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208Y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208Y1
KR200215208Y1 KR2020000026014U KR20000026014U KR200215208Y1 KR 200215208 Y1 KR200215208 Y1 KR 200215208Y1 KR 2020000026014 U KR2020000026014 U KR 2020000026014U KR 20000026014 U KR20000026014 U KR 20000026014U KR 200215208 Y1 KR200215208 Y1 KR 200215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ides
outside
vertical portion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석
Original Assignee
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2020000026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208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쌍으로 구성된 빔의 상 수평부의 외측에는 함몰 수직부를 형성하여 수직하중을 분산시킴으로서 빔을 지지하는 콘크리트부의 손상(슬랙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수직면이 형성된 사각봉의 형상을 가지며 연질의 방수처리된 발포 스폰지의 신축부재와, 상기 신축부재의 수직면과 내측면이 접착되며 외측에 다수의 돌출파이프가 설치된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상,하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상,하 수평부 및 상 수평부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하중을 분산하는 함몰 수직부가 일체로 구성된 빔이 상기 신축부재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을 이루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equipment}
본 고안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한쌍으로 구성된 빔의 상 수평부의 외측에는 함몰 수직부를 형성하여 수직하중을 분산시킴으로서 빔을 지지하는 콘크리트부의 손상(슬랙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장치(expansion equipment)라 함은, 교량에 있어서 상판 단부의 신축에 의한 이음을 원활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동절기에 교량이 신축되거나 하절기에 교량이 신장되는 것에 비래하여 양 방향으로 신축을 반복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수평부(201,202)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프레임(200)이 양측에 대칭되게 위치되어 있으며, 프레임(200)의 내측면 사이의 상부에는 프레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열로 융착된 신축고무(30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수직부(201)의 외측에는 상판의 장착시 철근을 배근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파이프(203)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의 이동시 발생되는 수직 하중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부로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서, 수직부가 장착되는 교량상판의 연결부가 쉽게 파손되어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도로가 노화될 경우에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부의 외측 단부가 상판노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서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프레임을 연결하는 신축고무의 중앙이 양측보다 상대적으로 얇음으로서 신축고무의 중간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돌출파이프는 내측단 부분만 프레임에 용접됨으로서, 돌출파이프의 지지력이 약함으로 인하여 철근 배근시 돌출파이프가 쉽게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한쌍으로 구성된 빔을 구성하는 상 수평부의 외측에는 콘크리트에 함몰되는 함몰 수직부를 형성함으로서, 신축이음장치에서 받는 수직하중을 상기 함몰 수직부에서 분산함에 따라 빔을 지지하는 콘크리트부의 손상(슬랙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몰 수직부가 콘크리트에 매설됨에 따라 빔을 구성하는 수평부가 노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한쌍을 이루는 빔을 연결하는 신축부재를 사각봉 형상으로 제작하고 신축성이 높은 방수 발포 스폰지를 사용함으로서, 신축부재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 사이에 신축부재를 수직으로 절곡시켜 경계부를 마감하게 함으로서, 별도의 마감부재의 사용을 필요 없게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에 수직면이 형성된 사각봉의 형상을 가지며 연질의 방수처리된 발포 스폰지의 신축부재와, 상기 신축부재의 수직면과 내측면이 접착되며 외측에 다수의 돌출파이프가 설치된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상,하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상,하 수평부 및 상 수평부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하중을 분산하는 함몰 수직부가 일체로 구성된 빔이 상기 신축부재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을 이루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신축이음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신축이음장치를 보도석의 경계부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빔
11 : 수직부
111 : 돌출파이프
12 : 상 수평부
13 : 하 수평부
14 : 함몰 수직부
2 : 신축부재
21 : 수직면
22 : 수평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신축이음장치는, 양측에 대칭되게 장착되어 상판의 단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빔(1)과, 빔(1)의 중앙을 연결하는 신축부재(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빔(1)은 내측에 형성된 수직부(11)와 상하에 위치된 상,하 수평부(12,13) 및 상 수평부(12)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함몰 수직부(14)로 구성되고, 상기 신축부재(2)는 양측에 수직면(21)과 상,하측에 수평면(22)이 형성된 사각봉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신축이음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빔(1)의 수직부(11)와 상,하 수평부(12,13) 및 함몰 수직부(14)는 빔의 제조과정에서 압출 또는 인발과정을 통해 일체로 제조되거나 철판의 절곡과정을 통해 일체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1)는 교량상판(100;도4참조)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외측면에는 상판의 연결시 철근을 배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파이프(111)가 등간격으로 용접을 통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돌출파이프(111)의 내측 상부와 상기 수직부(11)의 외측면 사이에는 돌출파이프(111)의 강도를 보강 할 수 있도록 경사리브(112)가 용접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1)의 외측면 전,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타 신축이음장치와 연결될 수 있도록 조립공이 형성된 연결브라켓(113)이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 수평부(12)는 교량상판(11)의 단부 상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중으로 인한 교량상판(11)의 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상기 수평부(11)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 수평부(11)와 상기 상 수평부(12)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함몰 수직부(14)는 콘크리트 내부에 장착되어 빔(1)이 상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신축부재(2)는 양측에 대칭되게 장착되어 있는 빔(1)의 중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신축부재(2)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면(21)과 상기 빔(1)을 구성하는 수직부(11)의 내측면 사이가 접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재(2)의 수직면(21)에는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홈부(211)를 형성함으로서 접착재(212)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2)는 연질의 방수처리된 발포 스폰지를 사용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절곡이 가능함은 물론, 차도와 보도석의 경계부에서는 수직으로 세워져 보도석 사이의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포 스폰지를 방수처리 함으로서 방수성을 뛰어나게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양측에 대칭 되게 장착되는 빔(1)을 구성하는 수직부(11)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다음, 상기 양측에 위치된 수직부(11)의 내측면 사이에 신축부재(2)를 위치시킨 후 접착재(212)를 통해 수직부(11)와 신축부재(2)를 일체로 접착함으로서 신축이음장치을 완성한다.
한편 교량상판(100)의 단부 상측에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홈부(101)를 설치한다.
다음, 먼저 양측에 위치되어 일전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상판(100) 사이에 형성된 홈부(101)에 빔(1)의 돌출파이프(111)가 위치되도록 장착한 후, 상기 돌출파이프(111)에 철근을 배근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신축이음장치를 상판(100)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빔(1)의 상 수평부(12)의 외측에서 절곡된 함몰 수직부(14)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됨으로서, 차량이 신축이음장치를 통과하는 순간에 하중이 상기 함몰 수직부로 분산됨으로 인하여 홈부(111)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신축이음장치를 보도석의 경계부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일단이 45도로 경사지게 절단된 빔(1)을 차도의 분리부분에 설치하고 보도석의 분리부분에도 일단이 45도로 경사지게 절단된 빔(1)을 설치한 다음, 상기 45도로 경사진 빔(1)의 사이에는 상,하부가 45도로 경사지게 절단된 빔(1)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상기 차도와 보도에 장착된 빔(1)과 수직으로 장착되는 빔(1)을 서로 용접한다.
그 후 상기 차도에 장착된 빔(1)으로 부터 또는 보도에 장착된 빔(1)으로부터 신축부재(2)를 수평으로 접착한 후,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빔(1)에서 신축부재(2)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접착한 다음, 신축부재(2)를 다시 수평으로 절곡하여 보도 또는 차도에 장착된 빔(1)에 신축부재를 접착하는 과정을 통해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즉 신축부재(2)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부분은 보도에 장착되어 있는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빔(1)의 끝단 내부에 장착됨으로서, 차도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등이 보도의 분리부분에 침투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 사이에 신축부재(2)를 수직으로 절곡 시킴으로서, 별도의 마감부재의 사용을 필요 없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수직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빔을 제공함으로서 신축이음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빔을 구성하는 수평부가 노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막아 차량의 운행중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신축부재를 사각봉 형상으로 제작하여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게 하고 신축성이 높은 방수 발포 스폰지를 사용함으로서, 신축부재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에는 별도의 마감부재의 사용을 필요없게 함으로서, 시공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양측에 수직면(21)이 형성된 사각봉의 형상을 가지며 연질의 방수 발포스폰지로 구성된 신축부재(2)와,
    상기 신축부재(2)의 수직면(21)과 내측면이 접착되며 외측에 다수의 돌출파이프(111)가 설치된 수직부(11)와 이 수직부(11)의 상,하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상,하 수평부(12,13) 및 상 수평부(12)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하중을 분산하는 함몰 수직부(14)가 일체로 구성된 빔(1)이 상기 신축부재(2)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을 이루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11)의 외측면과 돌출파이프(111)의 내측 상부 사이에는 돌출파이프(111)의 강도를 보강 할 수 있도록 경사리브(112)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2)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면(21)에는 접착재의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다층의 홈부(2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20000026014U 2000-09-15 2000-09-15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215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014U KR200215208Y1 (ko) 2000-09-15 2000-09-15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014U KR200215208Y1 (ko) 2000-09-15 2000-09-15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208Y1 true KR200215208Y1 (ko) 2001-03-02

Family

ID=7307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014U KR200215208Y1 (ko) 2000-09-15 2000-09-15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2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579B1 (ko) 2011-10-10 2012-04-17 (주)아이비건설 각도조절이 가능한 신축이음 장치
KR102518822B1 (ko) * 2022-09-28 2023-04-10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신축 이음용 레일 조인트
KR102598821B1 (ko) * 2022-09-23 2023-11-06 매이크앤 주식회사 앵커부 연장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579B1 (ko) 2011-10-10 2012-04-17 (주)아이비건설 각도조절이 가능한 신축이음 장치
KR102598821B1 (ko) * 2022-09-23 2023-11-06 매이크앤 주식회사 앵커부 연장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2518822B1 (ko) * 2022-09-28 2023-04-10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신축 이음용 레일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200215208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US4131382A (en) Expansion joints
JP4936145B2 (ja) 道路継目伸縮装置および道路継目用フィンガー
KR100870085B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100225536B1 (ko)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8088114U (zh) 桥梁伸缩缝装置
KR200241138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KR100466001B1 (ko) 교량의 신축연결장치
KR20060074048A (ko) 교량의 레일 신축이음 장치
KR102650735B1 (ko) 방음판의 결합력을 증대한 방음터널
KR10049344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269454Y1 (ko) 교량의 신축연결부
JPH0330407Y2 (ko)
KR200310500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213476605U (zh) 一种桥梁伸缩缝装置
KR200247461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커플링
CN215758510U (zh) 一种便于维修的预应力锚固式桥梁伸缩装置
JP3639945B2 (ja) 橋梁・高架道路用伸縮接続装置
KR200361772Y1 (ko) 교량상판용 차수조인트
JP3257990B2 (ja) 道路橋継目部の伸縮装置
JP4218028B2 (ja) 道路継目伸縮装置
KR200249034Y1 (ko) 개량된 티에프 조인트
JPS6141764Y2 (ko)
JPH11172917A (ja) 貫通スリット形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