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461Y1 -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7461Y1 KR200247461Y1 KR2020010019497U KR20010019497U KR200247461Y1 KR 200247461 Y1 KR200247461 Y1 KR 200247461Y1 KR 2020010019497 U KR2020010019497 U KR 2020010019497U KR 20010019497 U KR20010019497 U KR 20010019497U KR 200247461 Y1 KR200247461 Y1 KR 2002474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expansion joint
- bridge
- vertical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상판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부재를 갖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연설되는 상기 각 신축이음장치의 교차지점에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각 신축이음장치를 향해 연장형성된 복수의 커플링본체와; 상기 각 커플링본체를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연접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사이의 접면부로 물을 비롯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교차되는 부분에 사용되는 커플링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교량의 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서 팽창하고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교량상판)은 일정 길이마다 적정한 간격(일반적으로 '유간'이라 함)을 가지고 있다.
교량상판의 유간에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마련된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상판 폭의 넓이가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신축이음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이용한다. 이 때,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각 교량 신축이음장치 사이에는 커플링이 마련된다.
한편, 교량을 길이방향이 아닌 폭방향으로 확장 공사하는 경우, 신축이음장치의 배열 또한 소정의 각도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교량을 폭방향으로 확장공사할 경우, 서로 엇갈리게 연설되는 복수의 신축이음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커플링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각 신축이음장치의 연설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후, 이음새로 이물질을 포함한 물 등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연접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사이의 접면부로 물을 비롯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이 사용된 교량상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사용된 커플링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플링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b,1c : 신축이음장치 10 : 주판재
30 : 고무부재 40 : 밀봉부재
50, 50?? : 커플링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상판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부재를 갖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연설되는 상기 각 신축이음장치의 교차지점에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각 신축이음장치를 향해 연장형성된 복수의 커플링본체와; 상기 각 커플링본체를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본체는 상기 수평부재와 나란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커플링본체의 단부는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와 상호 접면된다.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상판은 차량이 주행하는 차량용 교량상판과, 차량용 교량상판에 대해 단차를 두고 높게 배치되어 사람들이 걸어 다니는 인도용교량상판(미도시)으로 나뉜다.
교량 신축이음장치(1,1a,1b,1c)는 교량상판 폭의 넓이가 신축이음장치(1,1a,1b,1c)의 길이보다 긴 경우,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이용한다. 또한 교량상판을 길이방향이 아닌 폭방향으로 확장 공사하는 경우, 역시 신축이음장치(1,1a,1b,1c)를 이용하게 되며, 이들 사이에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50)이 사용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50)이 상호 십자가 형태로 연설되는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 사이에 설치되는 것에 관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1,1a,1b,1c)는, 교량상판의 사이영역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주판재(10)와, 주판재(10)에 결합되어 교량상판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16)를 갖는다.
주판재(1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수직부재(12)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교량상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평부재(13)와, 수직부재(12)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플랜지부(14)를 갖는다. 여기서, 플랜지부(14)는 수직부재(12)의 측면에 용접될 수도 있다. 또한, 플랜지부(14)는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주판재(10)는 '??'자 형강, 'T'자 형강, 혹은 'H' 빔과 같은 철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물 성형도 가능하다.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수직부재(12), 수평부재(13) 및 플랜지부(14)를 상호 용접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수평부재(13)의 내측 연부는 연속된 파형상을 갖는다.
수직부재(12)의 외측에는 수직부재(12)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교량상판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앵커(16) 역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앵커(16)의 상측 연부에는 철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향 절취된 복수의 철근수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앵커(16??)는 도 2의 형상과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직부재(12)의 판면으로부터 긴 봉, 혹은 절곡된 봉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앵커(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수용부(17??)가 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의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수직부재(12)의 양단에는 인접 배치된 다른 신축 이음장치의 주판재(10)와, 혹은 후술할 커플링(50)과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접속편(19)이 마련되어 있다. 접속편(19)에는 볼트(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판면에 관통공(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접속편(1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1)를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하향 함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편(19??)은 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함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볼트(21)의 단부에는 수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편(19)의 관통공(20)에 볼트(21)가 수용되면 수나사부(23)에 너트(25)를 체결하여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 혹은 신축이음장치(1,1a,1b,1c)와 커플링(5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주판재(10)가 상호 신축될 수 있도록 수직부재(12) 및 수평부재(13) 사이에는 중공의 고무부재(30)가 개재된다. 고무부재(30)는 수직부재(12)의 내벽면에 각각 접착되는 세로부(31)와, 세로부(31)의 양단을 상하에서 각각 연결하는 상부가로부(33) 및 하부가로부(35)를 갖는다. 상부가로부(33) 및 하부가로부(35)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굴곡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가로부(33) 및 하부가로부(35)의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를 취할 필요는 없으며, 완만한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의 'W'단면형상, 혹은 'U'단면형상 또는 역'U'단면형상 및 자유곡선으로 굴곡된 여타의 곡선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하부가로부(35)는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도 4 참조). 이 때는 후술할 탄성부재(54)의 하단 역시 개방되는 것이 유리하다.
고무부재(30)는 수직부재(12)와 수평부재(13)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대략 130∼150??로 가열한 채 압력을 주면서 50분 이상 가황시켜서 접착하며, 신축이음장치(1,1a,1b,1c)의 양단으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가로부(33)와 수평부재(13)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격공간에는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격공간과 형상맞춤되는 밀봉부재(40)가 압입되어 있다. 밀봉부재(40)는 고무의 압출성형(Extrusion Molding) 혹은 프레스가황에 의해 만들 수 있다. 이 때, 압출성형으로 밀봉부재(40)를 성형할 경우에는, 압출시, 그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간에 지지부(41)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기밀적으로 연결하는 커플링(50)이 마련되어 있다. 커플링(50)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의 교차지점에 배치되며 단부가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를 향해 연장형성된 복수의 커플링본체(51)와, 각 커플링본체(51)를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부재(54)를 포함한다.
L자형 빔을 소정 길이 절단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는 커플링본체(51)는 수평부재(13)와 나란한 수평부(53)와, 수평부(53)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부(52)를 가지며, 커플링본체(51)의 각 단부는 대응된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의 단부와 상호 접면한다.
이 때, 탄성부재(54)가 접하는 수평부(53) 내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수직부(52)의 측부에는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와 볼트(21) 및 너트(25)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접속편(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부(52)의 측부에는 커플링(50)과 일체로 매입되는 앵커(64)가 마련되어 있다. 앵커(6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에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앵커(64)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탄성부재(54)는, 각 커플링본체(51) 사이의 소정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열한 채 압력을 주면서 소정 시간 가황시켜서 접착한다. 따라서 탄성부재(54)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커플링본체(51)의 단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54)는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의 양 단부로 노출된 고무부재(30)의 형상과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접면부를 기밀유지시키는데 보다 유리하다. 또한, 탄성부재(54)의 하단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호 십자가 형태로 배치되는 교량신축이음장치(1,1a,1b,1c)의 각 교차지점에 커플링(50)을 배치한 연후, 커플링(50)의 각 커플링본체의 단부가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의 단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각 신축이음장치(1,1a,1b,1c)와 커플링(50)에 형성된 각 접속편(19,62)의 관통공(20,63)으로 볼트(21)를 삽입한 후, 너트(25)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소정의 각도로 상호 연설되는 신축이음장치(1,1a,1b,1c)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면부를 기밀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십자가 형태로 배치되는 각 신축이음장치 사이에 마련되는 커플링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신축이음장치가 'T'자 형태로 배치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50??)도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커플링본체(51??,51??)는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참조부호만 달리 표기하였으나, 그 역할은 전술한 도 3의 커플링본체(51)와 동일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며 참조부호만 구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연접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사이의 접면부로 물을 비롯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이 제공된다.
Claims (4)
-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상판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부재를 갖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에 있어서,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연설되는 상기 각 신축이음장치의 교차지점에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각 신축이음장치를 향해 연장형성된 복수의 커플링본체와;상기 각 커플링본체를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커플링본체는 상기 수평부재와 나란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각 커플링본체의 단부는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와 상호 접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앵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9497U KR200247461Y1 (ko) | 2001-06-28 | 2001-06-28 |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9497U KR200247461Y1 (ko) | 2001-06-28 | 2001-06-28 |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7461Y1 true KR200247461Y1 (ko) | 2001-10-17 |
Family
ID=7306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9497U KR200247461Y1 (ko) | 2001-06-28 | 2001-06-28 |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746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7877A (ko) | 2014-12-24 | 2016-07-04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2042806B1 (ko) * | 2019-02-15 | 2019-11-08 | 웅진엔지니어링(주) | 연결부 신뢰성이 개선된 신축이음장치 |
-
2001
- 2001-06-28 KR KR2020010019497U patent/KR2002474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7877A (ko) | 2014-12-24 | 2016-07-04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2042806B1 (ko) * | 2019-02-15 | 2019-11-08 | 웅진엔지니어링(주) | 연결부 신뢰성이 개선된 신축이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3196B1 (ko) |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 |
KR101784721B1 (ko) |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247461Y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 |
KR100412778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JP6181960B2 (ja) | 縦目地伸縮装置 | |
WO2023246518A1 (zh) | 一种桥梁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 |
KR200247462Y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 |
KR200241138Y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 |
KR0140845Y1 (ko) | 도로이음매의 신축 이음장치 | |
KR101691623B1 (ko) |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200241142Y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559064B1 (ko) |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084668B1 (ko) |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 |
KR200241141Y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0399278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 |
KR200167589Y1 (ko) |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 |
KR200215208Y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200241139Y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0564093B1 (ko) |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 |
KR200361772Y1 (ko) | 교량상판용 차수조인트 | |
KR100399279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 |
KR200253540Y1 (ko) | 철도교량 연결부의 이음구 | |
KR102468706B1 (ko) | 변단면 강재거더 교량구조 | |
JPH0330407Y2 (ko) | ||
KR100429377B1 (ko) |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