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328A -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 - Google Patents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328A
KR20140046328A KR1020120112653A KR20120112653A KR20140046328A KR 20140046328 A KR20140046328 A KR 20140046328A KR 1020120112653 A KR1020120112653 A KR 1020120112653A KR 20120112653 A KR20120112653 A KR 20120112653A KR 20140046328 A KR20140046328 A KR 20140046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undation
soundproof wall
cross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현
최두영
Original Assignee
태성이엔씨(주)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이엔씨(주), 신영기술개발(주) filed Critical 태성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2011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328A/ko
Publication of KR20140046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의 보강리브((101)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해 강재 절감이 가능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방음벽을 구성하고 있는 지주 하단부의 일정부분을 보강리브(101)를 이용하여 단면 보강을 함으로써 전체 지주의 강재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그 단면 보강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기초(200)에 매립함에 있어서 기초(200)를 형성하는 철근과의 결합을 통하여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음벽 높이에 따른 풍하중으로 인한 하중이 방음판에 작용하게 되면 그 전체하중은 방음판을 지지하고 있는 지주(100)의 하단부에 작용 하게 된다. 여기서 방음벽 지주(100)의 하단에 발생되는 작용력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진 지주(100)를 적용하게 되고, 이 단면을 방음벽의 상부까지 적용하므로 상부에서는 불필요한 강재를 사용하게 되어 경제적 손실 및 자중의 증가로 하부 기초에 대한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기존 종래의 기술 가운데 지주(100)의 하단부를 보강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등록특허 제 10-1132415가 있다. 이는 기초의 하면에 다수개의 홈을 갖는 지지부재와 보강재를 사용하여 지주의 하부를 보강하는 기술이나 시공과정에서 지주를 보강하게 되므로 시공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지주의 매입에 있어서 정착박스의 기초 고정 방법이 복잡한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실제 시공에 있어 적용성이 저하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 외측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기초(200)와, 상기 기초에 일정 간격으로 매입되어 설치되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4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전, 후면에 단면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0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한 결합으로 일체화 되도록 하며, 철근 콘크리트 기초(200)에 지주(100)를 매입하되 기초를 구성하고 있는 철근과 지주를 강결시킴으로써 보강된 지주에 대한 단면의 연속성을 갖게 함과 동시에 지주의 하단에 발생되는 응력에 대하여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THE SOUNDPROOF WALL OF REINFORCE RIB POST AND LINK BY WELDED INSERTION METHOD}
본 발명은 방음벽을 구성하고 있는 지주 하단부의 일정부분만 보강리브(101)를 이용하여 단면 보강을 함으로써 전체 지주의 강재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그 단면 보강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함에 있어서 기초(200)를 형성하는 철근(201)과의 결합을 통하여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및 열차로 인한 교통소음, 공장소음, 건설소음이 인접된 주거지나 학교 등으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방음벽을 설치한다. 이러한 방음벽은 기초와 방음벽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방음벽을 구성하는 부분은 콘크리트의 기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실치되는 지주(100)와, 소음을 차단, 흡수하는 방음판(400)을 지주(100) 사이에 다수개 적층시켜 방음벽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원과 소음의 피해를 받게 되는 주거지의 층고에 따라서 방음벽 높이가 정해지게 되며 그에 따른 풍하중으로 인한 하중이 방음판(400)에 작용하게 되고 그 전체하중은 방음판(400)을 지지하고 있는 지주의 하단부에 작용 하게 된다. 여기서 방음벽 지주(100)의 하단에 발생되는 작용력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진 지주를 적용하게 되고, 이 단면을 방음벽의 상부까지 적용하므로 상부에서는 불필요한 강재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방음벽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제작비용의 증대와 자중의 증가로 인하여 하부 구조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지주(100)의 하단부를 보강하여 전체 지주(100)의 단면을 축소할 수 있다.
기존 종래의 기술 가운데 지주의 하단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고안된 방법으로는 등록특허 제 10-1132415가 있다. 이는 지주가 기초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정착박스를 기초에 고정시키며,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고 다수개의 삽입 홈을 가지고 있는 지지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보강재를 넣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기술이다. 종래의 이 기술은 수평풍하중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주 하단부의 일부분을 보강함으로써 전체 지주의 단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지주하부의 단면 보강을 통한 전체 지주의 단면 축소와 유사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지주의 보강을 통한 단면을 축소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주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보강재의 결합으로 지주를 보강하게 되어 있으나, 이는 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을 하게 됨으로써, 시공 상에 있어 시공 중에 지주를 보강하게 되므로 오류 발생 및 시공 오차의 발생에 대한 우려가 있다. 또한 기초에 삽입되는 정착박스에 대하여 그 정착박스와 지주의 고정은 확고히 할 수 있으나 방음벽 높이에 따른 정착박스의 기초 고정 방법이 시공 상에 있어 복잡한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실제 시공에 있어 적용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음벽 지주(100)의 하단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필요부분의 단면만 강성을 증대시켜 전체적인 지주의 단면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재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지주의 좁은 간격으로 인한 경관성의 저하를 개선 함으로써 방음판(400)의 면적을 확대하여 투광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어 인근 거주민에게 보다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지주(400)의 단면을 보강할 경우 단면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초 속에 지주가 매입되어야 하나, 종래의 방음벽 구성형식은 앵커를 이용한 연결 방식으로 그 성능을 만족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지주보강방식에 있어서 다수개의 지주를 삽입하는 방식은 시공 시 지주를 보강하게 되며, 삽입되는 위치와 보강재의 단면 크기에 대한 오류를 가져올 수 있게 되므로 지주의 제작 시 보강재를 일체화 시키며, 지주의 기초 매입 시 기초 속에 직접 매입하여 기초 철근과 강결 시킴으로써 시공과정을 단순화 하여 현장 적용성을 향상 시킬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도로 외측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기초(200)와, 상기 기초에 일정간격으로 매입되어 설치되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4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100)의 전, 후면에 단면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0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며, 철근 콘크리트 기초(200)에 지주(100)를 매입하되, 기초를 구성하고 있는 기초 주철근(201)과 지주(100)를 부착철근(102)을 용접하여 강결 시킴으로써 보강 지주에 대한 단면의 연속성을 갖게 함과 동시에 방음벽 높이에 따른 지주의 매입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지주의 보강리브(101) 부착과 매입을 통한 단면의 연속이 가능한 방음벽에 있어서, 지주의 하단부에서 작용하게 되는 하중에 대하여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보강리브(101)를 일정 부분만 용접을 통하여 일체화 시켜 부착함으로써 수평하중의 영향이 미미한 지주의 상부에 대한 단면을 축소시키며 시공 시 지주에 보강된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과정에서의 지주 보강과정에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리브(101) 부착과 매입을 통하여 단면의 연속성이 가능한 방음벽은 콘크리트 기초(200)에 지주(100)를 직접 매입함에 있어 기초(200)를 구성하고 있는 주철근(201)과 지주(100)를 부착철근(102)을 이용하여 강결 시킴으로써, 종래의 정착 박스 설치로 인한 공정상의 복잡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기초에 매입된 지주를 확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보강리브(101)가 부착된 지주(100)로 구성된 방음벽을 설치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는 기존에 적용된 동일 단면으로도 지주의 설치간격 확대가 가능하므로 전체 방음판(400)의 면적이 넓어져 방음효과 증대 및 투명 방음판의 설치 시 투영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주거지에서의 경관성을 향상시켜 주거환경의 개선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에 설치되는 방음벽 지주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매입에 의해 강재 절감이 가능한 방음벽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철근 및 받침철근이 적용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철근과 기초 주철근의 결합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간격 확대 설치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에 설치되는 방음벽 지주(100)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보강리브(101) 부착과 매입에 의해 강재 절감이 가능한 방음벽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철근(102) 및 받침철근(103)이 적용된 단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철근(102)과 기초 주철근(201)의 결합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100)의 간격이 확대되어 설치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에서는 방음벽의 지주하부에서 필요한 단면이 상부까지 적용되어 있어 전체적인 강재량이 과다하게 소요되게 되며 그 연결 방식이 앵커(301)로 연결되어 지주 보강에 따른 단면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이에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기초(200)와, 상기 기초에 일정간격을 두고 직접 매입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각각의 외측면에 외부의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보강리브(101)를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면으로 용접하여 부착을 하되, 그 부착 길이는 단면의 연속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기초에 매입되는 부분까지 이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보강된 지주의 기초와의 결합에 대한 부분이 도 3의 단면도 및 사시도에 나타나 있으며 콘크리트 기초(200)에 매입되는 지주의 외측면에 접하여 다수개의 부착철근(102)을 용접하고, 상기 부착철근(102)과 기초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주철근(201)을 용접 이음 함으로써 외부의 하중에 필요한 매입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다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의 평면도에서는 부착철근(102)이 기초 주철근(201)과 용접이음되는 형상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부착철근(102)은 매입되는 지주와 기초의 폭원에 따라 "자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또 자 및 형상으로도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기초에 매입되는 지주의 길이가 기초 벽체 보다 작은 경우 기초의 바닥판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받침철근(103)과, 상기 받침철근(103)의 상면으로 놓여지는 지주를 설치함으로써 지주의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지주의 매입에 대하여 안정적인 설치를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된 지주의 상기 보강리브(101)가 부착된 지주로 구성된 방음벽은 종래의 방음벽에 적용된 지주(100)로 보다 넓은 경간의 방음벽을 형성 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형상이 도 5에 보여지고 있으며, 간격의 확대로 인해 도시의 경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불어 방음면적의 확대로 방음효과의 증대를 얻을 수 있다.
100 : 지주
101 : 보강리브
102 : 부착철근
103 : 받침철근
200 : 기초
201 : 기초 주철근
301 : 앵커
400 : 방음판

Claims (2)

  1.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초(200)와; 상기 기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100)와; 지주사이에 다수개의 방음판(400)이 적층되어 구성되어지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의 외측면으로 사각 및 반원형의 보강리브(101)가 다수개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어지되, 상향으로는 외부의 하중에 대하여 필요한 높이까지 보강되며, 하향으로는 단면의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매입되는 부분까지 결합하도록 하고, 콘크리트 기초(200)에 매입되는 지주(100)의 외측면에 용접 부착되는 형 부착철근(102)과, 상기 부착철근(102)의 외측면으로 콘크리트 기초(200)를 형성하는 수직으로 조립되는 주철근(201)을 용접함으로써 지주(100)를 기초(200)에 강결 시키고, 기초의 저판에 매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형 받침철근(103)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철근(103) 상면에 지주(100)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리브(101)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해 강재 절감이 가능한 방음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초에 매입되는 지주(100)의 외측면에 용접 부착되어 지는 부착철근(102)이 기초의 수직방향의 주철근(201)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 또는 "형 또는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주철근(201)의 방향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기초(200)의 저판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철근(103)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철근(103)은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형태는 지주(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 또는 " 형으로 형성될수 있으며 이 받침철근(103)에 지주(10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리브(101)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해 강재 절감이 가능한 방음벽
KR1020120112653A 2012-10-10 2012-10-10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 KR20140046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53A KR20140046328A (ko) 2012-10-10 2012-10-10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53A KR20140046328A (ko) 2012-10-10 2012-10-10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328A true KR20140046328A (ko) 2014-04-18

Family

ID=5065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653A KR20140046328A (ko) 2012-10-10 2012-10-10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3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340B1 (ko) * 2020-12-24 2021-08-03 송광식 가설방음벽의 지주보강시스템
KR20220018127A (ko) 2020-08-05 2022-02-15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인장력 보강 기능을 갖는 방음벽용 지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127A (ko) 2020-08-05 2022-02-15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인장력 보강 기능을 갖는 방음벽용 지주
KR102285340B1 (ko) * 2020-12-24 2021-08-03 송광식 가설방음벽의 지주보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148B1 (ko) 프리캐스트 psc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48501B1 (ko)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56557B1 (ko)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20120140386A (ko) 내부중공재를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4851881B2 (ja) 盛土構造物及び盛土構造物の補強方法
KR100876679B1 (ko) 교량용 방음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88210B1 (ko) 교량받침용 전단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20140046328A (ko) 지주의 보강 리브 부착과 강결매입방식에 의한 방음벽
JP3156486U (ja) 防護柵の支柱構造
KR102376908B1 (ko) 지수판 고정구조가 일체화된 다이아프램 월의 스탑엔드
KR101458875B1 (ko) 플레이트-각관 조립철골보에 의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KR20160130132A (ko)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
JP4650255B2 (ja) 鋼床版の補強構造及び既設鋼床版の補強方法
KR102118884B1 (ko) 하이브리드 pc 지하주차장
KR101132415B1 (ko) 다중강성의 지주를 갖는 방음벽
JP2005120719A (ja) 立体高架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11535331A (zh) 基坑内支撑的托换结构及其施工方法
JP6039186B2 (ja) 壁高欄の型枠
KR101665626B1 (ko)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KR100769222B1 (ko)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KR101978766B1 (ko)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1366716B1 (ko) 웨브 단면보강형 데크플레이트
JP2017057701A (ja) 補強盛土一体橋梁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壁構造および施工方法
KR100823348B1 (ko)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