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79Y1 - 신축커플링 - Google Patents

신축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79Y1
KR920007179Y1 KR2019860012630U KR860012630U KR920007179Y1 KR 920007179 Y1 KR920007179 Y1 KR 920007179Y1 KR 2019860012630 U KR2019860012630 U KR 2019860012630U KR 860012630 U KR860012630 U KR 860012630U KR 920007179 Y1 KR920007179 Y1 KR 920007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2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939U (ko
Inventor
켄스캐 아사쿠라
Original Assignee
켄스캐 아사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6561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35006U/ja
Application filed by 켄스캐 아사쿠라 filed Critical 켄스캐 아사쿠라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6923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3861U/ja
Publication of KR870003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7Flat continuous join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축커플링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신축 커플링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2도는 설치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철근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신축 커플링이 일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축커플링의 주체부 12 : 금속판
13 : 고무부재 15 : 홈
16 : 장착용 고무조각 17 : 방음용 스폰지부재
18 : 홈 20 : 금속판
22 : 수하부재 23 : 접착제
25 : 이형지 26 : 4각형 구멍
27 : 볼트 28 : 머리부
30 : 4각형부 31 : 철근
32 : 관통구멍 35 : 너트
90 : 바닥판 91 : 유간
93 : 포장부
본 고안은 고가도로 및 하천용 교량의 접속부를 신축 가능하게 접속하는 신축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의 장착방법을 개량한 신축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 커플링에서 금형을 사용하여 금속판과 일체로하여 고무부재를 성형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금속판에 철근을 용접하여 장착하고 있었고, 이와같은 경우에는 용접변형이 발생해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고무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금형을 금속판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성형할 경우에는 금속판에 조금이라도 용접변형이 남아 있으며 성형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이와같은 성형을 할 경우에는 사전에 신축커플링을 장착하기 위한 철근 콘트리트로 구성되는 보강부를 형성하고, 신축커플링을 설치한 경우에 이 보강부로부터 뻗은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을 신축커플링에 뚫은 구멍에 삽입시켜 너트로 고정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신축커플링에 형성된 구멍은 고무등으로 구성되는 폐색부재로 폐색해도 벗겨지는 경우가 있고 또, 사전에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형틀을 사용하여 소정위치로 부터 철근이 연장되도록 정확하게 작업하는 것을 필요로 했다. 이와같은 보강부를 사전에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바닥판의 신축량이 작고 유간(91)이 좁을 경우, 각 바닥판(90)의 단부를 절개하여상자형 절개부를 형성하고 유간(91)에 발포스터롤(80)을 삽입하여 윗쪽으로 뻗어나오도록하고, 그 위에 신축 커플링의 주체부(85)를 배치하여 주체부(85)로 부터 뻗어나온 철근(86)을 바닥판(90)으로부터 연장되는 철근(92)에 용접하여 결합하고, 발포스터롤(80)이 경계를 형성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채워넣어 콘크리트부(87)을 구성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신축커플링에서는 주체부(85)로부터 연장되는 철근(86)은 주체부의 표면으로 부터 대략직각이 되도록 연장되어 수평을 이루도록 굽혀지므로 상하방향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상자형 절개부가 얕을 경우 적합하지 않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 신축커플링의 주체부의 철근의 연결부에서 용접변형의 문제가 없도록 하여 연결하고, 또 철근을 주체부의 장착면에 따르도록 연결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한 신축커플링을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매몰하거나 또는 표면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금속판과 일체로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고무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주체부와, 이 주체부의 상기 표면에 결합되거나 또는 표면에 근접한 금속판에 결합하여 주체부의 양쪽으로 부터 각각 복수개씩 연장되는 철근을 구비하여 되는 신축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철근에는 일단부분에 그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직각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장착부가 구비되고, 이 장착부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커플링이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10)은 교량등의 접속부를 따라 뻗은 신축커플링의 주체부이고, 통상의 신축커플링과 대략동일 구조를 이루고 있고, 양방의 측면과 하면은 각각 강판의 금속판(12)로 덮혀있고, 도시한 바와같은 고무부재(13)등으로된 양측의 부분(14)의 변형에 의하여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5)는 고무부재(13)의 저부중앙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형성된 홈이다. (16)은 이홈의 양측에 접착해서 장착되고 하방으로 약간 길게 뻗은 1쌍의 장착용 고무조각, (17)은 상면이 홈(15)의 상면에 접착되고, 또 양면이 장착용 고무조각(16)에 접착되며, 서로 연통이 안되도록 무수한 독립된 기포를 가지도록된 이른바 독립기포로서 용이하게 신축이 가능한 방음용 스폰지 부재이다. 고무부재(13)의 상면의 양측에는 1쌍의 홈(18)이 형성되고, 또 중앙부에는 강판등으로 된 금속판(20)이 매설되어 있다.
(22)는 독립기포의 스폰지로 구성되며 어느부분도 국부적으로 용이하게 신축이 가능할 수하부재로서, 상면은 방음용 스폰지 부재(17)의 하면에 접착되고 있고, 또 양면의 상부는 장착용 고무조각(16)에 접착되고 있고, 하방으로 길게 뻗어 있다. 이 수하부재는 통상 제조단계에서는 주체부(10)과는 별개로 제조되고 있고, 신축커플링을 설치하는 공사의 시공장소에서 접착하여 조립하는 것이 운반상 편리하고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접착을 수행하는 표면에는 접착제(23)를 도포하여 이형지(25)로 덮어두고, 접착하는 경우에는 이형지(25)를 제거하여 접착하면 쉽게 접착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26)은 금속판(12)에 소정의 간격으로 뚫어 형성한 복수개의 사각형 구멍이다.(27)은 각각의 구멍(26)을 안쪽으로 부터 관통하는 볼트이고, 구멍(26)에 끼워져서 돌아가지 않도록 4각형부(30)이 머리부(28)에 이어서 형성되고 있다. (31)은 예를 들어 주강(鑄강)등의 용접이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철근으로서, 일단에 관통구멍(32)이 뚫어 형성된 장착부(33)이 구비된다. 이 철근은 상기 볼트(27)을 구멍(32)에 관통시켜 삽입하여 너트(35)로 고정된다.
통상, 고무부재(13)의 성형시에는 볼트(27)에 너트(35)를 끼워서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철근(31)은 주체부(10)과 별도로 신축커플링을 설치하는 장소에 운반하여, 설치하기전에 볼트(27)로부터 너트(35)를 떼어내서 조립하기 때문에 운반상 편리하다.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된 것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도의 도시와 같이 바닥판(90)의 단부상면을 절개하여, 수하부재(22)의 하부를 필요한 길이만큼 바닥판(90)사이의 유간(91)에 삽입하고, 철근(91)을 바닥판(90)으로부터 뻗어 있는 철근(9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용접하여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36)으로 표시하는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부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수하부재(22)가 중앙부의 형틀의 작용을 수행하여 콘크리트가 유간(91)에 새어들어가는 일이 없이, 원활히 공사를 실시할 수 있다. 후에 바닥판(90)이 수축하여 유간(91)의 간격이 변화해도 수하부재(22)가 신축하여 적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93)은 포장부를 표시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시의 설명과 달리 예를 들면 표면을 고무로 구성하고 적어도 표면에 근접해서 매설된 복수개의 금속판을 가지는 주체부(10)을 설치하고, 이 주체부내에 매설된 금속판 내측으로 부터 볼트(27)을 관통하여 돌출시켜 두고 철근(31)을 상기 실시예와 같이 결합시켜도 좋다. 또, 수하부재(22)나 철근(31)은 공장에서 주체부(10)와 일체롤 제조하여 그대로 운반해도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철근(31)을 주체부(10)의 표면과 일치시켜 장착할 수 있으므로 용접변형의 문제가 없고 또 신축커플링의 높이가 낮아져서 상자형 절개부가 비교적 얕아도 설치가 용이하고, 또 신축커플링의 높이를 종래와 동일하게 하면 종래의 높이가 높은 것과 같이 폭이 좁아도 큰 신축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매몰하거나 또는 표면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금속판과 일체로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고무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주체부와, 이 주체부의 상기 표면에 결합되거나 또는 표면에 근접한 금속판에 결합하여 주체부의 양쪽으로 부터 각각 복수개씩 연장되는 철근을 구비하여 되는 신축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철근에는 일단부분에 그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장착부가 구비되고, 이 장착부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신축커플링.
KR2019860012630U 1985-08-21 1986-08-20 신축커플링 KR92000717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56185U JPS6235006U (ko) 1985-08-21 1985-08-21
JP126561 1985-08-21
JP169235 1985-11-05
JP1986169235U JPS6373861U (ko) 1986-11-04 1986-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39U KR870003939U (ko) 1987-03-30
KR920007179Y1 true KR920007179Y1 (ko) 1992-10-08

Family

ID=2646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2630U KR920007179Y1 (ko) 1985-08-21 1986-08-20 신축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1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39U (ko) 198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470B2 (en) Tapered load plate for transferring loads between cast-in-place slabs
US20050066600A1 (en) Expansion joint system
GB2317193A (en) Concrete insert for attaching wall panels to building structures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JPH1013112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の敷設施工用弾性型枠材及びこれを用い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敷設施工法
PL204047B1 (pl) Konstrukcja złącza dylatacyjnego dla płyt betonowych
KR920007179Y1 (ko) 신축커플링
JP2008101366A (ja) 目地型枠及び目地形成施工法
US4548008A (en) Tile panel having convex and concave portions around substrate board,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H1114099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JP2001164504A (ja) 高架橋の目地部の補修施工工法
JP272147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
JP3973965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およびその連設構造
JP3961278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連設構造
JP4121756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の設置構造
JPH10152888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続構造
KR19980043092A (ko) 조립식 암거
JP4438536B2 (ja) 壁パネル接合構造、地中連続壁の構築方法、および地中連続壁
JPS5817773Y2 (ja) 道路橋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桁
JPH033603Y2 (ko)
JPH02115445A (ja) タイル等の張付け構造、その目地枠及びタイル等の張付け方法
JP2010174584A (ja) 耐震スリット材
KR100524226B1 (ko)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KR200247461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KR20240082595A (ko) 구조보강용 보강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