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092A - 조립식 암거 - Google Patents

조립식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092A
KR19980043092A KR1019980019120A KR19980019120A KR19980043092A KR 19980043092 A KR19980043092 A KR 19980043092A KR 1019980019120 A KR1019980019120 A KR 1019980019120A KR 19980019120 A KR19980019120 A KR 19980019120A KR 19980043092 A KR19980043092 A KR 1998004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late portion
side wall
culvert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1458B1 (ko
Inventor
박병무
Original Assignee
박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무 filed Critical 박병무
Priority to KR101998001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45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458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에 대해 기립되게 설치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부를 가지고 내부에 공동구가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암거유니트를 갖는 조립식 암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판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에 케이블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공보다 낮은 경로를 따라 상기 양 케이블공을 연결하는 케이블관과; 상기 케이블관내에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용 결합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판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암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암거
본 발명은, 본 고안은 조립식 암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에 대해 기립되게 설치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부를 가지고 내부에 공동구가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암거유니트를 갖는 조립식 암거에 관한 것이다.
암거는 우수·오수 및 농공업용수 등의 수로를 형성하거나, 인도 및 차도 등의 통행로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한편, 전기통신 및 온·냉관로 등의 매설을 위한 지하공동구의 제작 및 농수산물의 저장창고 등의 제작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암거를 부분별로 분할하여 예를 들면, 덮개판, 측면판, 바닥판 등을 공장에서 다량으로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 이들이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암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암거에 있어서는, 암거가 대형화될 경우, 즉, 이러한 암거를 이용하여 교통로 및/또는 터널 등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암거의 제작자체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장까지의 운반 및 설치에 많은 시간과 장비 등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닥판상에 측면판이 기립되게 설치되고 측면판상에 덮개판이 단순히 적치되어 지지됨으로써, 차량의 통행이 빈번히 이루어지게 되는 통행로용 암거로서 의 결합강도 및 지지강도가 적절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통행로의 적절한 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덮개판의 길이가 연장될 뿐만 아니라, 덮개판을 지지하는 측면판의 간격이 멀어지게 됨으로써, 덮개판에 동하중 형태로서 작용하는 빈번한 차량의 행렬이 이루어지게 될 경우 덮개판의 열화가 쉽게 촉진되어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암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판부의 케이블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Ⅲ-Ⅲ 및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케이블고정구설치영역의 확대단면도,
도 6은 측벽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그라우팅 타설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벽부 11,21 : 저부플랜지
20 : 중간격벽부 30 : 상판부
40 : 곡선긴장부 41 : 그루브
43 : 곡선케이블관 45 : 고정플레이트
47 : 케이블 50 : 직선긴장부
53 : 직선케이블관 60 : 그라우팅수용부
71 : 저판부 72 : 케이블인장기
73 : 케이블고정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에 대해 기립되게 설치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부를 가지고 내부에 공동구가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암거유니트를 갖는 조립식 암거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에 케이블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공보다 낮은 경로를 따라 상기 양 케이블공을 연결하는 케이블관과; 상기 케이블관내에 수용되어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관은 상기 상판부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상판부내에 하향만곡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에는 현장에서 타설되는 그라우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된 그라우팅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그라우팅수용부의 하측 양단에 형성된 케이블공을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직선케이블관과, 상기 직선케이블관내에 수용되어 긴장상태로 고정유지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의 하부영역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저부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판부는 상호 대향배치된 저부플랜지 사이영역에 현장에서 그라우팅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사이에 기립되게 설치되는 중간격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 상기 중간격벽부 및 상기 상판부의 상호 접촉영역사이에 개재되는 지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판부의 케이블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Ⅲ-Ⅲ 및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케이블고정구설치영역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측벽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그라우팅 타설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는, 내부에 공동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암거유니트를 가지며, 각 암거유니트는, 양 측벽부(10)와, 양 측벽부(10)사이에 개재되는 중간격벽부(20)와, 이들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판부(30)와, 측벽부(10)와 중간격벽부(20)사이의 저부영역에 그라우팅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저판부(71)를 가진다.
측벽부(10)는, 저부영역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저부플랜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영역에는 상판부(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계단상의 접촉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10)의 일측단부 하부영역에는 공동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단턱(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향한 타측단부에는 다른 암거유니트의 단턱(13)과 계합될 수 있도록 하단으로부터 절취된 절취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공동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저부플랜지(11)의 내측연부에는 다수의 보강철근(15)이 돌출연장되어 있으며, 각 측벽부(10)의 일측단부영역에는 상호 맞대기 접촉시 틈새를 기밀적으로 차단하는 지수제(17)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수제수용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격벽부(20)는, 저부영역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저부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플랜지(21)의 양측연부에는 저판부(71)의 형성을 위한 보강철근(25)이 다수 돌출형성되어 있다. 중간격벽부(20)의 상부영역에는 외측으로 상향경사지게 상향경사부(27)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향경사부(27)의 상단에는 단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상판부(30)의 일측 하단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함몰수용부(22)가 공동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격벽부(20)의 일측단부 하부영역에는 공동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돌출된 계단상의 단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향한 타측 단부에는 상호 연속결합되는 다른 암거유니트의 단턱과 계합될 수 있도록 하단으로부터 절취된 절취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격벽부(20)의 일측단부면에도 상호 맞대기 접촉시 틈새를 기밀적으로 차단하는 지수제(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수제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부(30)는, 거의 직사각형상을 가지며, 공동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연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하부표면으로부터 소정 절취된 절취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34)의 대향측 연부에는 다른 암거유니트의 절취부(34)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공동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계단상의 단턱(33)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하단에는 측벽부(10)의 접촉지지부(12)와 상호 계합될 수 있도록 계단상의 계합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향한 타측하단에는 중간격벽부(20)의 함몰수용부(22)에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하향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판부(30)는, 공동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영역에 형성된 곡선긴장부(40)와, 양 곡선긴장부(40)사이영역에 형성되는 직선긴장부(50)를 가진다. 각 곡선긴장부(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영역에 상부표면으로부터 거의 “V”형상을 이루도록 함몰된 그루브(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그루브(41)사이에는 상향만곡되도록 형성된 곡선케이블관(43)이 공동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이격배치되어 있다. 각 그루브(41)의 내측 경사면에는 금속부재로 형성된 고정플레이트(45)가 결합되어 있으며, 각 고정플레이트(45)에는 각 곡선케이블관(43)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케이블(47)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곡선긴장부(40)사이영역에는 상판부(30)의 상부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사후 그라우팅 타설되는 그라우팅수용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라우팅수용부(6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곡선긴장부(40)의 내측연부에는 그라우팅수용부(60)측으로 각각 다수의 보강철근(65)이 연장돌출되어 있다. 그라우팅수용부(60)의 하측에는 직선긴장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직선긴장부(50)에는 상판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직선케이블관(53)이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직선긴장부(50)의 양측단에는 직선케이블관(53)에 대응하여 케이블(47)이 통과결합될 수 있도록 통과공이 각각 형성된 고정플레이트(45)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곡선케이블관(43) 및 직선케이블관(53)내에는 케이블(47)이 수용결합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47)은 별도의 케이블인장기(72)에 의해 긴장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케이블(47)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고정구(73)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공동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벽부(10) 및 중간격벽부(20)의 단턱(13)에 다른 측벽부(10) 및 중간격벽부(20)의 절취부(14)가 상호 계합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한 후, 이들의 상단에 상판부(30)이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이 때, 상판부(30)과 중간격벽부(20) 및 측벽부(1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호 간의 틈새를 기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고무패드(75)가 개재된다. 그리고, 중간격벽부(20)의 저부플랜지(21) 및 측벽부(10)의 저부플랜지(11) 사이영역에 그라우팅을 타설하여 저판부(71)를 형성시키고, 상판부(30)의 그라우팅수용부(60) 및 그루브(41)에 그라우팅이 각각 타설되도록 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상판부내에 곡선케이블관이 하향만곡되도록 구성하여 케이블이 수용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곡선케이블이 상판부의 하측 표면에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부에 케이블이 긴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곡선긴장부 및 직선긴장부를 각각 형성하여 암거의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상판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암거가 제공된다. 또한, 저판부 및 상판부의 일부영역을 현장에서 그라우팅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암거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암거결합체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양단영역을 현장에서 그라우팅 타설하여 케이블 및 케이블고정구가 외부에 대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및 케이블고정구의 내식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에 대해 기립되게 설치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부를 가지고 내부에 공동구가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암거유니트를 갖는 조립식 암거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에 케이블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공보다 낮은 경로를 따라 상기 양 케이블공을 연결하는 케이블관과;
    상기 케이블관내에 수용되어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관은 상기 상판부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상판부내에 하향만곡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암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는 현장에서 타설되는 그라우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된 그라우팅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그라우팅수용부의 하측 양단에 형성된 케이블공을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직선케이블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케이블관내에는 케이블이 긴장상태로 수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하부영역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저부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판부는 상호 대향배치된 저부플랜지 사이영역에 현장에서 그라우팅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사이에 기립되게 설치되는 중간격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 상기 중간격벽부 및 상기 상판부의 상호 접촉영역사이에 개재되는 지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
KR1019980019120A 1998-05-26 1998-05-26 조립식 암거 KR100281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120A KR100281458B1 (ko) 1998-05-26 1998-05-26 조립식 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120A KR100281458B1 (ko) 1998-05-26 1998-05-26 조립식 암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092A true KR19980043092A (ko) 1998-08-17
KR100281458B1 KR100281458B1 (ko) 2001-02-01

Family

ID=6589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120A KR100281458B1 (ko) 1998-05-26 1998-05-26 조립식 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668B1 (ko) * 1999-08-31 2003-03-31 박정규 상판부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839B1 (ko) * 1999-05-18 2003-11-14 박정규 조립식 암거의 제조방법
CN102174797A (zh) * 2011-03-31 2011-09-07 刘山健 一种斜交预制装配式钢筋混凝土涵洞
KR101301079B1 (ko) 2012-09-10 2013-09-03 안창일 박스구조물 시공방법
KR101301081B1 (ko) 2012-11-05 2013-09-03 안창일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668B1 (ko) * 1999-08-31 2003-03-31 박정규 상판부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1458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04478A (ja) 排水金具及び排水ブロック、並びに排水金具付き排水ブロックの付設方法
GB2124277A (en) Arched precast concrete culvert
JP5491804B2 (ja) 電線共同溝用トラフ
KR100661916B1 (ko) 양 방향 전단,좌굴 보강 콘크리트 암거
KR100281458B1 (ko) 조립식 암거
EP1887137B1 (en) Wide Channel Drainage System
KR100297823B1 (ko) 암거 및 그 제조방법
US763204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rming drainage and trench forming systems
KR101697938B1 (ko) 배수로 조립체
JP2007162350A (ja) 排水導入具及び側溝ブロック
KR101881075B1 (ko) 부반력 저항돌기를 구비한 덮개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KR100268394B1 (ko) 현장타설형 조립식 암거
JPH11200317A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KR200193604Y1 (ko) 조립식 암거
JPH08239930A (ja) 駐車場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KR20000027675A (ko) 조립식 암거 및 그 설치방법
KR200461508Y1 (ko) 차수판을 갖는 파형강판 터널구조물
JP3009597U (ja) 地中埋設用鋼板製ケーブル函
KR200273752Y1 (ko) 조립식 암거설비
KR20000010917U (ko) 조립식 암거
KR100201490B1 (ko) 조립식 암거 및 조립식 암거의 설치방법
KR101859538B1 (ko) 덮개부재와 수평관통 보강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JP2010121402A (ja) 道路橋用伸縮継手
KR20000065417A (ko) 암거용 상판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3635A (ko) 지하차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