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798B1 - 자동원고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원고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798B1
KR920010798B1 KR1019890017363A KR890017363A KR920010798B1 KR 920010798 B1 KR920010798 B1 KR 920010798B1 KR 1019890017363 A KR1019890017363 A KR 1019890017363A KR 890017363 A KR890017363 A KR 890017363A KR 920010798 B1 KR920010798 B1 KR 92001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utomatic document
document
discharge
discharg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707A (ko
Inventor
가즈시 다끼모도
Original Assignee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belts and stationary pressing, supporting or guiding element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65H5/38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im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8Arrangement of belts facing a transport surface, e.g. contact glass in copy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1/00Sheet feeding or delivering
    • Y10S271/902Reverse direction of shee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Pile Receiv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원고 반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일부인 역전 배출기구 부부의 개략단면도.
제2도는 편향부의 구배 및 끼워갖는 부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종래의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향부재 2,4 : 가이드부재
2a : 끼워갖는부 2b : 편향부
3,42 : 배출로울러 3a : 회전축
5 : 덮개 6 : 핀
31 : 자동원고반송장치 32 : 복사기본체
33 : 접촉유리 34 : 원고접시
35 : 로울러 36,37,40 : 피이드로울러
38a : 구동로울러 38b : 따라움직이는 로울러
39 : 반송벨트 41,43 : 굴림대
44,45 : 용수철 46 : 원고의 통로
47,48 : 가이드판 51 : 외부배출접시
본 발명은 복사기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는 자동원고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고복사후 그 복사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원고를 역회전해서 배출하는 자동원고반송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자동원고반송장치로서는 일본국 실개소 60-159757호 공보에 나타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제3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31)은 그 상단부만 나타내는 복사기 본체(32)위에 배치되는 자동원고방송 장치이고, (33)은 상기한 복사기 본체(32)쪽의 상단면에 설치되는 접촉유리이다.
(34)는 원고트레이로서, 이 원고트레이(34)의 위쪽에 로울러(35)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하류쪽에는 피이드로울러(36)(3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피이드로울러(37)의 하류쪽에는 구동로울러(38a)와 종동로울러(38b)간에 팽팽하게 걸린 반송벨트(3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로울러(38a)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용 모우터에 연결되어 있고, 이 구동모우터에 의해 반송벨트(39)를 화살표(A)방향으로 구동하도록 되어있다. 원고는 로울러(35) 및 피이드로울러(36)에 의해 최상부의 것부터 한장씩 피이드로울러(37) 까지 반입된 후, 피이드로울러(37) 및 반송벨트(39)에 의해 접촉유리(33)위에 공급, 반송된다.
반송벨트(39)의 하류쪽에는 원고를 역회전시켜서 배출하기 위한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즉, 반송벨트(39)의 하류쪽에는 피이드로울러(40)과 굴림대(41)이 배치되고, 또 그 위쪽 위치의 적당한 곳에는 배출로울러(42)와 굴림대(43)이 서로 압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굴림대(41)(43)은 용수철(44)(45)에 의해 각 로울러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로울러(40)과 (42)의 사이에는 원고의 통로(46)을 형성하는 가이드판(47)(48)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판(47)(48)은 원고가 효율이 좋게 반송되도록 거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깥쪽의 가이드판(47)에는 마찰을 적게하기 위해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점선으로 나타낸 벨트는 상기한 로울러(40)(42)와 반송벨트(39)를 동시에 회전구동시키기 위해 팽팽하게 걸어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접촉유리위의 원고의 복사동작이 종료되면, 반송벨트(39)에 의해 원고는 약간 위쪽방향으로 편향되어서 피이드로울러(40)까지 반송된다.
그리하여 피이드로울러(40)과 굴림대(41)에 의해 통로(46)내로 반송되어, 반송방향을 거의역회전된 상태로 배출로울러(42)로 인도된다.
이와 같이해서 원고는 최종적으로 배출로울러(42)와 굴림대(43)에 의해 외부배출트레이(51)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원고역회전 이전의 피이드로울러(40), 역회전 이후의 배출로울러(42) 및 매끄러운 곡선을 갖는 원고통로(46)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원고를 역회전해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한 제3도에 나타내는 종래의 자동원고반송장치로부터 피이드로울러(40), 굴림대(41)을 떼어내 부품수를 줄여서 가격의 저렴화를 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출원인은 상기한 제3도의 자동원고반송장치로부터 굴림대(43)도 떼어내고, 스폰지등의 비교적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배출로울러(42)와 배출부의 리브의 작용에 의해 원고를 배출하도록 구성하여, 한결더 가격절감을 실현시킬 수 있는 자동원고반송장치를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특원소63-249114호).
상기한 종래의 자동원고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역회전배출기구내에 복수의 로울러, 특히 피이드로울러(40)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위한 연결기구나 동기회전을 위한 기어등이 필요하게 된다. 또, 각 로울러는 원고의 반송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굴림대 및 압접용 용수철이 설치되어 있고, 이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대형화하여 제조원가도 비싸게 된다.
또, 제3도의 자동원고반송장치로부터 피이드로울러(40), 굴림대(41)을 떼어낸 경우나 다시 또 굴림대(43)도 떼어낸 경우에는 반송벨트(39)의 반송력만으로써 원고를 배출로울러(42)까지 반송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더구나, 이 경우 반송벨트(39)로부터 반출된 원고의 급송방향을 역회전시켜서 배출로울러(42)와 리브의 끼워지는 위치까지 급송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반송벨트(39)만으로는 항상 확실하게 급송할 수가 없고, 종이가 걸리는 일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현상은 원고의 종이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특히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극히 간단한 구조로 원고를 확실히 역회전해서 배출하는 자동원고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자동원고반송장치는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벨트와 그 반송벨트의 하류쪽에 설치되며, 적어도 90도 이하의 편향경사를 갖는 상류쪽의 편향부와 원호형상을 형성하는 하류쪽의 협지부로 이루어지는 원고용 가이드부와 상기한 협지부와 동심형의 원형단면을 갖는 배출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한 반송벨트로부터 배출되는 원고를 역회전해서 배출하도록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자동원고반송장치에 의하면, 반송벨트로부터 반출된 원고는 적어도 반출방향과 동일방향인 편향부로 반송되고, 그 후 협지부와 배출로울러 사이에 낀 상태로 회전반송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로울러만으로 원고의 역회전, 배출이 되고, 종래와 같이 복수의 로울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원고와 배출로울러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굴림대나 용수철등의 남은 부재도 필요가 없게 되고, 이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 소형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제조원가의 저렴화를 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자동원고반송장치의 일부인 역회전배출기구부분의 개략단면도이다. 또한, 도면중에 제3도와 동일물은 동일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반송벨트(39)의 종동로울러(38b)의 하류위치에는 계속해서 편향부재(1)이 배치되어 있다.
그 편향부재(1)은 반송벨트(39)로부터 반출되는 원고를 후술하는 배출로울러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 편향부재(1)은 반송벨트(39)에 의한 원고반송력으로 원고가 충분히 편향부재(1)에 반출되도록 비교적 매끄러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편향부재(1)의 하류끝에는 잇달아 안내를 위한 복수의 리브를 갖는 가이드부재(2)가 배치되어 있다. 그 가이드부재(2)는 그 상류쪽이 거의 직선상이며, 하류측(2a)의 부분(이하 “협지부”라 한다)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송벨트(39)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한 가이드부재(2)의 상류측 직선부와 편향부재(1)로 구성되는 부분(2b)(이하 “편향부”라 한다)가 이루는 최대경사 a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0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반송벨트(39)로부터 반출된 원고가 최소한 역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경사 a가 90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반송벨트(39)로부터 반출된 원고가 협지부(2a)까지 충분히 반송된다.
상기한 협지부(2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그 협지부(2a)와 동심형상의 원형단면인 배출로울러(3)이 배치되어 있다.
그 배출로울러(3)은 중심의 회전축(3a)와 바라는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 예를들면 스폰지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그 반경은 협지부(2a)의 원호반경 보다도 최소한 동일하던가 또는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배출로울러(3)의 협지부(2a)와 접하고 있는 각도 b는 비교적 크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 각도 b는 상기한 경사 a가 90도로 가정한(최대인) 경우, 바로 아래로부터 반송되어온 원고를 역회전방향으로 향해서 배출하기 위해서는 90도가 되고, 따라서 각도 b는 최소한 90도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이것에 의해 편향부(2b)로 반출되어서 협지부(2a)의 상류끝가지 반송된 원고는 그 협지부(2a)와 배출로울러(3) 사이에 끼이고, 배출로울러(3)의 접촉저항에 의해 그 배출로울러(3)과 일체로 회전반송되어서 배출트레이(51)로 배출된다.
배출로울러(3)의 배출쪽에는 배출되는 원고가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배출기구를 덮는 커버(5)는 핀(6)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핀(6)을 회전운동하며, 커버(5)와 그 커버(5)에 부착된 가이드부재(2)를 위쪽으로 회전운동시켜서 트이는 것에 의해 편향부재(1)이나 배출로울러(3)의 부근에서 생긴 종이걸림등의 이상에 대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고용 가이드부로서 편향부재(1)과 가이드부재(2)로 구성된 것을 설치하고 있지만 일체로 구성된 부재로된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한 각도 b는 크게 설정할수록 원고의 회전반송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는 것이며, 또 다른 요인으로서 배출로울러(3)의 마찰계수나 반경, 가이드부재의 재질등을 고려해서 소망의 각도를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한 구성의 자동원고반송장치에 의하면, 반송벨트로부터 반출된 원고는 적어도 반출방향과 동일방향인 편향부로 반송되고, 그 후 협지부와 배출로울러 사이에 낀 상태로 회전방송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로울러만으로 원고의 역회전, 배출이 되고, 종래와 같이 복수의 로울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원고와 배출로울러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굴림대나 용수철등의 남은 부재도 필요가 없게 되고, 이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 소형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제조원가의 저렴화를 꾀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벨트(39)와, 그 반송벨트(39)의 하류쪽에 설치되며, 적어도 90도 이하의 편향경사를 갖는 상류쪽의 편향부(2b)와 원호형상을 형성하는 하류쪽의 협지부(2a)로 이루어지는 원고용 가이드부재(2)와, 상기한 협지부(2a)와 동심형상의 원형단면을 갖는 배출로울러(3)을 구비하고, 상기한 반송벨트(39)로부터 반출되는 원고를 역회전해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원고가이드부재(2)는 편향부(2b)와 협지부(2a)가 일체로 구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반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로울러(3)의 반경은 상기한 협지부(2a)의 반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반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로울러(3)의 반경은 상기한 협지부(2a)의 반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반송장치.
KR1019890017363A 1988-11-29 1989-11-28 자동원고 반송장치 KR920010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301883 1988-11-29
JP63301883A JP2795322B2 (ja) 1988-11-29 1988-11-29 自動原稿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707A KR900007707A (ko) 1990-06-01
KR920010798B1 true KR920010798B1 (ko) 1992-12-17

Family

ID=1790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363A KR920010798B1 (ko) 1988-11-29 1989-11-28 자동원고 반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20037A (ko)
EP (1) EP0371688B1 (ko)
JP (1) JP2795322B2 (ko)
KR (1) KR920010798B1 (ko)
DE (1) DE6891540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7368B2 (ja) * 1989-07-10 1996-08-21 三田工業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JP5084411B2 (ja) * 2007-09-07 2012-11-28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用紙反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4690A (en) * 1971-07-20 1974-09-10 Canon Kk Device for separating copy carriers from a roll, drum or the like by means of a suction roll
GB1549285A (en) * 1976-06-25 1979-08-01 Xerox Corp Sheet handling apparatus
JPS5828765A (ja) * 1981-08-12 1983-02-19 Fuji Xerox Co Ltd 原稿のuタ−ン排出装置
US4411517A (en) * 1981-10-23 1983-10-25 Xerox Corporation Very high speed duplicator with document handling
US4621799A (en) * 1982-12-13 1986-11-11 Savin Corporatio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registration system therefor
JPS59212983A (ja) * 1983-05-18 1984-12-01 Tokyo Electric Co Ltd 紙片計数機の自動リトライ機構
JPS60178144A (ja) * 1984-02-21 1985-09-12 Toshiba Corp 原稿送り装置
US4766467A (en) * 1985-11-28 1988-08-23 Mita Industrial Co. Ltd.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and auxiliary unit capable of being detachably mounted thereon
US4699365A (en) * 1986-05-13 1987-10-13 Eastmak Kodak Company Recirculating document feeder
US4921236A (en) * 1986-06-05 1990-05-01 Ricoh Company, Ltd. Recycling automatic document feeder
JPS63196425A (ja) * 1986-09-01 1988-08-15 Ricoh Co Ltd 循環式自動原稿送り装置
JPS6393359U (ko) * 1986-12-06 1988-06-16
JPS63180630A (ja) * 1987-01-19 1988-07-25 Canon Inc 原稿自動搬送装置
JPS63252833A (ja) * 1987-04-03 1988-10-19 Ricoh Co Ltd 原稿自動循環給紙装置
JPS63252832A (ja) * 1987-04-03 1988-10-19 Ricoh Co Ltd 原稿自動循環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95322B2 (ja) 1998-09-10
EP0371688B1 (en) 1994-05-18
EP0371688A3 (en) 1990-07-04
US5120037A (en) 1992-06-09
EP0371688A2 (en) 1990-06-06
JPH02147559A (ja) 1990-06-06
DE68915405D1 (de) 1994-06-23
DE68915405T2 (de) 1994-11-17
KR900007707A (ko) 199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28866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KR920010798B1 (ko) 자동원고 반송장치
JPH0379536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2821000B2 (ja) 自動シート送り装置
JPS6221666A (ja) 原稿搬送装置
JP3339790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US4933717A (en) Document feeder
JPH0313483Y2 (ko)
JP3782474B2 (ja) 画像形成装置の原稿送り装置
JP2912794B2 (ja) 読取装置
JPH032529Y2 (ko)
JP3400538B2 (ja) 画像形成装置の原稿送り装置
JPH10203692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3531095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KR19990017998U (ko) 복합기의 클러치부 조립구조
JP2504654Y2 (ja) 原稿給送装置
JP2926416B2 (ja) 原稿自動送り装置
JP3547551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H09286547A (ja) 原稿搬送装置
KR0136430Y1 (ko)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JPH0639297B2 (ja) 反転給紙装置
JP2520205Y2 (ja) シ−ト搬送装置
JP3408387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H0223146A (ja) 原稿搬送装置
JPH08231066A (ja) 印刷装置の自動用紙搬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