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412B1 - 디지타이저 - Google Patents

디지타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412B1
KR101581412B1 KR1020140038897A KR20140038897A KR101581412B1 KR 101581412 B1 KR101581412 B1 KR 101581412B1 KR 1020140038897 A KR1020140038897 A KR 1020140038897A KR 20140038897 A KR20140038897 A KR 20140038897A KR 101581412 B1 KR101581412 B1 KR 101581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izer
sensing
stylus
lin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333A (ko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주)엔피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피홀딩스 filed Critical (주)엔피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03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4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는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라인; 공진회로를 갖고 구동라인과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좌표를 입력하는 오브젝트; 오브젝트의 공진회로에 의해 공진된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라인; 및 구동라인으로부터 형성되는 자기장을 측면에서 감지라인이 형성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집속시키기 위해 구동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마그네틱 레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를 이용하면 마그네틱 코어를 이용하여 구동코일을 통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집속시켜 신호를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코일을 디지타이저의 일측에 구비하여 베젤영역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스타일러스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활성영역의 크기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코어를 통해 구동코일을 통해 발생하는 신호를 강화시킬 수 있어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소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타이저{DIGITIZER}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MR 방식의 스타일러스의 터치좌표를 감지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는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가 적합하지 않아 새로운 정보 입력 방식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손가락 터치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 장치는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특히 터치스크린 장치는 휴대용 기기(10)에 사용되면서 크게 손가락(1)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와 손가락이 아닌 터치용 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로 구분된다.
손가락(1)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터치스크린 패널)는 접촉된 부분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정전용량 방식이 우수한 터치감도, 멀티 터치 지원, 높은 내구성으로 주류 기술로 자리 잡았다.
정전용량 방식은 수동 소자중에 하나인 커패시터(capacitor:축전기 또는 콘덴서)의 충방전 특성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커패시터는 내부에 전하를 충전할 수 있고, 직류의 흐름을 차단하고 교류를 통과시키는 특성이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14)에 사용하는 capacitive sensor는 인체의 접촉으로 생성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사람의 손가락(1)처럼 정전용량을 가지는 물체가 센서에 닿게 되면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계의 변화를 측정한다. 정전용량 방식은 표면형(Surface)과 투영형(Projected)으로 나눌수 있지만 현재는 대부분 투영형(PCAP, Projected Capacitive)을 사용한다. PCAP 방식에도 투명 전도성 물질인 ITO(Indium Tin Oxide)를 사용한 방식이 사용되고, 기판의 종류에 따라 유리(Glass), 필름(Film), 일체형(Intergated)방식으로 나뉜다. PCAP 방식은 다시 Self-Capacitive 방식과 Mutual-Capacitive 방식으로 나눌수 있고, 전극 소재에 따라서 ITO와 Metal로 구분되기도 한다. PCAP 방식은 멀티 터치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14)은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아래 층부터 메인회로기판(19), 백라이트 유닛(18), 디스플레이 패널(16), 터치스크린 패널(14) 및 커버 윈도우 글라스(12) 순으로 적층된다. 즉, 터치스크린 패널(14)은 손가락(1)의 정전용량을 감지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6)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정전용량 감지를 위한 센서는 매우 미세하게 형성된 Metal Mesh 또는 ITO와 같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도 3은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EMR 방식의 디지타이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최근 손가락이 아닌 터치용 펜인 스타일러스(40)(Stylus)를 이용한 터치 기능이 하드웨어 차별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스타일러스(40)를 이용한 터치 기술은 크게 Passive 방식, Active 방식,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등으로 나눈다. Passive 방식은 별도의 위치검출장치인 디지타이저(30)(digitizer)가 필요하지 않고, 기존 터치 제품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스타일러스가 단순히 손가락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별도의 건전지나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과 유사하게 만들기 위해서 5mm이상의 두꺼운 팁(tip)을 사용한다. Active 방식은 Passive 방식과 동일하게 별도의 디지타이저(30)가 필요하지 않고, 기존 터치 제품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스타일러스(40)에 건전지나 코일이 내장되어 있어 손가락과 유사한 정전용량을 만들 수 있는데, 팁을 작게(1mm 이하) 형성할 수 있다. Passive 방식과 Active 방식은 손가락과 스타일러스(40)를 구분할 수 없어 근접감지(proximity sensing) 이나 팜 리젝션(palm rejection) 기능이 불가능하다. 반면에 EMR 방식은 전자기 방식으로 평면 센서그리드(sensor grid)를 가진 별도의 디지타이저를 이용하며, 디지타이저 표면에 접촉되는 퍽(puck) 또는 스타일러스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진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손가락과 스타일러스를 구분할 수 있어 근접감지(proximity sensing) 이나 팜 리젝션(palm rejection) 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단계의 터치 압력을 구분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를 작은 사이즈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EMR 방식을 이용한 위치 검출 장치는 컴퓨터(20)와 연결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디지타이저(30)와 터치용 펜인 스타일러스(40)로 구성된다. 스타일러스(40)에는 특정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공진회로가 구비된다. 디지타이저(30)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의미하는데 스타일러스(20)에 의해 접촉되는 위치의 좌표를 판독하여 컴퓨터에 설계도면이나 도형 등을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10)는 기판에 폐곡선 형태로 구비된 구동코일과 감지코일이 구비되고, 스타일러스(40)에 구비된 공진회로는 구동코일을 통해서 송신되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에 공진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구동코일에서 송신되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가 멈추면, 공진회로에 의해 발생된 유도 기전력으로부터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다시 디지타이저(30)의 감지코일에서 수신함으로써 스타일러스(40)에 의해 터치된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의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최근에 사용되는 휴대용 기기(50)는 손가락(1) 및 스타일러스(40)의 터치를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패널(54)과 디지타이저 패널(30)이 함께 구비된다. 휴대용 기기(50)는 일반적으로 맨 아래 층부터 메인회로기판(59), 백라이트 유닛(58), 디스플레이 패널(56), 터치스크린 패널(54) 및 보호층인 커버 윈도우 글라스(52) 순으로 적층된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패널(56)의 상부에는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감지 패널(54)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패널(56)의 하부에는 스타일러스(40)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EMR 방식의 디지타이저 패널(30)이 구비된다.
휴대용 기기(50)의 크기는 점차 소형화되는데에 반해 손가락(1)이나 스타일러스(40)의 터치를 감지하고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활성영역)는 커지는 추세이다. 휴대용 기기(50)에서 전극배선이 구비되어 터치 감지영역으로 활용되지 않는 부분을 베젤영역이라 한다. 베젤영역의 존재로 인해 소형화되는 휴대용 기기(50)에서의 터치감지를 위한 활성영역의 크기는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손가락(1)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패널(54)에서 베젤영역을 최소화하여 활성영역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반면에, 디지타이저(30)는 구동전압이 인가되어 구동되는 구동코일이 기판의 둘레에 구비되는데, 구동코일이 형성된 부분이 스타일러스(40)에 의해 터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베젤영역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디지타이저(30)의 둘레에 형성된 베젤영역을 축소함으로써 점차 소형화되는 휴대용 기기에서 상대적으로 터치감지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서 마그네틱 코어를 이용하여 구동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집속시켜 신호를 강화시킴으로써 베젤영역을 줄인 디지타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디지타이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는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라인; 공진회로를 갖고 상기 구동라인과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좌표를 입력하는 오브젝트; 상기 오브젝트의 공진회로에 의해 공진된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라인; 및 상기 구동라인으로부터 형성되는 자기장을 측면에서 상기 감지라인이 형성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집속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마그네틱 레이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라인은 안테나 코일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라인은 안테나 코일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 레이어는 마그네틱 코어 형태로 상기 구동코일의 패턴을 따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레이어는 상기 구동라인과 동일면에 구비되거나 서로 다른 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선; 및 상기 도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를 이용하면 마그네틱 코어를 이용하여 구동코일을 통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집속시켜 신호를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코일을 디지타이저의 일측에 구비하여 베젤영역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스타일러스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활성영역의 크기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코어를 통해 구동코일을 통해 발생하는 신호를 강화시킬 수 있어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손가락 터치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EMR 방식의 디지타이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의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EMR방식의 디지타이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EMR방식의 디지타이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베이스 기판의 양측으로 마그네틱 레이어가 구비된 디지타이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마그네틱 코어와 구동코일이 동일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마그네틱 코어와 구동코일이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마이크로 와이어를 이용한 디지타이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마이크로 와이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EMR방식의 디지타이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EMR방식의 디지타이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100)는 베이스 기판(110), 구동코일(120), 감지코일(130) 및 마그네틱 레이어를 이루는 마그네틱 코어(150)로 구성된다. 베이스 기판(110)은 구동코일(120) 및 감지코일(130)을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베이스 기판(110)은 입력수단으로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좌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의 기판으로 유리 또는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코일(120)은 구동라인으로 베이스 기판(110)의 일측에 폐루프 형태로 형성된다. 구동코일(120)은 구동전압이 인가되어 전자기력을 방출한다.
감지코일(130)은 감지라인으로 베이스 기판(110)의 일면에 구비되어 터치감지영역을 형성한다. 감지코일(130)은 스타일러스(40)에서 공진된 공진신호를 수신하여 스타일러스(40)의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 다시 말해, 구동코일(12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코일(44)과 캐패시터(46)로 구성된 공진회로(42)를 갖는 스타일러스(40)를 통해 공진되고, 공진된 신호가 감지코일(130)을 통해 수신됨으로써 스타일러스(40)의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 구동코일(120)과 감지코일(130)은 안테나 코일로 도전성 물질을 베이스 기판(110)에 인쇄 또는 증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고, 하기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도성 도선을 갖는 마이크로 와이어를 베이스 기판(110)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EMR 방식의 디지타이저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써 본 발명에서는 디지타이저의 상세한 구조 및 설명은 생략한다.
마그네틱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마그네틱 코어(150)로 구성된다. 마그네틱 코어(150)는 페라이트 물질로 제작되며 구동코일(120)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을 집속시킴으로써 전자기력을 강화시킨다. 마그네틱 코어(150)는 말발굽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코일(120)과 인접하도록 베이스 기판(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마그네틱 코어(150)는 베이스 기판(110)에서 감지코일(130)이 구비된 방향으로 자속 출입구가 향하도록 구동코일(120)을 감싸면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측면기판(160)의 일면에 구동코일(120)을 구비하고, 구동코일(120)을 감싸도록 마그네틱 코어(150)를 측면기판(160)에 설치한다. 마그네틱 코어(150)의 자속 출입구가 감지코일(130) 방향을 향하도록 측면기판(160)을 베이스 기판(110)에 설치한다. 측면기판(160)은 별도의 기판 형태일 수도 있고, 베이스 기판(110)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등과 같은 상부 적층 패널(8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기판(110)에는 감지코일(130)이 구비되고, 구동코일(120) 및 마그네틱 코어(150)가 구비된 측면기판(160)은 베이스 기판(110)과 함께 상부 적층 패널(80)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부 적층 패널(80)의 상부에 구비되어 스타일러스(40)의 공진회로(42)와의 공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코일(120) 및 마그네틱 코어(150)가 구비된 측면기판(160)이 상부 적층 패널(80)의 상부에 구비되면 집속된 자기장은 터치되는 스타일러스(40)로 강하게 집속되기 때문에 공진 효율이 향상된다. 마그네틱 코어(150)는 구동코일(120)을 따라 구동코일(120)과 동일한 패턴으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코일(120)과 마그네틱 코어(150)는 베이스 기판(110)의 일측에 위치하므로 마그네틱 코어(150)에 의해 집속된 자기장은 감지코일(130)이 구비된 방향으로 베이스 기판(110)과 평행하게 방출된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구동코일(120)을 베이스 기판(110)의 둘레를 따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베젤영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베젤영역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스타일러스(40)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활성영역의 크기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코어(150)를 통해 구동코일(120)을 통해 발생하는 신호를 강화시킬 수 있어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베이스 기판의 양측으로 마그네틱 레이어가 구비된 디지타이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코어(150)와 구동코일(120)은 베이스 기판(110)의 여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과 같이 마그네틱 코어(150)와 구동코일(120)이 베이스 기판(110)의 일측면(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에서 하나의 세로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베이스 기판(110)의 여러 측면(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에서 두 세로측, 베이스 기판에서 가로, 세로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도 마그네틱 코어(150)는 자속 출입구가 감지코일(130)이 구비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9 및 도 10은 마그네틱 코어와 구동코일이 동일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마그네틱 코어(150)가 단일 구동코일(120)의 자기장을 집속시킬 수도 있고, 하나의 마그네틱 코어(150)가 복수 개의 구동코일(120)의 자기장을 집속시킬 수도 있다. 이때, 구동코일(120)이 측면기판(160)에 구비되고, 마그네틱 코어(150)는 구동코일(120)을 감싸는 형태로 측면기판(160)에 구비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코어(150)가 측면기판(160)에 구비되고, 마그네틱 코어(150) 내에 구동코일(120)이 설치됨으로써 구동코일(120)의 자기장을 집속시킬 수 있다.
도 11은 마그네틱 코어와 구동코일이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코어(150)와 구동코일(120)은 측면기판(160)의 서로 다른 면에 구비된다. 구동코일(120)은 측면기판(160)의 전면에 구비되고, 마그네틱 코어(150)는 측면기판(160)의 저면에 구비된다. 측면기판(160)은 마그네틱 코어(150)의 자속 출입구가 감지코일(130) 방향을 향하도록 베이스 기판(110)에 설치된다.
도 12는 마이크로 와이어를 이용한 디지타이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마이크로 와이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200)는 구동코일(120) 또는 감지코일(130)을 마이크로 와이어(220)로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와이어(220)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내용은 도전성 물질을 베이스 기판(110)에 인쇄 또는 증착하는 방식으로 구동코일(120)과 감지코일(130)을 형성하였다. 반면에, 마이크로 와이어(220)를 구동코일(120) 또는 감지코일(130)로 이용하면, 베이스 기판(110)에 마이크로 와이어(220)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신호전송을 위한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동코일 및 감지코일을 형성하려면 도전성 물질을 인쇄 또는 증착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구동코일 및 감지코일은 절연된 상태로 고밀도로 밀집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센싱전극 및 코일을 중첩시켜 형성할 수밖에 없고 이를 위해 베이스 기판에는 다수의 스루홀(through hole)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하여 베이스 기판이 두꺼워지게 되고 설계 및 제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마이크로 와이어(220)를 이용하여 코일을 형성하면, 절연이 불필요하므로 베이스 기판(110)에 다수의 스루홀을 형성하지 않아 얇은 두께의 베이스 기판(210)을 갖는 디지타이저(200)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설계 및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마이크로 와이어(220)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신호 전달이 가능한 도선(222) 및 도선(2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층(224)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와이어(220)를 이용한 디지타이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코어(250)를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자기장을 집속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손가락 10, 50: 휴대용 기기
12, 52: 커버 윈도우 글라스 14, 54: 터치스크린 패널
16, 56: 디스플레이 패널 18, 58: 백라이트 유닛
19, 59: 메인회로기판 20: 컴퓨터
30: 디지타이저 패널 40: 스타일러스
42: 공진회로 44: 코일
46: 캐패시터 80: 상부 적층 패널
100, 200: 디지타이저 110: 베이스기판
120: 구동코일 130: 감지코일
150, 250: 마그네틱 코어 160: 측면기판
220: 마이크로 와이어 222: 도선
224: 절연층

Claims (6)

  1.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라인;
    공진회로를 갖고 상기 구동라인과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좌표를 입력하는 스타일러스;
    상기 스타일러스의 공진회로에 의해 공진된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라인; 및
    상기 구동라인으로부터 형성되는 자기장을 측면에서 상기 감지라인이 형성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집속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마그네틱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라인은 안테나 코일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라인은 안테나 코일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레이어는 마그네틱 코어 형태로 상기 구동라인의 패턴을 따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레이어는 상기 구동라인과 동일면에 구비되거나 서로 다른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6.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선; 및
    상기 도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KR1020140038897A 2014-04-01 2014-04-01 디지타이저 KR101581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97A KR101581412B1 (ko) 2014-04-01 2014-04-01 디지타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97A KR101581412B1 (ko) 2014-04-01 2014-04-01 디지타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33A KR20150114333A (ko) 2015-10-12
KR101581412B1 true KR101581412B1 (ko) 2015-12-30

Family

ID=5434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897A KR101581412B1 (ko) 2014-04-01 2014-04-01 디지타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4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4144B2 (ja) 2003-06-14 2011-06-29 ビンステッド,ロナルド,ペーター 接触技術の改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144B2 (ja) * 1989-04-17 1995-02-15 ローム株式会社 集積回路の出力回路
KR101391243B1 (ko) * 2012-07-17 2014-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인식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KR20140018018A (ko) * 2012-08-03 2014-02-12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타이저용 센서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4144B2 (ja) 2003-06-14 2011-06-29 ビンステッド,ロナルド,ペーター 接触技術の改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33A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4987B2 (en) Electrode sheet and touch input device
US9454253B2 (en) Smartphone
JP6177857B2 (ja) 圧力検出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スマートフォン
US20140035864A1 (en) Capacitive touch-control panel and apparatus thereof
EP2538313A1 (en) Touch sensor panel
US20110134073A1 (en) Touch panel device of digital capacitive coupling type with high sensitivity
JP2015056005A (ja) センサ装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EP4016259A1 (en) Touch sensor, touch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87714A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JP2014032644A (ja) ディジタイザ用センサ部及びその製造方法
JP6950700B2 (ja) センシング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581412B1 (ko) 디지타이저
KR100510729B1 (ko) 전자기 유도형 터치 패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KR20150113669A (ko) 좌표입력장치
KR102111782B1 (ko) 이엠알 터치 센서와 적외선 터치 센서를 갖는 좌표검출장치
EP2835726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put position
KR101935024B1 (ko) 정전용량식 대형 전자칠판
KR101935023B1 (ko) 정전용량식 대형 전자칠판
KR101935025B1 (ko) 정전용량식 대형 전자칠판 제조방법
KR102234249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이의 엣지 좌표 보상방법
KR101494259B1 (ko) 복합터치 부가형 패널과 이를 이용한 터치 인식 방법
US9465245B2 (en) Touch panel
JP2012048699A (ja) タッチスクリーン
CN110007797A (zh)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14006862A (ja) デジタイザ用センサ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