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243B1 - 차량용 미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243B1
KR100475243B1 KR10-2002-0059807A KR20020059807A KR100475243B1 KR 100475243 B1 KR100475243 B1 KR 100475243B1 KR 20020059807 A KR20020059807 A KR 20020059807A KR 100475243 B1 KR100475243 B1 KR 10047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pivot receiving
receiving portion
spring member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714A (ko
Inventor
기쿠치아키토
츠야마오사무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6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23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24635A external-priority patent/JP4168658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피벗부가 피벗받이부의 내부 중공부에 압입 끼워맞춰짐으로써, 피벗받이부가 피벗부를 외측으로부터 싸서 넣는다. 또, 스프링부재가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에 끼워맞춰짐으로써, 피벗받이부가 피벗부를 외측으로부터 단단히 죄는 것이 된다. 이 결과, 피벗부의 외면과 피벗받이부의 중공부의 내면이 항상 확실하게 맞닿아서, 미러유닛이 유지부재에 대해 항상 안정된 상태에서 유지되고, 미러면을 소정의 경사위치에 항상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미러장치{MIRRO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용의 리어뷰 미러장치로서, 리모트 컨트롤로 미러면을 경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 방식의 차량용 미러장치, 또는, 수동으로 미러면을 경동시키는 수동식의 차량용 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및 본 명세서중, 「좌우」 혹은 「좌우방향」이란, 차량용 미러장치를 차량에 장치한 상태에서, 수직축 둘레의 「좌우」 혹은 「좌우방향」을 말한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 및 본 명세서중, 「상하」 혹은 「상하방향」이란, 차량용 미러장치를 차량에 장비한 상태에서, 수평축 둘레의 「상하」 혹은「상하방향」을 말한다.
이 종류의 차량용 미러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일본 특개평 8-104172호 공보(도 1, 도 4, 도 5 참조))에 기재된 것, 미국특허 제5,539,584호(도 4, 도 5 참조)에 기재된 것, 미국특허 제5,568,326호(도 1, 도 2, 도 4, 도 5, 도 11 참조)에 기재된 것, 미국특허 공보 제5,946,151호(도 4, 도 5 참조)에 기재된 것 등이 있다.
이 종류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일반적으로, 미러유닛이 피벗기구를 통해서 유지부재로서의 파워유닛에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경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상기 피벗기구는, 미러유닛측에 설치된 볼록구면(球凸面)과, 파워유닛측에 설치된 오목구면(球凹面)과,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볼록구면과 상기 오목구면을 상호 맞닿게 하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워유닛을 구동시킴으로써, 미러유닛이 파워유닛에 대하여, 상기 피벗기구의 볼록구면 및 오목구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 둘레에 좌우방향으로 경동하고, 또, 상기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축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경동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스프링력에 의해 볼록구면과 오목구면을 그냥 단지 맞닿게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스프링력의 작용방향과 역방향으로 스프링력보다도 큰 힘이 피벗기구에 작용하면, 볼록구면과 오목구면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서는, 미러유닛이 파워유닛에 대하여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되어, 미러면을 소정의 경사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차량용 미러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미러유닛이 유지부재(파워유닛)에 대하여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미러면을 항상 소정의 경사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미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러유닛, 유지부재의 어느 일방에 피벗받이부를 설치하고, 타방에 피벗부를 설치한다. 이 피벗받이부의 내부에 중공부를 설치함과 함께, 이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설치한다. 상기 피벗부를 상기 피벗받이부의 개구부로부터 중공부로 경동가능하게 압입 끼워맞춰지게 하고, 또한,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에 스프링부재를 끼워맞춰지게 하여, 상기 피벗받이부를 상기 피벗부에 단단히 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
이 결과, 본 발명은, 피벗부가 피벗받이부의 내부 중공부에 압입 끼워맞춰짐으로써, 피벗받이부가 피벗부를 외측으로부터 싸서넣고, 또, 스프링부재가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에 끼워맞춰짐으로써, 피벗받이부가 피벗부를 외측으로부터 단단히 죄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피벗부의 외면과 피벗받이부의 중공부의 내면이 항상 확실하게 맞닿아서, 미러유닛이 유지부재에 대하여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미러면을 항상 소정의 경사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용 미러장치의 실시형태의 1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자동차용의 리어뷰 미러장치로서, 리모트 컨트롤 방식의 차량용 미러장치에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 3~도 6에서, 부호「F」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서, 운전자측에서 본 전방을 나타낸다. 부호「B」는,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서, 운전자측에서 본 후방을 나타낸다. 부호「U」는, 운전자측에서 본 상측을 나타낸다. 부호「D」는, 운전자측에서 본 하측을 나타낸다. 부호「L」은, 운전자측에서 전방을 보았을 경우의 좌측을 나타낸다. 부호「R」은, 운전자측에서 전방을 보았을 경우의 우측을 나타낸다.
먼저,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용 미러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부호 1은,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용 미러장치, 이른바, 도어미러장치이다. 이 도어미러장치(1)는, 자동차의 도어(100)에 고정된 베이스(101)와, 이 베이스(101)에 대략 수직축 둘레에 경동가능하게 장비된 미러 어셈블리(10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의 도어미러장치(1)는, 자동차의 좌측의 도어(100)에 장비되는 좌측용의 도어미러장치로서, 우측용의 도어미러장치의 구성은, 이 좌측용의 도어미러장치(1)의 구성에 대해 대략 좌우 대칭으로 된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10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하우징(103)과, 이 미러하우징(103)에 스크루(104) 등에 의해 부착된 유닛브래킷(105)과, 이 유닛브래킷(105)에 스크루(106)등에 의해 부착된 유지부재로서의 파워유닛(3)과, 이 파워유닛(3)에 피벗기구(이른바, 센터피벗)(5)를 경동가능하게 부착된 미러유닛(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의 도어미러장치(1)는, 상기 미러유닛(2)이 상기 피벗기구(5)를 통해서 유지부재로서의 상기 파워유닛(3)에 경동가능하게 유지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러유닛(2)은, 동일하게,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면(반사면)을 갖는 미러몸체(107)와, 이 미러몸체(107)를 유지하는 미러홀더(108)와, 이 미러홀더(108)의 중앙부에 조립된 미러 홀더베이스(2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상기 미러홀더(108)와 상기 미러 홀더베이스(21)가 각각 별개의 구조물로서, 상기 미러홀더(108)의 중앙부에 상기 미러 홀더베이스(21)를 조립해서 일체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러홀더(108)와 상기 미러 홀더베이스(21)를 일체의 구조물로서 구성해도 좋다.
상기 미러 홀더베이스(21)에는, 도 2~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용의 피벗받이(23, 25)와, 상하용의 피벗받이(24)와, 피벗기구(5)의 피벗받이부(22)와, 좌우의 가이드축(26b, 26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벗받이부(22)는, 상기 미러 홀더베이스(21)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용의 피벗받이(23, 25)는, 상기 피벗받이부(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미러 홀더베이스(21)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하용의 피벗받이(24)는, 상기 미러 홀더베이스(2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가이드축(26b, 26b)은, 상기 피벗받이부(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미러 홀더베이스(21)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좌우의 가이드축(26b, 26b)은, 상기 피벗받이부(22)와 상기 좌우용의 피벗받이(23, 25)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부(26, 26)에서 좌우방향으로 걸쳐져 있다. 또한, 이 예의 미러 홀더베이스(21)는, 좌우의 도어미러장치에 공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피벗받이부(22)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용의 피벗받이(23)는, 이 예의 좌측용의 도어미러장치(1)의 파워유닛(3)에 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피벗받이부(22)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용의 피벗받이(25)는, 우측용의 도어미러장치의 파워유닛에 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파워유닛(3)은, 도 2~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분할케이스(31a, 31b)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 내에 내장되는 좌우 경동용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 및 상하 경동용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고)와, 좌우 경동용의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케이싱(31)으로부터 전진후퇴하는 좌우 경동용의 전진후퇴 로드(34)와, 상하 경동용의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케이싱(31)으로부터 전진후퇴하는 상하 경동용의 전진후퇴 로드(3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진후퇴 로드(34, 35)의 선단부에는, 대략 구형형상의 피벗(34b, 3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모터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나 하네스(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서 전원(도시하지 않음) 및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31)(분할케이스(31a))에는, 피벗기구(5)의 피벗부(37)와, U자 형상의 홈을 갖는 좌우의 가이드부(38, 3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벗부(37)는, 상기 케이싱(31)의 대략 중앙부(중앙부에서 약간 우방향근처의 개소)에 상기 피벗받이부(22)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가이드부(38, 38)는, 상기 피벗부(37)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싱(31)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좌우의 가이드축(26b, 26b) 및 개구부(26, 26)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 경동용의 전진후퇴 로드(34)는, 상기 케이싱(31)의 좌단부의 상기 가이드부(38)보다도 외측에 상기 좌우용의 피벗받이(23)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하 경동용의 전진후퇴 로드(35)는, 상기 케이싱(31)의 하단부에 상기 상하용의 피벗받이(24)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피벗기구(5)는, 상기 피벗받이부(22)와, 상기 피벗부(37)와, 스프링부재(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벗받이부(22)에 상기 피벗부(37)을 압입 끼워맞춰지게 하고, 또한, 상기 피벗받이부(22)에 상기 스프링부재(4)를 외측에서 끼워맞춰지게 한다. 또, 피벗받이(23, 24)에 전진후퇴 로드(34, 35)의 피벗(34b, 35b)을 압입 끼워맞춰지게 한다. 더욱이, 가이드축(26b, 26b)에 가이드부(38, 38)를 끼워맞춰지게 한다. 이것에 의해, 미러 홀더베이스(21), 즉, 미러유닛(2)가 피벗기구(5)를 통해서 유지부재로서의 파워유닛(3)에 좌우방향으로 및 상하방향으로 경동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이 된다.
상기 피벗기구(5)의 피벗부(37)의 일단측은, 도 3,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36)을 통해서 상기 파워유닛(3)의 케이싱(31)(분할케이스(31a))의 대략 중앙부에 일체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피벗부(37)의 외형은, 대략 구형형상을 이룬다. 상기 피벗부(37)의 타단측에는, 면취(面取)부(37b)가 상기 축부(36)의 축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이 면취부(37b)에 의해, 피벗부(37)의 외형은, 타단부가 약 4분의 1 절결된 구형형상을 이룬다. 상기 면취부(37b)의 중앙에는, 대략 반구형상의 작은 돌기(37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벗부(37)의 내부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피벗부(37)의 중공형상의 내부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7개의 리브(37d)가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벗기구(5)의 피벗받이부(22)는, 도 7~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미러유닛(2)의 미러 홀더베이스(21)의 대략 중앙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벗받이부(22)의 내부에는, 중공부(22i)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벗받이부(22)의 중공부(22i)의 내면측에는, 상기 피벗부(37)의 구 외면과 슬라이딩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맞닿는 구 내면(22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벗받이부(22)의 일단측(22c)에는, 상기 중공부(22i)와 연통하는 개구부(22j)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2j)의 내면측에는, 내경(직경)이 상기 피벗부(37)의 최대 외경(직경)보다도 작은 네킹부(22f)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개구부(22j)로부터 상기 중공부(22i)에 상기 피벗부(37)가 압입 끼워맞춰지게 된다.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22c)은, 상기 미러 홀더베이스(21)에 연속하고 있다. 상기 피벗받이부(22)의 일단측(22c)의 외측에는, 상기 스프링부재(4)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22k)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피벗받이부(22)의 일단측(22c)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4개의 슬릿(22d)이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벗받이부(22)의 일단측(22c)의 외측의 상기 끼워맞춤부(22k)의 상단에는, 상기 스프링부재(4)의 빠짐방지를 위한 걸림돌기가 복수개, 이 예에서는, 4개의 걸림돌기(22g)가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슬릿(22d) 각각은 상기 4개의 걸림돌기(22g) 각각을 대응하여 수용하고 있고, 상기 4개의 슬릿(22d)은, 상기 4개의 걸림돌기(22g)를 성형하는 금형을 빼기 위한 구멍으로서도 사용된다. 상기 피벗받이부(22)의 개구부(22j)의 내면측에는, 상기 피벗부(37)의 압입 끼워맞춤을 가이드하는 압입 가이드면(22e)이, 상기 네킹부(22f)로부터 상기 개구부(22j)의 가장자리를 향해 점차 확대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벗받이부(22)의 타단측에는, 상기 피벗부(37)의 작는 돌기(37c)가 항상 맞닿고, 또한, 상기 피벗부(37)의 면취부(37b)와의 사이에 간극(S)을 항상 갖는 평탄부(2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벗받이부(22)의 타단측에는, 상기 스프링부재(4)의 가유지부(22h)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유지부(22h)는, 선반형상(계단형상)을 이루어, 금형의 뺌구배(뺌각도)를 대략 0°로 한다. 즉, 가유지부(22h)의 측면을 대략 수직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피벗기구(5)의 스프링부재(4)는, 금속제이고, 폐색 단부(4b)를 지지점으로 하여 확대개방변형 가능한 자유단(4c, 4c)을 갖는 링형상의 선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통상상태에서의 이 스프링부재(4)의 내경은, 상기 피벗받이부(22)의 가유지부(22h)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고, 또, 상기 피벗받이부(22)의 끼워맞춤부(22k)의 외경보다도 작다. 상기 스프링부재(4)는, 상기 가유지부(22h)에 가유지되고, 상기 가유지부(22h)로부터 상기 피벗받이부(22)의 일단측(22c)으로 압입함으로써, 상기 끼워맞춤부(22k)의 외측에 끼워맞춰서 상기 피벗받이부(22)를 상기 피벗부(37)에 단단히 죈다. 상기 스프링부재(4)는, 상기 피벗받이부(22)가 상기 피벗부(3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상기 피벗부(37)와 상기 피벗받이부(22) 사이의 슬라이딩 토크를 일정화 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도 11에서는, 파워유닛(3)측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먼저, 파워유닛(3)과 미러 홀더베이스(21)를 소정의 조립위치에 위치결정하여, 도 3중의 일점쇄선 화살표 및 도 7중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파워유닛(3)에 미러 홀더베이스(21)를 가압하여 조립한다. 즉, 피벗받이부(22)에 상기 피벗부(37)를 압입 끼워맞춰지게 한다. 또, 피벗받이(23, 24)에 전진후퇴 로드(34, 35)의 피벗(34b, 35b)을 압입 끼워맞춰지게 한다. 더욱이, 가이드축(26b, 26b)에 가이드부(38, 38)를 끼워맞춤시킨다. 이 가이드축(26b, 26b)과 가이드부(38, 38)의 끼워맞춤에 의해, 미러유닛(3)이 파워유닛(2)에 대하여 축부(36)의 축둘레를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중의 일점쇄선 화살표 및 도 9b, 도 9c중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작업 또는 지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피벗받이부(22)의 가유지부(22h)에 스프링부재(4)를 외측으로부터 끼워넣어서 가유지하게 한다. 이 때, 스프링부재(4)의 내경이 가유지부(22h)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으므로, 스프링부재(4)는, 약간 열린 상태에서 약간의 스프링힘이 작용함으로써, 소정 위치의 가유지부(22h)에 소정의 자세로 확실하게 가유지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나서, 도 10b, 도 10c중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 지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스프링부재(4)를 가유지되고 있는 가유지부(22h)로부터 피벗받이부(22)의 일단측(22c)에 압입한다. 그러면, 도 11a, 도 11b,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4)는, 피벗받이부(22)의 도중의 걸림돌기(22g)를 타고넘어서 끼워맞춤부(22k)의 외측에 끼워맞춰진다. 이 때, 스프링부재(4)의 내경이 끼워맞춤부(22k)의 외경보다도 작으므로, 스프링부재(4)의 스프링힘은, 끼워맞춤부(22k)에 작용하여, 피벗받이부(22)를 피벗부(37)에 확실하게 단단히 죄는 것이 된다.
그리고, 파워유닛(3)에 미러 홀더베이스(21)를 조립한 후에, 이 미러 홀더베이스(21)에 미러몸체(107)를 유지하는 미러홀더(108)를 조립한다. 또한, 미러홀더(108)와 미러 홀더베이스(21)가 일체구조물인 경우는, 일체구조물을 파워유닛(3)에 조립한 후에, 이 일체구조물에 미러몸체(107)를 조립한다.
이와 같이, 파워유닛(3)과 미러 홀더베이스(21)의 조립은, 도 3중의 일점쇄선 화살표 및 도 7중의 실선 화살표 및 도 9b, 도 9c중의 실선 화살표 및 도 10b, 도 10c중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향이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여, 자동화도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운전석으로부터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좌우 경동용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그 좌우 경동용의 모터가 구동하여 좌우 경동용의 전진후퇴 로드(34)가 전진후퇴하고, 그것에 따라서, 미러 홀더베이스(21)를 통해서 미러유닛(2)이 파워유닛(3)에 대하여 피벗기구(5)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피벗기구(5)의 중심과 상하용 피벗받이(24) 및 피벗(35b)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 둘레에 좌우로 경동한다(도 4~도 6을 참조). 또, 상하 경동용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그 상하 경동용의 모터가 구동하여 상하 경동용의 전진후퇴 로드(35)가 전진후퇴하고, 이것에 따라서, 미러 홀더베이스(21)를 통해서 미러유닛(2)이 파워유닛(3)에 대하여 피벗기구(5)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축(피벗기구(5)의 중심과 좌우측용 피벗받이(23) 및 피벗(34b)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 둘레에 상하로 경동한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부(37)가 피벗받이부(22)의 중공부(22i)에 압입 끼워맞춰짐으로써, 피벗받이부(22)가 피벗부(37)를 외측으로부터 싸들어간다. 또, 스프링부재(4)가 피벗받이부(22)의 끼워맞춤부(22k)의 외측에 끼워맞춰짐으로써, 피벗받이부(22)가 피벗부(37)를 외측에서 단단히 죄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부(37)의 구 외면과 피벗받이부(22)의 중공부(22i)의 구 내면이 항상 확실하게 경동가능하게 탄성적으로 맞닿게하여, 미러유닛(2)이 유지부재로서의 파워유닛(3)에 대해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미러유닛(2)의 미러면을 소정의 경사위치에 항상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전진후퇴 로드(34, 35)가 최전진 위치 또는 최후퇴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볼록구면과 오목구면을 그냥 단지 맞닿게 한 종래의 차량용 미러장치와 같이, 미러유닛(2)이 파워유닛(3)에 대해 들뜨는 일은 없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스프링부재(4)를 피벗받이부(22)의 일단측(22c)(끼워맞춤부(22k))의 외측에 끼워맞춰서 피벗받이부(22)를 피벗부(37)에 단단히 죄므로, 피벗받이부(22)가 피벗부(37)의 네킹부(22f)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경시적으로 피벗받이부(22)의 끼워맞춤력이 저하됐다고 해도, 스프링부재(4)의 스프링 힘에 의해, 피벗부(37)와 피벗받이부(22) 사이의 슬라이딩 토크를 항상 일정화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부(37)의 작은 돌기(37c)가 피벗받이부(22)의 평탄부(22b)에 항상 맞닿으므로, 피벗부(37)의 구 외면과 피벗받이부(22)의 중공부(22i)의 구 내면 사이에 덜거덕거림 없이, 구 외면과 구 내면이 항상 확실하게 맞닿는 것이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받이부(22)가 평탄부(22b)와 피벗부(37)의 면취부(37b) 사이에 간극(S)을 항상 가지므로, 피벗기구(5)(피벗받이부(22) 및 피벗부(37))를 축부(36) 방향에서 박형화해도, 미러유닛(2)은, 간극(S)을 이용하여, 파워유닛(3)에 대하여 경동가능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받이부(22)의 일단측(22c), 즉, 피벗부(37) 삽입측의 단부에 슬릿(22d)을 설치했으므로, 피벗부(37)를 압입 끼워맞출 때에, 피벗받이부(22)의 일단측(22c)이 확대개방변형 한다. 이 때문에, 피벗부(37)를 피벗받이부(22)에 압입 끼워맞출 때에 필요로 하는 압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받이부(22)의 개구부(22j)의 내면측에 압입 가이드면(22e)을 설치했으므로, 이 압입 가이드면(22e)의 가이드작용에 의해, 볼 수 없는 작업이더라도, 피벗부(37)를 피벗받이부(22)에 확실하게 또한 간단하게 압입 끼워맞춤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받이부(22)의 타단측에 가유지부(22h)를 설치했으므로, 스프링부재(4)를 소정 위치의 가유지부(22h)에 소정의 자세로 확실하게 가유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압입지그로 스프링부재(4)를 가유지부(22h)로부터 피벗받이부(22)의 소정 위치의 끼워맞춤부(22k)에 소정의 자세로 확실하게 또한 간단하게 압입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받이부(22)의 끼워맞춤부(22k)의 상단에 걸림돌기(22g)를 설치했으므로, 스프링부재(4)를 소정의 위치의 끼워맞춤부(22k)에 확실하게 끼워맞춤시킬 수 있다. 또, 스프링부재(4)가 걸림돌기(22g)를 타고넘어서 끼워맞춤부(22k)에 일단 압입 끼워맞춰지면, 이 걸림돌기(22g)에 의해, 스프링부재(4)가 끼워맞춤부(22k)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받이부(22)의 4개의 슬릿(22d)과 4개의 걸림돌기(22g)가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또한, 4개의 슬릿(22d)이 4개의 걸림돌기(22g)를 성형하는 금형을 빼기 위한 구멍으로서도 사용되므로, 피벗받이부(22)의 구조가 간략화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용 미러장치는, 피벗부(37)의 내부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벗부(37)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피벗부(37)의 성형의 뒤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피벗부(37)의 중공형상의 내부에 7개의 리브(37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벗부(37)의 내부를 중공형상으로 형성하여 피벗부(37)의 두께를 얇게 해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모트 컨트롤 방식의 자동차용 리어뷰 미러장치(도어미러장치(1))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도어미러장치(1) 이외의 차량용 미러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러유닛을 피벗기구를 통해서 유지부재로서의 미러하우징에 경동가능하게 유지된 수동경동식의 차량용 미러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수동경동식의 차량용 미러장치의 경우에서는, 유지부재의 미러하우징측에 피벗받이부를, 한편, 미러유닛 측에 피벗부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본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피벗부가 피벗받이부의 내부 중공부에 압입 끼워맞춰짐으로써, 피벗받이부가 피벗부를 외측으로부터 싸들어가고, 또, 스프링부재가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에 끼워맞춰짐으로써, 피벗받이부가 피벗부를 외측으로부터 단단히 죄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피벗부의 외면과 피벗받이부의 중공부의 내면이 항상 확실하게 맞닿아서, 미러유닛이 유지부재에 대하여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미러면을 항상 소정의 경사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차량용 미러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주요부를 도시하는 미러 홀더베이스와 파워유닛과 피벗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좌우방향 구동용의 전진후퇴로드가 중간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미러 홀더베이스와 파워유닛과 피벗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좌우방향 구동용의 전진후퇴 로드가 최전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미러 홀더베이스와 파워유닛과 피벗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좌우방향 구동용의 전진후퇴 로드가 최후퇴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미러 홀더베이스와 파워유닛과 피벗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피벗부를 피벗받이부에 압입 끼워맞추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피벗부를 피벗받이부에 압입 끼워맞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스프링부재를 피벗받이부의 가유지부에 가유지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a는, 스프링부재를 피벗받이부의 가유지부에 가유지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a는, 스프링부재를 피벗받이부의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지게 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a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Claims (18)

  1. 미러유닛이 피벗기구를 통해서 유지부재에 경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차량용 미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벗기구는,
    상기 미러유닛, 상기 유지부재의 어느 일방에 설치된 피벗받이부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설치되어 있고, 일단측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피벗받이부와,
    상기 미러유닛, 상기 유지부재의 타방에 설치된 피벗부로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개구부로부터 중공부로 경동가능하게 압입 끼워맞춰져 있는 피벗부와,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에 끼워맞춰진 스프링부재로서, 상기 피벗받이부를 상기 피벗부에 단단히 죄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의 외형은, 대략 구형형상을 이루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중공부의 내면측에는, 상기 피벗부의 구 외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맞닿는 구 내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개구부의 내면측에는, 내경이 상기 피벗부의 최대외경보다도 작은 네킹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의 일단측은, 축부를 통해서 상기 미러유닛, 상기 유지부재의 타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부의 타단측에는, 면취부가 상기 축부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면취부의 대략 중앙에는, 작은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타단측에는 상기 작은 돌기가 항상 맞닿고, 또한 상기면취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항상 갖는 평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이 상기 미러유닛, 상기 유지부재의 어느 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에는, 복수개의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개구부의 내면측에는, 상기 피벗부의 압입 끼워맞춤을 가이드하는 압입 가이드면이,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향해서 점차 확대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타단측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가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유지부에 가유지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부재를 상기 가유지부로부터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에 압입함으로써,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에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의 상기 스프링부재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의 상단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빠짐방지를 위한 걸림돌기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이 상기 미러유닛, 상기 유지부재의 어느 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에는, 복수개의 슬릿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의 상기 스프링부재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의 상단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빠짐방지를 위한 걸림돌기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 각각을 대응하여 수용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성형하는 금형을 빼기 위한 구멍으로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의 내부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피벗부의 중공형상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10. 미러유닛이 피벗기구를 통해서 유지부재로서의 파워유닛에 좌우방향으로 및 상하방향으로 경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리모트 컨트롤 방식의 차량용 미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벗기구는,
    상기 미러유닛에 설치된 피벗받이부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설치되어 있고, 일단측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피벗받이부와,
    상기 파워유닛에 설치된 피벗부로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개구부로부터 중공부로 경동가능하게 압입 끼워맞춤 되어 있는 피벗부와,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에 끼워맞춤된 스프링부재로서, 상기 피벗받이부를 상기 피벗부에 단단히 죄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의 외형은, 대략 구형형상을 이루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중공부의 내면측에는, 상기 피벗부의 구 외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맞닿는 구 내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개구부의 내면측에는, 내경이 상기 피벗부의 최대외경보다도 작은 네킹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의 일단측은, 축부를 통해서 상기 파워유닛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부의 타단측에는, 면취부가 상기 축부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면취부의 대략 중앙에는, 작은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타단측에는 상기 작은 돌기가 항상 맞닿고, 또한 상기 면취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항상 갖는 평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이 상기 미러유닛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에는, 복수개의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개구부의 내면측에는, 상기 피벗부의 압입 끼워맞춤을 가이드하는 압입 가이드면이,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향해 점차 확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타단측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가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유지부에 가유지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부재를 상기 가유지부로부터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에 압입함으로써,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에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의 상기 스프링부재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의 상단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빠짐방지를 위한 걸림돌기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이 상기 미러유닛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에는, 복수개의 슬릿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벗받이부의 일단측의 외측의 상기 스프링부재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의 상단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빠짐방지를 위한 걸림돌기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 각각을 대응하여 수용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성형하는 금형을 빼기 위한 구멍으로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의 내부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피벗부의 중공형상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장치.
KR10-2002-0059807A 2001-10-02 2002-10-01 차량용 미러장치 KR100475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6727 2001-10-02
JP2001306727A JP3852318B2 (ja) 2001-10-02 2001-10-02 車両用後写鏡
JPJP-P-2002-00124635 2002-04-25
JP2002124635A JP4168658B2 (ja) 2002-04-25 2002-04-25 車両用後写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714A KR20030028714A (ko) 2003-04-10
KR100475243B1 true KR100475243B1 (ko) 2005-03-10

Family

ID=2662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807A KR100475243B1 (ko) 2001-10-02 2002-10-01 차량용 미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82200B2 (ko)
EP (1) EP1300289B1 (ko)
KR (1) KR100475243B1 (ko)
CN (1) CN1212946C (ko)
DE (1) DE6020233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9556B2 (ja) * 2004-07-09 2009-07-01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部材傾動機構及びミラー装置
JP4395086B2 (ja) * 2005-02-14 2010-01-0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ミラー装置
US7354170B2 (en) * 2005-02-14 2008-04-08 Kabushiki Kaisha Honda Lock Vehicular mirror having tilt angle detection rod with swing axis
JP5619403B2 (ja) 2009-09-30 2014-11-05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ドアミラー
US10261648B2 (en) 2009-10-07 2019-04-16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11498486B2 (en) 2009-10-07 2022-11-15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CN102596644B (zh) * 2009-11-10 2015-11-25 株式会社美姿把 镜面角度调节装置
US9969334B2 (en) 2010-02-10 2018-05-15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11325535B2 (en) 2010-02-10 2022-05-1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EP2492145B1 (de) * 2011-02-23 2014-04-02 SMR Patents S.à.r.l. Verstellbarer Aussenrückblickspiegel
WO2013026094A1 (en) * 2011-08-23 2013-02-28 Reflex Innovations Ltd Truck mirror positioning device
JP6020927B2 (ja) * 2013-07-17 2016-11-02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ミラー装置
NL2012333B1 (en) 2014-02-28 2015-10-19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Mirror adjustment mechanism, in particular for a wing mirror for a motor vehicle.
JP6369988B2 (ja) 2015-01-23 2018-08-0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ミラー
CN106004677B (zh) * 2016-07-07 2018-09-21 佛山市南海区叠北智华实业有限公司 转摇机构
DE102016225293A1 (de) 2016-12-16 2018-06-21 Mekra Lang Gmbh & Co. Kg Kugelgelenkvorrichtung, Befestigungsvorrichtung und indirektes Sichtsystem für Fahrzeuge
DE112018004838B4 (de) 2017-08-23 2023-08-1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Aussenrückspiegelanordnung
US11351919B2 (en) 2018-05-24 2022-06-07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4437A (en) * 1950-05-10 1952-10-21 Harry E Meggitt Control means for vehicle mirrors, fog lights, and the like
US4101205A (en) * 1976-08-09 1978-07-18 Gebr. Marklin & Cie. Gmbh Driving mirror assembly
US5100095A (en) * 1991-03-01 1992-03-31 Donnelly Corporation Breakaway vehicle accessory mount
US5363246A (en) * 1993-05-12 1994-11-08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Power pack for an automotive exterior mirror assembly
US5568326A (en) 1994-10-06 1996-10-22 Ichikoh Industries, Ltd. Car rearview mirror
JPH08104172A (ja) 1994-10-06 1996-04-23 Ichikoh Ind Ltd 車両用後写鏡
US5946151A (en) 1997-03-17 1999-08-31 Siegel-Robert, Inc. Automobile pivotal mirror mounting assembly
US6024459A (en) * 1997-04-11 2000-02-15 Lewis; Jimmie L. Extendable rearview mirror
US6168279B1 (en) * 1998-03-25 2001-01-02 Donnelly Corporation Pivot support for adjustable rearview mirror
DE10022448A1 (de) * 2000-05-09 2001-11-15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eise für Kraftfahrzeuge
JP2001322497A (ja) * 2000-05-12 2001-11-20 Tokai Rika Co Ltd 鏡面角度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0289B1 (en) 2004-12-22
EP1300289A3 (en) 2003-10-29
DE60202335T2 (de) 2005-04-14
DE60202335D1 (de) 2005-01-27
KR20030028714A (ko) 2003-04-10
CN1410296A (zh) 2003-04-16
EP1300289A2 (en) 2003-04-09
US6682200B2 (en) 2004-01-27
CN1212946C (zh) 2005-08-03
US20030086189A1 (en) 200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243B1 (ko) 차량용 미러장치
US6749236B2 (en) Door handle device for a vehicle
EP1398216B1 (en) Mirror drive unit
US6209166B1 (en) Windshield wiper
JPH09259972A (ja) コネクタの結合構造
EP1279557B1 (en) Remote control mirror apparatus for automobile
US4913543A (en) Mirror angle adjusting device for door mirror assembly
JP4168658B2 (ja) 車両用後写鏡
JP2587060B2 (ja) ワイパピボツト
JPH08104173A (ja) 車両用後写鏡
KR100906780B1 (ko) 리어와이퍼 구동장치
JP3277737B2 (ja) 車両用後写鏡
JP3852318B2 (ja) 車両用後写鏡
JP3377596B2 (ja) 自動車用アウターミラーの鏡面角度調整機構
JP2602040Y2 (ja) 車両用ワイパブレード
JPH09226402A (ja) 自動車用マニュアル変速機の操作レバー装置
JPS6246902Y2 (ko)
JP2007517361A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03028222A (ja) コイルスプリング圧縮保持具
JP2003194040A (ja) 傾動挟持機構
JPH0224344Y2 (ko)
JP3590476B2 (ja) 索式ミラー制御装置
JPH028837Y2 (ko)
KR0130974Y1 (ko) 자동차 룸미러의 방향조절 구조
CN116490410A (zh) 雨刮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