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589Y1 -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589Y1
KR200167589Y1 KR2019980024081U KR19980024081U KR200167589Y1 KR 200167589 Y1 KR200167589 Y1 KR 200167589Y1 KR 2019980024081 U KR2019980024081 U KR 2019980024081U KR 19980024081 U KR19980024081 U KR 19980024081U KR 200167589 Y1 KR200167589 Y1 KR 200167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main plate
joint device
expansion join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995U (ko
Inventor
김태숙
Original Assignee
김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097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6758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숙 filed Critical 김태숙
Publication of KR19990032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9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5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상판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대면하는 한 쌍의 주판재와, 상기 양 주판재로부터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되어 상기 교량상판에 각각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부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앵커부에는 철근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연부로부터 하향절취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철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그라우팅의 타설을 위한 골조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본 고안은,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상판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대면하는 한 쌍의 주판재와, 상기 양 주판재로부터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되어 상기 교량상판에 각각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부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는, 교량, 고가도로 등의 상판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자체의 단부를 보호하면서 교량이나 고가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신축이음 장치에 철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 장치(101)는 교량의 상판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배치되는 한 쌍의 주판체(111)와, 주판체(11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교량상판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부(131)를 가진다.
주판체(111)는 교량의 판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판부(113)와, 상판부(113)로부터 하향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지지부(115)를 가진다.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각 상판부(113)의 내측연부는 골부와 정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톱니형상을 이룬다. 지지부(115)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출턱(1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향한 타측단부에는 돌출턱(117)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15)의 양 단부영역에는 상호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른 신축이음 장치(101)와 접속용 볼트(123) 및 너트(125)에 의해 상호 체결유지될 수 있도록 접속편(121)이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편(121)의 상부연부는 접속용 볼트(123)를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하향절취되어 있다.
한편, 각 지지부(115)의 일측 판면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앵커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앵커부(131)는 지지부(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배치되어 있다. 각 앵커부(131)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중공부(1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133)내에는 그라우팅의 타설을 위해 교량상판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는 복수의 철근(135)이 수용되어 있다. 각 앵커부(131)의 중공부(133)내에 수용된 철근(135)들은 상호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앵커부(131)와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철근(137)에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있어서는, 교량상판의 측방영역으로부터 철근을 각 앵커부의 중공부내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철근의 삽입작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각 앵커부의 중공부내에 삽입된 철근이 상호 이격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철근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복수의 철근을 배치하고 각 철근의 교차영역을 철사 등을 사용하여 일일이 결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라우팅의 타설을 위한 골조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신축이음 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신축이음 장치의 측면도 및 결합상태의 절취단면도,
도 6은 도 1의 신축이음 장치에 철근이 수용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각 주판재사이의 간격을 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신축이음 장치에 의해 연결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신축이음 장치에 철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축이음 장치 5 : 철근
10 : 주판재 20 : 앵커부
21 : 철근수용부 30 : 제1고무부재
40 : 제2고무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상판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대면하는 한 쌍의 주판재와, 상기 양 주판재로부터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되어 상기 교량상판에 각각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부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앵커부에는 철근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연부로부터 하향절취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철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음 장치(1)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인접배치된 교량의 상판사이에 단부면을 따라 배치된다. 각 신축이음장치(1)는, 상판의 사이영역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주판재(10)와, 주판재(10)로부터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되어 교량상판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부(20)와, 주판재(10)의 대향측 내벽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고무부재(30)와, 각 주판재(1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고무부재(40)를 가진다. 여기서, 주판재(10)와 제1 및 제2고무부재(30,40)는 가열융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판재(10)는 상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판부(11)와, 상판부(11)의 표면으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지지부(13)를 가지며 “T”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철판부재로 형성된다.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각 상판부(11)의 내측연부는 연속된 “S”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3)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판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앵커부(20)는 철판부재로 형성되며 상측연부에는 철근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하향절취된 복수의 철근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3)의 양단영역에는 인접배치된 다른 주판재(10)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속편(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고무부재(30)는 양 주판재(10)의 대향 측 내벽면에 각각 접착되는 세로부(31)와, 세로부(31)의 양 단을 상하에서 각각 연결하는 상부가로부(33) 및 하부가로부(37)를 가진다. 상부가로부(33)에는 하향함몰된 “U”단면형상의 주름부(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로부(37)에는 역“U”단면형상의 주름부(38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가로부(33)에 형성된 주름부(34a)의 입구영역에는 주판재(10)의 상판부(11)의 내측연부에 접촉되도록 상향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S”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된 연장리브(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연장리브(35)의 입구영역은 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절취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신축이음 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신축이음 장치의 측면도 및 결합상태의 절취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상판의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신축이음 장치(1)의 인접단부에 형성된 접속편(23)의 상부연부는 접속용 볼트(51)를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하향절취되어 있다. 접속용 볼트(51)는 양 단에 수나사부(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편(23)에 접속용 볼트(51)가 수용되면 각 수나사부(53)에 접속용 너트(55)를 체결하여 각 신축이음 장치(1)의 단부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각 신축이음장치(1)의 양 단부에는 제2고무부재(4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고무부재(40)는 각 주판재(10)의 상판부(11) 및 지지부(13)의 단부면을 차단하도록 제1고무부재(30)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하며 각 주판재(10)의 길이방향 단부면에 가열융착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2고무부재(40)는 상호 이격배치된 각 주판재(10)의 지지부(13)의 단부면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세로부(41)와, 각 주판재(10)의 상판부(11)의 단부면에 걸쳐 형성되는 상부가로부(43)와, 세로부(41)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가로부(47)를 가진다. 상부가로부(43) 및 하부가로부(47)에는 제1고무부재(30)에 형성된 주름부(34a,38a)와 상호 대응되도록 주름부(44a,48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주판재(10)의 일단에 형성된 제2고무부재(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물림리브(45)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형성된 제2고무부재(40)에는 다른 주판재(10)에 형성된 물림리브(45)를 수용할 수 있도록 리브수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물림리브(45) 및 리브수용부(46)는 제2고무부재(40)의 상부가로부(43)영역에 각각 형성된다.
도 6은 도 1의 신축이음 장치에 철근이 수용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각 주판재사이의 간격을 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신축이음 장치에 의해 연결완료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 배치된 교량상판(3) 사이영역에 신축이음 장치(1)를 연속적으로 배치시키고, 각 신축이음장치(1)의 일단에 형성된 물림리브(45)가 다른 신축이음 장치(1)의 리브수용부(46)에 수용되도록 한다. 다음, 각 앵커부(20)의 상부연부에 형성된 철근수용부(21)에 철근(5)이 수용되도록 배치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상을 갖는 간격조정구(6)를 양 주판재(10)에 설치하고, 간격조정구(6)의 양 단에 결합된 조정볼트(8)를 조작하여 각 주판재(10)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또는 제2고무부재(30,40)의 내부공간에 흡음부재(9)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철근(5)과 앵커부(20)영역에 그라우팅(G)을 타설하여 각 신축이음 장치(1)가 각 교량상판(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앵커부를 판상의 부재의 상부연부를 하향절취하여 철근수용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앵커부는 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앵커용 철근을 구부려서 상향 개구된 철근수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그라우팅의 타설을 위한 골조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

  1. (정정)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상판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대면하는 한 쌍의 주판재와, 상기 양 주판재로부터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되어 상기 교량상판에 각각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부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앵커부에는 철근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연부로부터 하향절취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철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2. (삭제)
KR2019980024081U 1997-09-03 1998-12-03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016758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080U KR200167591Y1 (ko) 1997-09-03 1997-09-03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080U Division KR200167591Y1 (ko) 1997-09-03 1997-09-03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95U KR19990032995U (ko) 1999-07-26
KR200167589Y1 true KR200167589Y1 (ko) 2000-02-01

Family

ID=195097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080U KR200167591Y1 (ko) 1997-09-03 1997-09-03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19980024081U KR200167589Y1 (ko) 1997-09-03 1998-12-03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080U KR200167591Y1 (ko) 1997-09-03 1997-09-03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675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669B1 (ko) 2011-06-21 2011-11-22 (주)에스코알티에스 교체가 용이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교체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75B1 (ko) * 2010-05-07 2010-08-19 금호이엔씨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제조방법
KR20160009492A (ko) 2015-06-23 2016-01-26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신축이음 연결장치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 연결방법
CN109736188B (zh) * 2019-02-12 2024-04-05 尚德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铁路桥梁大跨度可更换伸缩缝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669B1 (ko) 2011-06-21 2011-11-22 (주)에스코알티에스 교체가 용이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교체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897U (ko) 1999-07-05
KR19990032995U (ko) 1999-07-26
KR200167591Y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6864A (en) Composite structural assembly
US5806268A (en) Building skeleton of profiled bars
US4295310A (en) Precast concrete joist composite system
JPH02164969A (ja) 補強材のバーの組立用のクリップ、補強材、該補強材を含む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法
KR200417259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40363B1 (ko) 무천공방식의 정착고리철근을 이용한 교대측과 교량측 간의 연결슬래브조인트 시공방법
KR200167589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JP400648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床版の継手構造
JP4323226B2 (ja) 合成リブ床版
JP2005180005A (ja) コンクリート製箱桁橋の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製ウェブと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箱桁橋。
KR102014418B1 (ko)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041277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GB2075080A (en) Reinforcement girder
JP2008063805A (ja) フル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接合構造
JP3720030B2 (ja) 道路橋用伸縮継手の製造方法
KR101559064B1 (ko)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36772B1 (ko) 단열 데크플레이트
KR100511413B1 (ko) 건설용 합성 데크플레이트
EP0365580A1 (en) Shear connectors
KR101788079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제작을 위한 블럭아웃부 연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930003436B1 (ko) 조립식 교량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
KR101588161B1 (ko) 리브 피씨 슬래브 및 리브 피씨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방법
JPH0330407Y2 (ko)
JP3962138B2 (ja) Rc合成鋼床版桁橋
JPS62506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101

Effective date: 2004102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1026

Effective date: 200702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405

Effective date: 2007091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011

Effective date: 200909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915

Effective date: 200912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