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143Y1 -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143Y1
KR200272143Y1 KR2020020000563U KR20020000563U KR200272143Y1 KR 200272143 Y1 KR200272143 Y1 KR 200272143Y1 KR 2020020000563 U KR2020020000563 U KR 2020020000563U KR 20020000563 U KR20020000563 U KR 20020000563U KR 200272143 Y1 KR200272143 Y1 KR 200272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xpansion joint
plate
typ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최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철 filed Critical 최광철
Priority to KR2020020000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143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재와 같은 신축성을 갖는 신축이음판을 극히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어 작업성의 극대화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 등을 제공하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이웃하여 설치되는 교량 상판 상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판(2)을 레일(1)에 끼움 후 고정판(4)을 나사체결식으로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신축이음판(2)의 최초 설치 및 사용 중 마모나 손상 등으로 인한 교체설치시 인력소모는 물론 제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교체작업에 따르는 작업시간 등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으로 인한 교통 정체 등과 같은 제반 문제점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Elastic connection device having a type of rail for constructing bridge}
본 고안은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고무재와 같은 신축성을 갖는 신축이음판(=rubber seal)을 극히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어 작업성의 극대화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 등을 제공하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교량용 상판은 외기 온도 등에 의하여 신축을 행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상판 상간에는 다양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즉, 이는 상판의 신축에 상응하여 이웃하는 상판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재와 같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신축이음판(2)과, 상기 신축이음판(2)을 상판(6)에 설치되는 레일(1)에 형성된 결합홈(3) 상으로 슬라이드 끼움식으로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경우는 신축이음판(2)을 레일(1)의 결합홈(3)상에 끼움식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신축이음판(2)을 최초 시공시는 물론 사용 도중 손상 등으로 인한 교체작업을 행하고자 할 시는 도로를 차단하고 교환설치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등 작업상의 번거로움은 상당한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가갖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신축이음판을 레일 측방에서 끼움식으로 결합하고 고정판으로 간단히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최초 설치 및 교체상의 이점을 대폭 증대할 수 있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레일 1a:나사결합공
2:신축이음판 2a:끼움요부
2b:끼움단부 3:결합홈
4:고정판 4a:결합공
5:체결볼트 6:교량용 상판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이를 발췌한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종래와 동일한 구성부재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은 통상의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레일(1)상에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축이음판(2)을 보다 손쉽게 설치 및 교환 등을 행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음판(2) 끼움단부(2b)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3)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3)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ㄷ)형으로 구성하여 측면에서 끼움식으로 신축이음판(2)을 결합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신축이음판(2)의 끼움요부(2a)에 끼움연접되면서 레일(1)에 고정될 수 있는 개략 L형의 고정판(4)을 구비하여 수개의 체결볼트(5)로 레일(1)상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일(1)과 고정판(4) 상에는 횡방향으로 나사결합공(1a)과 결합공(4a)을 각각 형성하여 체결볼트(5)에 의한 나사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하고,상기 체결볼트(5)는 고정판(4)상에 나사고정시 동일면상으로 매입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레일(1)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축이음판(2)이 교량용 상판(6) 상간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레일(1)에도 접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중의 부호 7은 고정앵커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용 상판(6) 등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외기 조건에 따라 신축되는 상판(6)의 이음부를 신축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레일(1)과 레일(1) 상간에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진 신축이음판(2)을 결합하되, 상기 신축이음판(2)의 양단을 레일(1) 상에 형성된 결합홈(3) 상으로 끼움시키고, 상기 신축이음판(2)의 끼움요부(2a) 상으로 고정판(4)의 하단부를 끼움시킨 후 수개의 체결볼트(5)를 사용하여 고정판(4)을 레일(1)에 고정하면 신축이음판(2)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레일식으로 이루어진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신축이음판(2)을 레일(1)상에 원터치로 측방에서 끼움결합시킨 후 체결볼트(5)를 사용하여 고정판(4)만 고정하면 간단히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고, 신축이음판(2)의 마모나 손상 등으로 이를 교체코자 할 시는 체결볼트(5)를 나사분리 후 고정판(4)을 레일(1)로부터 측방으로 분리하면 신축이음판(2)도 동시에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그 설치 및 교환 등의 작업이 극히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이웃하여 설치되는 교량 상판(6) 상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판(2)을 레일(1)의 결합홈(3)에 끼움 후 고정판(4)을 나사체결식으로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신축이음판(2)의 최초 설치 및 사용 중 마모나 손상 등으로 인한 교체설치시 인력소모는 물론 제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교체작업에 따르는 작업시간 등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으로 인한 교통 정체 등과 같은 제반 문제점도 일소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레일(1) 상간에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축이음판(2)을 결합시켜 구성되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3)을 형성하여 신축이음판(2)의 끼움단부(2b)가 레일(1) 측방에서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신축이음판(2)의 끼움단부(2b) 상에 형성되는 끼움요부(2a)에는 하단부가 끼움되는 개략 L형의 고정판(4)을 결합공(4a)과 나사결합공(1a)을 통하여 체결볼트(5)로 레일(1)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2020020000563U 2002-01-08 2002-01-08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200272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63U KR200272143Y1 (ko) 2002-01-08 2002-01-08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63U KR200272143Y1 (ko) 2002-01-08 2002-01-08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143Y1 true KR200272143Y1 (ko) 2002-04-13

Family

ID=7311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563U KR200272143Y1 (ko) 2002-01-08 2002-01-08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1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91B1 (ko) 2013-04-02 2013-11-11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50102444A (ko) 2014-02-28 2015-09-07 이두성 고정핀을 이용한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91B1 (ko) 2013-04-02 2013-11-11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50102444A (ko) 2014-02-28 2015-09-07 이두성 고정핀을 이용한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100924708B1 (ko)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0272143Y1 (ko)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20200016089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체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27909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보수를 위한 교량의 신축이음 교체 공법
KR101762145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보수 교체 공법 및 그 장치
KR100427908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KR10039927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1459392B1 (ko) 일체형 모노셀의 교체가 용이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교체공법
KR20010075743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120008399A (ko) 철도 교량용 우수받이
KR101581799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할형 신축이음장치
KR101691623B1 (ko)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084668B1 (ko)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KR101886708B1 (ko) 설치가 간편한 신축이음장치
KR20010068280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1686213B1 (ko)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10092120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184726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98671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KR100399278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399279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160077732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고무방수재의 설치 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고무방수재와 보수용 덮게형 고무방수판
KR100672282B1 (ko) 교량의 조립형 신축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