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018A -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018A
KR20140018018A KR1020120085272A KR20120085272A KR20140018018A KR 20140018018 A KR20140018018 A KR 20140018018A KR 1020120085272 A KR1020120085272 A KR 1020120085272A KR 20120085272 A KR20120085272 A KR 20120085272A KR 20140018018 A KR20140018018 A KR 2014001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igitizer
magnetic layer
sensor uni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식
채경수
조호윤
홍윤기
이희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8018A/ko
Priority to JP2012260052A priority patent/JP2014032644A/ja
Priority to US13/727,423 priority patent/US20140035841A1/en
Publication of KR2014001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1Printed circuit coils
    • H01F41/046Printed circuit coils structurally combined with ferromagnetic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5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including permanent magnet or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성을 갖는 자성층과,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일과, 상기 제1 코일을 덮으면서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성층에 코일이 직접 형성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가 실현될 수 있으며, 자성층에 의해 코일에서 송, 수신되는 신호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Sensor for Digit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Digitizer)가 개발되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이 존재하지만,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은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에 비해서 정확한 좌표를 감지할 수 없고, 필압 또한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는 정밀도나 정확성 측면에서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보다 유리하다.
종래의 디지타이저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10729호에서 종래 기술로서 개시되어 있는 디지타이저가 일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 개시된 디지타이저는, 액정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전자 펜이 터치되는 위치에서 공진되는 전자파를 송수신하여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는 센서 PCB와, 센서 PCB에 형성되는 복수의 X축 코일 및 Y축 코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센서부 하측에 구성되어 센서부에 신호를 보내고 다시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서 전자 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CPU(Control Processor Unit)로 구성된다.
또한, 전자 펜은 내부에 코일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공진회로가 내장된다.
이러한 종래 디지타이저는, 센서부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되, X축 및 Y축 코일을 선택하여 전자기를 유도하면서 전자파를 발생시킨다. 전자 펜은 발생된 전자파에 의해 공진되며, 공진 주파수는 일정 시간 홀딩되면서 센서부에 의해 수신된다. 제어부는 센서부가 수신한 신호를 읽어들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디지타이저는 코일에서 송, 수신되는 신호가 주변 기기의 영향으로 감쇠하지 않는 등, 신호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디지타이저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센서부에서 송, 수신되는 신호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절연성을 갖는 자성층;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을 덮으면서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파워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파워코일은 상기 절연층의 외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자성층은 자성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자성분말은 Fe-Si-Al의 합금분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바인더는 acrylonitrile-butadience-styrene(ABS)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상기 자성층의 상층부는 상기 바인더의 혼합 비율이 상기 자성층의 하층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a)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제1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코일을 덮도록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제2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상기 (a)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 필름을 상기 자성층으로부터 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파워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은 상기 파워코일이 상기 절연층의 외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의 상기 (a)단계는 자성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상기 베이스 필름에 도포한 후 경화시켜 상기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의 상기 자성분말은 Fe-Si-Al의 합금분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의 상기 바인더는 acrylonitrile-butadience-styrene(ABS)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의 상기 (a)단계는 상기 자성분말 및 상기 바인더가 혼합된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상기 베이스 필름에 도포한 후 경화시켜 상기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 혼합물은 상기 바인더의 혼합 비율이 상기 제1 혼합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이 자성층 상에 형성됨으로써 코일에서의 신호의 송, 수신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코일이 별도의 기판에 형성되지 않고 자성층 상에 직접 형성되므로 구조의 단순화에 의한 제조 편의성 제고 및 제조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형태를 알 수 있는 요부 구성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형태를 알 수 있는 요부 구성의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1)는 절연성을 갖는 자성층(100)과, 상기 자성층(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일(210)과, 상기 제1 코일(210)을 덮으면서 상기 자성층(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150)과, 상기 절연층(15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코일(220)을 포함한다.
자성층(100)은 전자 펜과 같은 입력장치(미도시)의 공진회로와 코일 간 송, 수신 신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태블릿(tablet)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되면서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근방에 여러 가지 도전체가 배치된다. 이 경우,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에 포함된 신호 송, 수신용 코일은,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계가 상기한 도전체의 존재에 의해 크게 감쇠되거나 또는 공진 주파수가 시프트됨으로써, 신호의 송, 수신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자성층(100) 상에 코일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자성층(100)의 하측 방향에 배치되는 도전체에 의한 전자유도장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입력장치의 공진회로와 코일 간 송, 수신되는 신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성층(100)은 또한 후술할 제1 코일(210)의 라인 사이가 절연될 수 있도록 전기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성층(100)은 구체적으로, 자성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mixture)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성분말은 예컨대, Fe-Si-Al의 합금분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자성을 띠는 공지된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인더는 예컨대, acrylonitrile-butadience-styrene(ABS)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자성층이 절연성을 갖도록 하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층(100)은 자성분말과 바인더의 혼합 비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절연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때, 자성분말의 바인더에 대한 상대적인 혼합 비율이 너무 낮으면 충분한 자성을 가지지 못할 수 있고, 또한 바인더의 자성분말에 대한 상대적인 혼합 비율이 너무 낮으면 충분한 절연성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성층(100)은 최적의 자성과 절연성을 갖도록 자성분말과 바인더의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성층(100)은 일면, 즉 도 1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상면에 후술할 제1 코일(210)이 형성되므로, 자성층은 이 상면을 포함하는 상층부(101)가 제1 코일(210)의 라인 간 절연되도록 충분한 절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성층(100)은 자성분말에 대한 바인더의 상대적인 혼합 비율이 상층부(101)에서 하층부(102)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층(100)은, 상층부(101)에서 바인더에 대한 자성분말의 상대적인 혼합 비율이 낮으므로, 반대로 하층부(102)에서는 바인더에 대한 자성분말의 상대적인 혼합 비율이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자성층(100)은 전체적으로 충분한 자성을 띨 수 있다.
제1 코일(210)은 자성층(100)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코일(210)은 제1 축 방향,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루프(loo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축 방향,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50)은 제1 코일(210)과 후술할 제2 코일(220)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자성층(100)과 더불어 제1 코일(210)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가 절연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술할 제2 코일(220)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 또한 절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절연층(150)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등과 같은 다양한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절연층(150)은 광학투명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OCA)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절연층(150)은 자성층(100)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코일(210)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코일(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층(100)과 절연층(150) 사이에 매립된 형태로 있게 되며, 제1 코일(210)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는 자성층(100)과 절연층(150)에 의해 충분히 절연될 수 있다.
제2 코일(220)은 절연층(15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2 코일(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2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코일(220)은 제1 코일(210)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제1 축 방향과 수직인 제2 축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코일(220)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은 입력장치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우선, 전자 펜과 같은 입력장치(미도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공진회로가 공진하게 된다. 공진회로는 공진하면서 유도 전류를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유도 전류에 의한 에너지가 커패시터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전자기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입력장치는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커패시터가 인덕터와 공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전자기력을 방출하게 된다.
입력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력은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에 전압차를 발생시킨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전압차를 확인하여 입력장치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은 이 중 어느 하나가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구동코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가 구동코일에서 유도되는 자기력선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게 되는 감지코일로 이용될 수 있다. 감지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유도기전력)은 구동코일에서 유도된 자기력선의 시간에 대한 변화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감지코일에서 전압이 유도되기 위해서는 구동코일에서 유도되는 자기력선이 주기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결국, 구동코일은 유도되는 자기력선이 주기적으로 변하도록 제어부로부터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면서 전압을 갖게 되는데, 이때 입력장치가 접근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영향을 받으면서 전압차가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는 이러한 전압차를 인지하여 입력장치의 터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파워코일(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워코일(230)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우선 입력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자기력을 입력받아 공진하는 무전원 입력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입력장치의 공진회로가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공진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입력장치가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작용하는 경우,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별도의 파워코일(230)을 더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입력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무전원 입력장치인 경우로서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에 의해 전자기력을 제공받는 경우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에 별개의 파워코일(2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 중 어느 하나가 이러한 파워코일(230)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하지만, 디지타이저용 센서부는 제어부에 의해 별도로 제어되는 별개의 파워코일(230)을 더 포함함으로써, 입력장치와 코일 간 신호의 송, 수신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자타이저용 센서부(1)는 이러한 파워코일(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워코일(230)은 절연층(150)의 일면에서 제2 코일(220)과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파워코일(230)과 제2 코일(220)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파워코일(230)은 절연층(150)의 외곽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디지타이저용 센서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에 배치되는 화상표시장치(300) 및 윈도우(40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1)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하기의 설명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1)의 제조방법은, (a)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자성층(100)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자성층(100)의 일면에 제1 코일(210)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코일(210)을 덮도록 상기 자성층(100)의 일면에 절연층(150)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절연층(150)의 일면에 제2 코일(2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자성층(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베이스 필름(10)은 일 예로서 PET 필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자성층(100)은 자성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mixture)을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도포하고 이를 롤링(rolling)이나 캐스팅(casting) 등의 방법으로 열 압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자성층(100)을 베이스 필름(10)에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한 혼합물은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혼합물은 바인더에 대한 자성분말의 상대적인 혼합 비율이 높을 수 있으며, 제2 혼합물은 제1 혼합물과 반대로 자성분말에 대한 바인더의 상대적인 혼합 비율이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상호 비교하면, 제2 혼합물은 제1 혼합물보다 바인더의 자성분말에 대한 상대적인 혼합 비율이 높게 된다. 이러한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은 베이스 필름(10)에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즉, 먼저 제1 혼합물이 베이스 필름(10)에 도포된 다음 도포된 제1 혼합물 층상으로 제2 혼합물이 적층되면서 도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자성층(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자성층(100)은 상층부(101)가 되는 제2 혼합물 층이 하층부(102)가 되는 제1 혼합물 층보다 자성분말에 대한 바인더의 혼합 비율이 높도록 형성되며, 자성층(100)에 형성되는 제1 코일(210)의 인접하는 라인 간 절연될 수 있도록 충분한 절연성을 갖게 된다.
상기 (b)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층(100)의 일면에 제1 코일(2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1 코일(210)은 도금이나 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자성층(10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일(210)은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c)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층(100)의 일면에 절연층(1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절연층(150)은 예컨대 PET 등과 같은 절연성을 갖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층(150)은 제1 코일(210)을 덮도록 자성층(100)의 일면에 도포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코일(210)은 절연층(150) 및 자성층(100)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 형태로 있게 되므로 제1 코일(210)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가 충분히 절연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150)의 일면에 제2 코일(2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2 코일(220)은 제1 코일(210)과 마찬가지로 도금이나 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절연층(15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220)은 제1 코일(210)과 마찬가지로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2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단계 이후에 파워코일(230)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파워코일(23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연층(150)의 외곽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방법은 제1 코일(210)이나 제2 코일(220)의 형성 방법과 동일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a)단계에서 준비되었던 베이스 필름(10)은 (a)단계를 거친 이후에 박리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베이스 필름(10)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 필름(10)은 (a)단계 직후에 박리될 수도 있고, 또는 (b)~(d)단계 중 어느 단계 이후에 박리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센서부 10; 베이스 필름
100; 자성층 101; 상층부
102; 하층부 150; 절연층
210; 제1 코일 220; 제2 코일
230; 파워코일 300; 화상표시장치
400; 윈도우

Claims (15)

  1. 절연성을 갖는 자성층;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을 덮으면서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파워코일을 더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일은 상기 절연층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자성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이 경화되어 형성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말은 Fe-Si-Al의 합금분말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acrylonitrile-butadience-styrene(ABS)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의 상층부는 상기 바인더의 혼합 비율이 상기 자성층의 하층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8. (a)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제1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코일을 덮도록 상기 자성층의 일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제2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자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 필름을 상기 자성층으로부터 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파워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일은 상기 절연층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자성분말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상기 베이스 필름에 도포한 후 경화시켜 상기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인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성분말은 Fe-Si-Al의 합금분말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acrylonitrile-butadience-styrene(ABS)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자성분말 및 상기 바인더가 혼합된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상기 베이스 필름에 도포한 후 경화시켜 상기 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 혼합물은 상기 바인더의 혼합 비율이 상기 제1 혼합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디지타이저용 센서부의 제조방법.
KR1020120085272A 2012-08-03 2012-08-03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8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72A KR20140018018A (ko) 2012-08-03 2012-08-03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JP2012260052A JP2014032644A (ja) 2012-08-03 2012-11-28 ディジタイザ用センサ部及びその製造方法
US13/727,423 US20140035841A1 (en) 2012-08-03 2012-12-26 Sensor for digit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72A KR20140018018A (ko) 2012-08-03 2012-08-03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018A true KR20140018018A (ko) 2014-02-12

Family

ID=5002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272A KR20140018018A (ko) 2012-08-03 2012-08-03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035841A1 (ko)
JP (1) JP2014032644A (ko)
KR (1) KR201400180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333A (ko) * 2014-04-01 2015-10-12 (주) 엔피홀딩스 디지타이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6235A (ja)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ワコム 電磁誘導方式のセンサ、電磁誘導方式のセンサ用カバーレイ部材及び電磁誘導方式のセンサの製法
US20170364171A1 (en) * 2015-02-02 2017-12-21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CN108073337A (zh) * 2018-01-02 2018-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9029B2 (ja) * 1988-09-19 1998-10-30 コニカ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DE4407900A1 (de) * 1994-03-09 1995-09-14 Basf Magnetics Gmbh Verfahren zur Wiedergewinnung von Rohmaterialien aus magnetischen Aufzeichnungsträgern
KR100790420B1 (ko) * 2005-12-28 2008-01-02 제일모직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케이블
US8358487B2 (en) * 2011-01-05 2013-01-22 Headway Technologies, Inc. Thin-film magnetic head having coil of varying thinknesses in spaces adjacent the main magnetic pole
US9504474B2 (en) * 2011-05-23 2016-11-29 Stryker Corporation Vaso-occlusive devices with in-situ stiffening
TWI447753B (zh) * 2011-07-07 2014-08-01 Inpaq Technology Co Ltd 具異質疊層之共模濾波器及其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333A (ko) * 2014-04-01 2015-10-12 (주) 엔피홀딩스 디지타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32644A (ja) 2014-02-20
US20140035841A1 (en)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9882B (zh) A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a display device
US11880517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sensor
US10310640B2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stylus pen and touch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653069A (zh) 笔输入设备、修正其输入坐标的方法和支持其的电子设备
KR20140018018A (ko)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9662A (ko) 디지타이저
KR20140000083A (ko)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KR101821288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5945A (ko)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40000077A (ko)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JP2013030025A (ja)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装置の制御方法、情報入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TWI475464B (zh) 結合磁感應天線的觸控裝置
KR20160123615A (ko)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348410B1 (ko) 전자기 펜
US20240045523A1 (en)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pen and controller
US11687188B2 (en) Input device with near-field communication
EP4290341A2 (en) Pen and touch input system or controller
EP4336325A1 (en) Pen and touch input system and controller
KR101581412B1 (ko) 디지타이저
KR20230172911A (ko) 펜 및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40006869A (ko) 컨트롤러
KR20230168550A (ko) 펜 및 터치 입력 시스템
KR20230168551A (ko) 컨트롤러
KR20240071856A (ko) 컨트롤러
KR20240019655A (ko) 펜 및 터치 입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