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538B1 - 덮개부재와 수평관통 보강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덮개부재와 수평관통 보강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9538B1 KR101859538B1 KR1020160082820A KR20160082820A KR101859538B1 KR 101859538 B1 KR101859538 B1 KR 101859538B1 KR 1020160082820 A KR1020160082820 A KR 1020160082820A KR 20160082820 A KR20160082820 A KR 20160082820A KR 101859538 B1 KR101859538 B1 KR 1018595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lid member
- pedestal
- concrete structure
- inner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수송관, 상수도 관로 등과 같은 관로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함에 있어서,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 덮개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관로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 및 부반력에 대해서 충분한 강성을 발휘하면서도, 종래의 인서트 플레이트를 매립 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자를 방지하며 거푸집의 생략을 통해 작업의 간소화 및 그에 따른 시공비 절감과 공기단축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받침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암거구조물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관로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체로 제작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온수 수송관, 상수도 관로 등과 같은 관로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함에 있어서,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 덮개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관로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 및 부반력에 대해서 충분한 강성을 발휘하면서도, 종래의 인서트 플레이트를 매립 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자를 방지하며 거푸집의 생략을 통해 작업의 간소화 및 그에 따른 시공비 절감과 공기단축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받침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등에서 생산된 온수를 아파트 등의 수요처로 수송하기 위한 온수 수송관이나, 상,하수도 관로 등은, 지중에 매설된 암거구조물 내에 설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5259호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관로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암거구조물과 같이 관로 설치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평한 부분(암거구조물의 경우 바닥판)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받침대를 이용하여 관로를 설치한다.
도 10에는 종래 기술에서 받침대(100)를 이용하여 관로(200)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구조물(220)의 평평한 면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있는 판형태의 받침대(100)가 관로(20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된다. 받침대(100)는 콘크리트 구조물(220)과 일체를 이루도록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는데,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인서트 플레이트(insert plate)(110)가 받침대(100)의 상면에 구비되고, 인서트 플레이트(110) 위에는 관로(200)와 체결되어 관로(200)를 직접 지지하는 지지대(201)가 인서트 플레이트(110)에 결합 설치된다. 지지대(201)를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인서트 플레이트(110)에는 연직 상향으로 앵커볼트(210)가 용접 설치되고 앵커볼트(210)가 지지대(201)의 결합판을 관통하도록, 지지대(201)가 인서트 플레이트(110) 위에 놓인 상태에서, 앵커볼트(210)에 너트부재(211)가 체결된다. 인서트 플레이트(110)는 강재판으로 이루어져서, 받침대(100)의 상면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받침대(100)의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구비된다.
관로(201)에 유체가 흐르는 과정에서 관로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대(201)에는 수평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수평력은 볼트부재(210)와 인서트 플레이트(110)를 거쳐서 받침대(10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220)로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관로(201)에 유체가 흐를 때에는 수평력 이외에도 연직상향으로의 부반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부반력 역시 지지대(210), 볼트부재(210) 및 인서트 플레이트(110)를 거쳐서 받침대(10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220)로 전달되어야 한다.
그런데 도 10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 인서트 플레이트(110)가 콘크리트로 제작된 받침대(100)에 구비됨에 있어서, 단지 인서트 플레이트(110)의 연직두께만큼만 받침대(100)의 콘크리트에 매립된다. 따라서 수평력이 인서트 플레이트(110)에 가해졌을 때, 이러한 수평력은 인서트 플레이트(110)의 연직두께에 해당하는 면적을 통해서만 받침대(100)에 전달될 수밖에 없으며, 이 과정에서 받침대(100)에서는 인서트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감싸고 있는 부분이 탈락하는 등의 파괴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인서트 플레이트(110)가 그 두께만큼만 얕게 받침대(100)에 묻혀 있으므로, 인서트 플레이트(110)에 부반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인서트 플레이트(110)가 쉽게 받침대(100)로부터 들어 올려져서 분리되는 상황도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결합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대를 돌출시켜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하되, 지지대가 용이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관로로부터 수평력과 부반력이 작용하더라도 이에 대해서 충분한 강성을 발휘할 수 있어서 받침대에 지압파괴 등과 같은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인서트 플레이트를 매립 시공함에 따른 하자를 방지하며 거푸집의 생략을 통해 작업의 간소화 및 그에 따른 시공비 절감과 공기단축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받침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관로를 지지할 지지대를 설치할 위치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보강철근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주입공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관로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결합되는 상면판과, 측면판으로 이루어져서 하부가 개방된 상자형 부재의 내부공간 내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보다 더 돌출된 보강철근이 위치하도록, 덮개부재를 덮어 씌워 설치하며, 주입공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덮개부재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돌출된 콘크리트 부분이 덮개부재에 의해 덮어 씌워진 형태의 받침대를 제작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 시공된 받침대는 연직상향의 부반력에 대해 매우 우수한 저항력을 발휘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작 시공된 받침대의 경우, 관로 내의 유체 흐름이나 관로의 종방향 신축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지지대를 통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수평력이 가해질 때, 종래 기술의 매우 불리한 문제점이었던 인서트 플레이트 주변의 콘크리트 부분이 파괴되는 등의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를 이루는 콘크리트 부분이 덮개부재로 덮여서 보호되므로, 콘크리트 부분으로의 수분 침투 등을 차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내부에 배근된 보강철근 등에 부식과 같은 열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덮개부재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콘크리트로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되므로, 받침대의 제작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거푸집 제작 및 설치에 요구되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하게 되어 그만큼 비용 절감, 시공성 향상 및 공기단축의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받침대가 제작 시공된 암거구조물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받침대를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덮개부재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덮개부재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받침대가 제작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덮개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받침대를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덮개부재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덮개부재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받침대가 제작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서 받침대를 이용하여 관로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받침대를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덮개부재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덮개부재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받침대가 제작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덮개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받침대를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덮개부재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덮개부재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받침대가 제작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서 받침대를 이용하여 관로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관로(20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고, 평면에서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받침대(100)가 제작 시공된 구조물의 일예로서 암거구조물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암거구조물의 평평한 바닥판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100)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시공 설치되고, 받침대(100)에는 지지대(201)가 설치되고, 지지대(201)가 관로(200)와 결합된다.
도 2의 (a) 및 (b)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받침대(100)를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덮개부재(1)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덮개부재(1)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 사시도 즉,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덮개부재(1)는 상면판(10)과 측면판(11)으로 이루어져서 하부가 개방된 상자형 부재이다. 덮개부재(1)를 연직하향으로 바라보았을 때의 형상 즉, 상면판(10)의 평면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기타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면판(11)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종방향 측면판과,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횡방향 측면판의 4개의 측면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도면에서는 암거구조물로 예시됨)을 제작하면서, 덮개부재(1)의 상면판(10)과 측면판(11)으로 만들어지는 공간("덮개부재의 내부공간")에도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받침대(100)가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화된 상태로 제작 시공되는데,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위하여 관통공 형태의 주입공(12)이 상면판(10)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받침대(100)에 작용하는 부반력에 대하여 덮개부재(1)가 저항할 수 있도록 즉, 덮개부재(1)에 연직상향으로 부반력이 작용하더라도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콘크리트로부터 덮개부재(1)가 분리되지 않도록, 측면판(11)에는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반력 저항돌기(110)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부반력 저항돌기(110)는 수평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띠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측면판(11)의 연직하단에서 측면판(11)과 일체를 이루면서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반력 저항돌기(110)는 측면판(11)의 연직하단에 구비되지 않고 측면판(11)의 연직높이 중간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더 나아가, 후술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처럼, 부반력 저항돌기(11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덮개부재(1)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본 실시예에서는 암거구조물)의 평평한 바닥판(250)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받침대(100)가 제작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받침대(100)가 설치될 위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보강철근(260)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덮개부재(1)의 개방된 하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덮개부재(1)가 보강철근(260)을 덮어씌우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철근(260)은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도 연속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입공(12)을 통해서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함과 동시에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도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보강철근(260)이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로 받침대(100)가 제작 시공된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게 되는 콘크리트가 받침대(100)의 내부공간에도 연속적으로 타설되어 하나의 콘크리트 부재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시공된 받침대(100)의 상부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지지대(201)가 결합 설치되고 지지대(201)에 관로(200)가 놓여 지지대(201)와 결합된다(도 1 참조). 이 때, 받침대(100)를 이루는 덮개부재(1)가 강재로 이루어진 경우,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앵커볼트를 덮개부재(1)의 상면판(10)에 용접 설치하여, 앵커볼트와 너트부재의 체결에 의해 지지대(201)를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처럼 부반력 저항돌기(110)가 구비된 경우, 부반력 저항돌기(110)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연속하여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덮개부재(1)의 상면판(10)에, 관로(200)를 지지하는 지지대(201)가 결합 설치되고, 지지대(201)를 통해서 받침대(100)에 연직상향으로 부반력이 작용하더라도 덮개부재(1)는 그 내부공간에 채워진 콘크리트와 분리되거나 벗겨지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은 덮개부재(1)를 구비하여 만들어진 본 발명의 받침대(100)는 연직상향의 부반력에 대해 매우 우수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상면판(10)과 측면판(11)으로 이루어진 덮개부재(1)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콘크리트 부분을 덮어씌우고 있는 형태로 받침대(100)가 제작되므로, 관로(200) 내의 유체 흐름이나 관로(200)의 종방향 신축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지지대(201)를 통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수평력이 가해질 때, 이러한 수평력은 상면판(10)을 거쳐 측면판(11)으로 전달되고, 계속하여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콘크리트 부분, 그리고 그 내부에 매립 배치된 보강철근으로 전달되어 지지되므로, 종래 기술의 경우처럼 인서트 플레이트 주변의 콘크리트 부분이 파괴되는 등의 문제점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받침대(100)를 이루는 콘크리트 부분이 덮개부재(1)로 덮여서 보호되므로, 콘크리트 부분으로의 수분 침투 등을 차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내부에 배근된 보강철근 등에 부식과 같은 열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덮개부재(1)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콘크리트로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평한 면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있는 판형태의 받침대를 콘크리트로 제작하려면,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덮개부재(1) 자체가 거푸집으로서도 기능하게 되므로,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거푸집 제작 및 설치에 요구되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하게 되어 그만큼 비용 절감, 시공성 향상 및 공기단축의 효과가 발휘된다.
도 6에는 덮개부재(1)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부재(1)에서 측면판(11)의 내면에는 전단보강용 리브 플레이트(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단보강용 리브 플레이트(19)는 연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데, 복수개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덮개부재(1)의 기타 구성과 효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작 시공되는 받침대(100)의 구성과 효과, 및 시공방법은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 기재를 생략한다.
도 7의 (a) 및 (b)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받침대(100)를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덮개부재(1)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덮개부재(1)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받침대(100)가 제작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8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측면판(11)을 관통하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된 수평관통 보강부재(14)가 덮개부재(1)에 더 구비되어 있다. 종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수평관통 보강부재(14)와 종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수평관통 보강부재(14)의 양 단부는 각각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측면판(11)을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것처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받침대(100)가 설치될 위치에 덮개부재(1)가 배치되고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채워졌을 때,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수평관통 보강부재(14)는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콘크리트에 매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대(100)에 연직상향으로 부반력이 작용하게 되면, 이러한 부반력은 측면판(11)을 통해서 수평관통 보강부재(14)로 전달되는데, 수평관통 보강부재(14)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고, 수평관통 보강부재(14)의 양단은 측면판(11)을 관통하고 있으므로, 연직상향의 부반력에 대해 매우 우수한 저항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관통 보강부재(14)가 구비된 경우, 부반력에 대해 우수한 저항력을 발휘하므로, 부반력 저항돌기(110)는 생략해도 무방하다.
수평관통 보강부재(14)가 구비된 덮개부재(1)를 이용하여 받침대(100)를 제작 시공함에 있어서, 덮개부재(1)에 미리 수평관통 보강부재(14)를 결합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철근(260)이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덮개부재(1)를 덮어씌울 수도 있지만, 수평관통 보강부재(14)가 아직 구비되지 않은 상태의 덮개부재(1)를 설치하여 보강철근(260)이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수평관통 보강부재(14)를 보강철근(260) 사이로 관통배치하여 덮개부재(1)에 결합설치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에 대한 기타 구성과 작용효과, 그리고 특장점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1: 덮개부재
10: 상면판
11: 측면판
12: 주입공
110: 부반력 저항돌기
100: 받침대
200: 관로
201: 지지대
10: 상면판
11: 측면판
12: 주입공
110: 부반력 저항돌기
100: 받침대
200: 관로
201: 지지대
Claims (4)
-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관로(200)를 지지할 지지대(201)를 설치할 위치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보강철근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주입공(12)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관로(200)를 지지하는 지지대(201)가 결합되는 상면판(10)과, 측면판(11)으로 이루어져서 하부가 개방된 상자형 부재의 내부공간 내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보다 더 돌출된 보강철근이 위치하도록, 덮개부재(1)를 덮어 씌워 설치하며,
주입공(12)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돌출된 콘크리트 부분이 덮개부재(1)에 의해 덮어 씌워진 형태의 받침대(100)를 제작 시공하되;
덮개부재(1)에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측면판(11)을 관통하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된 수평관통 보강부재(14)가 구비되어 있어서,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수평관통 보강부재(14)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덮개부재(1)에서 측면판(11)에는 부반력 저항돌기(110)가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어서,
덮개부재(1)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부반력 저항돌기(110)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연직상향의 부반력에 대해 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시공방법.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덮개부재(1)에서 측면판(11)의 내면에는 전단보강용 리브 플레이트(19)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2820A KR101859538B1 (ko) | 2016-06-30 | 2016-06-30 | 덮개부재와 수평관통 보강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2820A KR101859538B1 (ko) | 2016-06-30 | 2016-06-30 | 덮개부재와 수평관통 보강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5589A Division KR101881075B1 (ko) | 2018-02-08 | 2018-02-08 | 부반력 저항돌기를 구비한 덮개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241A KR20180003241A (ko) | 2018-01-09 |
KR101859538B1 true KR101859538B1 (ko) | 2018-05-21 |
Family
ID=6100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2820A KR101859538B1 (ko) | 2016-06-30 | 2016-06-30 | 덮개부재와 수평관통 보강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953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24013B2 (ja) * | 1999-05-06 | 2004-04-26 | ニチアス株式会社 | 配管支持部の保温カバーおよび配管支持部の保温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
-
2016
- 2016-06-30 KR KR1020160082820A patent/KR1018595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24013B2 (ja) * | 1999-05-06 | 2004-04-26 | ニチアス株式会社 | 配管支持部の保温カバーおよび配管支持部の保温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241A (ko) | 2018-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0860B1 (ko) |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 |
KR101648704B1 (ko) | 지중벽체 구조물 | |
KR101881075B1 (ko) | 부반력 저항돌기를 구비한 덮개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
JP2017150248A (ja) | 太陽光パネルの基礎構造 | |
KR100720067B1 (ko) |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 |
KR101859538B1 (ko) | 덮개부재와 수평관통 보강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
KR20190010947A (ko) |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 |
JP2017193857A (ja) | 横部材の取付構造と防護柵 | |
KR101415695B1 (ko) | 합성보를 이용한 클린룸 골조 | |
KR100592218B1 (ko) | 도로배수관로 교차구간의 보호시설구조 | |
JP7476044B2 (ja) | 仮設開口部用型枠 | |
KR200416147Y1 (ko) |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 |
JP6474572B2 (ja) |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 |
JP6553855B2 (ja) |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 |
KR101416160B1 (ko) | 전단포켓과 충전층에 의한 하중 전달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방법 | |
JP6397321B2 (ja) | 止水板取付部材、止水板、鉄筋架台および連続地中壁の施工方法 | |
JP3202889U (ja) | 配管等の支持装置 | |
JP2010159586A (ja) |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2008144359A (ja) | プレキャスト擁壁 | |
JP3201980U (ja) | スラブコンクリートの打継用柵 | |
KR20190004042A (ko) | 중공강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 |
KR101292694B1 (ko) | 교량의 신축이음누수방지 시공방법 | |
KR20140046328A (ko) |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 | |
KR200143184Y1 (ko) | 거푸집용 지지장치 | |
KR101524725B1 (ko) | 취수 구조물 벽면 보수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