를 형성하는 전기콘덕터스트립(117)을 텔레스코우픽 패턴으로 콘덕터스트립(116)과 반대방향으로 프린트하고 전기콘덕터스트립(S1)에 접속되도록 연장한다. 다음에, 제33도(a) 및 제33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기콘덕터스트립(116), (117)의 일단부(118), (119)가 노출을 유지하도록 자성층(120)을 대략 중심영역에서 프린트한다. 다음에, 제34도(a) 및 제3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기 콘덕터스트립(121), (122)을 전기콘덕터스트립(116), (117)의 일단부(118), (119)에 각각 전기 접속하여 프린트한다.
그후, 제35도(a) 및 제3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125)을 각각 좌우영역에 프린트하여, 콘덕터스트립(121), (122)의 단부(123), (124)를 노출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그후, 제36(a) 및 제3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권선부를 형성하기 위한 전기콘덕터스트립(127), (126)을 콘덕터스트립(121), (122)의 노출단부(123), (124)와 각각 상호접속하여 대칭적으로 텔레스코우픽 패턴으로 프린트한다. 다음에, 제37(a) 및 제3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덕터스트립(126), (127)의 일단부(128), (129)를 노출상태로 유지하도록, 자성층(130)을 대략 중심영역에서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38도(a) 및 제38도(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권선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한쌍의 전기콘덕터스트립(131), (132)을 콘덕터스트립(126), (127)의 단부(128), (129)와 각각 전기접속하여 텔레스코우픽 패턴으로 프린트한다. 또한, 제31도 내지 제38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적층스텝은 각각 제39도 내지 제46도, 제47도 내지 제54도 및 제55도 내지 제59도에 도시한 공정에서 반복한다. 소정의 코일권수는 이에 상당하는 만큼 상기와 마찬가지의 적층공정을 반복하므로써 실현될 수 있다. 소정의 권수를 실현하도록 적층공정을 완료한 후에, 제60도에 도시한 적층스텝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점(P1), (P2)사이에 연장된 코일권선형성 콘덕터의 종료단부(P2) 및 점(S1)(S2)사이에 연장된 코일권선형 콘덕터의 종료단부(S2)를 상호 연결한다. 다음에, 필요한 경우에, 제60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단자 접속을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자성층(133)을 전체 표면위에 프린트한다.
그후, 적층구조를 소정로에서 소결하고, 외부접속을 위한 단자(P1), (S1)를 베이킹에 의해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복합권성형 적층인덕터를 완료할 수 있다. 제63도는 이 적층인덕터의 등회로선도이다.
[실시예 3]
제64도 내지 제8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의한 코일권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4세트의 전기콘덕터스트립을 포함하는 복합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64도를 참조하면, 자성층(41)을 박리가 용이한 기판(도시되지 않음)의 전체 표면위에 프린트한다. 다음에, 제6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142), (143)을 좌우영역 위에 프린트한 결과, 상기 언급한 보상을 필요로 하는 층두께 불균일이 생긴다. 계속해서, 제6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출부(144')를 가진 코일권선(시계방향으로 감긴 것으로 가정)을 형성하기 위한 제1세트의 콘덕터스트립(144)을 윗쪽사이드를 따라 프린트하고, (시계방향으로 감긴 것으로 가정된)코일권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2세트의 전기콘덕터스트립(145)을 왼쪽사이드를 따라 프린트하고, (반시계방향으로 감긴)코일권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3세트의 전기콘덕터스트립(147)을 오른쪽 사이드를 따라 프린트하고, (반시계방향으로 감긴)코일권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4세트의 전기콘덕터스트립(146)을 인출부(146')를 형성하도록 오른쪽 사이드 및 하부 사이드를 따라 프린트한다. 다음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세트의 전기콘덕터스트립 (145)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세트의 전기콘덕터스트립(147)을 접속용 콘덕터스트립(T1)에 의해 상호 접속한다. 이 접속용 콘덕터스트립(T1) 및 이하에 언급할 접속용 콘덕터스트립(T3),(T3)은 동일방향으로 감긴 두 세트의 콘덕터스트립에 의해 구성되는 4개의 코일권선이 각각 2개의 페루우프를 형성한다. 그후, 제6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층(152)이 대략 중앙 영역에 프린트되어, 콘덕터스트립(144)의 일단부(148), 콘덕터스트립(145)의 일단부(149), 콘덕터스트립(147)의 일단부 (151) 및 콘덕터스트립(146)의 일단부(150)를 각각 노출상태로 남긴다. 자성층(152)은 사전에 프린트된 자성층(142),(143)의 모양을 보충하도록 프린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하에 설명된 유사한 자성층에도 유효하다. 상기 보충 두께는 다른 자성 두께의 약 절반이다.
다음에, 제6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콘덕터스트립(153)을 콘덕터스트립(144)의 일단부(148)와 전기 접속하여 프린트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콘덕터스트립(154)을 콘덕터스트립(145)의 일단부(149)와 전기 접속하여 프린트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콘덕터스트립(155)을 콘덕터스트립(146)의 일단부(150)와 전기접속하여 프린트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콘덕터스트립(156)을 콘덕터스트립(147)의 일단부(151)와 전기접속하여 프린트한다. 다음에, 제6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157),(158)을 각각 좌우 영역에 프린트하여, 이러한 용착에 의해 콘덕터스트립(153), (154), (155), (156)의 일단부를 각각 노출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후, 제7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 (153), (154), (155), (156)의 일단부를 각각 노출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후, 제7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153),(154)을 각각 접속하여 시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전기콘덕터스트립(159),(160)을 프린트한다. 마찬가지로, 콘덕터스트립 (155), (156)을 각각 접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전기콘덕터스트립(161), (162)을 프린트한다. 각 콘덕터스트립(159) 내지 (162)은 약 1/4회전에 상당하는 길이이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7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163)을 대략 중앙영역 위에 프린트하여 콘덕터스트립(159) 내지 (162)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다음에, 제7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164), (165)을 콘덕터스트립(160), (159)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왼쪽으로 연장하도록 각각 프린트하는 반면, 콘덕터스트립 (166), (167)을 콘덕터스트립(162), (161)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하도록 각각 프린트한다.
다음에, 제7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168), (169)을 각각 좌우영역에 프린트하여, 콘덕터스트립(164) 내지 (167)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또한, 제7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바람직하게 약 1/4회전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전기 콘덕터스트립(170), (171)을 콘덕터스트립(165), (164)과 각각 접속하여 그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프린트한다. 그외에, 각각 바람직하게 약 1/4회전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콘덕터스트립(172), (173)을 각각 콘덕터스트립(167), (168)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프린트한다.
다음에 제7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174)을 대략 중심영역에 프린트하여 전기 콘덕터스트립(170), (173)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계속해서 제7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기 콘덕터스트립(175),(176)을, 콘덕터스트립(170), (171)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하는 패턴으로 프린트하고, 반면, 콘덕트스트립(177), (178)을 콘덕터스트립(172)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왼쪽으로 연장하도록 프린트한다. 소정의 권수를 가지는 코일 권선을 형성하기 위한 콘덕터스트립을, 제69도 내지 제75도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적층공정을 소정의 권수에 상당하도록 반복함으로써 프린트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적층공정을 소정의 횟수 반복하였을 때, 자성층(174)을 제7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간영역에 프린트하고, 그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권수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세트의 콘덕터스트립(176)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권수를 형성하기 위한 제4세트의 콘덕터스트립(177)을, 제7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용 콘덕터스트립(T2)으로 접속한다.
다음에, 제7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덕터스트립(175), (178)을 노출시키도록, 자성층(179), (180)을 좌우영역에 각각 프린트한다. 그후, 바람직하게 약 1/4회전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전기 콘덕터스트립(181)을 콘덕터스트립(178)과 접속하여 그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프린트하는, 반면, 그와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약 1/4회전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콘덕터스트립(182)을 콘덕터스트립(175)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프린트하고, 그 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 권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1세트의 콘덕터스트립(182)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 권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1세트의 콘덕터스트립(182)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 권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2세트의 콘덕터스트립(181)을 접속용 콘덕터스트립(T3)에 의해 서로 접속한다. 만약 요망된다면, 제7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단부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그후, 저성층(183)을 대략 전체표면에 프린트하고, 적층구조를 소정로에서 소결한다. 외부적속용단자를 베이킹에 의해 형성한 후에, 그 내부에 각각 4개의 코일 권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4세트의 콘덕터스트립을 병합한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가 완성된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센터 또는 중간텝을 가지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고려된 적층인덕터는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중 어느 하나로부터 개시하여 완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그의 구조 및 센터 또는 중간텝을 가지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을 제1도 내지 제26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로부터 시작하여 설명한다.
상술하면, 대략 1도 내지 제24도 및 제26도에 상당하는 제조스텝을 본 실시예의 경우에 수행한다. 그러나, 제24도에 도시한 스텝까지의 공정을 거쳐 준비된 2개의 권선콘덕터의 종료단부를 서로 접속한 제25도에 도시한 스텝은 제113도에 도시한 스텝으로 바꾸고, 그위에 인출콘덕터(290)을 프린트한다. 이 콘덕터(290)를 최종적으로 중간탭을 위한 외부단자에 접속한다.
제114도는 센터탭을 가진 이 적층인덕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이 탭은 (290)으로 나타낸다. 또한, 제114도에서, (P1)은 제1코일 권선의 개시단부이고, (P2)는 제1코일 권선의 종료단부, (S1)은 제2코일 단부의 개시단부, (S2)는 제2코일 권선의 종료단부이며, 상기 양쪽 종료단부를 서로 접속하여 센터 또는 중간탭(290)를 구성한다.
제115도는 제4실시예에 의한 인덕터의 등회로선이다. 상술한 센터 또는 중간탭을 가진 적층변성기에서, 제1/제2권선 콘덕터스트립을 그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변화하여 프린트하므로써 전기 콘덕터스트립사이에 분포된 커패시터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자성층 및 전기 콘덕터스트립의 크기 모양등은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제127도 내지 제160도는 센터 또는 중간텝을 가진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의 제조공정을 차례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일한 박리가능한 기판위에 복수의 적층변성기를 동시에 실현하도록 수행하여 왔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지 예로써, 하나의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로 정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제127도 내지 제16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박리 용이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전체표면에 자성층(301)을 프린트하고, 대략 그 중심영역위에 자성층(303)을 프린트한 결과, 상기 언급한 보상을 요하는 두께차가 생긴다.
다음에, 제1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코일 권선을 위한 전기 콘덕터스트립(306)(이하 간단히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이라 칭함) 및 제2코일 권선을 위한 전기 콘덕터스트립(305)(이하 간단히 제2코일 콘덕터 스트립이라 칭함)을 텔레스코우픽패턴으로 프린트하여, 그것들을 공동축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각 제1/제2코일 콘덕터스트립은 약 1/4회전에 상당하는 길이이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하 언급하는 콘덕터스트립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다음에, 제12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307)을,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06)의 양단부(311)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05)의 양단부(309)가 노출되는 패턴으로 프린트한다. 자성층(307)이 프린트된 결과 자성층(307)의 모형에 의해 두께차가 생겨 이후에 이를 보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의 양단부(311)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의 양단부(309)를 함께 연결하여, 그위에 제130도에 도시한 패턴과 같이 제1콘덕터스트립(315) 제2콘덕터스트립 (313)을 프린트한다.
제13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성층(317)을 대략 중심영역에 프린트하여 제1콘덕터스트립(315) 및 제2콘덕터스트립(313)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이 자성층 (317)은 자성층(307)의 두께차를 보상하도록 프린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하에 언급되는 대응 자성층에도 유효하다.
계속해서, 제1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15) 및 제2 코일 콘덕터스트립(313)에 전기 접속되도록,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19) 및 제2 코일 콘덕터스트립(318)을 각각 프린트한다.
제133도에 도시한 스텝에서,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19)의 양단부(323)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18)의 양단부(321)를 각각 노출시키도록 자성층(325)을 프린트한다.
계속해서 제130도 내지 133도와 관련하여 상술한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 (315) 및 제2콘덕터스트립(313)을 위해 수행한 적층공정을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 (321) 및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23)위에 상호 제1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을 교환하면서 소정의 횟수를 반복수행한다(제137도 내지 제152도 참조).
그후, 제15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의 양단부(339), (337)가 노출되도록 자성층(341)을 프린트한다.
다음에, 제154도의 스텝에서, 제1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45), (343)을 각각 제1 및 제2콘덕터스트립(323), (321)의 단부(339), (337)과 전기 접속하도록 프린트하고, 그위에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45)의 하나를 자성층의 사이드에서 인출하여, 그에 의해 제1코일용의 단자 인출부(c)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155도에 도시한 스텝에서 자성층(347)을 대략 중앙영역에 프린트하여 제2코일용의 단자인 출부(c) 및 제1/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45),(343)부분을 노출시킨다.
제156도에 도시한 스텝에서,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43)부분과 각각 접속되도록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49)을 프린트하는 반면,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45)의 부분과 접속되도록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51)을 프린트한다.
제157도에 도시한 다음의 스텝에서, 제2코일콘덕터스트립(349)의 단부(353) 및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51)의 단부(355)가 각각 노출되도록 자성층(357)을 프린트한다.
다음에 제15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61)을 제2코일콘덕터스트립(349)의 단부(353) 와 각각 전기 접촉하여 프린트한다.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61)은 자성층의 측면위의 적절한 부분에서 인출된다. 또한,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63)을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51)의 단부(355)와 전기 접속하여 프린트하여 제1코일단자용 인출부(d)를 형성하도록 자성층의 측면에서 인출한다.
제159도에 도시한 스텝에서, 자성층(364)을 프린트하여, 코일콘덕터스트립 (361)을 가장자리위치(e),(f)로 각각 인출한다. 전표면위에 자성층(도시하지 않음)을 프린트한 후에, 필요한 단자(c),(d),(e),(f)를 코우팅 및 베이킹에 의해 형성한다. 따라서, 제16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6]
이하에, 제127도 내지 제160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센터 또는 중간탭을 가지는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의 변형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27도 내지 제133도에 도시한 스텝에서, 적층공정은 상술한 제5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실시된다.
계속해서, 제134도에 도시한 스텝에서, 제1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29), (327)을 제1 및 제2콘덕터스트립(319),(318)에 각각 접속하여 프린트하고, 그위에 하나의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27)을 센터탭용의 인출부(a)를 형성하기 위하여 자성층의 한 측면위에 가장자리부에 인출한다. 그다음에, 제135도에 도시한 스텝에서, 자성층(331)을 대략 중앙영역에 프린트하여 제1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29),(327)부 및 센터텝인출부(a)를 노출시킨다.
계속해서, 제136도에 도시한 스텝에서,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55) 및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33)을 제1코일 콘덕터스트립(329)부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327)부, 센터탭 인출부(a)와 각각 접속하도록 프린트한후, 제137도 내지 제145도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의 공정스텝을 거쳐 제1 및 제2코일 콘덕터스트립을 적층한다. 필요시, 제134도에 도시한 스텝과 마찬가지의 적층스텝을 수행하여 제1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에 의해 센터탭 인출부(b)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147도 내지 제15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텝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적층구조를 소결하고, 그 위에 외부접속용의 단자 (a),(b),(c),(d),(e) 및 (f)를 베이킹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복합 권선형 적층인디케이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전기 콘덕터스트립에 분배된 커패시터는 대응하는 스트립을 프린트하여 위치결정하으므로써 감소시킬 수 있음은 쉽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콘덕터스트립의 크기, 모양, 기타 기하학적 요소를 변화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26도에 도시한 스텝으로 제조된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유리한 효과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다. 제2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부(P2),(S2)를 최종적으로 함께 연결하는 경우,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스텝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콘덕터스트립(P1)-(P2)에 의해 형성된 코일 권선 및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콘덕터스트립(S1)-(S2)에 의해 형성된 코일 권선은 소정의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 권선을 구성하며, 그것에 의하여 코일 권선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은 동일방향으로 배열되며, 그 결과 자속이 반대방향으로 발생되는 지금까지 알려진 두줄코일의 인덕턴스보다 4배 증가된 인덕턴스를 실현할수 있다. 마찬가지의 유리한 효과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덕터의 경우에서도 얻을 수 있다. 그외에, 제64도 내지 제8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4세트의 코일 권선형 콘덕터스트립을 사용한 제3실시예에서는 놀랍게도 종래의 단일한 두줄 권선 코일의 인덕턴스보다 16배 높은 인덕터스를 나타낸다.
자성층의 두께의 경우에는 종래 기술의 인덕터와 비교할 때 약 절반정도 감소했으며, 종래 인덕터보다 2배 또는 4배의 권선권수를 가지는(그러므로 인덕턴스는 4배 또는 16배를 가지는)적층구조의 두께는 종래 인덕터와 대략 같은 두께를 유지하였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여러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종사자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한 다양한 변형과 변화를 쉽게 할수 있을 것이다.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했으나, 일반적으로 인덕터에 병합되는 코일 권선 세트의 수는 2 또는 4 또는 짝수로 주어지며, 적어도 두 세트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접속되는 복수세트의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그러한 인덕터는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물론, 개시단부 또는 종료단부에서 함께 접속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 권선을 가지는 인덕터 뿐만 아니라 중간부에서 함께 접속된 그러한 코일을 가지는 인덕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 또는 센터탭 또는 그러한 여러탭을 가지는 적층변성기는 간단히 탭핑리이드를 부착하므로써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 유형의 변성기에서도 물론 상기 언급한 장점들을 얻을수 있다.
일부의 자성재료를 비자성재료로 대체하여도, 변성기는, 투자율(μ)이 인가된 자계의 세기(H)와 선형 관계를 가지는 넓은 선형 영역내에서 작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변성기의 선형특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인접 자성층을 상호 보상하는 형태로 프린트하므로써, 균일한 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적층변성기를 실현할 수 있다. 코일 권선사이에 대응하는 거리를 변화시키므로써 코일 권선을 형성하는 콘덕터스트립에 분배된 커패시터를 감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콘덕터스트립의 크기, 모양, 기타 기하학적 요소들도 선택적으로 변화시킬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한 본 기술분야의 종사자에 의해 쉽게 변형 및 변화되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복수의 전기 절연부재를 교호로 가지는 복수세트의 코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스트립을 적층하므로써 형성된 적층구조를 가지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세트내의 상기 전도성 스트립은 상기 전기 절연부재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인접한 것끼리 접속하므로써 코일을 형성하며,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코일은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대략 감겨있고, 상기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의 적어도 두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선식 통로를 지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어도 두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으로 형성된 코일은 상기 코일의 개시단부, 중간부 및 종료단부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호 접속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연부재중의 인접한 것은 상호모양을 보상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 및 전기절연부재로 피복된 면을 가지는 자성부재로 구성되는 그루우프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 및 전기절연부재로 피복된 면을 가지는 자성부재로 구성되는 그루우프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
  5. 제1항에 있어서, 전체로써 상기 적층구조가 소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인덕터의 가장자리부에서 연장되는 전기 전도성 인출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중간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
  7. 분쇄된 전기 전도성 재료의 페이스트 및 분쇄된 전기 절연성재료의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기절연층과 교호로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적층형태로 용착하므로써 복수세트의 코일의 회전을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대략 형성하기 위한 복합 권선형 적층 인덕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박리가 용이한 기판위에 전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1스텝과, 적어도 두세트의 상기 전기 전도성 스트립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기는 코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제1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형성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전도성 스트립의 종료단부가 노출을 유지하는 패턴으로 전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형성된 제1의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의 대응 종료단부와 접속된 개시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제2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상기 전기 절연층위에 형성하는 제4스텝과, 상기 제2스텝 내지 제4스텝을 소정 횟수로 반복하는 제5스텝과, 이렇게 형성된 적층구조의 전체표면위에 전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6스텝과, 상기 제1층형성스텝, 중간층형성스텝 및 최종층형성스텝중 하나에서 상호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부분에서 적어도 두세트의 코일이 반대방향으로 감기도록 상호 연결하는 제7스텝과, 상기 기판을 박리하는 제8스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
  8. 소정 패턴의 마스크를 사용하므로써 스퍼터링과 같은 기상방법을 사용하여 복수의 전기 절연층과 교호로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적층형태로 용착하여 복수세트의 코일의 회전을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대략 형성하기위한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위에 전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1스텝과, 상기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의 적어도 두세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기는 코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1의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형성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형성된 전기 전도성 스트립의 종료단부가 노출을 유지하는 패턴으로 전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형성된 상기 제1의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의 대응 종료단부와 접속된 개시단부를 가지는 제2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상기 제3스텝에서 형성된 전기 절연층위에 형성하는 제4스텝과, 상기 제2스텝 내지 제4스텝을 소정 횟수로 반복하는 제5스텝으로 구성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감긴 적어도 두세트의 코일은 상기 제1층형성스텝, 중간층형성스텝 및 최종층형성스텝중의 하나에서 가장 인접한 위치한 부분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
  9. 소정 패턴의 마스크를 사용하므로써 스퍼터링과 같은 기상방법을 사용하여 복수의 전기 절연층과 교호로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적층형태로 용착하여 복수세트의 코일의 회전을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대략 형성하기위한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위에 전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1스텝과, 적어도 두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기는 코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1의 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형성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용착된 상기 전도성 스트립의 종료단부가 노출을 유지하는 패턴으로 전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서 형성된 상기 제1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의 대응종료단부와 접속된 개시단부를 가지는 제2복수세트의 전기전도성 스트립을 상기 제3스텝에서 용착된 상기 전기 절연층위에 형성하는 제4스텝과, 상기 제2복수세트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의 절연층에 보충하는 패턴하는 전기 절연층을 형성하여상기 제2복수세트의 종료단부의 노출을 유지하는 제5스텝과, 상기 제2스텝 내지 제5스텝을 소정횟수 반복하는 제6스텝으로 구성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감긴 적어도 두 세트의 코일은 상기 제1층 형성스텝, 중간층형성스텝 및 최종층 형성스텝중의 하나에서 서로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부분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인덕터의 제조방법.
  10. 복수의 자성층을 교호로 가지는 두세트의 코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세트의 복수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적층하므로써 형성된 적층구조를 가지는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에 있어서, 각 상기 세트내에 상기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상기 자성층의 가장자리부를 통하여 인접한 스트립과 접속하여 하나의 코일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상기 두세트의 코일은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대략 상호 반대방향으로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11. 복수의 자성층을 교호로 가지는 두세트의 코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세트의 복수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적층하므로써 형성된 적층구조를 가지는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에 있어서, 각 상기 세트내에 상기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상기 자성층의 가장자리부를 통하여 인접한 스트립과 접속하여 하나의 코일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상기 두세트의 코일은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대략 상호 반대방향으로 감겨있고, 상기 코일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의 코일의 개시단부와 종료단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12. 복수의 자성층을 교호로 가지는 두세트의 코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세트의 복수의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적층하므로써 형성된 적층구조를 가지는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에 있어서, 각 상기 세트내에 상기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상기 자성층의 가장자리부를 통하여 인접한 스트립과 접속하여 하나의 코일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상기 두세트의 코일은 일반적으로 공동축을 중심으로 대략 상호 반대방향으로 감겨있고, 상기 자성층의 인접층들은 상호 모양을 보상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의 일부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비자성층으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전체로서 상기 적층구조가 소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KR1019900011829A 1989-08-01 1990-08-01 자기(自己)유도성 인덕터와 수동유도성 인덕터를 포함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KR930000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006 1989-08-01
JP19800789A JP2831392B2 (ja) 1989-08-01 1989-08-01 積層型バイファイラ巻きトランス
JP198007 1989-08-01
JP19800689A JP2831391B2 (ja) 1989-08-01 1989-08-01 中間タップ付き積層トラン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337A KR910005337A (ko) 1991-03-30
KR930000414B1 true KR930000414B1 (ko) 1993-01-18

Family

ID=2651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829A KR930000414B1 (ko) 1989-08-01 1990-08-01 자기(自己)유도성 인덕터와 수동유도성 인덕터를 포함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30415A (ko)
EP (1) EP0411922B1 (ko)
KR (1) KR930000414B1 (ko)
DE (1) DE690077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592B2 (ja) * 1990-02-20 2000-06-0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積層複合部品
DE4235314A1 (de) * 1992-10-20 1994-04-21 Siemens Ag Bauelement mit Übertragerfunktion zur Bestückung von Leiterplatten
AU2821497A (en) * 1996-05-03 1997-11-26 Motorola, Inc. Integrable circuit inductor
US6549112B1 (en) * 1996-08-29 2003-04-15 Raytheon Company Embedded vertical solenoid inductors for RF high power application
JPH10163044A (ja) * 1996-12-02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バータトランス
DE19741302A1 (de) * 1997-09-19 1999-03-25 Inst Halbleiterphysik Gmbh Geometrie für planare Induktivitäten
US6891461B2 (en) 1999-11-23 2005-05-10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transformer
US6856228B2 (en) 1999-11-23 2005-02-15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inductor
US6815220B2 (en) * 1999-11-23 2004-11-09 Intel Corporation Magnetic layer processing
US6452247B1 (en) * 1999-11-23 2002-09-17 Intel Corporation Inductor for integrated circuit
US6870456B2 (en) * 1999-11-23 2005-03-22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transformer
US7852185B2 (en) * 2003-05-05 2010-12-14 Intel Corporation On-die micro-transformer structures with magnetic materials
US8134548B2 (en) 2005-06-30 2012-03-13 Micron Technology, Inc. DC-DC converter switching transistor current measurement technique
US8410884B2 (en) 2011-01-20 2013-04-02 Hitran Corporation Compact high short circuit current reactor
KR20140000077A (ko) * 2012-06-22 2014-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US9324490B2 (en) 2013-05-28 2016-04-26 Td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vector inductors
US9570222B2 (en) 2013-05-28 2017-02-14 Tdk Corporation Vector inductor having multiple mutually coupled metalization layers providing high quality factor
US9735752B2 (en) * 2014-12-03 2017-08-15 Td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unable filt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79229A1 (fr) * 1977-01-26 1978-08-25 Eurofarad Composants electroniques multi-couches inductifs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GB2045540B (en) * 1978-12-28 1983-08-03 Tdk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inductive device
NL7900245A (nl) * 1979-01-12 1980-07-15 Philips Nv Tweelaags vlakke electrische spoel met aftakking.
NL7900244A (nl) * 1979-01-12 1980-07-15 Philips Nv Vlakke tweelaags electrische spoel.
JPS5691406A (en) * 1979-12-26 1981-07-24 Hitachi Ltd Thin film coil
JPS5861609A (ja) * 1981-10-09 1983-04-12 Tdk Corp 積層インダクタ
JPH0738970Y2 (ja) * 1987-08-04 1995-09-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移動体停止制御装置
US4816784A (en) * 1988-01-19 1989-03-28 Northern Telecom Limited Balanced planar transfor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30415A (en) 1996-06-25
EP0411922B1 (en) 1994-03-30
KR910005337A (ko) 1991-03-30
DE69007703T2 (de) 1994-07-14
EP0411922A1 (en) 1991-02-06
DE69007703D1 (de) 1994-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414B1 (ko) 자기(自己)유도성 인덕터와 수동유도성 인덕터를 포함하는 복합 권선형 적층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두줄 권선형 적층변성기
JP3048592B2 (ja) 積層複合部品
KR101843283B1 (ko) 코일 전자 부품
JP3449350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US10553353B2 (en) Parallel stacked inductor for high-Q and high current handl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2095269A (ja) スイッチトモード電源
WO2019235510A1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655657B2 (ja) 積層応用部品の構造
JPH06333742A (ja) 積層コイル
JP2001217126A (ja) 積層インダクタ
JP3186776B2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1358016A (ja) 積層チップインダクタ
JP3201756B2 (ja) 複合巻積層インダクタとその製造方法
JP3048593B2 (ja) 混成集積回路部品
JPH02101715A (ja) チップ形複合部品
JP2001284125A (ja) 平面磁気素子
JP2012028522A (ja)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943690Y2 (ja) 積層型トランス
JP2831391B2 (ja) 中間タップ付き積層トランス
JP2958804B2 (ja) 積層チップ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3133136A (ja) 磁性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31392B2 (ja) 積層型バイファイラ巻きトランス
JPS5922303A (ja) 積層インダクタ
JPH04101403A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20936A (ja) 積層形チップインダ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