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877A -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877A
KR20160077877A KR1020140188336A KR20140188336A KR20160077877A KR 20160077877 A KR20160077877 A KR 20160077877A KR 1020140188336 A KR1020140188336 A KR 1020140188336A KR 20140188336 A KR20140188336 A KR 20140188336A KR 20160077877 A KR20160077877 A KR 2016007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bridge
vertical
coupling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623B1 (ko
Inventor
손종만
손만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8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6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Abstract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한 쌍의 핑거부재와, 고무재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부재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양단이 결합되거나 상기 수직부재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가황접착되어 일체화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고, 양쪽의 상기 수직부재와 핑거부재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쪽의 수직부재와 핑거부재 또는 양쪽의 수직부재와 핑거부재 모두의 소정위치가 절되어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 및 제1 핑거부재와 제2 핑거부재로 구분되고,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 및 제1 핑거부재와 제2 핑거부재 사이에 교차하거나 직교하여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단부가 체결볼트를 갖는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을 폭방향으로 확장하거나, 새로운 교량을 구 교량의 폭방향에 신설하는 경우에, 신축이음장치에 구비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될 신축이음장치를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방향으로 별도의 커플러 없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FOR BRIDGE HAVING CROSS OR ORTHOGONAL DIRECTION CONNECT STRUCTURE}
본 발명은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을 폭방향으로 확장하거나, 새로운 교량을 구 교량의 폭방향에 신설하는 경우에,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신축이음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교량의 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서 팽창하고 수축된다. 따라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의 상판은 일정 길이마다 적정한 유간을 가지고 있다.
교량상판의 유간에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상판의 신축작용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교량상판의 폭방향 넓이가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신축이음장치들을 길이 방향으로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다.
한편, 교량을 길이방향이 아닌 폭방향으로 확장 공사하는 경우, 신축이음장치의 배열 또한 소정의 각도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교량을 폭방향으로 확장공사할 경우, 서로 엇갈리게 연설되는 복수의 신축이음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커플링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각 신축이음장치의 연설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후, 이음새로 이물질을 포함한 물 등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7461호(공고일 : 2001.10.17일)에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상판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12)재와, 상기 수직부재(12)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13)와, 상기 수직부재(12) 및 상기 수평부재(13)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부재(30)를 갖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50)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연설되는 상기 각 신축이음장치(1)의 교차지점에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각 신축이음장치(1)를 향해 연장 형성된 복수의 커플링본체(51)와; 상기 각 커플링본체(51)를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연접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서로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각 신축이음장치들 사이의 접면부로 물을 비롯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각각의 신축이음장치들의 단부만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조건의 신축이음장치들을 소정의 각도로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7461호(공고일 : 2001.10.17일)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을 폭방향으로 확장하거나, 새로운 교량을 구 교량의 폭방향에 신설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들을 연결하되, 신축이음장치의 중간부와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신축이음장치를 빗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서로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한 쌍의 핑거부재와, 고무재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부재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양단이 결합되거나 상기 수직부재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가황접착되어 일체화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고, 양쪽의 상기 수직부재와 핑거부재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쪽의 수직부재와 핑거부재 또는 양쪽의 수직부재와 핑거부재 모두의 소정위치가 절단되어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 및 제1 핑거부재와 제2 핑거부재로 구분되고,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 및 제1 핑거부재와 제2 핑거부재 사이에 교차하거나 직교하여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단부가 체결볼트를 갖는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부재에 접하는 내측이 상기 방수부재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방수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커플링의 끼움단이 삽입되는 끼움공을 구비한 결합부재; 및 상기 끼움단이 상기 끼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플랜지를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끼움공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에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부재에 접하는 내측이 상기 방수부재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방수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에 형성되는 방수부재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끼움결합단을 구비한 결합부재; 및 상기 끼움결합단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플랜지를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끼움결합단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에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체결볼트가 상기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볼트 체결공에 체결될 때, 상기 결합부와 플랜지 사이에서 완충 및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결합부재의 양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와 방수부재의 연결영역에는 유입된 빗물이나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거나, 배출관이 일체화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수직부재나 제2 수직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결합될 신축이음장치가 상기 수직부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양쪽의 결합부가 상기 표면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될 신축이음장치가 상기 수직부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쐐기 형상을 갖는 각도조절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될 신축이음장치와 상기 결합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끼움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플링의 끼움단 외측면에 형성된 외부 요철부와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내부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결합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공의 내측면에는 형성된 내부 요철부와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외부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을 폭방향으로 확장하거나, 새로운 교량을 구 교량의 폭방향에 신설하는 경우에, 신축이음장치에 구비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될 신축이음장치를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방향으로 별도의 커플러 없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 연결용 커플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플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다른 신축이음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3에 도시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a,6b는 도 3에 도시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각도조절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조절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다른 신축이음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3에 도시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는, 교량을 폭 방향으로 확장하는 경우에, 서로 교차하거나 직교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들을 별도의 커플링이 없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쌍의 수직부재(200)와 수직부재(200)들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한 쌍의 핑거부재(300)와, 고무재로 이루어져 수직부재(20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양단이 결합되거나 수직부재(20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가황접착되어 일체화되는 방수부재(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양쪽의 수직부재(200)와 핑거부재(300)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쪽의 수직부재(200)와 핑거부재(300) 또는 양쪽의 수직부재(200)와 핑거부재(300) 모두의 소정위치가 절단되어 제1 수직부재(200A)와 제2 수직부재(200B) 및 제1 핑거부재(300A)와 제2 핑거부재(300B)로 구분되고, 제1 수직부재(200A)와 제2 수직부재(200B) 및 제1 핑거부재(300A)와 제2 핑거부재(300B) 사이에 교차하거나 직교하여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의 단부가 체결볼트(510)를 갖는 결합수단(500)에 의해 연결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500)은,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방수부재(400)에 접하는 내측이 방수부재(400)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어 방수부재(400)의 내부와 연통되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커플링(700)의 끼움단(710)이 삽입되는 끼움공(522)을 구비한 결합부재(520)와, 끼움단(710)이 끼움공(5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의 플랜지(110)를 제1 수직부재(200A)와 제2 수직부재(200B)에 결합시키도록 끼움공(522)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제1 수직부재(200A)와 제2 수직부재(200B)에 체결볼트(510)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532)을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부(530)에는, 체결볼트(510)가 플랜지(110)를 통하여 볼트 체결공(532)에 체결될 때, 결합부(530)와 플랜지(110) 사이에서 완충 및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패킹부재(5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550)는, 결합부재(520)와는 별개(독립적)로 구성되어 설치되거나, 결합부재(520)의 양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530)는 수직부재(200)의 외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볼트 체결공(532)을 구비한 판재가 수직부재(200)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일체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부(530)는 체결볼트(510)가 체결될 때 플랜지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520)와 방수부재(400)의 연결영역에는 유입된 빗물이나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거나, 배출관(420)이 일체화되어 마련된다.
한편, 끼움공(522)의 내측면에는, 커플링(700)의 끼움단(710) 외측면에 형성된 외부 요철부(712)와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내부 요철부(5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 요철부(712)와 내부 요철부(524)는 서로 끼움 결합시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밀폐성을 높임으로써, 빗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를 이용하여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신축이음장치(100B,100C)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의 양쪽 수직부재(200)에 결합수단이 마련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들을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해서는, 결합수단(500)을 이루는 결합부재(520)의 끼움공(522)에 커플링(700)의 한쪽 끼움단(710)을 끼워 결합한다.
이때, 커플링(700)의 다른 쪽 끼움단(710)을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에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커플링(700)의 한쪽 끼움단(710)을 끼움공(522)에 끼워 결합할 수도 있다. 다른 신축이음장치(100C)도 같은 방법으로 끼움 결합한다.
이와 같이 빗물이나 이물질이 연결부위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커플링(700)의 끼움단(710)이 끼움공(522)에 끼워지면, 체결볼트(510)을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의 플랜지(110)로 통과시킨 후 패킹부재(550)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공(532)에 각각 체결한다.
이 과정으로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100C)들의 각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의 양쪽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100C)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 자체에 구비됨으로써, 종래기술과 같이 "+"형의 커플링이 없어도 서로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신축이음장치(100A)에 다른 신축이음장치(100B,100C)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신축이음장치(100A,100B,100C)들을 연결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a,6b는 도 3에 도시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각도조절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에 대하여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할 수도있다.
즉,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30)가 제1 수직부재(200A)나 제2 수직부재(200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각각 형성되되, 결합될 신축이음장치(100B)가 수직부재(2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양쪽의 결합부(530)가 수직부재(200)의 표면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533)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부(530)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이 결합부(530)에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30)에는, 결합될 신축이음장치(100B)가 수직부재(2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쐐기 형상을 갖는 각도조절편(534)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양한 각도의 각도조절편(534)을 여러 개 구비시켜 결합될 신축이음장치(100B)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조절구조를 도시한 일부확대 평단면도이다.
즉, 결합부(530)에는, 결합될 신축이음장치(100B)과 결합부재(5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편(536)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간격조절편(536)은,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의 결합부(530)와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의 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발생된 간격만큼의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편(536)을 끼워 체결볼트(510)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간격조절편(536)에 의해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의 결합부(530)와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의 단부 사이에 미세한 간격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는, 결합부재(520)가,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방수부재(400)에 접하는 내측이 방수부재(400)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어 방수부재(400)의 내부와 연통되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의 단부에 형성되는 방수부재(130)의 결합공(132)에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결합단(570)이 돌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러한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는,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의 단부에 형성되는 방수부재(130)의 결합공(132)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결합단(570)이 돌출 형성되므로, 별도의 커플링(700)이 불필요하다.
이때, 끼움결합단(570)의 외측면에는, 결합공(132)의 내측면에는 형성된 내부 요철부(133, 도 3 참조)와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외부 요철부(57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결합수단(500)이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의 양쪽에 마련되어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가 "+"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의 한쪽에 결합수단(500)이 마련되어 연결될 신축이음장치(100B)가 "T"자 형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A)의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에 다른 신축이음장치(100B)가 연결되기 위한 결합수단(500)가 마련됨으로써, 교량을 폭 방향으로 신축하는 공사현장에서 신축이음(100A100B)들을 다양한 각도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A,100B : 신축이음장치 110 : 플랜지
130,400 : 방수부재 132 : 결합공
200 : 수직부재 200A : 제1 수직부재
200B : 제2 수직부재 300 : 핑거부재
300A : 제1 핑거부재 300B : 제2 핑거부재
420 : 배출관 500 : 결합수단
520 : 결합부재 522 : 끼움공
530 : 결합부 550 : 패킹부재
700 : 커플링 710 : 끼움단

Claims (10)

  1.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한 쌍의 핑거부재와, 고무재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부재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양단이 결합되거나 상기 수직부재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가황접착되어 일체화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고,
    양쪽의 상기 수직부재와 핑거부재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쪽의 수직부재와 핑거부재 또는 양쪽의 수직부재와 핑거부재 모두의 소정위치가 절단되어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 및 제1 핑거부재와 제2 핑거부재로 구분되고,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 및 제1 핑거부재와 제2 핑거부재 사이에 교차하거나 직교하여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단부가 체결볼트를 갖는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부재에 접하는 내측이 상기 방수부재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방수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커플링의 끼움단이 삽입되는 끼움공을 구비한 결합부재; 및
    상기 끼움단이 상기 끼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플랜지를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끼움공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에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부재에 접하는 내측이 상기 방수부재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방수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단부에 형성되는 방수부재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끼움결합단을 구비한 결합부재; 및
    상기 끼움결합단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될 신축이음장치의 플랜지를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끼움결합단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제2 수직부재에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볼트 체결공에 체결될 때, 상기 결합부와 플랜지 사이에서 완충 및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결합부재의 양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방수부재의 연결영역에는 유입된 빗물이나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거나, 배출관이 일체화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수직부재나 제2 수직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결합될 신축이음장치가 상기 수직부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양쪽의 결합부가 상기 표면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될 신축이음장치가 상기 수직부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쐐기 형상을 갖는 각도조절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될 신축이음장치와 상기 결합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플링의 끼움단 외측면에 형성된 외부 요철부와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내부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공의 내측면에는 형성된 내부 요철부와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외부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140188336A 2014-12-24 2014-12-24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69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36A KR101691623B1 (ko) 2014-12-24 2014-12-24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36A KR101691623B1 (ko) 2014-12-24 2014-12-24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77A true KR20160077877A (ko) 2016-07-04
KR101691623B1 KR101691623B1 (ko) 2017-01-09

Family

ID=56501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336A KR101691623B1 (ko) 2014-12-24 2014-12-24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750B1 (ko) * 2021-07-19 2022-03-18 주식회사 하이탑 방수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975B1 (ko) 2017-06-27 2018-03-21 이명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461Y1 (ko) 2001-06-28 2001-10-17 (주)엠피기술산업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KR100626201B1 (ko) * 2003-12-30 2006-09-20 대경산업(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909276B1 (ko) * 2008-10-23 2009-07-2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461Y1 (ko) 2001-06-28 2001-10-17 (주)엠피기술산업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KR100626201B1 (ko) * 2003-12-30 2006-09-20 대경산업(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909276B1 (ko) * 2008-10-23 2009-07-2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750B1 (ko) * 2021-07-19 2022-03-18 주식회사 하이탑 방수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623B1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1533984B1 (ko)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KR101691623B1 (ko)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993096B1 (ko) 터널 공사용 조립식 격자지보
KR101869726B1 (ko)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0909276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KR101503394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레일 교체시공방법
KR20170096449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975259B1 (ko) 교량의 비지지점 신축이음장치
KR101580194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 이와 공장제작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44424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50007201A (ko) 중앙에 주름부를 갖는 지수판
KR20150146272A (ko) 세그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아치형 구조물
KR101822923B1 (ko)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결합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부재 설치방법
KR101535260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20150066090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1559064B1 (ko)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JP421410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伸縮可能な後施工型可撓継手装置
KR101886708B1 (ko) 설치가 간편한 신축이음장치
KR101084668B1 (ko)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KR10062620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247461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JP6571354B2 (ja) 嵩上げブロック
KR200272143Y1 (ko)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200411385Y1 (ko)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