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68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68B1
KR920007368B1 KR1019840004966A KR840004966A KR920007368B1 KR 920007368 B1 KR920007368 B1 KR 920007368B1 KR 1019840004966 A KR1019840004966 A KR 1019840004966A KR 840004966 A KR840004966 A KR 840004966A KR 920007368 B1 KR920007368 B1 KR 920007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
car
elevator car
dtg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087A (ko
Inventor
우헤렛 블라디미르
에프. 케르센 맷듀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체스터 에이. 새드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체스터 에이. 새드로우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5000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
제1a도는 제1도에 도시한 층 존(구역) 랜딩 캠의 확대도.
제1b도는 제1도 및 제1b도에 도시한 캠들 대신에 테이프가 사용된, 역반사 테이프에 의해 층 존들이 확립될수 있는 방법의 도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기술을 실현하는데, 사용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개략도.
제3도는 청구범위 제1항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층 높이 테이블을 나타내는 ROM맵.
제4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RAM에 기억된 어떤 플래그 및 프로그램 변수들을 나타낸 ROM맵.
제5도는 운행의 슬로우다운(감속) 페이스가 시작할때를 결정하도록 논리 모듀울 PGLOGC에 의해 호출 되는 기능 모듀울의 플로우 챠아트.
제6도는 모듀울 PGLOGC가 운행거리(DTG)카운트를 사용한 속도 패턴의 거리 기본 부분을 발생하고, 거리 SLDN가 엘리베이터 카아와 목표층과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는 것을 모듀울 PGMID가 발견할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기능 모듀울 PGDEC의 플로우 챠아트.
제6a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모듀울에 의해 호출되는 서브루우틴 POLA의 플로우 챠아트.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것을 제외한, 제6도에 도시된 기능 모듀울 PGDEC의 플로우 챠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 엘리베이터 카아
20 : 구동기 30 : 픽업
32 : 펄스 제어부 38 : 카아 호출제어부
46 : 홀 호출 제어부 48, 49 : 캠
53 : 도어 60 : 카아 제어기
61 : 광학 전자 장치 63, 65, 67 : 역반사 테이프
62 : 총 선택기 64 : 속도 패턴 발생기
66 : 도어 제어부 68 : 홀랜턴 제어부
74 : 에러 증폭기 76 : 과속 검출기
78 : 랜딩 제어부 82 : CPU
84 : 타이밍 86 : ROM
88 : ROM 90 : 입력 포오트
92 : 입력 인터페이스 94 : 출력 포오트
96 : D/A변환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카아 이동에 응하는 거리 펄스들을 발생하고 거리 펄스에 의해 증가되고 감소되는 카운트에 의해 카아 위치를 유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영국 특허 제1,436,745호는 전기적 거리 펄스 또는 신호가, 각 0.635㎝의 카아 이동에 대한 거리 펄스와 같이, 카아 이동의 각 설정 증가에 응하여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발표하고 있다. 카아 위치 카운터는 카아 이동의 최저 점에서 제로로 되고, 이동 방향에 따른, 거리펄스에 의해 증가되고 감소된다. 카아가 관련 빌딩의 각층의 레벨일때, 거리 카운트에 대한, 카아 위치설정은 그 어드레스와 관련된 층에 할당된다. 정상 슬로우다운 거리에 의해 적당하게 점진된, 카아 위치 카운트는 카아가 목표층에서 정지하도록 운행의 슬로우다운 페이스를 시작할때를 결정하도록 층 어드레스들과 비교된다. 또한 속도 패턴 발생기는 DTG카운트를 결정하도록 목포층의 어드레스와 카와 위치 카운트와의 사이의 차이를 사용함에 의해 슬로우다운 속도 패턴을 발생하도록 카아 위치 카운트를 사용한다. DTG카운트는 표준 증분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아로부터 목표층까지의 거리이다.
카아 위치 카운트나, 층 어드레스들 또는 속도 패턴 발생기에서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의 에러로 인하여 부정확한 랜딩의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슬로우다운 패턴은 목표층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에서 랜딩 패턴으로 전환된다. 그 랜딩패턴은 유도된 거리 펄스가 아니고, 해치(승강구) 트랜스듀서에 의해 목표층에 관한 실제 카아 위치설정에 응하여 전개된 아날로그 신호이다.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영국 특허 제1,293,097호에 발표된 거의 같은, 신호 혼합은 슬로우다운과 랜딩패턴사이의 부정합을 적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운행시 제곱근 장치의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3,747,710호에 발표된 거와 같이, 슬로우다운과 랜딩패턴사이의 저속패턴 전환점에서 부정합을 감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장치들은 완만하고 정확한 랜딩을 하는 반면에, 값비싼 해치 트랜스듀서에 의지하고 있고, 내내 층 레벨에 거리 펄스 유도 속도 패턴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 그러한 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몇개의 카운트들이 운행중에 잃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카운트 회로는 카운트중의 소음때문에 그리고 또한 카아 제어기에 정보의 전달중의 소음때문에 카운트를 잃거나 얻을 수 있다. 만일 펄스 휘일 카운트가 몇 카운트만큼 틀리다면, DTG카운트는 카운트의 동일한 수만큼 틀릴것이고, 그리하여 발생된 속도패턴도 부정확 할것이다. 카아가 정확한 목표층에서 랜딩할 수 있을지도 모르나, 그러나 랜딩지점을 지나치거나 못미치거나 한다. 만일 카아가 층레벨을 초과한다면, 다시 레벨링을 하여 랜딩을 지연시키게 할 것이다. 만일 카아가 못미치게 된다면, 엘리베이터 카아는 랜딩하고 레벨링하게 하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예를들면, 2FRM 최종속도에서, 잃은 각두 카운트들은 1.25초씩 랜딩 지연을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해치 트랜스듀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재레벨링하는 부수적인 지연없이 완만하고 정확한 랜딩을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원 발명은 다수의 층등과 호이스트웨이를 가지고 있는 건축물에, 층을 서비스하도록 상기 호이스트웨이에서 이동을 위해 장치된 엘리베이터 카아와, 목표층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수단과 ; 이동의 설정된 표준 증분에 응하여 거리펄스(LLSINT)들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의 이동에 응하는 펄스수단 ; 상기 호이스트웨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POS 16)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거리 펄스들에 응하는 수단(RAM : 86, 제2도)과 : 엘리베이터 카아와 목표층과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DTG카운트를 제공하기 위해 목표층(AVP16 또는 TARGET)의 위치설정에 그리고 상기 카아 위치에 응하는 수단과 : 설정된 크기를 가지고 있는 각 층에 인접한 층존(Z02 또는 Z10)을 한정하는 수단과, 목표 층 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의 도착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IDL 또는 IUL)과 : 목표층 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의 도착을 검출하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응하여 목표 층 존의 설정 크기와 DTG카운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과 : DTG카운트와 상기 크기가 소정의 관계(508)를 가질때 층 존의 설정 크기와 동일한 DTG카운트를 세팅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수단에 응하는 수단과 : 최소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가 목표층에서 정지할 때, 상기 동력수단에 속도패턴 신호(VSD 또는 VLAND)를 제공하기 위하여 DTG카운트에 응하는 수단으로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양호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은 거리 펄스 유도 속도 패턴으로 엘리베이터 카아를 감속하고 랜딩하는 개선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낸 보인 것이다. 고정된 존은, 캠이나 역반사 케이프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이, 관련 빌딩의 각 층의 각 사이드에 설치되고, 캠 또는 테이프는 각각 엘리베이터 카아에 의해 이송된 기계적 또는 광학 전자 장치에 의해 검출된다. 존 및 카아 이송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아를 레벨링 또는 재레벨링하는데 사용된것과 같은 것일 수 있고, 또는 다른 존들 및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약 ±2인치인 레벨링 존이 사용되어 분리된 존 설치 및 검출장치의 비용을 제거한다. 어떤 계약 속도에서는, 더 긴존들이 필요할 수 있고, 추가 캠들이나 테이프 스트립들, 그리고 추가 검출기가 필요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랜딩 타이머를 기동시키는 캠이나 테이프는 더 긴 존을 한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완전히 분리되고 공용 존 설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아는 거리펄스 유도 속도 패턴으로 목표층을 향해 감속된다. 목표층에 인접하여 설치된 존이 검출될때, 고정된 존의 길이는 펄스 카운트(PWC)에서 유도된 DTG카운트와 비교된다. 만일 그 값들이 사용된다면, 아무런 교정 작동이 요구되지 않는다. 만일 사전 개구하는 도어가 사용된다면, 제시간에 이점에서 인에이블 될 수 있다. 만일 그것들이, 허용치가 존 길이와 계약 속도와, 최대 저어크(급 충격진동)에 근거로한, 설정 호용치내에서 다르다면, 그것은 재레벨링이 없는 랜딩이 교정 작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 교정 작동은 DTG카운트를 교정치로 세팅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나서 그것은 정확하게 층 레벨로 엘리베이터 카아를 랜딩하도록 속도 패턴을 재조정할 것이다. 또한, 사용된다면, 도어 사전 개방도 인에이블 될 수 있다.
만일 DTG카운트들과 존 길이들이 설정된 허용치를 초과하는 양만큼 차이가 있다면, 속도패턴이 갑자기 변화하고 카아가 그 급작스런 패턴 변화에 따르려 하는만큼 엘리베이터 카아에서 느껴질 수 있는 불만족스런 "충격"을 야기하는데 대해서 아무런 교정작동도 취해지지 않는다. DTG카운트와 존 길이가 설정 허용치 이상으로 차이가 있을때, 카아는 단순히 랜딩을 초과하거나 미달하게 되고, 요구된만큼 재레벨링 또는 레벨링하게 된다. 도어의 사전 개방은 불가능하게 된다. 정보는 보수유지요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나쁜 랜딩 기록에서의 시간 및 층번호를 기억하는 것과 같은, 각 "나쁜"랜딩에 대해 적당한 메모리 수단에 기억될수 있다. 만일 에러가 펄스 휘일 회로의 오동작과 같은, 전기소음 문제 이상의 크기를 초과한다면, 엘리베이터 카아는, 보수요원을 위하여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는 그러한 작동 때문에, 랜딩에 서비스를 자동적으로 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카운터도 설정된 시간 길이내에서 경험하는 나쁜 랜딩의 수를 카운트하는데 사용되고 그리고 카운트가 설정시간 한계내의 설정된 크기에 달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아도 서비스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롭고 개선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거리 펄스들이 슬로우다운 및 정지속도 패턴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이해에 적절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그 부분들은 그것의 더욱 완전한 이해를 위해 참고가 된 다음 영국 특허에 유효한 완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들의 더욱 철저한 설명과 함께 기술하고자 한다 : 영국 특허 제1,436,743호 : 제2,055,285호 : 제1,485,660호 : 및 제1,540,757호. 영국 특허 제1,436,743호는, 동작시 거리 펄스들을 이용한 선택기 및 속도 패턴 발생기를 포함하는 카아 제어기를 발표하고 있다. 영국 특허 제1,485,660호 및 제1,540,757호는 엘리베이터 카아가 목표층에 대한 설정 존에 도달할때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캠/스위치와 광학전자장치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호 영국 특허 출원들은 공보 제2,133,175호에 "엘리베이터 카아용 속도 패턴 발생기"란 명칭으로 발표하고 있고 공보 제2,127,584호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란 명칭으로 발표되어 있다. 제1영국 특허 공보는, 속도 패턴 발생기가 상술된 영국 특허들에 도시된 것 대신에 대체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변경된 속도 패턴 발생기를 기술하고 있다. 두번째 영국 특허 공보는 상술된 영국 특허들에서 속도 패턴 발생기에 의해 요구된 어떤 입력신호들을 제공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레벨링 제어를 발표하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도는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있다. 제1도는 영국 특허 공보 제2,127,584호의 제1도와 대략 동일하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그 이동이 카아 제어기(60)에 의해 제어되는, 엘리베이터 카아(12)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카아(12)는, 도어 사전 개방 특징이 설명될때 언급하고자 하는, 도어(53)를 포함하고 있다. 카아 제어기(6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이 그룹 관리 제어하에 있을때, 시스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카아 제어기(60)는 층 선택기(62)와 속도 패턴 발생기(64)를 포함하고 있다. 층 선택기(62)는 영국 특허 제1,436,743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층 선택기(62)가, 도어 제어부(66) 및 홀랜턴 제어부(68)용 신호들을 제공하는 외에, 속도 패턴 발생기용 신호 RUN 과 TARGET 및 UPTR들을 제공한다. 신호 RUN은 엘리베이터 카아(12)가 운행할 필요성을 층 선택기(62)가 검출할때 참이다. 신호 TARGET는 층 높이이거나 엘리베이터 카아의 다음정지의, 2진의, 어드레스이다. 속도 패턴 발생기(64)는 운행의 슬로우다운 페이스가 시작할때를 결정하도록 AVP층(카아가 정상적인 정지를 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카아의 방향으로의 다음층)을 목표층의 어드레스 TARGET와 비교한다. 신호 UPRT은 층 선택기(62)에 의해 준비된 이동방 신호이며, UPTR은 상부 이동방향에 대해 논리 1이고, 하부이동방향에 대해 논리이다.
카아(12)는 도면을 간단화 하기 위하여, 1, 2, 49 및 50층 또는 랜딩으로 도시된, 50개와 같이, 다수의 랜딩들을 가진 건축물(14)에 대한 이동을 위하여 승강로(13)에 설치되어 있다. 카아(12)는 구동기(20)의 축상에 장치된 구동활차바퀴(18)에 매어진 다수의 와이어 로우프(16)들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기(20)은, 워어드-레오나르드 구동시스템 또는 고체구동시스템에서 사용된 거와 같은, AC구동전동기를 가진 AC시스템 또는 DC구동전동기를 가진 DC시스템일 수 있다. 구동기(20)는 관련 폐투우프궤환제어와 함께 구동전동기 제어부(70)로서 일반적으로 언급되었다. 영국 특허 제2,055,258호에 상세히 도시된, 구동전동기 제어부(70)는 회전 속도계(72) 및 에러 증폭기(74)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 속도계(72)는 구동기(20)의 구동전동기의 실제 회전 속도에 응하는 신호를 제공하고, 에러 증폭기(74)는 실제 속도를 속도 패턴 발생기(64)에 의해 제공된 속도 패턴 신호 VSP에 의해 나타낸 소망 속도 신호와 비교한다.
역하중(22)은 로우프(16)들의 다른단에 연결되어 있다. 카아(12)에 연결된, 조속기 로우프(24)는 승강로의 바닥에 위치된 풀리(28)아래에, 그리고 카아(12) 이동의 최고점 그리고 승강로(13)의 최고점위에 위치된 조속기 시이브(26)위에 매어져 있다. 픽업(30)은 조속기 시이브의 회전에 응하여 회전되는 분리된 펄스 휘일에, 또는 조속기 시이브(26)에서 주위의 공간개구부(26a)의 효과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아(12)의 이동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개구부(26a)는, 각 0.635㎝(0.25인치)의 카아 이동에 대한 펄스와 같은, 엘리베이터 카아(12)의 이동의 각 표준 증분에 대한 거리 펄스를 제공하도록 떨어져 있다. 픽업(30)은, 광학 또는 자기와 같은 어떤 적당한 테이프일 수 있다. 픽업(30)은 층 선택기(62)에 거리 펄스 PLSINT들을 제공하는 펄스 제어부(32)에 연결되어 있다. 거리 펄스들은, 승강로에 배치된 코우드와 테이프와 함께 상호 작용하는 엘리베이터 카아(12)에 배치된 픽업에 의해서와 같은, 어떤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거리 펄스들은 과속 검출기(7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펄스율은 카아 속도의 표시이다. 단순한 과속 검출기는, 영국 특허 제1,436,743호의 제18도에 도시된 장치와 같은, 스위치/저역필터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펄스율에 비례하는 크기를 가진 아날로그 출력을 제공한다. 그 필터의 출력은 비교기의 입력에 연결된다. 비교기의 다른 입력은 기준에 연결된다. 만일 필터의 출력이 기준을 초과하면, 비교기의 출력은 한 논리 레벨로부터 다른 논리 레벨로 전환하여 55플래그로서 언급된 참신호를 제공한다. 55플래그는 속도 패턴 발생기(64)에 의해 사용된 다른 입력신호이다.
카아(12)에 장치된 푸쉬버튼 어레이(36)에 의해 등록된 바와 같이, 카아 호출은 카아 호출 제어부(38)에 의해 처리되고, 그 결과의 정보는 층 선택기(62)로 지향된다.
1층에 배치된 상승 푸쉬버튼(40)과, 50층에 배치된 하강 푸쉬버튼(42)과, 2층 및 중간층들에 배치된 상승 및 하강 푸쉬버튼(44)과 같은, 홀 낭하에 장치된 푸쉬버튼들에 등록된 바와같이, 홀 호출들은 홀 호출 제어부(46)에서 처리된다. 그 결과 처리된 홀 호출 정보는 층 선택기(62)로 지향된다.
층 선택기(62)는, 표준 증분의 해결로, 승강로(13)에서 카아(12)의 정확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개하도록 업/다은 카운터에서 펄스 검출기(32)로부터의 거리 펄스들을 표로 만든다. 카아(12)가 승강로에서 그 최저 랜딩에 있을때 POS16으로 언급된, 카아 위치 카운트는 설정치로 세트된다. POS16카운트는 카아(12)가 각 층과 같은 레벨일때 관련층에 대한 어드레스로서 사용된다. 이들 어드레스들이나 층높이들은, 카아의 AVP로 색인된, ROM의 순람표에 기억된다. 또한 속도 패턴 발생기(64)는 POS16카운트를 사용한다.
층 선택기(62)는, 카아(12)의 위치의 트랙을 유지하는 외에, 또한 카아의 서비스에 대한 호출들을 표로만들고, 엘리베이터 서비스에 대한 호출을 하도록 엘리베이터 카아를 운행으로 시작하기 위한 신호들을 제공한다.
층 선택기(62)와 속도 패턴 발생기(64)는, 필요하다면, AVP층으로 또는 AVP로 간단하게 언급된 엘리베이터 카아(12)에 대해 점진된 층 위치를 전개한다. 점진된 층 위치 AVP는 설정된 감속 스케줄에 따라 카아가 정지할 수 있는 이동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아(12)의 앞의 가장 가까운 층이다. 카아(12)가 카아 호출이나 홀 호출을 제공하도록, 또는 간단히 말해서 주차하도록 정지할 층은 목표층으로 언급된다. 카아(12)의 AVP가 목표층의 어드레스 TARGET에 도달할때, 속도 패턴 발생기는 슬로우다운 페이스의 운행을 시작한다. 또한 층 선택기(62)는 카아 호출들 및 홀 호출들이 서비스되었을때 재설정을 제어한다.
각 층에서 카아(12)의 정확한 랜딩 및 레벨링은, 병합된 영국 특허 제1,485,660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각층에서 레벨링 캠(48)들과 상호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카아(12)에 장치된 레벨링 스위치(IDL 및 IUL)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캠(48)들 각각은, 예를들어, ±2인치의 레벨링 존을 한정한다. 카아(12)에 장치된 스위치(3L)과 승강로에 장치된 캠(49)들은 엘리베이터 카아가, 10인치와 같이, 레벨링 존과 다른층으로부터의 설정 거리일때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영국 특허 제1,540,757호의 광학 전자장치, 제1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반사기(63, 65, 67)들은 완전한 카아 위치 신호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영국 특허 공보 제2,127,584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IUL, IDL 및 3L)들은, 일반적으로 랜딩 제어부(78)로 도시된, 전자 릴레이들 LU, LD 및 L2의 각각의 동작상태를 및 조건을 제어하도록 연결된다.
카아(12)가 약 ±0.634㎝(0.25인치)의 층 레벨내에 있을때, 양 스위치 IUL 및 IDL들은 캠(48)상에 있고, 그 관련 릴레이들 LU 및 LD는 둘다 여기될 것이다(또는 둘다 차단된다). 만일 카아(12)가 레벨 위치로부터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하면, 스위치 IUL 또는 스위치 IDL은 위로 또는 아래로 재레벨링을 시작하도록 각각 릴레이 LU나 LD를 드롭아웃하고(또는 픽업하고) 캠을 벗긴다. ±5.08 내지 7.62㎝(2 내지 3인치)의 존은, 스위치들 IDL이나 IUL중의 최소한 하나가 캠상에 있는, 각 층 레벨 주위에 제공하고, 그리여 존이 재레벨링 존을 한정한다. 층 레벨의 각 사이드상의 이 존은 Z02존으로 언급될 것이다.
상술된 영국 특허 공보 제2,127,584호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스위치 3L은, 목표층으로부터의 25.4㎝(10인치)와 같은, 설정거리를 타이머(LT2)에서 시작하는 릴레이(L2)를 제어한다. 층 레벨의 각 사이드상의 이 존은 Z10존으로 불리어진다. LT2타이머는, 25.4㎝(10인치)점과 같은, 설정점으로 레벨링 존으로 엘리베이터 카아가 이동하도록 정상 시간을 나타내는 값으로 세트된다. LT타이머가 타임아웃할때, 엘리베이터 카아(12)가 0.635㎝(0.25인치)의 층 레벨내에 있지 않다면, 이 사실은 레벨링 프로그램을 시작하는데 사용된다.
카아(12)가 재레벨링을 필요로 할때, LT2타이밍와 스위치(IUL 및 IDL)들은, 레벨링 속도 패턴을 개시하도록 속도 패턴 발생기(64)에 의해 사용되는, 참플래그 LEVEL을, 세트할때, 제공하는 적당한 메모리나 플립플롭을 세트시킨다.
본 발명은 디지탈 컴퓨터, 특히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양호하게 실현되었다. 제2도는 사용된 마이크로컴퓨터(80)의 개략도이다. 카아 제어기(60)의 모든 기능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사용하므로서, 층 선택기와 속도 패턴 발생기 기능들 사이의 통신을 간단화한, 단일 마이크로컴퓨터(80)에 의해 실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주로 속도 패턴 기능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속도 패턴 발생기가 다른 기능들로터 무슨 신호들을 수신하는지를 단지 나타내도록 설명을 간단화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마이크로컴퓨터(80)는 중앙처리장치(CPU : 82)와, 시스템 타이밍(84)과,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 86)와, 리이드 온리 메모리(ROM : 88)와, 적당한 인터페이스(92)를 경유하여 외부 기능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포오트(90)와, 디지탈 속도 패턴 신호(VPAT)가 보내어 지는 출력포오트(94)와, 아날로그 디바이스565와 같은 디지탈/아날로그(D/A)변환기(96)와, 아날로그 속도 패턴 신호(VSP)를 제공하도록 증폭기(98)을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80)는, 예를들어, INTEL의 iSBC80/24H 단일 보오드 컴퓨터일 수 있다. 이 컴퓨터로, CPU는 INTEL의 8050A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타이밍 기능(84)은 INTEL의 클럭 8224를 포함하고, 입력 및 출력 포오트는 온-보오드 포오트이다.
실제 카아 위치 POS16은 고체 2진 업/다운 카운터로 유지되고, 층 선택기 기능은 제2도에 보여준 마이크로프로세서(80)에 의해 제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80)는, 카운트가 POS16으로 언급되는, 카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RAM(86)에서 카운터를 유지한다.
속도 패턴 발생기(64)는, 각각의 속도 패턴 VSP의 특정 부분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능 모듀울들을 가지고 있다. 기능 모듀울들은 모듀울 PGLOGC로서 언급된 관리 또는 모듀울의 제어하에 있다. 모듀울 PGLOGC는 엘리베이터 카아(12)가 층에 정지하고 있을때 뿐만아니라 엘리베이터 카아(12)의 전체 운행중 계속 주기적으로 연속된다. 층 선택기(62)가 운행이 되게 되는 것을 결정하고 플래그 RUN을 세트할때, 모듀울 PGLOGC는 기능모듀울 PGINIT을 호출한다. 이 모듀울은 속도 패턴을 개시하고, 모듀울 PGTRMP를 인에이블한다. 모듀울 PGTRMP는 타임 램프 기능을 제공하고, 그 출력을 속도 패턴 VSP의 타임 독립부분을 제공한다. 모듀울 PGINIT는 플래그 ACCEL을 세트한다. 모듀울 PGLOGC는 다시 계속할때, 플래그 ACCEL이 세트되기 때문에 모듀울 PGACC를 호출한다. 모듀울 PGINIT는 타임램프 발생기 모듀울에 대한 설정 최대 가속도를 세트한다. 적당한 시간에 모듀울 PGACC는 설정 가속을 제로로 세트한다. 이것은 카아의 AVP가 목표층에 도달했을때 또는 패턴 크기 VD가 정격속도 VPS마이너스 설정상수 K에 도달했을때 발생한다. 그때 모듈 PGACC는 카아 슬로우다운 거리 SLDN을 계산하고, 플래그 MIDRN을 세트한다. 그리고나서 모듀울 PGLOGC는 플래그 MIDRN이 세트하는 것에 응하여 다음 운행할때에 모듀울 PGMID를 호출한다. 모듀울 PGMID는 카아(12)가 AVP층으로부터의 거리 SLDN에 위치되었을때는 결정하도록 거리 SLDN을 사용한다. 카아가 AVP층으로부터의 거리 SLDN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고 AVP층이 목표층이라는 것을 검출할때, 모듀울 PGTRMP에 대한 설정가속을 -0.75a로 세트하고 플래그 DECEL을 세트한다.
모듀울 PGLOGC가 운행하는 다음번에, 플래그 DECEL이 세트된 결과로 모듀울 PGDEC를 호출한다. 모듀울 PGLOGC는 디지탈 패턴 VSD를 계산하고, 패턴의 시간 기본 부분이 거리 기본 부분을 교차할때(VSD)를 검출한다. 교차점에서, 모듀울 PGDEC는 모듀울 PGTRMP를 디스에이블하고, 시간 기본 패턴 대신에 거리 기본 패턴을 대체한다. 목표층으로부터의 랜딩거리 DLAND에서, 모듀울 PGDEC는 랜딩속도 패턴을 제공하기를 계속하거나, 또는 본원 발명에서 거리펄스들로부터 그 패턴을 유도하는 보조 패턴 발생기에 제어를 전달한다. 만일 재레벨링이 요구된다면, 모듀울 PGLOGC는 재레벨링 속도 패턴을 제공하는 모듀울 PGRLVL을 호출한다.
빌딩의 각 층은 빌딩의 최저 카아 이동점으로부터의 높이나 거리에 대응하는 2진 값을 할당된다. 여기서 2진값은 표준 증분에 대한 것임. 각 층에 대한 2진 값은, ROM(88)에 기억된 카아의 AVP에 의해 색인된, 층 높이 표에 유지되어 있는데, 제3도는 층 어드레스 표에 대한 적당한 포맷(서식)을 나타낸 ROM맵이다. 또한, ROM(88)은 랜딩 패턴을 얻기 위하여 DTG카운트에 의해 색인된 순람표를 포함하고 있다. ROM(88)은 또한 기능 모듀울에 의해 사용된 모든 상수를 포함하고 있다.
제4도는 RAM(86)에 기억될 수 있는 일정 데이터에 대한 적당한 포맷을 나타낸 RAM맵이다. 이 데이터는, 플래그들이 속도 패턴 발생기에 외부에 세트된 플래그 RUN, LEVEL 및 55와, 패턴 발생기 모듀울들에 의해 세트되고 리세트된 플래그들과, 여러 모듀울들이 상세하게 기술될때에 언급되는 다수의 프로그램 변수들과 다른 신호들을 포함하고 있다.
영국 특허 공보 제2,133,179호의 제13도와 유사한, 제5도는 AVP층이 목표층이라는 것을 발견할때나 속도 VPAT가 계약속도에 도달할때 모듀울 PGACC에 의한 시도로 위치된 모듀울 PGMID의 플로우챠트이다.
모듀울 PGMID는 점 330에서 시작되고, 스텝 332는 모듀울 PGACC에서 계산된 거리 SLDN을 추출한다. 스텝 334는 현재의 카아 위치 POS16으로부터 AVP층의 어드레스 AVP16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스텝 336은 이 거리를 거리 SLDN과 비교한다. 만일 카아가 AVP층에 대한 슬로우다운 거리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그 프로그램은 338에서 카아가 이 점에 도달할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아니함으로서 나간다. 카아가 AVP층으로부터의 거리 SLDL에 도달했다는 것을 스텝 336이 발견했을때, 스텝 340은 AVP층이 목표층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AVP16을 TARGET와 비교한다. 만일 목표층이 아니라면, 스텝 342는 AVP층을 최신정보로 갱신하도록 프로그램 모듀울 PGINIT로 점프한다. 카아가 목표층으로부터의 거리 SLDN에 도달했다는 것을 스텝 340이 발견할때, 스텝 344'는 층 선택기에 의해 사용된 플래그 DEC를 세트하고, 또한 층 선택기에 의해 사용된 플래그 FS를 리세트하고, 플래그 MIDRN을 리세트하고, 플래그 DECEL를 세트하고, 그리고 설정 감속도 ADES를 세트한다. 그리하여, 모듀울 PGLOGC가 다시 운행할때, 모듀울 PGDEC로 제어를 전달한다. 또한 감속은 정격 가속도 a의 -3/4로 ADES를 세팅함에 의해 스텝에 의해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스텝 344'는 또한, 이후에 설명되는 플래그들인, Z02F, Z10F 및 DPOF와 같은 어떤 플래그들을 리세트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모듀울 PGDEC에 의해 제공된 거리 기본 속도 패턴이 층 레벨에서 카아를 랜딩하는데 사용될 뿐만아니라, 시간과 거리 기본 속도 패턴들 사이의 횡단점으로부터 카아를 감속하는데 사용된다고 가정하자. 게다가 계약속도는 랜딩 및 재레벨링 존 Z02가 카아 위치 카운트에서 정상적에러들에 대한 속도 패턴을 교정하기에 충분한 길이인 그런정도라고 가정하자. 제1a도는 제1도에 도시된 캠(48)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고, 제1b도는 Z02존을 설치하는데 사용된 역반사 테이프(63)를 도시하고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영국 특허 공보 제2,133,179호의 제14도와 유사한 모듀울 PGDEC에 대한 플로우챠아트이다.
PGDEC는 제6도의 점 350에서 들어가고, 스텝 352는 AVP층의 카운트치 AVP16에서 엘리베이터 카아의 현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치 POS16을 빼는것에 의해 운행할 거리(DTG) 카운트를 결정한다. 스텝 354는 DTG가 네거티브인지를 알아보도록 체크한다. 스텝 356은 카아 이동 방향을 체크한다. 만일 DTG가 네거티브이고 이동방향이 상승방향이면, 카아는 AVP층을 지나갔고, 스텝 358은 최소 랜딩속도인 설정치 VMIN와 동일한 속도 패턴치 VPAT를 세트한다. 스텝 360은 어큐물레이터(누산기)에 VPAT에 대한 새로운 값을 출력한다. 스텝 362는 D/A변환기(96)에 어뮤뮬레이터의 값을 보낸다. 프로그램은 364에서 나간다.
재레벨링은, 영국 특허 공보 제2,127,584호에 발표된 장치와 같은, 카아 제어기에 의해 개시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만일 스텝 354가 DTG가 포지티브인것을 발견하면, 스텝 366은 카아 이동방향 MDIR을 체크한다. 만일 그것이 하강 방향이면 카아는 AVP층을 지나갔고, 스텝 366은 스텝 358로 진행한다.
만일 카아가 AVP층을 통과하지 않았다는 것을 스텝 366이나 356이 발견하면, 엘리베이터 카아(12)가 존Z02에 도달했는지를 알아보도록 체크하는 스텝 500으로 진행한다. 스텝 500은, 스위치 IUL 이나 IDL이 캠(48)을 접촉했다는 것을 가리키는, 논리 신호 LLU나 LLD가 참인지를 알아보도록 RAM(86)을 체크함에 의해 이것을 수행한다. 만일 본 Z02가 도달하지 않았다면, 스텝 500은 스텝 372로 진행한다. 스텝 372는, 운행할 거리 카운트 DTG의 값을 사용하는, 이점에서 설정속도 패턴의 디지탈치 VSD를 결정한다.
스텝 374는 타임 램프 발생기가 아직 인에이블되는지를 알아보도록 체크한다. 만일 그렇다면, 그것은 패턴 발생기가 아직 시간 기본 페이스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스텝 376은, VPAT가 VSD의 값과 동일하거나 초과했는지를 결정함에 의해, 고속 패턴 전달점이 도달되었지는를 알아보도록 체크한다. 만일 고속 패턴 전달점이 도달되지 않았다면, 이번에 더이상 아무것도 하지 않고, 프로그램은 378에서 나간다.
VPAT가 VSD보다 더 크거나 같다는 것을 스텝 376이 발견할때, 스텝 380은 플래그 TREN을 리세트함에 의해 타임 램프 발생기 모듀울 PGTRMP를 디스에이블하고, 스텝 380은 스텝 360으로 진행한다. 다음 타임 모듀울 PGDEN은 운행하고, 스텝 374는 리세트된 플래그 TREN을 발견하고, 스텝 382로 진행하는데, 스텝 382는 운행할 거리에 응한 속도 패턴 VSD을 이제 만들도록 메모리 위치 VPAT에 VSD의 값을 둔다.
LLU 나 LLD가 참인것을 스텝 500이 발견할때 스텝 502는 이것이 존 Z02의 초기 검출인지를 알아보도록 RAM(86)에서 플 Z02F를 체크한다. 플래그 Z02F가 세트되었다면, Z02존은 더 앞의 통과에서 검출되었고, 스텝 502는, 정확하게 알려진 DTG카운트에 기초로한 슬로우다운 패턴을 계산하는, 스텝 372로 진행한다.
존 Z02의 초기 검출에서, 스텝 502는 플래그 Z02F를 세트하는 스텝 504로 진행하고, 스텝 502는 다음에 스텝 504로부터 시작하는 스텝을 건너뛸 것이며 스텝 372로 직접 진행한다.
스텝 504는 스텝 506으로 진행하고, 스텝 506은 검출된 순간 존 Z02에서 DTG카운트를 존 Z02의 공지된 고정 길이와 비교한다. 이 길이는 표분 카운트에 의하여 ROM(88)에 상수로서 기억되어 있다. 스텝 506은 DTG카운트와 Z02카운트 사이의 차이의 절대값을 결정하고, ROM(88)에서 위치 X에 이 차이를 기억한다. 그리고나서 스텝 508은 X가, ROM(88)에 기억된, 설정치 또는 허용치 K1도보다 더 작은지를 알아보도록 체크한다. K1의 값은 승객에 대해 불안한 충격 크기를 초과하지 않고 못미치거나 지나침이 없이 엘리베이터 카아가 랜딩하게 하도록 속도 패턴을 고정되게 하는 최대 부정합이다.
만일 스텝 508이 X가 예를들어 K1도보다 더 작은, 설정 허용치내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 스텝 510은 DTG카운트를 남겨둔 RAM(86)의 로케이션에서, ROM(88)내의 상수로서 기억된, Z02에 대한 카운트치를 기억시킨다. 그리하여, 만일 DTG카운트와 Z02카운트가 다르다면, DTG카운트는 고정치로 변화될 것이다.
만일 도어(53)의 도어 사전 개방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이용된 특징이라면, 엘리베이터 카아가 못미치거나 지나침이 없이 목표층에 적절히 랜딩한다. 스텝 512는, 층 선택기(62)와 도어 제어부(66)에 의해 이용되는 RAM(86)내의 플래그 DPOF를 세트함에 의해서와 같은, 도어 사전 개방 특징으로 인에이블한다. 그리고나서 스텝 512는 스텝 372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 카아로부터 목표층의 층 레벨까지의 거리를 한정하는 정확한 DTG카운트를 사용하는 패턴 VSD를 계산한다.
DTG카운트와 Z02카운트사이의 카운트 차이가 K1보다 작지 않다는 것을 스텝 508이 발견하면, 스텝 508은 스텝 512을 바이패스한다. 그리하여 DTG카운트를 교정하는 아무런 시도가 안이루어지고, 도어(53)의 사전 개방이 인에이블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엘리베이터 카아는, 엘리베이터 카아가 정확하게 층 레벨에 있을때까지 나가지 못하도록 패쇄된 승강구와 카아를 유지하는 동안, 층에 못미쳐서 서행하게 되고, 또는 지나치게 재레벨링하게 된다.
스텝 508의 "no"까지는 직접 스텝 372로 진행하거나, 또는 보수유지요원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브루우틴을 호출하는데 사용된다. 어떤 때에는 목표층과 동일한 레벨이 된 후에, 카아를 운행하지 않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때에 서브루우틴을 호출하는 대신에, 서브루우틴을 비드로 배치하는 플래그를 간단히 세트한다. 스텝 514에 의해 또는 적당한 플래그에 의해 호출된 서브루우틴은 제6a도에 상세히 도시되었다.
제6a도에 도시된 서브루우틴 POLA는 518에서 들어간다. 그리고 스텝 520은 층번호와, "허용 랜당 기록외"로 참조된 RAM(86)의 부분과 같이, 제4도에 도시된 RAM(86)에 시각을 기억시킨다. 스텝 522는 X가 ROM(88)에 기억된 설정치 M을 초과하는지를 알아보도록 체크한다. M의 값은 X가 이 값을 초과하는 경우 기능장애가 펄스회로에 발생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그 문제가 교정되었을 때까지 엘리베이터가 다른 운행을 하게 되지 않도록 그렇게 선택된다. 만일 X가 M을 초과하는 경우, 스텝 524는, 카아가 층 레벨에서 정지하고 그 문이 개방된 후에 다른 모듀울에 의해 체크되는, RAM(86)에서 아웃-오브-서비스 플래그 OSF를 세트한다. 만일 플래그 OSF가 세트된것을 발견되면, 카아는 서비스(운행)를 하지 않고, 인가된 보수유지 요원에 의해 서비스(운행)하게 되돌려질때까지 다른 운행을 하게 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카아가 운행하게 되자 않게된 사실은, 원한다면, 적당한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소내 또는 소외의 서비스 요원에게 자동적으로 통신된다. 스텝 524는 526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 되돌아 간다.
X가 가능 장애 상수 M을 초과한다는 것을 스텝 522가 발견하지 못한다면, 스텝 528은 나쁜 랜딩 플래그 PLF가 세트되었는지를 알아보도록 체크한다. 만일 그것이 세트되지 않았다면, 그것은, 이것이, 최소한 설정된 시간 간격동안, 검출된 최초 나쁜 랜딩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스텝 503은 RAM(86)에 나쁜 랜딩 플래그 PLF를 세트한다. 또한 스텝 530은 나쁜 랜딩 타이머 PLT를 스타트시키고, 나쁜 랜딩 카운터 PLC를 리세트시킨다. 타이머 PLT는, 스텝 530에 의해 설정치로 세트되는, RAM(86)에서 소프트웨어 타이머일수있다. 실제 타이머들은 타이머 모듀울로 감소되고, 타이머 PLT가 제로로 감소될때, 플래그 PLF는 리세트 된다. 카운터 PLC는 RAM(86)에서 스프트웨어 타이머일 수 있다.
그리고나서, 스텝 530은 나쁜 랜딩 카운터 PLC를 증분하는 스텝 532로 진행한다. 스텝 534는 PLC상에 등록된 카운트가 설정치 N를 초과하는지를 알아보도록 체크한다. N의 값은, 나쁜 랜딩의 이수가 PLT의 타이머 주기내에서 발생했을 겨우, 엘리베이터 카아가 운행하지 않게 선택된다. POLA를 통한 이 루우프에서, 스텝 534는 카운트 PLC상의 카운터가 설정수 N를 초과한 것을 발견하지 못한다. 그리고 스텝 534는 526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 되돌아 간다.
다른 나쁜 랜딩이 설정 시간 주기내에서 발생할때, 스텝 528은 나쁜 랜딩 타이머 PLT가 작동중인가를 체크하도록 스텝 536으로 진행한다. 만일 그렇다면, 스텝 536은 전술된 스텝 532로 진행한다. 만일 PLC카운트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것을 스텝 534가 발견할 경우, 스텝 534는 아웃 오브 서비스 플래그 OSF를 세트하도록 스텝 524로 진행한다. 만일 타이머가 타임 아웃된 것을 스텝 536이 발견할 경우, 스텝 536은 스텝 538로 진행하고, 스텝 538은 타이머 PLT를 스타트시키고, 카운트 PLC를 리세트하고, 그리고나서 PLC카운트를 증분한다. 스텝 538은 526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 되돌아 간다.
제6도에 도시된 프로그램은, 조합이 랜딩 타이머를 스타트하는, 캠(49) 및 스위치(3L)에 의해 한정된 존 인디테이터와 같언, 층 레벨에 대해 표시된 임의의 존을 사용한다. 예를들면, 랜딩 타이머 존은 층 레벨에서 10인치를 스타트하고, 전술된 바와같이, 존 Z10으로 언급된다. 제1b도는 존 Z10이, 캠(49)대신에, 역반사 케이프(65 및 67)에 의해 가리켜지는 것을 도시하였다.
제7도는 영국 특허 공보 제2,133,179호의 제13도에 도시된 것의 변형예로서, 존 Z10 및 Z02가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제17도에 도시된 각 스텝은 이미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것이므로 동일 부호로 표시된 것은 더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스텝 366 및 368은 모두 스텝 550으로 진행하며, 스텝 550에서는 RAM(86)의 플래그 Z10F가 세트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되어 있고, 만일 플래그 Z10F가 세트되지 않았다면, 10인치를 길이를 가질 수 있는 Z10가 상술된 바와같이 운행시 이미 검출되지 않은 것이므로 스텝 550은 스텝 552로 진행하여 논리 신호 ZL10이 참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신호 ZL10은 RAM(86)에 기억되어, Z10존이 검출될시 논리 1 또는 참레벨로 변화되게 된다. 만일 스텝 552에서 LZ10이 참이 아닌것으로 결정되면, Z10존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것이므로 스텝 552는 스텝 372로 진행하게 되어, 스텝 372에서 DTG카운트를 이용하여 속도 패턴 VSD가 계산되게 된다.
만일 스텝 552에서 엘리베이터 카아가 LZ10존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되면, 스텝 554는 RAM(86)의 플래그 Z10F를 세트하고, 그러면 엘리베이터 카아로부터 목표층까지의 정확한 거리가 존 Z10의 길이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스텝 556은 존 Z10의 길이를 나타내는 카운트와 DTG카운트를 비교하여 그 절대차를 변수 X를 기억시키기 위한 RAM(86)의 위치에 기억시킨다. 스텝 558은 변수 X가 ROM(88)의 상수로서 기억된 설정치 K2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설정치 K2는 엘리베이터 카아가 목표층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거나 그를 지나쳐 버리는 것이 없이 또는 설정된 최대 급충격을 초과하는 급충격을 발생시킴이 없이 정확하게 목표층에 랜딩할 수 있게하는 허용최대 오차이다. 만일 스텝 558에서 오차 카운트 X가 K2로 표시된 허용 오차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스텝 560은 DTG카운트를 Z10존의 카운트로 세트하고, 그에 이어 스텝 386으로 진행하여 랜딩패턴 VLAND를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10인치의 지점에서부터 랜딩 패턴을 계산하는 대신에, 영국 특허 공보 제2,133,17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ROM(88)의 순람표에 의해 랜딩 패턴을 결정하는데, 일례로 10인치의 지점에서는 ROM(88)에 도시된 랜딩 패턴에 대한 순람표중의 일차치를 판독하면 된다. 그뒤에는, 각각의 거리펄스가 순람표에 색인되게 되어 랜딩 패턴 VLAND의 다음 디지탈치를 제공하게 되며, 이와같이 거리 펄스가 순람표에 색인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랜딩 패턴 VLAND는 거리 펄스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수 있다. 스텝 386은 랜딩 패턴 VLAND의 치가 최소 랜딩 속도 VMIN을 초과할 수 있게 하도록 스텝 388로 진행하게 되며, 만일 랜딩 패턴 VLAND의 값이 최소 랜딩 속도 VMIN을 초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스텝 388은 스텝 358로 진행하여 VPAT를 VMIN과 동일하게 세트시키게 된다. 만일 VLAND의 값이 VMI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텝 390에서 VPAT를 VLAND와 동일하게 세트한다.
만일 스텝 558에서 X가 K2보다 작지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스텝 562는 제6a도에 도시된 서브루우틴 POLA를 요청하게 된다.
스텝 550에서 플래그 Z10F가 세트된 것으로 결정되게 되면, 엘리베이터 카아는 Z10존애에 있는 것이고, 따라서, 스텝 550은 스텝 564로 진행하여 랜딩 존 Z02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플래그 Z02F가 세트되지 않았다면, 존 Z02는 검출되지 않은 것이고, 따라서 스텝 500은 엘리베이터 카아가 Z02존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그후에, 스텝 504 내지 스텝 512가 진행하게 되는데, 이 스텝들은 제6도의 실시예에서 존 Z02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 Z10존에 대한 랜딩 불량이 판독되고 있기 때문에, Z10존에 대한 또다른 랜딩 불량을 판독시킬 필요가 없고, 따라서 제7a도 및 제7b도의 스텝 508은 스텝 514와 유사한 스텝으로 진행시킬 수도 있다.
지금까지 슬로우다운 패턴을 해치 트랜스듀서에 의해 제공된 랜딩 패턴으로 스위칭할 필요없이, 속도 패턴에 따른 거리 펄스를 엘리베이터 카아의 랜딩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목표층에 대해 고정된 존으로의 진입을 검출하여 DTG카운트와 존거리를 나타내는 카운트를 비교하고, 그에 의해 두 카운트가 동일한 것으로 또는 설정된 오차내의 차이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적당한 랜딩이 이루어질 수 있고, DTG카운트는 존 카운트와 동일하게 되도록 된다. 또한 거리 펄스로부터 얻어진 패턴은 새로운 DTG카운트를 이용하여 계속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엘리베이터 카아가 목표층에 미치지 못하거나 지나쳐 버림이 없이 정확하게 랜딩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의 사전 개방등과 같이 다른 기능도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만일 DTG카운트와 고정 존을 나타내는 카운트사이의 오차가 설정된 허용 오차보다 크게 되면, DTG카운트가 정확하지 않은 것이므로, 이는 엘리베이터 카아가 정확히 랜딩될 수 없고 과도한 급충격을 발생시키게 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어의 사전 개방은 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불량 랜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아를 보수없이 운행시킬 수 있게 하고, 보수요원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판독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Claims (7)

  1. 다수의 층들과 승강로(13)를 가지고 있는 건출물(14)에서, 층을 운행하도록 상기 승강로에서의 이동을 위해 장치된 엘리베이터 카아(12)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를 목표층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16, 18, 22, 70)과; 이동의 설정 표준 증분에 응하여 거리펄스(PLSINT)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의 이동에 응답하는 펄스수단(26, 28, 30 32)과, 상기 승강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POS(16)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거리펄스들에 응답하는 수단(제2도 : RAM(86))으로 구성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제1도(10))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아와 목표층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운행거리(DTG)카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목표층(AVP(16) 또는 TARGET)의 위치 그리고 상기 카아 위치에 응하는 수단(제6도, 제도 : 352)과; 설정 디멘젼을 가진 각 층에 인접한 층존(Z02 또는 Z10)을 한정하는 수단(제1도 : 48, 49, 제1a도 : 48, 제1b도 : 62)과; 목표층 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의 도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IDL 또는 IUL)과, 목표층 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의 도착을 검출하는 상기 검출수단에 응하여 목표층 존의 설정 디멘젼과 DTG카운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 수단(제6, 제7도 : 506)과, DTG카운트와 상기 설정 디멘젼이 소정의 관계(508)를 가질때 층존의 설정크기와 동일한 DTG카운트를 세트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기 수단에 응답하는 수단(제6도, 제7도 : 410)과, 최소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가 목표층에서 정지하고 있을때 상기 구동수단에 속도패턴신호(VSD 또는 VLAND)를 제공하기 위하여 DTG카운트에 응답하는 수단(제6도 : 386, 제7도 : 372 또는 386)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아가 최소한 한 도어(53)를 가지고 있고, DTG카운트와 설정된 층존디멘젼의 소정의 관계를 가질때 상기 도어의 사전 개방을 인에이블하기 위하여 비교기 수단에 응답하는 수단(제6도, 제7도 : 51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DTG카운트와 층존의 설정된 디멘젼사이의 소정의 관계는 DTG카운트가 설정범위에서 교정될때 속도 패턴의 변화가, 설정된 충격을 초과하거나 못미치고 초과하는 것이없이, 엘리베이터 카아로 하여금 목표층과 같은 레벨로 정지하게 하도록 선택된 설정범위(K1)에서의 차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DTG카운트와 층존의 설정된 디멘젼이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지않을때 상기 메모리 장치에 나쁜 랜딩의 발생을 기억시키기 위한 수단(제6도 : 514)과, 메모리 수단(제2도 : RAM(286))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나쁜 랜딩들의 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 수단(제2도 : RAM(86), 제6a도 : 532)과, 설정카운트(N)가 도달될때 엘리베이터 카아를 운행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수단(제6a도 : 524, 53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주기후에 카운터 수단을 리세트하기 위한 수단(제6a도 : 536, 53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1 또는 제1항에 있어서, DTG카운트와 층존 사이의 크기사이의 차이가 설정크기(M)를 초과하는 것을 비교기 수단이 발견할때 엘리베이터 카아를 운행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수단(제6도 : 514, 제6a도 : 52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840004966A 1983-08-17 1984-08-17 엘리베이터 시스템 KR920007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23,993 US4494628A (en) 1983-08-17 1983-08-17 Elevator system
US523993 1983-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087A KR850002087A (ko) 1985-05-06
KR920007368B1 true KR920007368B1 (ko) 1992-08-31

Family

ID=2408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966A KR920007368B1 (ko) 1983-08-17 1984-08-17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494628A (ko)
JP (1) JPS6061481A (ko)
KR (1) KR920007368B1 (ko)
AU (1) AU574703B2 (ko)
BE (1) BE900382A (ko)
BR (1) BR8404108A (ko)
CA (1) CA1201831A (ko)
ES (1) ES8601792A1 (ko)
FR (1) FR2550774A1 (ko)
GB (1) GB21452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7252B1 (de) * 1985-04-03 1988-08-03 Inventio Ag Einrichtung zur Erzeugung von Schachtinformationen bei einem Aufzug
US4991693A (en) * 1989-02-16 1991-02-12 Inventio Ag Method of improving the landing of a hydraulic elevator car
JPH0455273A (ja) * 1990-06-22 1992-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0186122B1 (ko) * 1995-12-01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방법
US5677519A (en) * 1996-02-29 1997-10-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eveling adjustment
KR100202719B1 (ko) * 1996-12-30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재층상 맞춤 방법 및 장치
DE60142274D1 (de) * 2000-04-27 2010-07-15 Inventio Ag Signaleinrichtung zur Positionierung einer Aufzugsanlage während einer Passagierevakuation
US6351994B1 (en) * 2000-06-09 2002-03-05 Trilogy Technologies, Inc. Sensor system for determining relative displacement of an object using an activation member
US6401351B1 (en) 2000-06-09 2002-06-11 Trilogy Technologies, Inc. Sensor system for determining relative displacement of an object using a flexible retractable activation member
JP2002120977A (ja) * 2000-10-13 2002-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検出装置
GB0520206D0 (en) * 2005-10-05 2005-11-09 Dewhurst Plc Sensor system
FI118382B (fi) 2006-06-13 2007-10-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WO2012008944A1 (en) * 2010-07-12 2012-01-19 Otis Elevator Company Speed and position detection system
JP6008995B2 (ja) * 2013-01-23 2016-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3705441A1 (en) * 2019-03-05 2020-09-09 KONE Corpora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7785A (en) * 1969-03-04 1971-06-28 Otis Elevator Co Elevator control system safety arrangement
US4256203A (en) * 1978-12-18 1981-03-17 Otis Elevator Company Self-adjusting elevator leveling apparatus and method
CH649517A5 (de) * 1979-09-27 1985-05-31 Inventio Ag Antriebssteuereinrichtung fuer einen aufzug.
JPS5665778A (en) * 1979-10-30 1981-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Generator for speed instruction of elevator
JPS5675369A (en) * 1979-11-22 1981-06-22 Hitachi Ltd Method of controlling elevator
US4308936A (en) * 1980-02-19 1982-01-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6117969A (en) * 1980-02-22 1981-09-16 Hitachi Ltd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vator
JPS5772582A (en) * 1980-10-21 1982-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Generator for speed command of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50774A1 (fr) 1985-02-22
US4494628A (en) 1985-01-22
ES535221A0 (es) 1985-11-16
GB8420586D0 (en) 1984-09-19
KR850002087A (ko) 1985-05-06
BE900382A (fr) 1985-02-18
AU3199084A (en) 1985-02-21
JPS6061481A (ja) 1985-04-09
GB2145247A (en) 1985-03-20
CA1201831A (en) 1986-03-11
BR8404108A (pt) 1985-07-16
AU574703B2 (en) 1988-07-14
ES8601792A1 (es) 198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36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4367811A (en) Elevator control system
EP2347986B1 (en) Elevator installation
US5637841A (en) Elevator system
JPS6161122B2 (ko)
US4503939A (en) Elevator system
JP259582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4832159A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EP0380802B1 (en) Elevator system with independent limiting of a speed pattern in terminal zones
US4436185A (en) Elevator system
JPH085910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027632B2 (ja) エレベ−タ装置
US4356896A (en) Elevator terminal deceleration system
US4470482A (en) Speed pattern generator for an elevator car
KR930002843B1 (ko) 엘리베이터 카아용 속도 패턴 발생방법 및 장치
JP2511241Y2 (ja) エレベ―タ装置
US4463833A (en) Elevator system
CA1216976A (en) Elevator system
JPS6210915B2 (ko)
JPS6214055Y2 (ko)
JPH0138133Y2 (ko)
JPS629515B2 (ko)
JPS5820871B2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832490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0228371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