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97B1 -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97B1
KR920008597B1 KR1019890016899A KR890016899A KR920008597B1 KR 920008597 B1 KR920008597 B1 KR 920008597B1 KR 1019890016899 A KR1019890016899 A KR 1019890016899A KR 890016899 A KR890016899 A KR 890016899A KR 920008597 B1 KR920008597 B1 KR 92000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closing mechanism
adf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624A (ko
Inventor
기요시게 가메다
Original Assignee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or webs of copy material through the apparatus or machin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07Holders for the original in copying cameras
    • G03B27/6221Transparent copy platens
    • G03B27/6228Platen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의 분해사시도.
제2도 제3도는 제1도의 개폐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
제4도 제5도는 종래의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그림.
제6도는 종래의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기구 2'2 : 본체측 지지부
3 : ADF측 지지부 4 : 용수철 부재
5 : 조정부재 6 : 본체
7 : ADF 20, 50 : 기본대
21, 22, 52, 53 : 옆쪽벽 23 : 지주
24 : 지지축 25, 26, 27, 57, 58 : 나사구멍
28 : 판 용수철 29, 51 : 위치결정부재
31 : 깊이벤부분 40, 41 : 코일 용수철
42, 43 : 걸림부재 44, 45 : 돌출축
54, 55 : 지지점 부재 56 : 조정용 보울트
59 : 긴구멍 61 : 부착구멍
62 : 가압판유리 63 : 본체의 상면
71 : 덮개 72 : 원고 반송벨트
73 : 손잡이 511 : 위치결정 부재의 아래쪽 끝 부분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등의 화상형성 장치에 설치되는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폐가 자유로운 자동원고 반송장치(이하 ADF라 칭한다)를 갖춘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등의 화상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ADF의 개폐기구로서 화상형성 장치 본체에 붙이고 떼는 것을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ADF의 개폐기구의 구성에 대해 제4도 제5도에 나타내는 옆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개폐기구(1)은 본체측 지지부(2') ADF측 지지부(3) 및 용수철 부재(4)로 구성된다. 본체측 지지부(2')는 기본대(20) 그 기본대(20)의 양쪽 측면 끝 부분을 위쪽으로 꼬부려서 형성한 옆쪽벽(22), 지주(23), 지지축(24) 및 위치결정 부재(29)를 갖고, 지주(23)은 기본대(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지주(23)이 화상형성 장치 본체(6)의 부착구멍(61)에 삽입되므로서 ADF(7)이 본체(6)에 장착된다. 지지축(24)는 기본대(20)의 뒤쪽에 마련되고, 하기하는 ADF측 지지부(3)을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위치 결정부재(29)는 기본대(20)의 앞쪽 끝부분 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고정시키고, ADF(7)이 닫힌때에 ADF(7)의 원고반송벨트(72)가 본체(6)과 거의 평행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ADF측 지지부(3)은 위쪽 끝부분을 ADF(7)의 덮개(71)의 내벽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지지축(24)에 의해 기본대(20)에 지지되고, ADF(7)이 지지축(24)를 중심으로 해서 열리도록 되어 있다.
또 ADF측 지지부(3)은 한쪽 끝을 깊이벤 부분(31)에 걸려있고, 다른쪽 끝을 본체측 지지부(2')에 걸린 하기의 용수철부재(4)에 의해 경사진 위쪽방향 즉, ADF(7)을 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하여 덮개(71)의 앞쪽 끝부분에 마련된 손잡이(73)을 예를 들면 ADF(7)의 중량에 비해 비교적 적은 힘 약 1.5kg h정도의 (F1)로 들어올리면, ADF(7)을 열수가 있게 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4)는 코일용수철(41) 및 걸림부재(42), (43)으로 되고, 덮개(72)측의 걸림부재(43)은 코일 용수철(41)의 한쪽 끝을 검과 아울러 가로 방향으로 돌출축(44)를 갖고 이 돌출축(44)에 의해 상기한 깊이벤 부분(31)에 걸리게 된다.
한편, 걸림부재(42)는 코일 용수철(41)의 다른쪽 끝을 검과 아울러 가로방향으로 돌출축(45)를 갖고, 이 돌출축(45)에 의해 걸림부재(42)는 본체축 지지부(2')에 걸리게 된다.
그리하여, 코일 용수철(41)은 걸림부재(42), (43)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걸려 이 코일 용수철(41)의 용수철의 힘에 의해 ADF측 지지부(3)은 경사진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 ADF(7)이 예를 들면 60°~70°의 각도로 열린 때에 코일 용수철(41)의 용수철의 힘과 ADF(7)의 중량이 균형이 잡혀서 상기한 각도에서 정지하도록 코일 용수철(41)의 용수철의 힘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에 있어서는 ADF(7)을 열기 위한 힘(F)를 될수 있는한 적게하고, 또한 ADF(7)이 중력에 의해 닫힌때의 충격을 적게하기 위해 코일 용수철(41)의 용수철의 힘을 크게 설정해서 ADF(7)을 경사진 위쪽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크게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41)의 용수철의 힘이 가장 커지는 ADF(7)이 닫힌 상태인데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DF(7)의 덮개(71)이 휘게된다.
이 때문에 ADF(7)의 개폐기구(1)측이 가압판 유리(62)로 부터 떠올라 ADF(7)의 원고 반송벨트(72)가 본체에 대해 평행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원고를 가압판 유리(62)에 확실하게 반송할 수 없다는 일이있다. 이 대책으로서 덮개(71)을 철판 알루미늄판등의 강한 물체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철판등으로 형성하면 중량이 커지고, 이 때문에 코일 용수철(41)의 용수철의 힘을 더욱 증가시키고 또한 개폐기구(1) 전체의 강한성질도 일층 강화하지 않으면 안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 ADF(7)을 담은 상태에서는 코일 용수철(41)의 용수철의 힘에 의해 걸림부재(42)는 코일 용수철(41)에 의해 경사진 아래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지지축(24)를 지지점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의 회전유력(moment)이 지주(23)에 걸리게 된다.
그 위에 본체(6)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주(23)의 전후의 폭은 부착구멍(61)의 내경 보다도 약간적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지주(23)은 아래쪽 끝부분을 부착구멍(61)의 뒤쪽벽의 하부에 다시 또 지주(23)의 위쪽 끝부분을 부착구멍(61)의 앞쪽벽의 상부에 눌러 접합 되도록 앞쪽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한다.
이 때문에 지주(23)은 ADF(7)에 대해 앞쪽으로 경사지게 되고, 그 때문에 ADF(7)은 앞쪽으로 눌려서 본체(6)에 대해 앞쪽으로 어긋나고, 그에 따라 본체(6)의 가압판 유리(62)로 반송되는 원고도 앞쪽으로 어긋나게 된다. 이 대책으로서 지주(23)의 후면과 부착구멍(61)의 뒤쪽 벽과를 나사등을 사용해서 고정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나사등으로 고정시키는 수고 및 시간이 걸리고, ADF(7)를 붙였다 떼는 일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없음과 아울러 나사등의 부품의 수가 늘어서 비용이 더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원고를 가압판 유리에 확실하게 반송시킬수가 있는 비교적 낮은 가격의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는 본체의 부착구멍에 대해 붙였다 떼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주를 갖는 본체측 지지부와 코일 용수철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ADF측 지지부와 이 ADF측 지지부를 상기한 본체측 지지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한 지지축과 상기한 본체와의 간격을 결정하는 위치결정 수단과 이 위치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한 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정수단을 갖춘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에 의하면 위치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지지축과 본체와의 간격을 조정수단을 사용해서 변경하므로서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측을 아래쪽으로 내릴수가 있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의 용수철의 힘을 크게한 경우에 생기는 자동원고 반송장치가 휘는 것을 해소하고, 본체에 대해 자동원고 반송장치와 원고 반송벨트를 평행하게 할수 있고, 원고를 가압판 유리에 확실하게 반송시킬수가 있다.
또, 본체의 부착구멍에 대해 지주가 삽입되므로서, 그 본체에 장착됨과 아울러 코일 용수철에 의해 위쪽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서 개폐되는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와 상기한 부착구멍과의 사이에 상기한 지주와 상기한 부착구멍의 벽을 눌러접합시키는 탄성부재를 사이에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에 의하면, 본체의 부착구멍에 대해 지주가 삽입된때에 상기한 지주와 상기한 부착구멍의 벽이 눌러 접합되기 때문에 자동원고 반송장치가 상기한 부착구멍에 대해 붙였다 떼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원고를 가압판 유리에 정확하게 반송시킬 수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ADF의 개폐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그림중 제4도, 제5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물건을 나타낸다. 개폐기구(1)은 본체측 지지부(2) ADF측 지지부(3) 용수철 부태(4) 및 조정부재(5)로 구성된다. 본체측 지지부(2)는 기본대(20) 그 기본대(20)의 양쪽 끝부분을 위쪽으로 꼬부려서 형성한 옆쪽벽(21), (22) 지주(23) 및 지지축(24)로 구성된다. 기본대(20)의 적절한 위치에는 나사구멍(25)가 마련되고 이 나사구멍(25)는 안쪽 나사가 잘려 하기의 조정용 보울트(56)이 나사끼움 되도록 되어 있다. 옆쪽벽(21)의 적절한 위치에는 나사구멍(26)이 마련되고, 이 나사구멍(26)의 내경은 하기의 지지점 부재(54)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하기에는 지지점 부재(54)가 움직일수 있도록 관통된 다음에 하기하는 나사구멍(57)에 나사끼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옆쪽벽(22)의 적절한 위치에는 나사구멍(27)이 마련되어 이 나사구멍(27)은 안쪽 나사가 잘려 하기의 지지점 부재(55)가 조여 넣어져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지주(23)은 단면이 그 "그"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개방부가 앞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체(6)의 부착구멍(61)에 삽입되므로서 ADF(7)이 본체(6)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판 용수철(28)(탄성부재)은 예를 들면 단면이 "U"자 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블룩한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쪽 끝이 지주(23)내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지주(23)이 본체(6)의 부착구멍(61)에 삽입된때에 판 용수철(23)의 다른쪽 끝이 부착구멍(61)의 앞쪽의 내벽에 눌러 접합되도록 되어 있고, ADF(7)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있다. 조정부재(5)는 기본대(50)의 앞쪽 끝부분을 아래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꼬부려서 형성 한 위치결정부(51) 기본대(50)의 양쪽끝 부분을 위쪽으로 꼬부려서 형성한 옆쪽벽(52), (53) 나사등으로 된 지지점 부재(54), (55) 및 조정부재(5)와 본체측 지지부(2)와를 연결시키는 조정용 보울트(56)으로 구성된다. 위치결정부(51)은 개폐기구(1)의 본체(6)에 장착된 때에 위치결정부(51)의 아래쪽 끝부분(511)이 본체(6)의 상면(63)에 맞닿도록 형성된다.
또, 코일 용수철(40), (41)의 용수철의 힘에 의해 걸림부재(42)를 거쳐 본체측 지지부(2)가 경사지게 아래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이 가해진 힘에 의해 상기한 아래쪽 끝부분(511)을 지지점으로 해서 본체측 지지부(2)에 시계방향의 회전우력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옆쪽벽(52)의 적절한 위치에는 나사구멍(51)이 마련되어 이 나사구멍(57)은 안쪽나사가 잘려서 지지점 부재(54)가 나사구멍(25)을 거쳐 나사구멍(57)에 조여 넣어졌을때 조정부재(5)가 본체측 지지부(2)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옆쪽벽(53)의 옆쪽벽(52)의 나사구멍(5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나사구멍(58)이 마련되고, 이 나사구멍(58)의 내경은 지지점 부재(55)의 외경보다도 크게되도록 형성되고, 전기한 나사구멍(27)에 고정된 지지점 부재(55)의 앞쪽 끝부분이 움직일 수 있게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점 부재(54)가 나사구멍(26)을 거쳐서 나사구멍(57)에 느슨하게 조여 넣어지고, 다시 또 지지점 부재(55)가 나사구멍(27)을 거쳐 나사구멍(58)에 움직일 수 있게 관통된 때에 조정부재(5)는 지지점 부재(54), (55)를 축으로 해서 본체측 지지부(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된다.
또, 기본대(50)의 적절한 위치에는 긴구멍(59)이 길이방향이 기본대(50)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조정용 보울트(56)이 스프링와셔등을 사이에 끼워서 상기한 긴구멍(59)에 움직일 수 있게 관통된다. 그리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정용 보울트(56)이 풀리고 위치결정부(51)의 아래쪽 끝부분(511)을 지지점으로 해서 ADF(7)이 아래쪽 방향으로 내려진 때에 기본대(50)이 조정용 보울트(56)의 머리부분에 항상 접하도록 지지점 부재(54), (55)를 축으로 해서 조정부재(5)가 기울도록 하고 있다.
또, 지지점 부재(54)를 나사구멍(57)에 조여 넣은때에 조정부재(5)는 본체측 지지부(2)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점 부재(54), (55)를 리벳등으로 형성해서 지지점 부재(54)를 나사구멍(26), (57)에 움직일 수 있게 관통시키고 지지점 부재(55)를 나사구멍(27), (58)에 움직일 수 있게 관통시켜서 조정부재(5)를 본체측 지지부(2)에 대해서 항상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해도좋다. 그리하여 조정용 보울트(56)이 소정의 양만큼 본체측 지지부(2)의 나사구멍(26)에 조여 넣어져서 본체(6)과 ADF(7)과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긴구멍(59)는 조정용 보울트(56)이 풀리고 조정부재(5)가 기울어진 때에 조정용 보울트(56)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즉,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조정용 보울트(56)을 조여넣은 상태로 본체(6)에 장착되면 코일 용수철(40), (41)의 용수철의 힘에 의해 ADF(7)이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덮개(71)이 휘고, 원고 반송벨트(72)의 개폐기구(1)측이 가압판 유리(62)로 부터 떠오른다. 이 상태에서 개폐기구(1)을 열어서 조정용 보울트(56)을 위로 부터 풀면 위치결정부(51)의 아래쪽 끝부분(511)을 지지점으로 하는 시계방향의 회전우력에 의해 지주(23)이 부착구멍(61)에 따라 내려안고 ADF측 지지부(3)을 거쳐 덮개(71)을 본체측 지지부(2)에 연결한 지지축(24)가 아래쪽 방향으로 내려가고 그 결과 덮개(71)의 개폐기구(1)측이 아래쪽 방향으로 내려간다. 그리하여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용 보울트(56)을 조정하여 ADF(7)을 닫은때에 원고 반송벨트(73)와 가압판 유리(62)가 평행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ADF(7)을 본체(6)에 장착한 상태로 개폐기구(1)을 열어서 조정용 보울트(56)을 위로부터 풀어서 저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간단한 수순으로 본체(6)에 대해 원고 반송벨트(72)를 평행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조정부재(5)는 비교적 간단히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개폐기구(1)을 낮은 가격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본체(6)의 부착구멍(61)에 대해 붙였다 떼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주(23)을 갖는 본체측 지지부(2), (2')와 코일 용수철(40), (41)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ADF(7)측 지지부(3)와 이 ADF(7)측 지지부(3)을 상기한 본치측 지지부(2), (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지지축(24)과 상기한 지지축(24)과 상기한 본체(6)과의 간격을 결정하는 위치결정 수단과 이 위치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한 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정수단을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2. 본체(6)의 부착구멍(61)에 대해 지주(23)가 삽입되므로서 그 본체(6)에 장착됨과 아울러 코일 용수철(40), (41)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서 개폐되는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1)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23)과 상기한 부착구멍(61)과의 사이에 상기한 지주(23)와 상기한 부착구멍(61)의 벽을 눌러 접합시키는 탄성부재(28)를 사이에 끼운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조정수단이 보울트(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KR1019890016899A 1988-11-26 1989-11-18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KR920008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98496 1988-11-26
JP88-298496 1988-11-26
JP63298496A JPH081511B2 (ja) 1988-11-26 1988-11-26 自動原稿送り装置の開閉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624A KR900007624A (ko) 1990-06-01
KR920008597B1 true KR920008597B1 (ko) 1992-10-02

Family

ID=1786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899A KR920008597B1 (ko) 1988-11-26 1989-11-18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03347A (ko)
EP (1) EP0371689B1 (ko)
JP (1) JPH081511B2 (ko)
KR (1) KR920008597B1 (ko)
DE (1) DE689170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9967B2 (ja) * 1989-11-28 1998-02-04 三田工業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JPH04245260A (ja) * 1991-01-31 1992-09-01 Konica Corp 複写装置
US5292113A (en) * 1991-09-30 1994-03-0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utomatic document feeder
JP3131702B2 (ja) * 1991-09-30 2001-02-0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JP2575978B2 (ja) * 1991-10-09 1997-01-29 三田工業株式会社 原稿押えの支持構造
JP2656187B2 (ja) * 1992-04-07 1997-09-24 三田工業株式会社 複写機
US5621501A (en) * 1993-10-25 1997-04-15 Canon Kabushiki Kaisha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an automatic original feeding apparatus
JP3266426B2 (ja) * 1994-10-11 2002-03-18 株式会社リコー 複写機の原稿押え装置
JP3641357B2 (ja) * 1997-09-24 2005-04-20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6263542B1 (en) * 1999-06-22 2001-07-24 Lam Research Corporation Tolerance resistant and vacuum compliant door hinge with open-assist feature
US7418766B2 (en) * 2004-12-22 2008-09-02 Xerox Corporation Hinge with tandem pivot structure motion lock and override
US7016640B1 (en) * 2005-06-13 2006-03-21 Xerox Corporation Document handler/scan tub skew correction system
JP5569925B2 (ja) * 2009-08-20 2014-08-1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装置の抜け防止機構並びにこの抜け防止機構を備えた事務機器
US10221603B2 (en) * 2017-04-13 2019-03-05 Weber Knapp Company Counterbal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2031A (en) * 1930-06-30 1934-06-05 Edwin S Porter Motion picture camera
US2339202A (en) * 1941-01-27 1944-01-11 Bell & Howell Co Photographic camera
US3601335A (en) * 1970-02-02 1971-08-24 Minnesota Mining & Mfg Film cartridge
JPS506787B1 (ko) * 1970-12-07 1975-03-18
UST920009I4 (en) * 1972-04-30 1974-03-05 Control means for a sound motion picture camera
JPS5330324A (en) * 1976-09-01 1978-03-22 Canon Inc Original thrusting device
EP0062798B1 (en) * 1981-03-31 1986-07-30 Mita Industrial Co. Ltd. Improvement i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S5821766A (ja) * 1981-07-31 1983-02-08 Fuji Xerox Co Ltd プラテン部間隔維持装置
US4853750A (en) * 1987-02-26 1989-08-01 Sharp Kabushiki Kaisha Document holder for a copier and hinge mechanism therefor
JPS63210836A (ja) * 1987-02-26 1988-09-01 Sharp Corp 原稿押さえ装置の開閉機構
JPS63210921A (ja) * 1987-02-27 1988-09-01 Sharp Corp 原稿押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624A (ko) 1990-06-01
EP0371689A2 (en) 1990-06-06
US5003347A (en) 1991-03-26
EP0371689A3 (en) 1991-01-30
DE68917096T2 (de) 1995-01-26
JPH02144530A (ja) 1990-06-04
JPH081511B2 (ja) 1996-01-10
EP0371689B1 (en) 1994-07-27
DE68917096D1 (de) 199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597B1 (ko) 자동원고 반송장치의 개폐기구
IE67875B1 (en) A printer
KR930008530A (ko)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기기에 사용되는 카세트
EP0221596A1 (fr) Dispositif d'équilibrage et de mise en sécurité du couvercle d'un meuble de classement vertical de plans
GB2281939A (en) Spring hinge with adjustable spring force
US5026186A (en) Vibrat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absorbing vibration and for locking vibrating unit against movement
JP3930267B2 (ja) ヒンジ装置
US4646383A (en) Synthetic resin spacer for connecting parallel plates at predetermined space
KR970006333B1 (ko) 펜플로터의 구동 모터용 자동 조정 모터 장착부
CN107269676B (zh) 铰链及具备此铰链的办公机器
KR920003448Y1 (ko) 팩시밀리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cis) 고정용 가이드 브라켓트
JPH09106014A (ja) 原稿圧着板の取付装置
JPS6237740Y2 (ko)
JPH05297665A (ja) 画像形成装置
US2878694A (en) Lathe drill attachment
KR0121887Y1 (ko) 액정표시 모듈의 충격흡수장치
JP2615165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の開閉機構
KR950008422Y1 (ko) 자동원고 이송장치의 개폐장치
JPH09105267A (ja) 原稿圧着板の取付装置
KR200144473Y1 (ko) 사무기기의 경사급지 카세트 커버장치
JPH0545739Y2 (ko)
JP2001127458A (ja) 自立型装置の転倒防止機構
JPS61254371A (ja) ロ−ル紙収納ケ−スの取付構造
KR920002654Y1 (ko) 모니터의 스탠드장치
JPS6033016Y2 (ja) ラベル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