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077A -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077A
KR20140000077A KR1020120067439A KR20120067439A KR20140000077A KR 20140000077 A KR20140000077 A KR 20140000077A KR 1020120067439 A KR1020120067439 A KR 1020120067439A KR 20120067439 A KR20120067439 A KR 20120067439A KR 20140000077 A KR20140000077 A KR 2014000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ic layer
digitizer
sensor unit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식
채경수
이희범
조호윤
홍윤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077A/ko
Priority to US13/592,080 priority patent/US20130342477A1/en
Priority to JP2012187277A priority patent/JP2014006862A/ja
Publication of KR2014000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1Printed circuit coils
    • H01F41/046Printed circuit coils structurally combined with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66Printed inductances with a magneti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자성층과,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일과,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코일, 그리고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자성층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코일 상호 간 자기장의 형성이나 코일과 입력장치 간 송, 수신되는 신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Sensor for Digit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Digitizer)가 개발되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이 존재하지만,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은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에 비해서 정확한 좌표를 감지할 수 없고, 필압 또한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는 정밀도나 정확성 측면에서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보다 유리하다.
종래의 디지타이저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10729호에서 종래 기술로서 개시되어 있는 디지타이저가 일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 개시된 디지타이저는, 액정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전자 펜이 터치되는 위치에서 공진되는 전자파를 송수신하여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는 센서 PCB와, 센서 PCB에 형성되는 복수의 X축 코일 및 Y축 코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센서부 하측에 구성되어 센서부에 신호를 보내고 다시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서 전자 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CPU(Control Processor Unit)로 구성된다.
또한, 전자 펜은 내부에 코일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공진회로가 내장된다.
이러한 종래 디지타이저는, 센서부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되, X축 및 Y축 코일을 선택하여 전자기를 유도하면서 전자파를 발생시킨다. 전자 펜은 발생된 전자파에 의해 공진되며, 공진 주파수는 일정 시간 홀딩되면서 센서부에 의해 수신된다. 제어부는 센서부가 수신한 신호를 읽어들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디지타이저는 코일에서 송, 수신되는 신호가 주변 기기의 영향으로 감쇠하지 않는 등, 신호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디지타이저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센서부에서 송, 수신되는 신호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제1 자성층;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자성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상기 제2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파워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파워코일은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과 상하방향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자성층의 외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제1 자성층 및 상기 제2 자성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Fe, Ni, Zn, Mn, Mg,Co, Ba 및 S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자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제1 코일은 제1 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제2 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절연층의 타면에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2 자성층의 타면에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a)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제1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제1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코일을 덮도록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제2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코일을 덮도록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제2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상기 (a)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 필름을 상기 제1 자성층으로부터 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상기 (e)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자성층의 일면에 파워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워코일은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과 상하방향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자성층의 외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자성층 및 상기 제2 자성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Fe, Ni, Zn, Mn, Mg,Co, Ba 및 S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자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코일이 제1 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제2 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코일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이 자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자성층 및 제2 자성층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코일 상호 간 자기장의 형성이나, 코일과 입력장치 간 송, 수신되는 신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형태를 알 수 있는 요부 구성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형태를 알 수 있는 요부 구성의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1)는, 제1 자성층(110)과, 상기 제1 자성층(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일(210)과, 상기 제1 자성층(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150)과, 상기 절연층(15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코일(220), 그리고 상기 절연층(15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자성층(120)을 포함한다.
제1 자성층(110)은 후술할 제2 자성층(120)과 더불어 자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전자 펜과 같은 입력장치(미도시)의 공진회로와 코일 사이에 송, 수신되는 신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후술할 제1 코일(210) 사이가 절연될 수 있도록 전기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성층(110)은 고투자율을 갖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자성층(110)은 구체적인 일 예로서, Fe, Ni, Zn, Mn, Mg,Co, Ba 및 S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자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자성층(110)은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비저항이 높아 전기 절연성을 갖게 된다.
제1 코일(210)은 제1 자성층(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코일(210)은 제1 축 방향,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루프(loo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축 방향,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50)은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후술할 제1 코일(210)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가 절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절연층(150)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절연층(150)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등과 같은 다양한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층(150)은 제1 자성층(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코일(21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코일(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150)의 타면에서 매립된 형태로 있게 된다. 제1 코일(210)이 절연층(150)의 타면에서 매립되어 있는 경우, 제1 코일(210)은 제1 자성층(110) 및 절연층(150)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 형태로 있게 되므로, 제1 코일(210)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가 충분히 절연될 수 있다.
제2 코일(220)은 절연층(15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2 코일(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2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코일(220)은 제1 코일(210)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제2 축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코일(220)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자성층(120)은 제1 자성층(110)과 더불어 자성 물질로 이루어져 입력장치의 공진회로와 코일 사이에 송, 수신되는 신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코일(220) 사이가 절연될 수 있도록 전기 절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코일(210)과 마찬가지로, 일 예로서 Fe, Ni, Zn, Mn, Mg,Co, Ba 및 S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자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자성층(120)은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비저항이 높아 전기 절연성을 갖게 된다.
제2 자성층(120)은 절연층(150)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2 자성층(120)은 제2 코일(220)을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코일(220)은 제2 자성층(120)의 타면에서 매립된 형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코일(220)은 절연층(150) 및 제2 자성층(120)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 형태로 있게 되어, 제2 코일(220)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가 충분히 절연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은 입력장치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우선, 전자 펜과 같은 입력장치(미도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공진회로가 공진하게 된다. 공진회로는 공진하면서 유도 전류를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유도 전류에 의한 에너지가 커패시터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전자기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입력장치는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커패시터가 인덕터와 공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전자기력을 방출하게 된다.
입력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력은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에 전압차를 발생시키게 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전압차를 확인하여 입력장치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은 이 중 어느 하나가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구동코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가 구동코일에서 유도되는 자기력선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게 되는 감지코일로 이용될 수 있다. 감지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유도기전력)은 구동코일에서 유도된 자기력선의 시간에 대한 변화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감지코일에서 전압이 유도되기 위해서는 구동코일에서 유도되는 자기력선이 주기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결국, 구동코일은 유도되는 자기력선이 주기적으로 변하도록 제어부로부터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공급받는다.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면서 전압을 갖게 되는데, 이때 입력장치가 접근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영향을 받으면서 전압차가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는 이러한 전압차를 인지하여 입력장치의 터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디지타이저용 센서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에 배치되는 화상표시장치(300) 및 윈도우(40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상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이미 설명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a)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제1 자성층(110)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자성층(110)의 일면에 제1 코일(210)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코일(210)을 덮도록 상기 제1 자성층(110)의 일면에 절연층(150)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절연층(150)의 일면에 제2 코일(220)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제2 코일(220)을 덮도록 상기 절연층(150)의 일면에 제2 자성층(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제1 자성층(1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베이스 필름(10)은 일 예로서 PET 필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자성층(110)은 Fe, Ni, Zn, Mn, Mg,Co, Ba 및 S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자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자성층(110)은 예컨대, 제1 자성층(110)의 재료가 되는 분말과 폴리머 바인더를 섞어 베이스 필름(10)상에 도포하고 이를 롤링(rolling)이나 캐스팅(casting) 등의 방법으로 열 압착함으로써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자성층(110)을 베이스 필름(10)에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층(110)의 일면에 제1 코일(2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1 코일(210)은 도금이나 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1 자성층(1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일(210)은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c)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층(110)의 일면에 절연층(1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절연층(150)은 예컨대 PET 등과 같은 절연성을 갖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층(150)은 제1 코일(210)을 덮도록 제1 자성층(110)의 일면에 도포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코일(210)은 절연층(150) 및 제1 자성층(110)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 형태로 있게 되므로 제1 코일(210)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가 충분히 절연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150)의 일면에 제2 코일(2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2 코일(220)은 제1 코일(210)과 마찬가지로 도금이나 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절연층(15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220)은 제1 코일(210)과 마찬가지로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2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e)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150)의 일면에 제2 자성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2 자성층(120)은 제1 자성층(110)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제1 자성층(110)이 형성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성층(120)은 제2 코일(220)을 덮도록 절연층(150)의 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코일(220)은 절연층(150) 및 제2 자성층(120)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 형태로 있게 되므로, 제2 코일(220)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가 충분히 절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a)단계에서 준비되었던 베이스 필름(10)은 (a)단계를 거친 이후에 박리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베이스 필름(10)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베이스 필름(10)은 (a)단계 직후에 박리될 수도 있고, 또는 (b)~(e)단계 중 어느 단계 이후에 박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2)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되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2)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별개의 파워코일(230)이 더 포함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우선, 입력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자기력을 입력받아 공진하는 무전원 입력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입력장치의 공진회로가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공진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입력장치가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작용하는 경우,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별도의 파워코일을 더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입력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무전원 입력장치인 경우로서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에 의해 전자기력을 제공받는 경우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에 별개의 파워코일이 필요하다.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 중 어느 하나가 이러한 파워코일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하지만,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제어부에 의해 별도로 제어되는 별개의 파워코일을 더 포함함으로써, 입력장치와 코일 간 신호의 송, 수신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자타이저용 센서부(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1)에 이러한 파워코일(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파워코일(230)은 절연층(150)의 일면에서 제2 코일(220)과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입력장치로의 전원 공급 목적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에 더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워코일(230)은 제2 자성층(1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워코일(230)은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영역 상에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워코일(230)은 제1 코일(210) 및 제2 코일(220)과 상하방향에서 교차하지 않는 제2 자성층(120)의 외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워코일(230)은 제2 자성층(120)의 외곽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루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이 자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자성층(110) 및 제2 자성층(1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코일 상호 간 자기장의 형성이나, 코일과 입력장치 간 송, 수신되는 신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2; 센서부 10; 베이스 필름
110; 제1 자성층 120; 제2 자성층
150; 절연층 210; 제1 코일
220; 제2 코일 230; 파워코일
300; 화상표시장치 400; 윈도우

Claims (15)

  1. 제1 자성층;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자성층;을 포함하는 디자타이저용 센서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파워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일은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과 상하방향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자성층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층 및 상기 제2 자성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Fe, Ni, Zn, Mn, Mg,Co, Ba 및 S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제1 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제2 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절연층의 타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2 자성층의 타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9. (a)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제1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제1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코일을 덮도록 상기 제1 자성층의 일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제2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코일을 덮도록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제2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자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 필름을 상기 제1 자성층으로부터 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e)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자성층의 일면에 파워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일은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과 상하방향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자성층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층 및 상기 제2 자성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Fe, Ni, Zn, Mn, Mg,Co, Ba 및 S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제1 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제2 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KR1020120067439A 2012-06-22 2012-06-22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0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39A KR20140000077A (ko) 2012-06-22 2012-06-22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US13/592,080 US20130342477A1 (en) 2012-06-22 2012-08-22 Sensor for digit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187277A JP2014006862A (ja) 2012-06-22 2012-08-28 デジタイザ用センサ部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39A KR20140000077A (ko) 2012-06-22 2012-06-22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77A true KR20140000077A (ko) 2014-01-02

Family

ID=4977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439A KR20140000077A (ko) 2012-06-22 2012-06-22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342477A1 (ko)
JP (1) JP2014006862A (ko)
KR (1) KR201400000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1772A (zh) * 2013-10-12 2015-04-2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电磁触控屏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07703T2 (de) * 1989-08-01 1994-07-14 Tdk Corp Induktoren des Typs aus gestapelten Schichten zusammengesetzter Wirkung, einschliesslich Induktoren mit Induktivität und Gegeninduktivität und ihr Herstellungsverfahren.
US5774115A (en) * 1993-11-05 1998-06-30 Intertactile Technologies Corporation Circuit control panel with variable graphics display
DE4407900A1 (de) * 1994-03-09 1995-09-14 Basf Magnetics Gmbh Verfahren zur Wiedergewinnung von Rohmaterialien aus magnetischen Aufzeichnungsträgern
US20070170910A1 (en) * 2006-01-26 2007-07-26 Ming-Hoo Chang Spectral resistor, spectral capacitor, order-infinity resonant tank, EM wave absorbing material,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08003242A (ja) * 2006-06-21 2008-01-10 Sharp Corp 表示パネル保持部材および表示装置
US7903094B2 (en) * 2006-06-23 2011-03-08 Wacom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input method, and sensing device
TWI303957B (en) * 2006-12-11 2008-12-01 Ind Tech Res Inst Embedded inductor device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TWI399688B (zh) * 2010-06-08 2013-06-21 Waltop Int Corp 整合電磁式及電容感應輸入裝置
US8358487B2 (en) * 2011-01-05 2013-01-22 Headway Technologies, Inc. Thin-film magnetic head having coil of varying thinknesses in spaces adjacent the main magnetic pole
JP2012238840A (ja) * 2011-04-27 2012-12-06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KR20120130990A (ko) * 2011-05-24 2012-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통합형 디스플레이
JP5459795B2 (ja) * 2011-06-06 2014-04-02 株式会社ワコム 電子機器
TWI447753B (zh) * 2011-07-07 2014-08-01 Inpaq Technology Co Ltd 具異質疊層之共模濾波器及其製造方法
JP5740268B2 (ja) * 2011-09-27 2015-06-24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KR101541570B1 (ko) * 2011-09-30 2015-08-0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06862A (ja) 2014-01-16
US20130342477A1 (en)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517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sensor
EP2015030B1 (en) Position detector and display device
CN105653069A (zh) 笔输入设备、修正其输入坐标的方法和支持其的电子设备
EP3449343A1 (en) Touch sensing apparatus, touch scre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140029662A (ko) 디지타이저
KR20140018018A (ko)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0083A (ko)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US9256339B2 (en) Tablet having a flexible and transparent sensing area
KR20140024741A (ko) 디지타이저
KR20140000077A (ko)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973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45523A1 (en)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pen and controller
KR102348410B1 (ko) 전자기 펜
US20230418412A1 (en) Pen and touch input system and controller
KR20230172911A (ko) 펜 및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40006869A (ko) 컨트롤러
KR101581412B1 (ko) 디지타이저
KR20230168550A (ko) 펜 및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30168551A (ko) 컨트롤러
KR20240019655A (ko) 펜 및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40071856A (ko) 컨트롤러
KR20240090221A (ko) 펜 및 터치 입력 시스템
JP2023179390A (ja) ペン及びタッチ入力システム及びコントローラ
US20140176828A1 (en)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