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081B1 - 승강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1081B1
KR920011081B1 KR1019840005023A KR840005023A KR920011081B1 KR 920011081 B1 KR920011081 B1 KR 920011081B1 KR 1019840005023 A KR1019840005023 A KR 1019840005023A KR 840005023 A KR840005023 A KR 840005023A KR 920011081 B1 KR920011081 B1 KR 92001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elevator
terminal
switch
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088A (ko
Inventor
로렌조 로렌스 피쯔로이
조오지 티니오스 판테리스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알. 피. 와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알. 피. 와그너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5000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부분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판독 전용 메모리[ROM]용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표시한 매프(map).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속도 스위치를 보호구조에 활용한 회로의 개략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반도체 속도 스위치의 상세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속도 스위치의 다양한 기능사이의 관계를 보여준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구동기 24 : 승강기 제어부
26 : 속도 패턴 발생기 34 : 펄스 발생기
50 : 긴급 터미날 정지 제어부 54 : 제2속도 스위치
58 : 카운터(리세트) 60 : 발진기
62 : 래치 64 : ROM
65 : 리세트 수단 66 : 비교기
94 : 인터 페이스
본 발명은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기(엘레베이터 카)의 이동에 응답하여 거리 펄스를 발생하는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시스템은, 승강기가 터미날 층에 접근할때 자동적으로 승강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터미날 층에서 승강기를 정지시키는 정상 감속 및 정지 장치의 독립적인 정상 터미날 정지장치를 필요로 한다. 독립적인 터미날 감속 기능을 이하에서는 “터미날 감속(Terminal slow down)”의 표시로 TSD라 칭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부가적인 긴급 터미날 장치가 사용되어야 한다. 예를들면 감소된 스트로우크 완충기와 함께, 긴급 터미날 속도 제한 장치가 다른 긴급 상태와 관련된 장치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일 터미날 속도 제한 장치가 정상 스트로우크 완충기를 가진 승강기 시스템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를 이하에서는 “긴급 터미날 정지(Emergency Terminal stop)”의 표시로서 ETS라 칭한다.
반도체 승강기 제어 시스템은, 승강기 방향에 따라 승강기 위치 카운터를 증분하거나 감분하기 위해, 승강기 행로의 각 0.635센티미터(0.25인치)마다 1거리 펄스와 같은 승강기 이동의 각각 미리 결정된 표준 증분에 대한 1거리 펄스를 발생함으로써 승강기위치 추적이 편리하다. 거리 펄스는 정상 감속 및 정지 속도패턴의 발생에 또한 사용된다. 정상 감속 및 정지 장치를 이하에서 SLDN이라 칭할 것이다.
ETS를 제공하기 위한 한가지 종래의 장치는 조정기상에 위치된 수은 스위치는 속도 설정에 있어서의 내성(耐性)에서 불리한 것이다.
거리 펄스 속도 패턴 시스템에서, TSD가 완전히 SLDN과 무관해야 하므로, 거리 펄스로부터 TSD를 유기하는 것은 허용할 수 없다. 그러나, 그 펄스들이 다른 긴급 상태와 관련된 장치에 사용되지 않는한, 거리펄스는 TSD 기능에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에서 상기 문제점을 제거해 주는 한편 긴급 터미날 정지용 기준에 따라 사용되는 속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에서 미리 결정된 속도 V에 대해 승강기의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속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속도 스위치는 미리 결정된 고정 주파수 F를 가진 발진기와, F에 응답해서 제1카운트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 제1카운터와, 래치신호 L에 응답해서 제1카운트를 래칭하기 위한 래치와, 미리 규정된 C값 이하인 카운트 값에 의해 어드레스될때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2신호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된 메모리와, 래치된 제1카운터로 메모리를 어드레싱하는 어드레싱 수단과, 승강기의 인치당 이동에 대해 펄스 속도로 거리펄스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거리 펄스에 응답해서 제2카운터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 제2카운터와, 제1카운터로 하여금 C까지 카운트하도록 V,P 및 T의 함수인 기준 카운트 R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 수단과, 제2카운트와 기준 카운트 R가 미리 결정된 관계(동등 관계)를 갖는 시각마다 래치에 래치 신호(L)를 제공하는 비교기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카운터를 리세팅하기 위해 각 래치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메모리로 하여금 제2카운트가 시간 T 또는 그 이상에서 R과의 미리 결정된 관계에 도달할때 승강기 속도가 V 또는 그 이하인 것을 표시하게 제2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또 시간 T보다 작을때는 승강기 속도가 V보다 큰 것을 표시하게 제1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리세트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권상기 통로와, 상부 및 하부 터미날층을 포함한 다수의 층을 가진 건물내의 승강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상기 시스템은 상기 건물의 권상기 통로내에서 건물층층을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승강기와, 승강기의 인치당 이동에 대해 P거리 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승강기에 응답하는 펄스수단과, 적어도 승강기가 건물의 한 층에 정지하려는 과정에 있을때 상기 승강기에 대해 정상속도 패턴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거리 펄스에 응답하는 속도 패턴 수단과, 각각의 터미날 층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된 적어도 1개의 해치 스위치, 승강기가 터미날 층에 접근할때 해치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한 해치스위치와 관련된 소정의 속도 V에 대해 승강기의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속도 스위치들을 포함하여서, 해치 스위치와 그 속도 스위치 사이의 소정의 관계에 대해 반응하여 긴급터미날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 긴급 터미날 정지 수단과, 승강기 터미날 층에 접근할때 보조 터미날 감속 속도 패턴을 제공하며, 거리 펄스와 무관한 터미날 속도 패턴 수단과, 정상 속도 패턴, 보조 터미날 감속 패턴 및 긴급 터미날 정지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승강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본 발명은 개선된 승강기 시스템 장치에서 거리 펄스를 이용한 개선된 반도체 속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속도 스위치는 0.305MPM(1FPM) 속도 이하의 정확도를 가지고 선택된 속도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 정확도는 거리 펄스가 발생되는 최대 속도 이상의 속도를 가진 고정 주파수를 발생함으로 달성된다. 미리 결정된 수의 거리 펄스가 발생되지만 그러한 고주파 펄스들의 수는 승강기 속도의 소망의 속도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내에서 발생되는 거리 펄스를 계수하는 시스템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오차가 1고주파 펄스일뿐 이니라 1거리 펄스이기 때문이다.
고주파 펄스의 카운트가 특정 속도 값에 대해 판독 전용 기억장치(ROM)를 어드레스할 수 있으나, 통상의 프로그래밍은 그러한 많은 ROM들이 모아져야 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비용을 증가할 것이다. 각각의 ETS 시스템은 몇개의 속도 검사 포인트를 가지며, 그들 값은 승강기의 각각의 정격 또는 규정된 속도에 대해 다를 수 있다. 프로그램된 속도는 각각의 ROM에 주의깊게 기억되어야 하며, 이러한 ROM들이 각각의 작업을 할 수 있게 정합되어야 하므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속도 스위치에 하나의 ROM을 사용하나, 상관된 속도 스위치의 속도 설정과 무관하게 개개의 ROM이 정확 동일하게 프로그램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장치에 의해 상기 언급된 문제들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속도 스위치 장치는, 또한 각각의 속도 스위치가 소망의 속도를 수동으로 Thum DIP 스위치로 설정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모든 속도 스위치들이 정확히 동일하게 프로그램될 수 있고, 그 속도 스위치들은 특정 작업시 사용되는 특정 속도로 수동으로 프로그램된다.
본 명세서에는 SLDN 및 ETS에서 거리 펄스와, TSD 기능용 보조 속도 패턴을 발생하도록 승강기의 픽업으로 검지되는 각 터미날층에 인접한 해치에서 노치 블레이드(notched blade)를 사용하는 승강기 시스템이 설명된다.
특히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이 도시되었다. 승강기 시스템(10)은 다수의 층을 가진 건물(14)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권상기 또는 해치통로(13)내에 설치되는 승강기(12)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간략하게 상부터미날 층(17)과 하부터미날 층(15)만 도시했다. 승강기(12)는 A.C 또는 D.C 모우터를 갖는 구동기(20)측 상에 설치된 견인도르래(18)에 매달린 로우프(16)로 지지된다. 로우프(16)의 다른쪽 끝에는 대항무게추(22)가 연결된다.
구동기(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일반적으로 블록(24),(26),(28)으로 표시되었다. 대영제국 특허 제1,555,520호는 폐루우프 승강기 제어를 설명하고 있고, 상기 나라의 특허 제2,055,258호는 구동기 제어를 설명하고 있고, 그 나라의 또다른 특허 제1,436,743호에서는 제어부(24)에 쓰일 수 있는 승강기 제어기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위에서 언급된 대영제국 특허와, 대영제국 특허 출원 공보 제2,133,179호는 정상 감속 및 정지 패턴 VSP 신호를 발생하여 속도패턴 발생기 기능부(26)에 쓰일 수도 있는 속도 패턴 발생기에 관해 밝히고 있다. 상기 특허들 및 특허공보는 모두 본 출원인에 의해 양수되었으며 그것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
거리 펄스 PLSINT가, 펄스 발생기(34) 픽업(32), 펄스 바퀴(30)를 포함한 펄스수단에 의해 발생되고 제공된다. 펄스 바퀴(30)는 로우프(36)에 의해 구동되는 조정 도르래와 동기되어 구동되거나, 그 도르래의 일부분일 수 있다. 로우프(36)는 도르래(38)의 흠에 지지되어 루우프를 이루고 또한 승강기(12)에 연결된다. 펄스 바퀴(30)의 개구(40)는 픽업(32)으로 검출된다. 그 픽업(32)은 광학식 또는 자기식으로 된 것이다. 펄스 바퀴내의 개구(40)는, 승강기 이동의 각각의 미리 결정된 기준증분 즉, 0.635센티미터(약 0.25인치)의 이동당 1거리펄스 PLSINT를 제공하도록 간격져 있다. 속도 패턴 발생기(26)에 의해 제공된 속도패턴의 SLDN부는 승강기가 목표층까지 가야할 거리를 결정하는데 쓰이는 상기 거리 펄스 PLSINT에 응답한다.
상기 대영제국 특허 제1,436,741호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여유 또는 부가 및 독립 터미날 감속제어부가 픽업수단 및 간격진 표시 수단의 조합장치로서 제공된다. 픽업수단(42)은 승강기 상에 설치되고, 간격진 표시수단은 연장된 판, 즉, 각각 하부 및 상부 터미날 층(15)와 (17)에 인접한 블레이드(44),(46)내에 있다. 간격진 표시기로 역할하도록 블레이드(44)(46)에는 노치, 구멍 또는 개구가 형성된다. 노치 또는 개구가 간격져 배향되어 픽업수단(42)이 승강기가 터미날층에 접근할때 승강기 위치를 검지하게 하고, 대영제국 특허 제1,436,741호에 도시된 터미날 감속제어부(28)에 쓰일 수 있는 펄스들을 시각하게 한다. 각각의 감속블레이드에 있는 개구들은, 만일 승강기가 일정 속도로 감속된다면, 승강기가 한 개구로부터 다음 개구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일정하게 되게, 간격져 있다. 만일 승강기가 감속하지 않거나, 감속비율이 허용 범위내에 있지 않으면, 간격진 개구 사이에서의 시간은 짧아질 것이고, 터미날 감속제어부(28)내에 있는 감시회로가 이것을, 즉, 과속상태를 검지하고, 승강기로 하여금 TSD를 시작하게 한다. 과속 검지용 블레이드와 똑같은 블레이드가 과속 상태가 검지될때 보조 속도 패턴 TSAN을 발생하게 사용된다.
긴급 터미날 정지, 즉 ETS 제어부는 번호(50)으로 표시했는데,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되었다. 기능에 의해 요구되는 속도 포인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속도 스위치에 의해, 각각의 상이한 소망의 속도 포인트에 사용될 수 있는 분리 속도 스위치로서, 제공된다. 예를들면, 제1 및 제2속도 스위치가 번호(52)(54)로서 도시되었다. 각각의 속도 스위치가 동일한 스위치여서, 속도 스위치(52)만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특히, 반도체 속도 스위치(52)는 출력 SP을 내는데, 이것은 승강기의 속도가 규정속도 이상 또는 이하인가를 표시하는 논리레벨을 가진다. 예를들면, 승강기 속도가 규정속도 또는 그 이하라면, 신호 SP은 논리 0이고, 만일 규정속도 초과라면, 논리 1이다.
속도 스위치(52)로 하여금 규정된 속도로부터(FPM의 정확도 범위내에서 그 출력을 변화하기 위해, 속도스위치(52)는 각각 제1(56), 제2(58)카운터를 사용한다. 제1카운터(56)는 수정 발진기(60)의 고정 주파수 F를 계수하게끔 배치된다. 주파수 F는 거리펄스의 최대 속도보다 약 100배 이상 큰 주파수이다. 예를들면 F는 30KHZ이다. 제2카운터(58)는 거리 펄스 PLSINT를 계수하도록 배열되었다.
카운터(56)의 출력은 래치(62)의 입력에 가해지고, 래치 입력은 클록의 상승 구간 즉 래치신호 L에서 래치 출력으로 전달된다. 래치 카운트는 비휘발성 ROM(64)을 어드레스 수단(63)으로 어드레스한다. (64)은 출력신호 SP를 제공한다.
신호 L과 비교해서 임의의 클록 주기 T가 100ms로 설정된다. 정의에 따라, 신호 L의 주기는 100ms이거나 클 수도 있다. 승강기(12)의 속도는 속도 스위치용 규정 속도 V 이하인데, 신호 L의 주기가 100ms 이하라면, 승강기 속도는 V보다 크다.
카운터(56)는 100ms 동안 F가 30KHZ일때 3,000까지 계수한다. 그러므러, ROM(64)은 십진수 3000 및 그 이상에 대응하는 2진 카운트에 의해 어드레스되었을 때는 제2도의 ROM 매프에 도시된 것처럼 논리 0를 출력하고, 십진수 3000보다 작은 수에 대응하는 2진 카운트에 의해 어드레스되면 논리 1를 출력한다. 카운트 3000을 제2도에서 C로 표시하였다.
신호 L은 디지탈 비교기(66)에 공급된다. 비교기(66)은 두 디지탈 입력이 서로 같을 때마다 논리 0에서 논리 1로 변화하는 신호 L을 공급한다. 카운터(58)의 출력은 입력 A와 같은 디지탈 입력중 하나에 인가되고, 조정가능한 기준 카운트 R는 타입력에 속도 선택 스위치(68)를 통해 인가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68)는 덤(Thumb) DIP 스위치이다. 그러므로, 카운터(58)의 카운트가 기준 카운트 R에 도달할때마다, 비교기(66)는 진리신호 L을 출력하고, 카운터(56)상의 카운트가 래치(62)를 거쳐 ROM(64)에 공급된다.
신호 L는 리세트 수단(65), 즉, 지연 회로에 인가되고, 리세트 수단으로부터 출력 신호가 카운터(56),(58)를 둘다 리세트하도록 쓰인다.
기준 카운트 R는 소망의 속도 스위치 설정치 V승강기의 2.54센티미터당 이동에 발생된 거리 펄스 수단 P카운터가 C(3000)까지 카운트하는 시간 T의 함수이다.
(1) R=펫
R=기준카운트
V=1초당 2.54센틴미터로 설정한 소망의 1속도 스위치 설정치
P=승강기의 2.54센티미터 이동당 거리 펄스
T=카운터(56)가 C까지 카운트하는 시간(초)
예를들면, 속도 스위치(82)를 304.8MPM(1,000FPM)의 V로 설정하는데 바람직하다면, P는 승강기 이동의 2.54센티미터당 4거리 펄스와 같고, 카운터(56)가 C(3000)까지 카운트하는 시간 T은 0.1초이고, 기준 카운트 R은
(2) R=1000×12/60×4×0.1
(3) R=80
즉 80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R은 십진수 80과 동등한 수로 설정될 것이다. 만일 승강기 속도가 304.8MPM(1000FPM)보다 크면, 카운터(58)는 0.1초보다 작은 시간내로 십진수 80와 동등한 이진수에 도달할 것이다. 신호 L에 의해 카운터가 래치될때 카운터(56)의 카운트는 십진수 3000과 동등한 이진수보다 작을 것이고, ROM(64)은 논리 1레벨에서 신호 SP를 출력한다. 이것은 승강기 속도가 속도 스위치의 기준 설정치를 초과하였음을 표시한다. 만약 승강기 속도가 304.8MPM(1000FPM) 또는 그 이하라면, 카운터(58)는 0.1초 또는 그 이상에서 십진수 80와 동등한 이진수에 도달할 것이고, 카운터(56)의 카운터는, 신호 L이 진리(1)일때, 십진수 3000 또는 그 이상과 동등한 2진수에 도달할 것이고, ROM(64)은 논리 0를 출력할 것이므로 승강기 속도가 속도 스위치의 기준 설정치에 또는 그 이하에 있다는 것을 표시할 것이다.
표 1은 30.48MPM(100FPM)부터 487.7MPM(1600FPM)까지 30.48MPM(100FPM)증분씩 증가한 승강기 속도들에 대한 10진수 및 2진수로 표시한 카운트 C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카운트-C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ROM(64)의 출력 SP은 정상개방(n,o) 접점 S1-1을 가진 릴레이 S1를 제어한다. 속도 스위치(54)에 반응하는 릴레이 S2로부터의 접점 S2-1과 같이 S1-1 접점이 ETS 제어부(50)에 의해 쓰인다. ETS 제어부(50)는 부가적으로 각각의 상이한 속도 포인트와 관련된 각각의 터미날 감속지역에 있는 해치 스위치를 갖는다. 예를들면, 속도 스위치(52)(54)에 의해 제공되는 두속도 포인트를 가지고, 두 해치 스위치(70)(72)는 각각 접점 H1 및 H2를 가지며 하부터미날 감속 지역에 배치되며, 접점 H3 및 H4를 각각 가진 해치 스위치(74)(76)는 상부 터미날 감속지역에 배치된다. 해치 스위치(70)(74)는 속도 스위치(52)와 연관되고, 해치스위치(72)(76)는 속도 스위치(54)와 연관된다. 해치 스위치들은 승강기에 의해 운반되는 캠 또는 대항 무게추(22)에 의해 운반되는 캠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캠(78)이 승강기(12)에 있다고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승강기의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항무게추(22)에 설치할 수도 있다. 승강기(12)가 터미날 층을 떠날때, 승강기 상의 캠(78)은 그 터미날 층과 관련된 해치 스위치들을 폐쇄하고, 승강기가 터미날 층에 도달할때는 캠(78)은 순차로 관련된 해치 스위치를 개방한다. 해치 스위치들은 규정된 상이한 거리만큼 그들의 관련 터미날 층으로부터 이격된다. 카운트 R로 선택된 속도 스위치 설정치는, 승강기가 정확히 감속하고 있으때 관련 해치 스위치가 개방할때의 속도 스위치의 속도 설정치 이하에 승강기 속도가 있도록, 선택된다. 해치 스위치들의 접점들과, 속도 스위치들의 접점들이 제3도에 있는 파선(80)내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된다. 정상 개방 접점 ETS-1을 가진 릴레이 ETS는 회로(80)에 의해 부세된다. 부가 또는 여유회로(82)가 또한 릴레이 ETS의 부세회로에 연결되고, 동일 해치 스위치들의 접점과, 상이한 여유 속도 스위치들로부터의 접점을 사용한다. 접점 ETS-1은, 대영제국 특허 제1,561,536호에 있는 29릴레이와 같은 보호 릴레이 회로에 연결된다. 보호릴레이가 승강기 운전중 떨어지면, 구동 모터로부터 전력이 제거되고, 다이나믹 브레이크 저항이 구동 모터의 회전자 양단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코일이 구동기상의 마찰 브레이크를 세트하거나 떨어뜨리도록 탈부세된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해치 스위치 접점들이나, 관련 속도 스위치로부터의 접점들이 릴레이 ETS가 부세된 것을 유지하기 위해 폐쇄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승강기가 관련 해치 스위치를 열때 승강기 속도가 그 속도 설정치 이하인한에 있어서, 릴레이 ETS는 부세된 채로 있을 것이다. 만일 승강기 속도가, 승강기가 관련 해치 스위치를 통과하여 개방할때, 속도 스위치의 속도 설정치 이상이라면, 일레이 ETS는 떨어지고, 그 접점 ETS-1은 개방하며, 보호 릴레이는 승강기의 긴급정지를 개시하도록 떨어진다.
제4도를 참조하면, 제1도에 도시된 속도 스위치(52)와 릴레이 S1의 모범적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어떤 기능부들의 상태를 도시한 시간도로서 제4도와 관련하여 이제 설명된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탈 비교기 기능부(66)는 모터로라회사의 비교기 MC 14585의 두개로 될 수 있는 두 비교기(66)(66′)로 형성할 수 있고, 제1 및 제2카운터(56)(58)는 각각 모터로라회사의 12비트 2진 카운터 MC 14040로 만들 수 있다. 카운터(58)의 4LSB들은 비교기(66)의 A입력에 인가되고, 다음 4LSB들은 비교기(66′)에 인가된다. 속도 선택스위치 기능부(68)는 AMP사의 7824와 같은 두개의 4-비트 덤스위치(68)(68′)는 접지에서 비교기(66)(66′) B입력가지 각각 연결되는 그들의 스위치소자 각각을 갖는다. B입력들은 각각 번호(68)(69′)로 표시한 저항기들을 가지고, 그 저항을 거쳐 단방향성 전위원에 각각 연결된다. 두 비교기(66)(66′)의 A=B 출력들이 2입력 AND 게이트(80)에 인가되고, AND 게이트(80)의 출력은 다이오드(82)를 지난후 신호 L을 제공한다. 신호 L는 지연회로와 같은 리세트 수단(65)에 인가된다. 예를들면, 지연회로는 RC회로(84)와 논리게이트(86)를 포함한다. 논리 게이트(86)는 그 입력이 RC회로(84)에 응답하도록 연결된 입력을 가지며, 그 출력은, RC회로(84)의 출력이 소정의 크기에 도달할때 논리 0에서 논리 1로 변화한다.
발진기(60)는 4-핀 칩을 포함한다. 래치 기능부(62)는 두개의 8비트 래치(62,62′) MM 54 HC 534로 만들어 진다. 카운터(56)의 8LSB들은 래치(62)에 인가되고, 4MSB들은 래치(62′)에 인가된다. 카운터(56)의 3MSB들은 AND게이트(88)(90)에 의해 논리적되며, 그들은 또한 다이오드(92)를 거쳐 진리 신호 L를 카운터(56)(58)를 리세트하도록 제공되어, 결국 카운터(56)는 그의 카운트 마지막에 도달하게 된다.
래치(62),(62′)의 출력들은 어드레스 수단(63)을 거쳐(64)에 인가된다. 예를들면, 어드레스 수단(63)은 15-5볼트 수준 인터페이스 기능부를 가진다. 인터페이스 기능부는 두개의 스프라개사(SPRAGUE)의 8비트 전압수준 인터페이스 ULN 2081A(94)(96)로 만들 수 있다. 래치(62)(62′)의 출력은 저항(95)(95′)를 거쳐 인터페이스(94)(96)의 입력에 연결된다. 인터페이스(94)(96)의 출력은 ROM(64)의 어드레스 입력에 인가된다. 어드레스 입력들은 적당한 저항(99)(99′)을 거쳐 단방향전위원에 연결된다. 이점으로 ROM이 래치카운트에 의해 어드레스될때, 즉 래치신호 L이 래치출력으로 래치입력을 전송하지 않을때 ROM어드레스 입력을 하이(Hight)상태로 유지한다.
릴레이 S1은 PNP 접합 트랜지스터(98)와, 코일(100)과 정상개방 1-1을 가지는 전자기 릴레이를 포함한다. 코일(100)의 한쪽 끝은 단방향 전위원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직렬 저항(102)(104)을 거쳐 타단방향 전위원에 연결되었다. 트랜지스터(98)의 에미터는 저항(102)와 (104)사이의 접합부(106)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는 접지되고, 베이스는 ROM(64)으로 부터 신호 SP를 수신하게끔 연결되었다.
먼저 승강기 속도가 속도 스위치(52)의 속도 실정치 이하라 가정하자. 이 상황이 제5도의 시간도에서 좌측열에 도시되었다. 카운터(58)의 디지탈 카운트는 리세트일때 0에서 시작하고, 선(11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증가한다.. 카운트(110)는 선(11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간 T를 지나 승강기 속도가 기준 속도 설정치 이하인 것을 표시하는 거리펄스 PLSINT의 카운트와 기준 카운트 R사이에 동등함을 비교기(66)가 검지 하기 전까지, 계속한다. 카운트(110)는 점(114)의 기준 카운트 R에 도달하고, 비교기(66)의 출력은 논리 0에서 논리 1로 지점(116)에서 절환하고, 지연회로(65)의 출력은 지점(118)에서 논리 0으로부터 논리 1로 전환한다.
카운터(56)는, 포인트(122)에 있는 카운트 C(십진수 3000)를 지나는 선(120)으로 표시된 것처럼, 리세트되었을 때의 0에서 부터 시작하여 주파수 F를 카운트 한다. 점(124)에서 카운트는 신호 L에 의해서 래치되고, ROM(64)으로의 입력 카운트는 선(126)으로 표시된 최대치로부터 번호(128)로 표시된 래치 카운트까지 떨어진다. 래치카운트는 십진수 3000를 넘는 크기를 가지므로, ROM 출력 SP가 번호(130)에 표시된 바와 같이 논리 0레벨에 있는다. 트랜지스터(98)는 선(13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이고, 릴레이 S1의 코일(100)은 선(134)처럼 부세된 채로 있고, 정상개방접점 S1-1은 선(136)으로 도시된 것처럼 폐쇄된 채로 있다. 그러므로, 승강기(12)가 예를들면 하부터미날층(15)으로 가는 도중에 해치 스위치(72)를 지나간다면, 그것의 전기 접점 H1의 개방은 제3도에 도시된 릴레이 ETS에 아무런 영향을 안준다. 즉, 릴레이 ETS는 폐접점 S1-1을 거쳐 부세된 채로 있는다. 지연회로(65)의 출력이 번호(118)에서 논리 1로 가면, 카운터(56)(58)는 0로 리세트 되어 승강기 속도의 다음 검사를 시작한다. 그러므로, 승강기 속도는 본 실시예에서 매 1/10초 마다 검사된다.
우측 수직열은 도면에서 승강기 속도가 속도 스위치(52)의 기준 속도 설정치 이상인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카운터(58)의 카운트(110)는 점(138)에서 기준 카운트 R을, 승강기 속도가 속도 스위치의 속도 설정치를 초과한 것을 표시한 시간 간격 T의 마지막 부분전에, 도달한다. 비교기(66)의 출력은 점(40)에서 논리 0에서 논리 1로 변화하고, 짧은 시간후에, 지연회로(65)의 출력은 카운터를 리세트 하도록 논리 0에서 논리 1로 변화한다.
카운터(56)의 2진 카운트는 선(120)으로 도시된 것처럼 증가하고, 십진수(300)와 동등한 2진수에 도달하기 전에 점(144)에서 래치된다. 그러므로, ROM(64)의 입력 카운트는 선(126)의 최대치에서 C보다 적은 번호(146)의 카운트 값까지 변화한다. 그러므로, ROM(64)의 출력 SP은 선(130)의 0로 부터 점(148)의 논리 1까지 변화한다. 트랜지스터(98)는 번호(150)에서 턴오프하고, 릴레이 S1는 번호(152)에서 떨어지고, 접점 S1-1은 번호(154)에서 개방한다. 승강기(12)가 터미날 감속지역에 있지 않으면, 관련해치 스위치는 폐쇄되어서, 그 접점 S1-1의 개방된 사실이 제3도에 도시된 회로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승강기(12)가, 그 관련 해치 스위치 H1 또는 H3가 그와 관련된 접점을 개방할때, 속도 설정치 이상이었다면, 접점 S1-1은 개방될 것이고, ETS 기능부를 개시하도록 해치 스위치 접점 개방에 뒤이어 제1시간 간격 T간격 T중에 릴레이 ETS를 떨어뜨릴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SLDN 및 ETS 기능부용 거리 펄스 PLSINT와 TSD 기능부용 노치 블레이드를 활용한 개선된 승강기 시스템을 제공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빠르게 또 수동으로 소망의 속도점으로 설정될 수 있고, 30.48센티미터(1FPM) 이하의 정확도를 가지는 속도 스위치를 사용한 ETS 기능부와, 개선된 반도체 속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미리 결정된 속도 V에 대한 승강기(12)의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속도 스위치를 가진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에 있어서, 속도 스위치(제1도 및 4도에서 번호(52)가 미리 결정된 고정 주파수 F를 가진 발진기(60)와; F에 응답하여 제1카운트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 제1카운터(56)와; 래치 신호 L에 응답하여 제1카운트를 래칭하기 위한 래치(62)와;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카운트 값에 의해서 어드레스될때는 제1신호(SP)를 출력하고, C값을 넘으면 제2신호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를 래치된 제1카운트로 어드레싱 하는 수단(65)과; 승강기의 1인치 이동당 P펄스 속도로 거리펄스(PLSINT)를 제공하는 수단(30,32,34)과; 상기 거리 펄스에 응답하여 제2카운트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 제2카운터(58)와; 제1카운터가 C까지 카운트하는 시간 T,V,P의 함수인 기준 카운트 R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수단(68)과, 상기 제2카운트와 기준 카운트 R가 미리 결정된 관계(동등 관계)를 가질때마다 상기 래치에 래치신호 L을 제공하는 비교기수단(66)과; 상기 제1 및 제2카운터들을 리세팅하기 위해 각 래치 신호 L에 응답하는 리세트 수단(65)을 포함하여서, 상기 메모리가, 제2카운트가 시간 T 또는 그 이상에서 카운트 R과의 미리 결정된 관계에 도달할때 승강기 속도가 V 또는 그 이하인 것을 표시하는 제2신호를 출력하고, 시간 T 미만일때는 승강기 속도가 V보다 큰 것을 나타내는 제1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터미날 층으로부터 S거리에서 승강기 속도가 V를 초과한 것에 응답해서 승강기를 정지하기 위해, 각 터미날층과 인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S거리를 띄워 배치된 해치스위치(70,72:74,76)와, 승강기가 터미날 층에 도달할때 터미날 층과 관련된 각 해치스위치를 구동하는 수단(78)과, 터미날 정지 릴레이가 탈부세 되면 긴급 정지가 개시되어야할 것을 지시하며, 상기 속도 스위치와 해치스위치에 응답하는 상기 터미날 정지 릴레이(제1,3도의(ETS))와, 상기 메모리의 각각 제1 및 제2신호에 응답하는 제1 및 제2상태를 갖는 전자기 접점(S1-1)을 갖는 속도 표시 릴레이(S1)를 아울러 포함하고, 상기 터미날 정지 릴레이가 상기 속도 표시 릴레이의 전기 접점들(S1-1,S1-2 또는 S2-1,S2-2)을 포함한 회로[제3도의 (80)]에 의해서 부세되고, 상기 해치스위치들은, 터미날 정지 릴레이가 속도 표시 릴레이의 제1상태에 있을 동안 한 해치스위치가 동작될때 탈부세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이한 속도와 관련된 층으로 부터 미리 결정된 상이한 거리에 있는 각 터미날 층에 인접하고, 각각이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열된 다수의 해치스위치들(70,74 또는 72,76)과, 각각의 상이한 속도용의 속도스위치(52,54)를 또한 포함하며, 터미날 정지 릴레이를 부세하는 회로는 각각의 상기 속도 스위치 및 관련 해치스위치로 부터의 전기접점(H2,H3 또는 H1,H4)을 포함하여서 터미날 정지릴레이가 관련 속도 표시 릴레이의 제1상태에 있는 동안, 어떤 해치스위치가 구동될때 탈부새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표시 릴레이는 메모리의 제1 및 제2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제1 및 제2상태를 가진 반도체 스위치 장치(98)와, 반도체 스위치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상태에 각각 응답하는 제1 및 제2상태를 가진 릴레이(100)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한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치된 제1카운트를 가지고 메모리를 어드레싱하는 수단은, 래치가 래치신호 L에 의해 래치되지 않았을때, C보다 큰 카운트로 메모리를 어드레싱 하는 수단(99,99′)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값 C가 고정되고, 기준 수단은 조정가능한 DIP 스위치(68)로서 기준수단을 조정함에 의해 선택되는 V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모리는 비휘발성 ROM인 것을 특징으로한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운트 R은 관계식 R=VPT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터미날 정지 시스템.
  9. 상부 및 하부 터미날 층(15,17)을 가진 다수의 층들과, 관상기 통로를 가진 건물내의 승강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층들에 정지할 수 있고, 상기 건물내의 권상기 통로(13)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승강기(12)와, 승강기의 2.54센티미터(1인치)당 P거리펄스(PLSINT)를 발생하기 위해 승강기에 반응하는 펄스수단(30,32,34)과, 승강기가 적어도 건물의 한 층에서 정지하려는 층에 상기 승강기에 정지 속도 패턴(VSP)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거리펄스에 응답하는 속도 패턴 수단(26)과, 각 터미날 층으로 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로 배치된 적어도 한 해치(H1,H2)스위치와 터미날 층에 승강기가 접근하면 상기 해치를 구동하는 수단(78)을 가진 진급 터미날 정지수단(제1도,3도에서(50)과, 거리펄스와 무관하고, 승강기가 터미날층에 도달할때 보조 터미날 감속 속도 턴(TSAN)을 제공하기 위한 터미날 속도 패턴 수단과, 상기 승강기를 동작하기 위해 상기 긴급 터미날 정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긴급 터미날 정지신호에 그리고 상기 정상속도 패턴, 보조터미날 감속 속도패턴에 응답하는 제어수단(24)을 포함하고, 속도스위치(52 또는 54)가 적어도 한 해치스위치에 관련된 미리 결정된 속도 V에 대해 승강기 속도를 결정하고, 펄스수단에 의해 제공된 거리펄스에 응답하여 V에 대한 승강기 속도를 결정하며, 상기 긴급 터미날 정지 수단은 해치스위치와 그와 관련된 속도 스위치 사이의 미리 결정된 관계에 따라 터미날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승강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터미날 속도 패턴 수단은 터미날 층들로 부터의 그들의 거리에 응답하도록 서로 간격진 각 터미날 층에 인접하여 배치된 표시기(44,46)와, 보조터미날 감속 속도 패턴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간격진 표시기들을 검지하기 위한 승강기 상의 픽업 수단(42)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한 승강기 시스템.
KR1019840005023A 1983-08-19 1984-08-20 승강기 시스템 KR920011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24,811 US4503939A (en) 1983-08-19 1983-08-19 Elevator system
US524811 1983-08-19
US524,811 1983-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088A KR850002088A (ko) 1985-05-06
KR920011081B1 true KR920011081B1 (ko) 1992-12-26

Family

ID=2409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023A KR920011081B1 (ko) 1983-08-19 1984-08-20 승강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03939A (ko)
JP (2) JPS60102380A (ko)
KR (1) KR920011081B1 (ko)
AU (1) AU575064B2 (ko)
BE (1) BE900384A (ko)
BR (1) BR8404127A (ko)
CA (1) CA1220885A (ko)
ES (1) ES8601791A1 (ko)
FR (1) FR2550775A1 (ko)
GB (1) GB21458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0886A (ja) * 1986-01-31 1987-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速度制御装置
US4691807A (en) * 1986-03-05 1987-09-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 apparatus
JPS63185789A (ja) * 1987-01-28 1988-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制御方法及び装置
FI76768C (fi) * 1987-05-27 1988-12-12 Kone Oy Foerfarande foer bestaemning av en hiss' position samt en pulsvaoningsraeknare.
US4971178A (en) * 1989-02-02 1990-11-20 Inventio Ag Elevator system with independent limiting of a speed pattern in terminal zones
KR910008049B1 (ko) * 1989-10-12 199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메카포지션 확장제어장치 및 방법
DE4036073A1 (de) * 1990-11-13 1992-05-14 Deimann Rudolf Vorrichtung zum ausloesen einer fangvorrichtung fuer den fahrkorb eines aufzuges
US5345048A (en) * 1992-07-27 1994-09-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peed check using constant ratiometric comparison
TW284741B (ko) * 1992-09-17 1996-09-01 Hitachi Ltd
DE19510786C2 (de) * 1995-03-24 1997-04-10 Stahl R Foerdertech Gmbh Hebezeug mit Fahrwerk und geringer Pendelung beim Bremsen
FI107727B (fi) * 1996-10-21 2001-09-28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nopeuden ilmaisemiseksi
US6032761A (en) * 1998-04-27 2000-03-07 Otis Elevator Elevator hoistway terminal zone position checkpoint detection apparatus using a binary coding method for an emergency terminal speed limiting device
GB9815050D0 (en) * 1998-07-10 1998-09-09 Surgecam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raking systems
US6082498A (en) * 1999-01-22 2000-07-04 Otis Elevator Normal thermal stopping device with non-critical vane spacing
DE102004058756A1 (de) * 2004-12-06 2006-06-14 Siemens Ag Geschwindigkeitsüberwachungsverfahren in einem Automatisierungssystem für eine Förderanlage
JP2013124156A (ja) * 2011-12-14 2013-06-2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のプーリ溝診断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プーリ溝診断方法
FI123506B (fi) * 2012-05-31 2013-06-14 Kone Corp Hissin käyttölaite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9285A (en) * 1964-02-28 1968-04-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Low-friction speed-responsive sensor for elevator
US3474886A (en) * 1967-07-28 1969-10-28 Dover Corp Overspeed control means
US3779346A (en) * 1972-05-17 1973-12-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rminal slowdown control for elevator system
US3814216A (en) * 1973-05-01 1974-06-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peed sensor
US4085823A (en) * 1975-11-03 1978-04-2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US4067416A (en) * 1976-09-07 1978-01-1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JPS54341A (en) * 1977-05-30 1979-01-05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stopping elevator cage at end floor
US4128141A (en) * 1977-07-07 1978-12-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447258A (en) * 1977-09-21 1979-04-13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oller for speed reduction of elevator
US4161235A (en) * 1978-05-19 1979-07-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4161236A (en) * 1978-06-01 1979-07-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678780A (en) * 1979-11-28 1981-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Reduction gear for terminal stair of elevator
JPS56132274A (en) * 1980-03-14 1981-10-16 Tokyo Shibaura Electric Co Controller for elevator
JPS56149964A (en) * 1980-04-18 1981-11-20 Hitachi Ltd Controller for elevator
US4318456A (en) * 1980-05-16 1982-03-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rminal slowdown control for elevator system
JPS5767475A (en) * 1980-10-14 1982-04-24 Hitachi Ltd Method of generating deceleration command of elevator
JPS586885A (ja) * 1981-07-06 1983-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終端階減速装置
JP4079461B2 (ja) * 1994-12-29 2008-04-23 中外製薬株式会社 Il−6アンタゴニストを含んでなる抗腫瘍剤の作用増強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5064B2 (en) 1988-07-21
CA1220885A (en) 1987-04-21
JP2535467Y2 (ja) 1997-05-14
KR850002088A (ko) 1985-05-06
BE900384A (fr) 1985-02-18
ES535263A0 (es) 1985-11-01
JPS60102380A (ja) 1985-06-06
GB2145847B (en) 1987-11-25
US4503939A (en) 1985-03-12
ES8601791A1 (es) 1985-11-01
GB8420585D0 (en) 1984-09-19
FR2550775A1 (fr) 1985-02-22
BR8404127A (pt) 1985-07-23
JPH0731761U (ja) 1995-06-16
AU3198684A (en) 1985-02-21
GB2145847A (en) 1985-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1081B1 (ko) 승강기 시스템
US4155426A (en) Digital speed pattern generator
US5637841A (en) Elevator system
USRE33171E (en) Hydraulic elevator
KR900001581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US4128141A (en) Elevator system
KR92000736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4308936A (en) Elevator system
US3815711A (en) Vane local control system for elevators
CA2009001C (en) Elevator system with independent limiting of a speed pattern in terminal zones
US4161236A (en) Elevator system
US4570755A (en) Digital landing computer for elevator
US3483950A (en) Elevator control system including a photocell position indicator
US4034856A (en) Elevator system
US4373612A (en) Elevator system
KR930002843B1 (ko) 엘리베이터 카아용 속도 패턴 발생방법 및 장치
GB1263875A (en) Speed dictation apparatus for elevator motor control system
US47764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oothly stopping an elevator car at a target floor
US4469199A (en) Elevator system
JPS6223711B2 (ko)
US4463833A (en) Elevator system
US2779439A (en) Automatic elevator current operated by-pass control
CA1216976A (en) Elevator system
KR870000558B1 (ko) 엘리베이터의 속도지령 발생장치
GB1524298A (en)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