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581B1 -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581B1
KR900001581B1 KR1019850006591A KR850006591A KR900001581B1 KR 900001581 B1 KR900001581 B1 KR 900001581B1 KR 1019850006591 A KR1019850006591 A KR 1019850006591A KR 850006591 A KR850006591 A KR 850006591A KR 900001581 B1 KR900001581 B1 KR 900001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value
elevator
difference value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160A (ko
Inventor
도시아끼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의 1실시예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엘리베이터의 전체를 도시한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일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프로그램의 흐름도.
제5a 및 b도는 제1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를 도시한 제2도에 대응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전동기 8 : 엘리베이터카
15, 17 : 펄스 엔코더 19, 20 : 카운터
30 : 차값 검출수단 31 : 비교수단
32 : 운전 저지수단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의 이동에 따라서 디지탈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디지탈 신호를 카운트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탈 신호를 카운트해서 엘리베이터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59-5337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것은 상기 공보에 개시된 위치 검출장치와 유사한 것으로써, (1)은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는 전동기(3)을 구동하는 구동장치, (4)는 전동기(3)의 축에 직접 결합되어 전동기(3)의 회전수에 비례한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속도계로서 속도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5)는 전동기(3)으로 구동되는 권선기, (6)은 디플렉터 휘일, (6a)는 루프, (7)은 균형추, (8)은 엘리베이터카, (9)는 승강로벽(9a)에 부착된 정점검출 스위치로서 엘리베이터카(8)이 정확하게 층의 바닥(F)에 도착하였을때 엘리베이터카(8)에 부착된 캠(10)에 의해 작동되어 정점 신호(9s)를 출력하는 것이다. (11)은 승강로의 최하위에 마련된 테이프 차(12)와 최상위에 마련된 테이프 차(13)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진 엔드리스 스틸 테이프(endless steel tape)로써, 그 중간이 엘리베이터카(8)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카(8)의 이동에 의해서 테이프 차(12), (13)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14)는 테이프 차(13)의 회전축(13a)에 직접 결합되어 바깥 둘레에 따라 슬리트(14a)가 형성된 회전판, (15)는 이 회전판(14)를 사이에 두고 한쪽에는 투광기가, 다른쪽에는 수광기가 마련된 펄스 엔코더로써, 슬리트(14a)를 통과하는 광을 검지해서 펄스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장치(1)의 카운터(16)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카(8)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엘리베이터카(8)을 이동시켜 층의 바닥(F)에 도착시킨다. 이때, 정점검출 스위치(9)는 캠(10)에 도착 시킨다. 이때, 정점검출 스위치(9)는 캠(10)에 정확히 걸어맞춰져서 정점 신호( 9s)를 제어장치(1)로 송출한다. 카운터(16)은 이 정점 신호(9s)에 의해서 초기 값으로 설정된다.
제어장치(1)에서 상승운전 명령이 출력되면, 전동기(3)은 엘리베이터카(8)을 상승운전 시킨다. 엘리베이터카(8)의 상승에 따라 스틸 테이프(11)이 이동하여 회전판(14)를 회전시킨다. 이때, 슬리트(14a)에 의해서 펄스 엔코더(15)로 부터 펄스 신호가 발생된다. 이 펄스 신호는 카운터(16)의 초기값에 가산된다.
펄스 신호의 발생간격은 거리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이 펄스 신호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카(8)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장치(1)에서 하강 운전 명령이 출력되면, 전동기(3)은 엘리베이터카(8)을 하강 운전시킨다. 하강 운전시에는 펄스 엔코더(15)로 부터 펄스 신호가 발생될때마다 카운터(16)의 값이 감산되어 간다.
이와같이, 카운터(16)의 카운트 값은 엘리베이터카(8)의 상승, 하강에 따라서 가감산된다. 그리고, 펄스 신호의 발생 간격은 거리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카운트 값으로 부터 엘리베이터카(8)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는 상기와 같이 펄스 엔코더를 1개만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 펄스 엔코더가 오동작을 하게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카가 층사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정지 위치라고 판단해서 문을 여는 수가 있다. 이와같이, 오동작을 하게되면, 승객은 목적하는 층에 갈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승객 자신도 엘리베이터카가 정확하게 도착한 것으로 오해하여 엘리베이터카로 부터 밖으로 발을 헛디뎌서 승강로로 떨어지게 된다는 아주 위험한 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엘리베이터카의 위치검출이 정상인가 아닌가를 체크해서 정상이 아닐때에는 엘리베이터카를 정지하도록하여 불의의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이동 거리에 따라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여러개의 펄스 엔코더, 엘리베이터카의 운전방향에 따라서 펄스 신호를 가감산 카운트하는 여러개의 카운터, 이들 카운트값의 차를 구하는 차값 검출수단의 값이 소정값을 초과했을때에 작동하는 비교수단, 이 비교결과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카의 운전을 저지하는 운전 저지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이동에 의해서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엔코더를 여러개 마련하고, 이들의 펄스 신호를 각각 카운트해서 서로의 차값을 구하고, 이 차값이 소정값을 초과했을때에 엘리베이터카를 정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의 1실시예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카(8)의 소정의 거리를 이동할 때 마다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여러개의 펄스 엔코더(15),(17), 이 펄스 신호를 각각 가감산 카운트하는 여러개의 카운터(19),(20), 이들 카운터(19),(20)의 카운터값의 차를 구하는 차값 검출수단(30), 이 차값을 소정값과 비교하는 비교수단(31), 이 비교결과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카(8)의 운전을 저지하는 운전 저지수단(3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중에서 제6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우선, 제2도에서 (9s)는 정점검출 스위치(9)로 부터 출력된 정점 신호, (15a)는 펄스 엔코더(15)로 부터 출력된 펄스신호, (16)은 그의 바깥둘레에 슬리트(16a)가 마련된 회전판으로써 회전판(14)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17)은 펄스 엔코더로써 펄스 엔코더(1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17a)는 펄스 엔코더(17)로 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이다.
제3도에서, (18)은 제어장치(1)내에서 발생되는 방향 신호로써 엘리베이터카(8)의 운전 방향을 표시한다. (19)는 카운터로써 정점 신호(9s)가 입력되면 초기값으로 설정되고, 방향 신호(18)이 상승방향일때에 펄스 신호(15a)를 가산 카운트하고, 하강 방향일때에 펄스 신호(15a)를 감산 카운트하는 것이다. (20)은 (19)와 마찬가지로 카운터로써 카운터(19)와 마찬가지 구성을 갖는다. (21)은 카운터(19) 및 (20)의 카운트 값을 입력하는 입력포트(이하 I/P라고 한다), (22)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MC라고 한다)로서 중앙 연산 처리부(이하 CPU라고 한다)(23), ROM(read only memory)(24), RAM(random access memory)(25)로 구성되어 있다. (26)은 MC(22)의 연산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이하 O/P라고 한다), (27)은 전동기(3)의 운전회로로서 O/P(26)의 출력에 의해서 작동이 저지되어 전동기(3)을 정시시키는 것이다. (28)은 엘리베이터카(8)의 위치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카 위치 회로이다.
제4도는 ROM(24)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는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엘리베이터카(8)을 층의 바닥(F)에 도착시키고 정점검출 스위치(9)를 작동시킨다. 이 정점검출 스위치(9)의 작동에 의해서 정점 신호(9s)가 발생되어 카운터(19) 및 (20)에 초기값이 설정된다. 제어장치(1)에서 상승 운전 명령이 출력되면 엘리베이터카(8)의 상승에 따라서 회전판(14) 및 (16)이 회전하여 슬리트(14a)가 펄스 엔코더(15)를, 슬리트(16a)가 펄스 엔코더(17)을 통과할때마다 각각 펄스 신호(15a) 및 (17a)가 발생된다. 이때, 방향 신호(18)은 상승방향 신호이므로, 펄스 신호(15a) 및 (17a)는 각각 카운터(19) 및 (20)에서 가산 카운트된다.
여기서, 회전판(14) 및 (16)과 펄스 엔코더(15) 및 (17)은 각각 동일한 구성이고, 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도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 신호(15a)와 (17a)의 위상이 어긋나게 된다. 즉, 펄스 엔코더(15)로 부터 신호 P1이 발생되고 나서 t1초 후에 펄스 엔코더(17)로 부터 신호 P11이 발생하고, 그후 t2초 후에 펄스 엔코더(15)로 부터 신호 P2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이때, 제5a도의 t1초 동안은 카운터(19)와 (20)의 카운트값이 상이한 값으로 된다. 그리고, t2초 동안은 같은 값으로 된다. 이 상태는 또한 뒤에 이어지는 신호 P3…, P12, P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MC(22)에서는 제4도의 스텝(100)에서 카운터(19)의 값을 I/P(21)을 거쳐서 입력해서 RAM(25)의 메모리 d1에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101)에서는 카운터(20)의 값을 메모리 d2에 기억한다. 스텝(102)에서는 메모리 d1의 내용과 메모리 d2의 내용의 차의 절대값이 취해져서 소정값(본 실시예에서는 "2"라고 한다)과 비교된다. 여기서는 엘리베이터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제5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절대값은 "0" 또는 "1"로 된다. 따라서, 스텝(102)에서 "YES"라고 판단되어 스텝(103)으로 진행해서 RAM(25)에 기억되어 있는 카운터(19)의 카운트 값을 엘리베이터카의 위치 신호로서 출력한다.
다음에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 엔코더(15)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계속하여 신호 P1, P2, P3…을 출력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펄스 엔코더(17)은 신호 P11을 최후로 출력이 정지되었다고 한다. 신호P11이 발생되고 나서 t2초 동안은 카운트 값이 같게 되지만, 신호 P2에 의해서 카운터(19)의 값은 카운터(20)의 값보다 "1"만큼 더 커지게 된다. 그리고, 또 신호 P3에 의해서 "2"만큼 더 커지게 된다. 그후, 양쪽 카운터(19), (20)의 값의 차가 점점더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해서 MC(22)에서는 제5b도의 신호 P3이 발생된 시점에서 스텝(102)의 절대값이 "2"로 되어 "NO"로 판단된다. 이 때문에 스텝(104)에서는 운전 저지 신호가 O/P(26)을 거쳐서 출력되어 운전회로를 차단한다. 이 운전회로를 차단하는 것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카(8)을 비상 정지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펄스 엔코더를 2개 사용하여 양측의 펄스 엔코더의 펄스 신호의 차가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정값의 범위이면 이 차를 허용하고,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카를 비상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층사이를 층바닥으로 잘못 판단하는 일이 없어 안전성을 높일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펄스 신호(17a)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펄스 신호(15a)가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메모리 d1과 d2의 내용의 차를 절대값으로서 산출하고 있으므로, 어느쪽의 펄스 신호가 이상으로 되어도 차값은 증대하므로 하나의 소정값에 의해서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15), (17)은 동축상의 회전판(14), (16)에 걸어 맞추는 것으로 하였지만, 어느 쪽이든 한쪽을 디플렉터 휘일(6)에 의해서 구동되는 회전판에 걸어 맞추는 것으로 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의 이동에 의해서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엔코더를 여러개 마련하고, 이들의 펄스 신호를 각각 카운트해서 이 카운트 결과의 차값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 엘리베이터카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 카운트 결과에 차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미소한 차이므로, 엘리베이터카는 운전을 계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펄스 엔코더가 오동작을 하였을때에 엘리베이터카가 잘못된 펄스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일이 없으므로 층사이에서 문을 여는 일이 없어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카(8)이 소정의 거리를 이동할때마다 펄스 신호(15a, 17a)를 발생하는 여러개의 펄스 엔코더(15, 17),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운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펄스 엔코더로 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를 각각 가감산 카운트 하는 여러개의 카운터(19, 20),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의 상호간의 차값을 구하는 차값 검출수단(30), 상기 차값이 소정값을 초과했을때에 작동하는 비교수단(31), 상기 비교수단의 작동 신호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운전을 저지하는 운전 저지수단(32)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값 검출수단(30)은 상기 각 카운터의 카운트값의 차값을 절대값으로서 산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값은 상기 여러개의 펄스 엔코더(15, 17)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발생하는 오차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KR1019850006591A 1984-10-15 1985-09-10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KR900001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15812A JPS6194984A (ja) 1984-10-15 1984-10-15 エレベ−タの位置制御装置
JP59-215812 1984-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160A KR860003160A (ko) 1986-05-21
KR900001581B1 true KR900001581B1 (ko) 1990-03-15

Family

ID=1667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591A KR900001581B1 (ko) 1984-10-15 1985-09-10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73062A (ko)
JP (1) JPS6194984A (ko)
KR (1) KR900001581B1 (ko)
CN (1) CN1003298B (ko)
GB (1) GB21659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990A (en) * 1985-08-29 1987-08-04 Innovation Industries, Inc. Relative position monitoring apparatus
AU614233B2 (en) * 1989-06-30 1991-08-22 Otis Elevator Company "smart" position transducer system for elevators
US5274203A (en) * 1989-06-30 1993-12-28 Otis Elevator Company "Smart" position transducer system for elevators
DE4004086A1 (de) * 1990-02-10 1991-08-14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steuerung bzw. regelung einer brennkraftmaschine in einem kraftfahrzeug
JP3206204B2 (ja) * 1992-05-22 2001-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ロットルポジションセンサ
KR100186378B1 (ko) * 1996-02-07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동기위치 보정장치
KR100186381B1 (ko) * 1996-03-13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동기위치 제어방법
CN1053464C (zh) * 1996-08-12 2000-06-14 锦州石化润滑油厂 纺织机械专用润滑油
FR2757142B1 (fr) * 1996-12-13 1999-03-05 Thyssen Ascenseurs Systeme de surveillance du fonctionnement d'au moins un ascenseur
KR100202719B1 (ko) * 1996-12-30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재층상 맞춤 방법 및 장치
CA2540431C (en) 2004-05-31 2009-12-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CN101450762B (zh) * 2007-12-06 2010-10-13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提升机的监控器
JP5460712B2 (ja) * 2009-07-06 2014-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5516727B2 (ja) * 2010-05-26 2014-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安全エレベータ
CN101875458A (zh) * 2010-07-07 2010-11-03 四川润智兴科技有限公司 电梯测速定位方法及装置
EP2567923A1 (de) * 2011-09-12 2013-03-13 Wachendorff Automation GmbH & Co. KG Redundante Schachtkopierung
JP5804866B2 (ja) * 2011-09-14 2015-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エンコーダ監視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エンコーダ監視方法
JP6190171B2 (ja) * 2013-06-10 2017-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CN104656537A (zh) * 2013-11-21 2015-05-27 河南众恒工业炉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主令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8157A (en) * 1976-07-30 1978-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afety device
JPS5675369A (en) * 1979-11-22 1981-06-22 Hitachi Ltd Method of controlling elevator
US4375034A (en) * 1980-07-28 1983-02-22 American District Telegraph Company Passive infrar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JPS5738281A (en) * 1980-08-20 1982-03-02 Hitachi Ltd Detector for trouble of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524861D0 (en) 1985-11-13
GB2165966A (en) 1986-04-23
KR860003160A (ko) 1986-05-21
CN1003298B (zh) 1989-02-15
CN85107528A (zh) 1986-05-10
US4673062A (en) 1987-06-16
JPS6194984A (ja) 1986-05-13
GB2165966B (en) 1988-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581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EP2347986B1 (en) Elevator installation
EP3309104B1 (e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KR920011081B1 (ko) 승강기 시스템
US4128141A (en) Elevator system
KR960012683B1 (ko) 엘리베이터의 종단계 감속 장치
KR100379686B1 (ko)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기고장판단방법
JP315830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0629853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259818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206989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US20080271956A1 (en) Elevator Door Position Detection
US5144101A (en)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doors using velocity limiting circuits
EP2660179B1 (en) 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JPH05155553A (ja) エレベータの速度監視装置
KR100218401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 장치
JP2633828B2 (ja) エレベーターの端階減速監視装置
JP2879277B2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S6218473B2 (ko)
JPS6214055Y2 (ko)
KR870000472Y1 (ko)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 제공장치
WO2020255193A1 (ja)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強制減速システム
KR860003400Y1 (ko) 승강기의 위치 검출장치
WO1998017575A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elevator speed
JPH04209181A (ja) エレベータの自動救出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