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862B1 -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 - Google Patents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862B1
KR920007862B1 KR1019880014657A KR880014657A KR920007862B1 KR 920007862 B1 KR920007862 B1 KR 920007862B1 KR 1019880014657 A KR1019880014657 A KR 1019880014657A KR 880014657 A KR880014657 A KR 880014657A KR 920007862 B1 KR920007862 B1 KR 92000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connector
lever
mirro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959A (ko
Inventor
신지 하바
히토시 가나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기세이사쿠쇼
무라세 하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기세이사쿠쇼, 무라세 하루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기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890007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comprising means for aligning the optical axis
    • G02B7/1824Manual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6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의 일부를 절개해서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제1도의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를 부분절개해서 도시한 평단면도,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사이의 연결부위 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제5도를 화살표ⅵ 및 ⅶ 방향에서 본 평면도 및 측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의 사시도 및 부분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의 1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버 1a : 조작노브
1b : 구형지지체 1c : 구형부
2 : 제1연결부재 2a : 포지부
2b : 구형지지체 2c : 축부
2d : 구형부 2e : 슬릿
2f : 굵은 네크부 2g : 가는네크부
2h : 지지축 2i : +자형상축부
2j, 2k : 축부 3 : 제1연결구
3a : 구형지지체 3c : 포지부
3d : 지지축 4 : 미러본체
5 : 미러홀더 6 : 미러홀더 지지부재
8 : 브라켓 8a : 돌출부
8b : 지지벽 8c : 홈
10 : 제2연결부재 10a : 축부
10b : 판부 10c : 구멍
10d : 구형부 10e : 포지부
11 : 도어미러케이스 14 : 안내봉
14a : 구형부 15 : 판스프링
20 : 제2연결구 20m : 가는네크부
20n : 구형부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도어미러의 미러본체각도를 조정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버를 상하좌우로 요동조작해서 미러홀더를 상하축선 및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요동시켜 미러홀더에 지지된 미러본체의 기울기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도어미러각도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레버를 손으로 요동조작해서 도어미러각도를 조정하는 기구로서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는바, 그 예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제63-45336에 기재된 도어미러각도조정기구를 들 수 있다.
즉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러본체(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하는 미러홀더(45)가 그 구형부(球型部; 45a)를 중심으로 미러케이스(51)에 대해 기울여질 수 있도록 지지됨과 더불어 미러홀더(45)를 기울어지게 조작하는 수동레버(41)가 미러케이스(51)에 쉽게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면서, 이 레버(41) 앞끝의 원통형상연결부(41a)에 제1연결부재(42)의 구형부(42a)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42)가 제2연결부재(49) 및 제3연결부재(50)를 매개로 상기 미러홀더(45)에 연결되어, 레버(41)를 상하수평방향으로 요동조작하게 되면 미러홀더(45)가 상기 구형부(45a)를 중심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미러본체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미러각도조정기구는, 레버(41) 조작중에 이 레버(41)의 원통형상연결부(41a)로부터 제1연결부재(42)의 구형부(42a)의 구체가 빠져나와 미러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서는, 상기 레버(41)의 원통형상연결부(41a)를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시켜 이 원통형상연결부(41a)로부터 상기 구형부(42a)의 구체가 빠져나오기 어렵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레버(41)의 자유도 즉 요동범위가 좁아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레버의 요동조작중 레버와 연결부재의 연결이 빠지지 않아 미러본체의 각도의 기울임동작조정이 원할하고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도어미러의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미러케이스에 미러본체를 지지하는 미러홀더가 기울여질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이 미러홀더를 기울임조작하기 위한 레버가 쉽게 요동할 수 있도록 갖춰지면서, 이 레버가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미러홀더를 그 상하축선 및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미러본체의 경사각을 조정하도록 된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그 중간에 형성된 요동지지점역할을 하는 구형지지체에 의해 상기 미러케이스에 쉽게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면서 한쪽 끝에조작노브를 다른쪽에는 연결부를 갖추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그 중간의 구형지지체가 지지축에 의해 상기 도어미러케이스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축이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미러케이스에 지지됨과 더불어 그 한쪽 끝에 연결부를 갖추면서, 상기 레버의 다른쪽 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한쪽 연결부중 어느 한쪽 연결부에 구형부가 구비되는 한편 다른쪽 연결부에는 상기 구형부를 감싸안아 보유지지하는 포지부가 구비되어, 이들양 연결부가 상기 레버 또는 제1연결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은 못하고 상대적으로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쉽게 굽혀지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레버와 제1연결부재가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2연결부재는 축부와 이 축부로부터 상기 미러홀더 뒤쪽으로 돌출시켜진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부가 상기 미러홀더의 이면에 상기 상하축선을 따라 배치된 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미러홀더의 수평축선상에 연결부가 구비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다른쪽끝 연결부에 상기 구형부를 상기 상하축선 및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감싸안아 보유지지하는 포지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레버의 한쪽 끝에 설치된 조정노브를 아랫쪽으로 요동시키면, 레버의 다른쪽끝이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한쪽끝과 함께 윗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의 다른쪽 끝에 대해 제1연결부재의 한쪽끝이 상대적으로 회동해서 이들 양 부재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재가 그 구형부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요동해서 이 제1연결부재의 다른쪽끝이 상기 제2연결부의 연결부와 함께 아랫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다른쪽끝 연결부에 대해 제2연결부재의 연결부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양 부재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미러홀더를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1연결부재와 레버사이의 미러케이스에 대해 수평방향의 편차가 생기면, 상기 제1연결부재의 지지점인 구형지지체가 지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의 조작노브를 수평면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레버의 다른쪽끝 연결부가 제1연결부재의 한쪽끝과 함께 일체로 상기 레버조작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레버의 다른쪽끝 연결부가 제1연결부재의 한쪽끝과 함께 일체로 상기 레버조작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요동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한쪽끝이 레버의 다른쪽 끝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해서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에 따라 제1연결부재가 그 지지점인 구형지지체를 수평면내에서 회전하게 되어 그 다른쪽 끝에 대해 제2연결부재의 연결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함과 더불어 제2연결부재의 축부가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러홀더에 대해 회전하여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상기 미러홀더를 상하축선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1연결부재와 레버사이에서 미러케이스에 대해 수평방향의 편차가 생기면, 상기 제1연결부재의 구형지지체가 지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그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레버의 다른쪽 연결부와 제1연결부재의 한쪽끝 연결부중 어느 한쪽에 구형부가 갖춰지는 한편 다른쪽 연결부에는 구형부를 이탈되지 않도록 감싸 보유지지하는 포지부가 갖춰짐으로써 양 연결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레버의 자유도, 즉 레버의 요동범위가 규제받지 않고 레버와 제1연결부재사이의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각 부재간의 연결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 제1연결부재와 레버사이에 회동시에 수평방향의 편차가 생겨도, 제1연결부재의 구형지지체가 미러케이스에 대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그 편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가 있게 되어, 상기 미러홀더를 상하축선 및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무리없이 원할하고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레버의 요동조작으로 무리없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미러홀더를 상하축선 및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시켜 미러본체의 경사각도를 정확히 조정할 수 있게 되고, 또 부품수가 종래의 것에 비해 줄어들게 되어 구조가 보다 간단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제1연결부재가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로 이루어지면서, 제1연결구의 양 끝에 연결부를 구비하는 한편 중간에 형성된 요동지지점인 구형지지체의 지지축에 의해 도어미러케이스에 상하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요동하고 상기 지지축이 상기 도어미러케이스에 지지됨과 더불어,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연결구는 한쪽 끝에 연결부를 갖추는 한편 다른쪽끝에는 상기 연결부를 갖추고 중간에는 중심점으로 되는 구형지지체를 갖추면서, 상기 레버의 다른쪽끝 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구의 한쪽끝 연결부중 어느 한쪽에 구형부를 갖투는 한편 다른쪽 연결부에 상기 구형부를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감싸 보유지지하는 포지부를 갖추어, 상기 양 연결부가 상기 레버 또는 제1연결구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굽혀지면서도 빠지지않도록 상기 레버와 제1연결구가 연결되고, 제1연결구의 다른쪽끝 연결부와 제2연결구의 한쪽끝 연결부중 어느 한쪽 연결부에 구형부가 갖춰지는 한편 다른쪽 연결부에는 상기 구형부를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감싸 보유지지하는 포지부가 갖춰져, 이들 양 연결부가 상기 제1연결구 또는 제2연결구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쉽게 굽혀지기는 하지만 이탈되지는 않도록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의 한쪽 끝에 고정된 조작노브를 아랫쪽으로 요동시키면, 레버의 다른쪽끝이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연결구 한쪽끝과 함께 윗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의 다른쪽 끝에 대해 제1연결구의 한쪽끝이 상대적으로 회동해서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연결구가 그 중간의 요동지지점인 구형지지체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요동해서 제1연결구의 다른쪽끝이 상기 제1연결구의 연결부와 함께 아랫쪽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연결부에 대해 제2연결구의 연결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해서 양 부재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구가 그 중간 구형지지체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요동해서 이 제2연결구의 다른쪽끝 연결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연결부와 함께 아랫쪽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제2연결구의 다른쪽끝 연결구에 대해 제2연결부재의 연결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해서 양 부재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미러홀더를 그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1연결구와 제1연결구 및 레버사이에서 도어미러케이스에 대해서 수평방향편차가 생기게 되면, 상기 제1연결구의 구형지지체 및 상기 제2연결구의 구형지지체가 각 지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해서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의 조작노브를 수평면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레버의 다른쪽끝 연결부가 제1연결구의 한쪽끝과 함께 일체적으로 상기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요동하면서 상기 레버의 다른쪽 끝에 대해 제1연결구의 한쪽끝이 상대적으로 회동해서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동에 따라 제1연결구가 중간에 형성된 구형지지체를 중심으로 수평면내에서 회전하면서 제1연결구의 다른쪽끝 연결부가 제2연결구의 한쪽끝과 함께 일체적으로 요동하고, 또 상기 제1연결구의 다른쪽 끝에 대해 제2연결구의 한쪽끝이 상대적으로 회동해서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제2연결구가 구형지지체를 중심으로 수평면내에서 회동하는 한편, 다른쪽끝에 대해 제2연결부재의 연결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함과 더불어 제2연결부재의 축부가 이 축을 중심으로 미러홀더에 대해 회전해서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상기 미러홀더를 상하축선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 및 레버사이에서 미러케이스에 대해 수평방향의 편차가 생기면, 상기 제1연결구의 구형지지체 및 상기 제2연결구의 구형지지체의 지지축이 각 지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레버의 다른쪽끝 연결부와 제1연결부재의 한쪽끝 연결부중 어느 한쪽 연결부에 구형부가 갖춰지는 한편 다른쪽 연결부에 상기 구형부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감싸보유지지하는 포지부가 갖춰져 양 연결부가 빠지지 않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제1연결부재가 2개의 연결구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양 부재사이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의 자유도 즉 요동범위가 규제되지 않게 되어, 레버와 제1연결부재 사이의 연결 또는 제1연결부재의 상기 양 부재사이의 연결이 각각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각 부재간의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1연결부재와 레버의 사이 및 상기 제1연결부재의 양 연결구 사이의 회동시에 각각 수평방향 편차가 생기더라도 제1연결부재 및 이 제1연결부재의 각 구형지지체가 미러케이스에 대해 각각 자유로이 이동하기 때문에, 편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미러홀더가 항상 상하 및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원할하고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레버의 요동조작으로 무리없이 원할하고 확실하게 미러홀더를 상하축선 및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시켜 미러본체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종래의 장치에 비해 부품수가 적어지게 되어 구조가 보다 간단해지게 된다.
또 레버를 윗쪽으로 요동시키면 미러본체가 윗쪽을 향해 회동하게 됨과 더불어, 레버를 앞으로 즉 차체 뒤쪽으로 요동시키면 미러본체의 바깥쪽부분이 조작자쪽을 향해 지고, 레버를 차체 앞쪽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미러본체의 바깥쪽부분이 조작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레버의 조작방향과 미러본체의 회동방향이 조작자의 감각과 합치되어 조작자로서는 조작하기가 쉬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의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이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한 것에 지나지 않고 기준축의 선정에 따라 "상하방향"이란 용어가 "수평방향"을 "수평방향"이란 용어가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상기 장치의 수직축이 자동차의 수평축을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또 장치의 수평축이 자동차의 수직축을 따라 배열되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미러조립체의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의 사시도와 일부분을 절개해서 도시한 평단면도, 축단면도 및 정단면도로서, 미러본체(4)를 지지하는 미러홀더(5)각 그에 형성된 구형부(5a)를 중심으로 도어미러케이스(11)에 대해 기울여질 수 있게 지지됨과 더불어, 미러홀더(5)를 기울이기 위한 레버(1)가 미러케이스(11)에 쉽게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면서 이 레버(1)가 제1연결부재(2) 및 제2연결부재(10)를 매개로 상기 미러홀더(5)에 연결되어, 레버(1)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미러홀더(5)가 상기 구형부(5a)를 중심으로 기울어져 미러본체(4)의 각도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는 도어미러케이스(7)가 도어 등에 대해 고정시켜진 형식으로 된것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레버(1)는 단면이 대략 4각형인 4각봉체의 축방향 중간부위에 구형지지체(球型支持體; 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구형지지체(1b)가 도어 등에 고정된 브라켈(8)에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설치되면서, 한쪽 끝에 레버조작노브(1a)가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다른쪽끝부위가 한단 아래쪽으로 굽혀진 다음 그 앞 끝에 구형부(球形部 : 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는 대략 J자형상으로 굽혀진 부재로서, 그 축부(2C)의 축방향 중간부위에도 구형지지체(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 구형지지체(2b)는 이 지지체(2b)를 관통하는 지지축(2h)에 의해 상기 브라켈(8)의 돌출부(8a)에 고정된 한쌍의 지지벽(8b,8b)에 축지지됨과 더불어(제4도 참조), 서로 마주보는 양 지지벽(8b,8b)의 내면에는 벽면을 따라 지지축(2h)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홈(8c,8c)이 형성되어, 이들 홈(8c,8c)를 따라 상기 지지축(2h)이 이 지지축(2h)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연결부재(2)의 한쪽끝에는 굵은네크부(2f)를 매개로 연결부역할을 하는 포지부(抱持部 : 2a)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1)의 구형부가 포지부(2a)에 피봇식으로 끼워맞춰지도록, 즉 상기 포지부(2a)내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자유로이 회동하지만 레버(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빠지지도 않게 감싸안아 보유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포지부(2a)에는 다수의 슬릿(2e,-2e)이 형성되어 상기 구형부(1c)가 쉽게 끼워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레버(1)와 제1연결부재(2) 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는 상기 레버(1)의 구형부(1c)와 제1연결부재(2)의 포지부(2a)가 상대적으로 휘거나 회동함으로써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형부(1c)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상기 포지부(2a)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2)의 다른쪽끝부위는 윗쪽으로 2번 굽혀진 다음 뻣어 앞끝에 가는네크부(2g)를 매개로 구형부(2d)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1연결부재(2)가 상기 지지벽(8b,8b)에 대해 지지체(2b)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한편, 상기 레버(1)와 제1연결부재(2) 사이에 회동중심의 차이로 말미암는 수평방향의 편차가 생기더라도 상기 지지벽(8b,8b)에 형성된 홈(8c,8c)를 따라 전후로 이동해서 상기 레버(1)와 제1연결부재(2) 사이에 생기는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연결부재(10)는 미러홀더(5) 이면에 연결되는 축부(10a)와 이 축부(10a)에서 미러홀더(5) 뒤쪽방향으로 돌출된 판부(10b)로 이루어지면서, 축부(10a)가 미러홀더(5)의 이면에 형성된 구형부(5a)보다 차체에 가깝게 위치하면서 상하축(1) 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3개의 포지편(5b)으로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지만 미러홀더(5)의 상하방향 및 뒷방향에 대해서는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판부(10b)는 상기 축부(10a)에 상하부위가 면접착시켜져 일체로 형성되면서 그 절결구멍부(10c)내에 상기 포지편(5b)중 하나가 들어감과 더불어, 뒷끝부위에는 상기 판부(10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포지대(10d)가 형성되면서 이 포지대(10d)에 아래쪽으로 개구시켜진 종단면이 U자형상을 한 포지부(10e)가 형성되어, 이 포지부(10e)내에 상기 제1연결부재(2)의 구형부(2d )가 빠지지 못하도록 감싸안겨 보유지지 되어 제1연결부재(2)의 다른쪽끝과 일체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한편, 상기 구형부(2d)주위를 포지부(10e)가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어케이스(11)내에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미러케이스(11)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11a,11a)에 미러홀더지지부재(6)가 고정되어, 이 미러홀더지지부재(6)의 앞면쪽에 미러홀더(5)가 지지되면서 이 미러홀더(5)의 표면에 미러본체(4)가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이 미러홀더(5)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이면중앙부위에 구형부(5a)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구형부(5a)가 미러홀더지지부재(6)에 대해 상하축선(1) 및 수평축선(II)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받쳐지게 된다.
또 이 미러홀더(5) 이면의 구형부(5a)근방 이 미러홀더(5)의 상하축선(Ⅰ) 및 수평축선(Ⅱ)상에도 포지부(5D)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미러홀더지지부재(6)의 상기 각 포지부(5d)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 안내봉(14)이 미러홀더(5)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서 이들 각각 안내봉(14)의 안끝에 구형부(14a)가 각각 형성되어 이들 각 구형부(14a)가 상기 각 포지부(5d)내에 감싸져 보유지지됨으로써, 미러홀더(5)가 그 구형부(5a)를 중심으로 미러본체면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미러홀도(5)가 상하축선(Ⅰ) 및 수평축선(Ⅱ)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참조부호 15는 각 안내봉(14)의 측면을 미러홀더지지부재(6)에다 눌러 각 안내봉(14)의 이동에 일정한 저항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판스프링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도어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1)의 조작노브(1a)를 구형지지체(1b)를 중심으로 아랫쪽(A)으로 요동시키면, 레버(1)의 다른쪽끝 연결부인 구형부(1c)가 제1연결부재(2)의 포지부(2a)와 함께 도면중 윗쪽(A1)으로 요동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포지부(2a)가 상기 레버(1)의 구형부(1c)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되어 레버(1)와 제1연결부재(2) 상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상기 포지부(2a)를 윗쪽(A1)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즉 양 부재(1,2)의 연결점에서의 요동량이 다르게 되어, 연결수단인 구형부(1c)와 포지부(2a)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의 상호 접촉면에서는 필연적으로 회동량에 편차가 있게 마련이지만, 이 회동량 편차가 구형면접촉의 미끄럼현상으로 흡수되게 되어 상호간의 요동동작 연결이 원할히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2)의 다른쪽끝부위의 구형부(2d)가 아랫쪽(A2)으로 당겨져 이 제1연결부재(2)의 구형부(2d)를 중심으로 제2연결부재(10)의 포지부(10e)가 회동해서 양 부재(2,10)사이의 회동동작 편차를 흡수하면서 미러본체(5)를 수평축선(Ⅱ)을 중심으로 A3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레버(1)의 조작노브(1a)를 구형지지체(1b)를 중심으로 윗쪽(B)으로 요동시키면, 레버(1)의 다른쪽 끝에 형성된 구형부지지체(1c)가 제1연결부재(2)의 포지부(2a)와 함께 도면중 아랫쪽으로 요동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포지부(2a)를 아랫쪽(B1)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2)의 구형부(2d)가 윗쪽(B2)으로 밀어올려지게 되어 이 제1연결부재(2)의 구형부(2d)를 중심으로 제2연결부재(10)의 포지부(10e)가 회동해서, 양 부재(2,10)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미러본체(4)를 수평축선(Ⅱ)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레버()의 조작노브(1a)를 구형지지체(1b)를 중심으로 C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레버(1) 앞끝의 구형부(1c)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레버(1)와 제1연결부재(2) 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상기 포지부(2a)가 양 지지벽(8b,8b) 사이의 구형지지체(2b)를 중심으로 C1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 (2)의 다른쪽 끝에 형성된 구형부(2d)가 구형지지체(2b)를 중심으로 C2방향으로 회동해서 제2연결부재(10)를 끌어당겨 미러홀더(5)를 뒤쪽인 C2방향으로 끌어당겨 이동시키게 되어, 제1연결부재(2)의 구형부(2d)를 중심으로 제2연결부재(10)의 포지부(10e)가 회동하게 됨과 더불어 축부(10a)가 그 축을 중심으로 미러홀더(5)를 기준으로 C4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1연결부재(2)와 제2연결부재(10)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상기 미러홀더(5)를 상하축선(Ⅰ)을 중심으로 C2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또, 레버(1)의 조작노브(1a)를 구형지지체(1b)를 중심으로 D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레버(1)의 다른쪽 끝에 형성된 구형부(1c)가 회동해서 제1연결부재(2)의 포지부(2a)가 상기 구형부(1c)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되어, 레버(1)와 제1연결부재(2) 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가 흡수되면서 포지부(2a)가 구형지지체(2b)를 중심으로 D1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2)의 다른쪽 끝에 형성된 구형부(2d)가 D2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2연결부재(10)를 압압하여 미러홀더(5)를 그 뒤쪽인 D2방향으로 압압하여 이동시켜 제2연결부재(10)의 포지부(10e)가 제1연결부재(2)의 구형부(2d)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됨과 더불어 제2연결부재(10)의 축부(10a)가 그 축을 중심으로 미러홀더(5)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D4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연결부재(2)와 제2연결부재(10) 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미러홀더(5)를 상하축선(Ⅰ)을 중심으로 D3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각 조작에 있어서, 상기 레버(1)와 제1연결부재(2) 사이에 이들 양 부재(1,2)의 회동중심의 차이로 말미암아 수평방향으로의 편차가 생기게 되면, 제1연결부재(2)의 구형지지체(2b)가 지지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양 지지벽(8b,8b)내를 이동해서 상기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1)의 다른쪽 끝에 형성된 구형부(1c)가 제1연결부재(2)의 한쪽끝부위에 형성된 포지부(2a)내에 빠지지 않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1)와 제1연결부재(2) 사이의 회동시에 생기는 수평방향 편차가 제1연결부재(2)의 구형지지체(2b)가 브라켓(8)의 양 지지벽(8b,8b)에 대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가 있어서, 상기 미러홀더(5)가 상하축선(Ⅰ) 및 수평축선(Ⅱ)을 중심으로 무리없이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러본체각도를 보다 정확히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종래의 예에 비해 부품수가 적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여러형태로 변형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인바, 예컨대 상기 레버(1)의 다른쪽끝에다 구형부(1c) 대신 포지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제1연결부재(2)의 한쪽끝에다 포지부(2a) 대신 구형부를 형성시켜 양 부재(1,2)가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 제1연결부재(2)의 다른쪽끝에 구형부(2d) 대신 포지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제2연결부재(10e) 대신 구형부를 형성시켜도 좋다.
또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연결부재(2)의 구형부(2d) 대신 +자형상축부(2i)를 형성시킴과 더불어, 제2연결부재(10)의 포지부(10e) 대신 4면에 절결홈(10g,10g; 10h,10h)이 형성된 상자형 연결부(10f)를 구비시켜, 상기 +자형상축부(2i)이 홈(10g,10g)내에서 자유로이 회동하지만 이동은 할 수 없게 끼워지면서 홈(10h,10h)내에서 회동은 물론 이동도 자유롭게 삽입해서, 제1연결부재(2)가 제2연결부재(10)에 상하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동하면서 상하좌우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도 좋다.
또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2)를 2개 이상의 부재, 즉 제1연결구(3) 및 제2연결구(20)로 구성해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레버조작에 따라 미러본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즉 상기 제2연결구(20)는 그 한쪽끝에 가는네크부(20m)를 매개로 연결부역할을 하는 구형부(20n)가 형성되는 한편, 자동차도 어둠에 고정된 브라켓(9)의 상·하 1쌍의 지지벽(9c,9c) 사이 지지축(2h,2h)에 의해 상기 축지지됨과 더불어, 이들 서로 마주보는 양 지지벽(9c,9c) 의 내면에 벽면을 따라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9d)을 형성시켜, 이들 홈(9d)을 따라 상기 지지축(2h,2h)이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2h,2h)이 제2연결구(20)의 축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이 아니라 상항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연결구(3)는 대략V자형상으로 굽혀진 부재로 구성되면서 굽힘부위에 구형지지체(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 구형지지체(3a)는 구형지지체(3a)를 관통하는 지지축(3d)에 의해 상기 브라켓(9)의 상하 1쌍의 지지벽(9a,9a)에 축지지됨과 더불어, 서로 마주보는 양 지지벽(9a,9a)의 내면에 벽면을 따라 지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홈(9b,9b)이 형성되어, 이 홈(9b)을 따라 상기 지지축(3d)이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구(3)의 양끝에는 각각 연결부역할을 하는 포지부(2a,3c)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1)의 구형부(1c)와 상기 포지부(2a)가 앞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2연결구(20)의 구형부(20n)가 상기 제1연결구(3)의 포지부(3c)에 피봇끼움되어, 즉 상기 포지부(3c)내에 상대적으로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으면서 제1연결구(3) 또는 제2연결구(20)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이동하지 않고 빠지지도 않도록 감싸져 보유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 포지부(2a,3c)에는 슬릿(2e,-2e; 3f,-3f)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구형부(1c,20n)가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1)와 제1연결구(3) 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는 상기 레버(1)의 구형부(1c)와 제1연결구(3)의 포지부(2a)가 상대적으로 굽혀지거나 회동함으로써 흡수되게 되고, 제1연결구(3)와 제2연결구(20) 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는 상기 제2연결구(20)의 상대적으로 굽혀지거나 또는 회동함으로써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양 포지부(2a,3c)는 각각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컨대 레버(1)의 조작노브(1a)를 구형지지체(1b)를 중심으로 아랫쪽(A)으로 요동시키면, 레버(1)의 구형부(1c)가 제1연결부(3)의 포지부(2a)와 함께 도면중 윗쪽으로 요동하게 되어 상기 포지부(2a)가 레버(1)의 구형부(1c)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해서, 레버(1)와 제1연결구(3) 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상기 포지부(2a)를 윗쪽방향(A0)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구(3)의 다른쪽끝에 형성된 포지부(3c)가 상기 제2연결구(20)의 구형부(20n)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되어, 제1연결구(3)와 제2연결구(20) 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가 흡수되면서 상기 제1연결구(3)의 다른쪽끝에 형성된 포지부(3c)가 상기 제2연결구(20)의 구형부(20n)와 함께 아랫쪽(A1)으로 눌려내려지게 된다. 그리고 제2연결구(20)의 구형지지체(2B)를 중심으로 제2연결구(20)의 구형부(2D)가 윗쪽으로 회동해서 상기 제2연결부재(10)의 포지부(10e)가 제2연결구(20)의 구형부(2d)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제2연결부재(20)와 제2연결부재(10) 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가 흡수되면서 윗쪽방향(A2)으로 이동해서, 미러본체(4)를 수평축선(II)을 중심으로 A3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레버(1)를 B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상기와는 반대로 미러본체(4)가 B3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 레버(1)를 D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레버(1)의 구형부(1c)와 제1연결구(3)의 포지부(2a)가 Do방향으로 이동해서 제1연결구 (3)의 다른쪽 포지부(3c)와 제2연결구(20)의 구형부(20n)가 D1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연결구(20)의 구형부(2d )와 제2연결부재(10)의 포지부(10e)가 D2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미러본체(4)를 상하축선(Ⅰ)을 중심으로 D3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또 상기 레버(1)를 C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미러본체(4)가 상기와는 반대로 C3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각 상기 부재의 포지부는 이들 부재에 연결되는 다른 부재의 구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양 부재사이의 회동동작의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조작에 있어서, 상기 레버(1)와 상기 제1연결구(3) 사이에 양 부재(1,3)의 회동중심의 차이로 말미암는 수평방향의 편차가 생기면, 상기 제1연결구(3)의 구형지지체(3a)가 지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양 지지벽(9a,9a)내를 이동해서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또 상기 제1연결구(3)와 상기 제2연결구(20) 사이의 양 부재(3,20)의 회동중심의 차이로 말미암아 수평방향의 편차가 생기게 되면, 상기 제2연결구(20)의 구형지지체(2b)가 지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양 지지벽(9c,9c)내를 이동해서 편차를 흡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하면, 만일 레버(1)를 윗쪽으로 요동시키면 미러본체(4)가 윗쪽으로 회동하게 되고, 반대로 레버(1)를 아랫쪽으로 요동시키면 미러본체(4)가 아랫쪽으로 회전하게 됨과 더불어, 레버(1)를 차체 뒤쪽방향 요동시키면 미러본체(4)의 바깥쪽부분이 운전자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레버(1)의 조작방향과 미러본체(4)의 회동방향이 조작자의 감각과 일치하게 됨으로써,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보다 조작자가 조작하기 쉽게 된다.

Claims (3)

  1. 도어미러케이스(11)에, 미러본체(4)를 지지하는 미러홀더(5)가 기울여질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이 미러홀더(5)를 기울어지도록 조작하는 레버(1)가 쉽게 요동시켜질 수 있도록 구비되면서, 이 레버(1)가 제1연결부재(2) 및 제2연결부재 (10)를 매개로 상기 미러홀더(5)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1)의 요동조작으로 상기 미러홀더(5)를 이 미러홀더(5)의 상하축선(Ⅰ) 및 수평축선(Ⅱ)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미러본체(4)의 기울기 각도를 조정하도록 된 도어미러 미러각도 조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레버(1)가 그 한쪽 끝에 조작노브(1a)가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다른쪽끝에는 구형(1c )를 갖추어 중간의 요동지점이 되는 구형지지체(1b)에 의해 상기 도어미러케이스(11)에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2)는 한쪽 끝에 상기 레버(1)의 다른쪽끝 구형부(1c)를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감싸 보유지지하는 포지부(2a)를 갖추는 한편 다른쪽끝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10)의 한쪽끝 연결부와 연결되는 구형부(2d)를 갖추어, 중간의 요동지지점이 되는 구형지지체(2b)가 지지축(2h)에 의해 상기 도어미러케이스(11)에 지지됨으로써 이들 레버(1)와 제1연결부재(2)가 상기 구형부와 포자부(1c,2a)에 의해 상기 레버(1) 또는 제1연결부재(2)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는 쉽게 굽혀지기는 하지만 이탈하지는 못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10)는 축부(10a)와 이 축부(10a)에 의해 미러홀더(5) 뒤쪽방향으로 돌출된 판부(10b)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10a)가 상기미러홀더(5)의 이면에 상기 상하축선(Ⅰ)을 따라 배치되어 축부(10a)를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미러홀더(5)의 수평축선(Ⅱ)상에 상기 제1연결부재(2)의 다른쪽끝 구형부(2d)를 상기 상하축선(Ⅰ) 및 상기 수평축선(Ⅱ)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감싸 보유지지하는 포지부(10e)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2)가, 양쪽 끝에 포지부(2a,3c)를 갖추고서 그 중간요동지지점이 되는 구형지지체(3a)에 의해 상기 도어미러케이스(11)에 상하좌우방향으로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면서 이 구형지지체(3a)의 지지축(3d)에 의해 도어미러케이스(11)에 지지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제1연결구(3)와, 한쪽끝에 구형부(20n)를 다른쪽끝에는 구형부(2d)를 갖추면서 중간에는 요동중심점이 되는 구형지지체(2b)를 갖춘 제2연결구(20)로 이루어져, 상기 레버(1)와 상기 제1연결구(3)가 상기 레버(1)의 구형부(1c)와 상기 제1연결구의 한쪽끝 포지부(2a)에 의해 레버(1) 또는 제1연결구(3)가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쉽게 굽혀지기는 하지만 이탈하지 않도록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1연결구(3)와 상기 제2연결구(20)는 상기 제1연결구(3)의 포지부(3c)와 제2연결구(20)의 구형부(20n)에 의해 이들 제1연결구(3) 또는 제2연결구(2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는 휘어지지만 이탈하지 못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어 쌍을 이루는 상기 각 구형부(1c,2d,20n) 및 상기 각 포지부(2a,10e,3c)중 적어도 어느 한쌍의 구형부와 포지부가 상호 바뀌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
KR1019880014657A 1987-11-09 1988-11-08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 KR920007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091787 1987-11-09
JP62-170917 1987-11-09
JP?62-170917 1987-11-09
JP63-50196 1988-04-13
JP1988050196U JPH01136043U (ko) 1987-11-09 1988-04-13
JP?63-50196 1988-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959A KR890007959A (ko) 1989-07-06
KR920007862B1 true KR920007862B1 (ko) 1992-09-18

Family

ID=2639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657A KR920007862B1 (ko) 1987-11-09 1988-11-08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13543A (ko)
JP (1) JPH01136043U (ko)
KR (1) KR920007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0171A1 (de) * 1988-01-07 1989-07-20 Bernhard Mittelhaeuser Kraftfahrzeugrueckblickspiegel
US5182676A (en) * 1988-08-04 1993-01-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urn-over type rearview door mirror
DE8914759U1 (ko) * 1989-12-15 1991-04-11 Hohe Kg, 6981 Collenberg, De
JPH0467545U (ko) * 1990-10-18 1992-06-16
JP2588815Y2 (ja) * 1992-12-15 1999-01-20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ミラーのミラーホルダー支持構造
US5793543A (en) * 1992-06-04 1998-08-11 Kabushiki Kaisha Matsuyama Seisakusho Mirror angle adjusting device for automotive rearview mirror assembly
US5889624A (en) * 1996-05-01 1999-03-30 Paccar Inc Plug-in mirror
KR102073411B1 (ko) * 2015-09-18 2020-03-02 젠텍스 코포레이션 백미러 어셈블리용 토글 메커니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8483A (en) * 1982-07-19 1985-10-22 Ichikoh Industries Limited Automobile door mirror device having a buffer mechanism
JPH0620858B2 (ja) * 1984-11-08 1994-03-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可倒式ミラーの手動調整装置
JPS62203842A (ja) * 1986-03-04 1987-09-08 Murakami Kaimeidou:Kk タ−ンオ−バ−式ドアミラ−
JPH0732265Y2 (ja) * 1986-09-11 1995-07-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ドアミラーのミラー本体傾動調整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36043U (ko) 1989-09-18
US4913543A (en) 1990-04-03
KR890007959A (ko) 198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862B1 (ko) 도어미러 미러본체각도조정기구
US4660944A (en) Mirror angle adjusting arrangement
US4636045A (en) Manual adjusting device for tiltable outer mirror
KR100475243B1 (ko) 차량용 미러장치
US4783161A (en) Mirror angle adjusting device for door mirror assembly
JPS5856939A (ja) 車輛バツクミラ−用遠隔制御装置
JP4388342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H05118638A (ja) 風向制御装置
US5809839A (en) Shift lever device
KR0168549B1 (ko) 조향휠 높이조절장치
JP3890697B2 (ja) 模型用操縦装置のレバー自動復帰機構
JP7234423B2 (ja) 案内駆動装置を使用した表示装置
US4577823A (en)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rearview mirror
JPH08226534A (ja) オートチェンジのディテントスプリング構造
JPH10106398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H0121375Y2 (ko)
JP3608945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JPS6037856Y2 (ja) 自動車用ミラ−装置
JPH023009Y2 (ko)
JPH0310538B2 (ko)
JP2001080378A (ja) シフトレバーの支持装置
JP200031847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S6053445A (ja) 可倒式ミラ−の手動調整装置
JPH028837Y2 (ko)
JPS6040362Y2 (ja) リモ−トコントロ−ル式ミ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