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226B1 -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226B1
KR100524226B1 KR10-2003-0060743A KR20030060743A KR100524226B1 KR 100524226 B1 KR100524226 B1 KR 100524226B1 KR 20030060743 A KR20030060743 A KR 20030060743A KR 100524226 B1 KR100524226 B1 KR 10052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ad
insulating plate
wall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664A (ko
Inventor
이철행
Original Assignee
이철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행 filed Critical 이철행
Priority to KR10-2003-006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2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판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드는, 서로 직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2 플레이트(4,6)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4)는 앵커볼트(8)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100)에 고정되고, 단열판(102)은 그의 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6)에 면한 상태에서 나사못(12)과 같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그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단열판(102)으로 하여금 상기 벽체(100)에 부착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단열판이 박리되는 등의 부실시공 우려가 최소화되며 또는 시공이 용이하게 된다. 부수적으로는, 시공중 내부공사에 의해 진동이 전해지는 경우에도 하자없이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이 허용되는 임의의 위치에서 부분적으로도 시공할 수 있으며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Bead for attaching EPS board and heat isolating method for outer wall of building using the bead}
본 발명은 건축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 또는 방음 등의 목적으로 건물외벽에 설치되는 단열보드를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방음 및 단열효과의 제고를 위하여 외벽단열시공방법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는 콘크리트로 된 건물 외벽에 전체에 단열보드를 접착하고 그 위에 몰타르를 타설하여 마감하는 시공방법이다. 이러한 시공법에 의해 축조된 건물벽의 단면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다.
단열판(102)으로는 통상 발포스티렌, 스치로폼, EPS보드 또는 스티로폴 등으로 명칭되며 50~100mm 내외 두께를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단열판(102)을 콘크리트로 된 벽체(100) 표면에 접착하기 위하여 접착몰탈(110)이 이용된다. 단열판 위에 강도보강 및 시멘트몰탈(106)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유리섬유로 된 메쉬(104)가 접착된다. 시멘트몰탈(106) 표면에는 마감재(108)가 가해진다. 마감재(108)로는 건물 외관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이 가능한 것으로 하는데 보통 플라스터 또는 액상특수도료가 사용된다.
여기서, 단열판(102) 자체의 무게는 메쉬, 시멘트몰탈 및 마감재에 의해 상당한 정도로 증가되며, 이에 단열판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큰 전단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만약 접착몰탈의 접착강도가 충분하지 못하거나 공사의 작은 오류가 있거나 하게 되면 단열판(102)이 벽체(100)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즉, 위와 같은 시공법이 가지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적한 하자가 빈번히 발생되어 시공 및 관리상 문제가 많았다.
또한, 위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기후사정이 좋지 않다거나, 건물내부에서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다른 공사가 진행된다거나 하게 되면, 접착몰탈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단열시공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게 된다.
한편, 접착몰탈에 첨가되는 접착제가 상당히 고가이며, 환경 및 인체에 해로워 문제점을 가중시켰다. 또한 정확한 시공이 까다로워 관리 감독에 어려움이 많았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외벽 단열 시공에 있어서, 콘크리트 벽체에 단열판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인 단열판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서로 직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고, 단열판은 그의 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면한 상태에서 나사못과 같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그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단열판으로 하여금 상기 벽체에 부착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 부착용 비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은, 서로 직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단열판 부착용 비드를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단열판을 그의 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접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단계; 단열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에 의해 생기는 단열판과 단열판 사이의 틈을 메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열판 부착용 비드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벽면에 부착시킨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드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비드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단열판 부착용 비드(2, 이하, 단지 "비드"라 한다)는 제1 플레이트(4) 및 그 일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제2 플레이트(6)로 구성된다. 제1,2 플레이트(4,6)는 일체형으로서 사출 또는 압출 후 후가공에 의해 제작되며 재질은 합성수지로 한다. 때에 따라서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플레이트(4)는 콘크리트로된 벽체(100)의 벽면에 고정되며, 제2 플레이트(6)는 단열판(B)의 두께를 볼 수 있는 측면과 면접촉된다. 제1 플레이트(4)에는 앵커볼트(8) 등의 수단으로써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체결공(10)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제2 플레이트(6)에는 일반 나사못(12) 등의 체결수단으로써 단열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제2 체결공(14)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제2 플레이트(6)의 폭은 단열판의 두께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으며(도 3 참조), 그 연장된 끝단에는 박힘편(16)이 상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박힘편(16)은 무른 재질의 단열판(102)을 뚫고 삽입되어 설치시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박힘편(16)의 끝단은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카롭게 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박힘편(16)은 제2 플레이트(6)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박힘편(16')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플레이트(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때에 따라서는 제1,2 플레이트(4',6')의 면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사출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비드(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이(T)자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환경 또는 선택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니은()자 형태일 수 있다. 강성유지에는 티이(T)자 형태의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건물의 모서리 부분에는 제1,2 플레이트(4',6')가 니은()자 형태로 일체를 이루는 형태의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단열판(102) 자체는 비록 경량이지만, 벽체(100)의 높이에 비례하여 전체적으로 볼 때 그 하중이 크게 된다. 나아가, 도 6에서와 같이 외면에 메쉬(104), 몰탈(106) 및 마감재가 가해지는 경우 하중이 급격히 커지게 된다. 이렇게 비드(2) 자체에 상당한 수직하중이 가해지는 것에 대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보완책을 제시한다.
그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강성을 가지는 강도 보강용 브래킷(18)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벽면의 미리 계산된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앵커볼트(8')로써 브래킷(18)을 고정하고 그 위체 비드(2)를 얹어 고정시키는 것이다. 브래킷(18)은 금속재가 바람직할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니은()자 형태일 수 있다. 브래킷(18)을 먼저 벽체(100)에 고정시킨 후 별도의 볼트공(20)을 이용하여 비드를 고정시키거나, 브래킷(18)과 비드(2)를 하나의 앵커볼트(8')로써 함께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브래킷(18)은 하방향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횡방향으로 집중되게 설치될 것이다. 브래킷(18)의 설치 간격은 설계에 따라 또는 현장상황에 따라 충분히 변경될 수 있는 사항임이 분명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4)와 제2 플레이트(6)의 연결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삼각형상의 리브(22)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비드를 사용하여 단열판을 벽체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가 도 6에 도시된다. 벽체에 규격화된 단열판의 크기에 맞게끔 먹줄로써 기준선이 표시되고, 이 기준선에 의거 가로비드가 고정된다. 각각의 단열판은 이웃하는 2개 측면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비드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단열판 부착용 비드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로서, 콘크리트로 된 건물 벽체(100)에 비드(2)를 고정시킨후 단열판(102)을 부착 고정한다. 이 단계에서 수평도 및 직각도를 맞추기 위해 먹줄로써 기준선을 표시할 수 있다. 벽면 전체에 비드(2)를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단열판(102)을 고정시켜가며 비드(2)를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단계는 비드의 강성을 보조하기 위한 브래킷(18) 설치작업을 포함한다.
2단계로서, 비드에 의해 그의 두께만큼 각 단열판의 인접부위에 생기게 되는 틈을 실리콘, 빽업재 등의 충진재(24)로써 메움작업을 시행한다. 충진재(24)로는 접착몰탈, 시일(seal), 패킹 또는 기타의 방식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이는 단열 및 방음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완벽한 시공을 위한 경우에 접착몰탈로써 단열판을 접착시키는 종래의 작업과 병행하여 비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비드를 설치하고 접착몰탈을 타설한 후 단열판을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단열판으로 하여금 더욱 강력하게 벽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3단계로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유리섬유로 된 망사 형태의 메쉬(104)를 단열판 위에 접착하고 그 위에 시멘트몰탈(106)로써 미장작업을 하고, 미관 및 표면보호를 위하여 플라스터 또는 액상특수도료 등의 마감재(108)로써 마감한다. 이 단계부터는 종래의 시공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에 의하면,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단열판이 박리되는 등의 부실시공 우려가 최소화되며 또는 시공이 용이하게 된다. 부수적으로는, 시공중 내부공사에 의해 진동이 전해지는 경우에도 하자없이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이 허용되는 임의의 위치에서 부분적으로도 시공할 수 있으며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외벽단열시공법에 의해 축조된 건물벽의 단면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열판 부착용 비드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벽면에 부착시킨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드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비드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비드 4(4'),6(6') ; 제1,2 플레이트
8 ; 앵커볼트 10,14 ; 제1 체결공
12 ; 나사못 16 ; 박힘편
18 ; 브래킷 22 ; 리브
24 ; 충진재 100 ; 벽체 102 ; 단열판
104 ; 메쉬 106 ; 시멘트몰탈 108 ; 마감재

Claims (5)

  1. 서로 직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2 플레이트(4,6)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4)는 앵커볼트(8)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100)에 고정되고, 단열판(102)은 그의 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6)에 면한 상태에서 나사못(12)과 같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그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단열판(102)으로 하여금 상기 벽체(100)에 부착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 부착용 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4) 또는 제2 플레이트(6)에는 무른 재질의 상기 단열판(102)을 뚫고 박혀질 수 있는 박힘편(16,1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 부착용 비드.
  3. 제1항에 있어서,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4')와 상기 제2 플레이트(6')의 사이에 리브(2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 부착용 비드.
  4.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은, 서로 직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2 플레이트(4,6)를 포함하는 단열판 부착용 비드(2)를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100)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단열판(102)을 그의 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6)에 접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2 플레이트(6)에 고정시키는 단계; 단열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에 의해 생기는 단열판과 단열판 사이의 틈을 충진재(24)로써 메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 부착용 비드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 부착용 비드(2)로 하여금 큰 수직하중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열판 부착용 비드(2)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벽체에 니은()자 형상의 브래킷(18)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 부착용 비드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KR10-2003-0060743A 2003-09-01 2003-09-01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KR10052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743A KR100524226B1 (ko) 2003-09-01 2003-09-01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743A KR100524226B1 (ko) 2003-09-01 2003-09-01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664A KR20050024664A (ko) 2005-03-11
KR100524226B1 true KR100524226B1 (ko) 2005-10-26

Family

ID=3723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743A KR100524226B1 (ko) 2003-09-01 2003-09-01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83B1 (ko) 2013-02-04 2014-07-22 김기태 무기질단열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88B1 (ko) * 2007-01-30 2008-02-22 김택균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83B1 (ko) 2013-02-04 2014-07-22 김기태 무기질단열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664A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154B2 (en) Structural arrangement and method for securing scaffolding to a building wall
EP0470814A1 (en) Tile-supporting tool, tiled wall structure and tiled curtain wall
JP5080191B2 (ja) 外壁施工構造
JP4927424B2 (ja) 壁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3197235B2 (ja) プレキャスト埋設型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524226B1 (ko)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JP2004137766A (ja) 外断熱工法
KR101730589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보호용 조립식 패널
JP4968972B2 (ja) 水平スリット材を用いた外壁の施工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101296429B1 (ko) 알루미늄 일체형 커튼 월 유닛
JP362105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壁式構造の外断熱建築物に於ける帳壁取付方法及び取付金具
JP2001132136A (ja) 合成2重壁パネル及びその施工法
JP4546979B2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用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JP4243242B2 (ja) 仕上げ下地材兼断熱打ち込み型枠パネル及び該パネルを用いた施工方法
JP3908105B2 (ja) 構造部材の接続構造
JP4627593B2 (ja) 水平スリット材用支持具
JP4705393B2 (ja) 型枠形成工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JP5291960B2 (ja) 型枠・内装下地兼用断熱パネルとこれ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JP2005002747A (ja) 外断熱壁構造
JP3753717B2 (ja) 通気性外断熱外壁の上部構造
JP4591938B2 (ja) 非構造壁のスリット構造
JPS5837470B2 (ja) 板状の建築材の取付構造
JP2002242125A (ja) プレビーム桁のウェブ製作方法
JPH094128A (ja) ガラスブロック集合体
JP2005120705A (ja) 外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