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222B1 -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222B1
KR100769222B1 KR1020060100205A KR20060100205A KR100769222B1 KR 100769222 B1 KR100769222 B1 KR 100769222B1 KR 1020060100205 A KR1020060100205 A KR 1020060100205A KR 20060100205 A KR20060100205 A KR 20060100205A KR 100769222 B1 KR100769222 B1 KR 10076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hollow
plate
hollow frp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국
박기태
이영호
정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0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FRP 바닥판의 상부 면에 얇게 형성되는 포장층을 중공 FRP 바닥판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주형과 중공 FRP 바닥판과의 연결부위에서의 지압에 의한 영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를 중공 FRP 바닥판 내측으로 형성시킴과 더불어 하중 분산장치 등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주형과 중공 FRP 바닥판을 연결할 수 있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FRP 바닥판, 주형, 체결구

Description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CONNECTION SYSTEM FOR FRP DECK TO GIRDER}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에 관한 실시예 1을 사시도 및 단면도(사시도 A의 발췌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에 관한 실시예 2를 사시도 및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에 관한 실시예 3을 사시도 및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에 관한 실시예 4를 사시도 및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주형 200:중공 FRP 바닥판
300:포장층 400:체결구
410:연결볼트 420:체결너트
430:하중분산판 440:내부보강판
450:중공체결봉 460:핀
본 발명은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공 FRP 바닥판의 상부 면에 얇게 형성되는 포장층을 중공 FRP 바닥판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주형과 중공 FRP 바닥판과의 연결부위에서의 지압에 의한 영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토목구조물, 예를 들어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 사용되는 바닥판은 주로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되어 왔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은 저가인 콘크리트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당장의 시공비를 줄일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큰 단면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자중이 증가하게 되므로, 만일 교량의 바닥판을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바닥판의 높은 자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결국 교각 등과 같은 교량 하부구조의 단면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종국적으로는 시공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대안으로서, 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olymer : 이하 "FRP"라고 칭한다)과 같은 경량 고강도의 소재로 만들어지고 횡방향 으로는 튜브형 단면을 가진 골조 구조물을 이용한 바닥판이 제시되었다.
도 1a는 종래 복합형 바닥판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복합형 바닥판은 주형(30) 상부에, FRP와 같은 경량이고 고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제작된 하부골조(10)와, 상기 하부골조(10)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바닥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골조(10)는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판(11) 및 하부판(12)과, 상기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3)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14)가 종방향(예를 들면 교축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부(14)는 횡방향(예를 들면 교축직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튜브 형태를 이루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부골조(10) 위에는 콘크리트 바닥판(20)이 일체로 결합된다. 하부골조(10)의 상부판(11)을 거푸집 삼아 콘크리트를 소정 높이로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판(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부골조(10)와 콘크리트 바닥판(20)의 합성을 위해서, 상기 하부골조(10)의 상부판(11) 상면에는 전단연결재로서 스터드(15)가 상부판(11)에 일체로 설치되어 콘크리트 바닥판(20)에 매립된다.
이에 종래 단순히 철근 콘크리트만으로 구성된 바닥판에 비하여 콘크리트의 단면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바닥판의 자중이 줄어들게 되어 이를 지지하는 하부 구조의 단면 확대를 예방할 수 있게 되며, 단순히 하부골조만으로 이루어진 바닥판에 비해서는, 콘크리트 바닥판이 합성되어 있으므로(복합형 바닥판) 콘크리트가 먼저 극한 상태에 도달하게 하고 하부골조가 추가 강도를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보다 더 높은 하중에 이르러서야 극한 상태에 도달하도록 설계 하게 되면 종래의 골재만으로 이루어진 바닥판과는 달리 바닥판의 취성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복합형 바닥판을 이용함에 있어서는 주형(30)과의 구조적인 일체성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교량의 주형(30)위에 복합형 바닥판을 거치한 후 주형(30)과 복합형 바닥판을 일체로 결합하여 구조적인 일체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또한, 복합형 바닥판과 주형(30)의 결합뿐만 아니라, 복합형 바닥판(30) 자체에 있어서도 하부골조(10)와 콘크리트 바닥판(20)의 구조적인 합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도 1a와 같은 복합형 바닥판에서는 하부골조(10)의 상부판(11) 상면에 전단연결재로서 다수개의 스터드(15)를 설치하고, 현장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판(20)에 상기 스터드(15)가 매립되도록 함으로서 하부골조(10)와 콘크리트 바닥판(20)의 구조적인 일체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스터드(15)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스터드(15)를 각각 별도로 하부골조(10)의 상부판(11)에 부착하여야 하는 작업이 수반된다. 이러한 스터드(15)의 설치작업은 결국 시공비의 증가를 가져오는 요인 중의 하나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복합형 바닥판을 주형(30) 위에 설치함에 있어서,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강재 주형과 복합형 바닥판을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스터드를 설치하지 않고도 하부골조와 콘크리트 바닥판을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복합형 바닥판과 강재 주형의 연결구조가 소개되어 있는바, 이를 도 1b 및 도 1c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연결구조는 특히 강재 주형(30)의 상부 플랜지(31)와 상기 하부골조(10;11,12)를 관통하여 연결볼트(40)가 상부 및 하부지압판(33,34)을 이용하여 설치됨으로서 상기 하부골조(10)와 강재 주형(30)이 일체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볼트(40)의 상부 단부는 상기 하부골조의 상부판 위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20) 타설 시에 콘크리트 바닥판(20) 내에 소정 깊이로 매립됨으로서 상기 하부골조(10)와 콘크리트 바닥판(20)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FRP 재질의 하부구조(10) 상부면에는 형성되는 콘크리트 바닥판(20)을 통상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층(개략 80mm)으로 형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볼트(40)의 돌출형성으로 인하여 포장층 적정 두께를 확보할 수 없고, 연결볼트(40)가 설치되는 부위의 포장층 두께를 더 두껍게 하는 방법은 단턱을 지게 하므로 위와 같은 연결볼트(40)의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스터드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연결볼트(40)를 체결시킬 때, 볼트구멍 주위에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강판인 상부 및 하부 보조판(33,34)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또한 포장층의 적정두께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포장층이 형성되는 FRP 하부구조와 강재 주형을 연결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FRP 하부구조의 상부면으로부터 포장층으로 체결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체결구로 인한 응력집중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포장층이 얇게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 포장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중공 FRP 바닥판(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포장층(300)에 연결볼트와 같은 체결구(400)가 돌출되어 설치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구(400)의 상부가 중공 FRP 바닥판(200) 내측 중공부 또는 중공 FRP 바닥판의 파여진 상부홈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중분산판(430)을 통해 체결구(400)에 의한 응력집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이에 상기 체결구(400), 하중분산판(430)의 다양한 설치예를 소개함에 따라 현장여건 등에 알맞은 중공 FRP 바닥판(200), 주형(100)과 포장층(300)의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가능성이 제공되도록 하였다.
셋째, 주형(100)의 상부플랜지와 중공 FRP 바닥판(200) 하부판(210)사이에 탄성고무와 같은 탄성판(500)을 더 형성시킴으로서, 포장층(300)이 얇게 형성되는 경우 교통하중에 의한 충격 등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상기 실시예 1은 도 2a 및 도 2b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주형(100)은 I형 강재를 이용하고, 체결구(400)는 연결볼트(410) 및 체결너트(420)가 이용되며, 중공 FRP 바닥판(200)은 튜브형태로 제작되어 상부판(210)과 하부판(220)이 격벽(230)으로 구분되어 중공(S)이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형태에 있어 반드시 위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중공 FRP 바닥판(200)은 특히 세그먼트화된 중공 FRP 바닥판이 서로 겹쳐져 끼워져 형성될 수 있으며, 주형은 I형 강재가 아닌 다른 재질로 I형 단면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체결구는 볼트 및 너트 방법이 아닌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핀 형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먼저, 주형(100)의 상부플랜지(110)와 중공 FRP 바닥판(200) 하부판(220) 사이에 본 발명의 탄성판(500,Elastic Pad)을 미리 설치하게 되며, 후술되는 연결볼트(410)의 관통을 위해 미리 볼트공을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판(500)은 고무재질과 같이 일정한 탄성능력을 가질 수 있는 재 질을 의미하며, 특히 주형(100)의 상부플랜지(110)와 중공 FRP 바닥판(200) 하부판(220) 사이 접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 설치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탄성판(500) 설치를 배제할 수 있다.
나아가, 주형(100)의 상부플랜지(110), 탄성판(500)을 관통하여 중공 FRP 바닥판(200) 하부판(220)에 연결볼트(410)가 체결너트(420)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연결볼트(410)는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얇게 형성되어야 하는 포장층(300)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볼트(410) 및 체결너트(420)의 조임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볼트(410)와 중공 FRP 바닥판(200)의 연결부위에는 하중분산판(430)을 더 형성시킨다.
상기 하중분산판(430)은 중공 FRP 바닥판(200)의 저면 상당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 굴곡성능이 우수한 얇은 강판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로서, 중공 FRP 바닥판(200)과 주형(100)은 체결구(400)에 의하여 구조적인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중분산판(430)은 중공 FRP 바닥판(200)의 저면 상당부분과 접하도록 설치됨으로서 특히 중공 FRP 바닥판(200)과 주형(100)의 구조적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연결볼트(410)를 다수 설치할 경우 매우 큰 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중공 FRP 바닥판(200)과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에 형성되 는 포장층(300)과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240)를 통하여, 모르타르, 콘크리트와 같은 충전재(250)를 더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충전재(250)는 중공 FRP 바닥판(200)의 중공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발휘되게 된다. 위와 같은 충전재는 체결부가 형성된 중공(S)부분에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미도시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충전재를 형성시키지 않을 수 도 있다.(이하 다른 실시예 2,3,4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상기 연결볼트(410)는 중공 FRP 바닥판(200) 하부판(220)으로부터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돌출연장부(411)가 형성되도록 하여 충전재(250)에 매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형(100), 중공 FRP 바닥판(200), 포장층(300)의 보다 확실한 구조적 일체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a 및 도 3b에 의한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연결볼트(410)를 설치함에 있어 주형(100), 중공 FRP 바닥판(200)을 함께 관통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 연결볼트(410)가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판(210)에 형성된 홈(211)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홈(211)은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판(210)의 두께 감소를 최소화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중분산판(430)은 상기 홈(211) 내부 저면에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연결볼트(410)에 의한 조임력이 최대한 분산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중분산판(430)은 중공 FRP 바닥판(200)의 내측면에 접하여 더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홈(211)의 크기에 의한 하중분산판의 크기 제약으로부터 자유롭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분산판(430)은 홈(211)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을 설치함으로서 홈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하중분산판(430)의 두께가 상당히 얇게 형성되므로 포장층(300)에 달리 영향은 없게 된다.
나아가, 상기 홈(211)을 형성시킴에 따라, 중공 FRP 바닥판(200)을 보강하기 위한 추가적인 보강판(44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4a 및 도 4b에 의한 실시예 3은 실시예 2의 변형예이다.
즉, 실시예 2와 같이 연결볼트(410)를 설치함에 있어 특히 하중분산판(430)이 중공 FRP 바닥판(200)의 상부판(210) 일정 부분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더 연결볼트(410)에 의한 조임력이 최대한 분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홈(211)이 중공 FRP 바닥판(200)의 상부판(210) 일정 부분 전체에 있어 개구부를 형성시킬 정도가 되어 하중분산판(430)이 마치 중공 FRP 바닥판(200)의 상부판(210)에 얹어져 설치되는 경우라 할 수 있으며, 연결볼트는 상기 홈(211)의 개략 중앙저부에 체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공 FRP 바닥판(200)의 중공에 있어 중공체결봉(450)을 더 형성시켜, 연결볼트(410)의 형성 길이에 대한 휨 등의 강성이 더 보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체결구(400)를 형성시킴에 있어, 연결볼트가 아닌 핀(460) 형태의 체결구를 설치할 수 있는데, 주형(100)의 상부플랜지(210)를 관통하지 않고,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치 스터드와 같이 상방 연장되어, 중공을 지나 하중분산판(430)을 관통하되, 체결너트가 아닌 확장머리부(461)에 의하여 체결구(400)가 하중분산판(430)에 걸려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특히 포장층(300)의 매우 얇게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 체결구(400)의 형성위치를 중공 FRP 바닥판(200)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5a 및 도 5b에 의한 실시예 4도 위에서 살펴본 실시예 들의 변형예로서 하중분산판(430)의 변형예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체결구(400)로서 연결볼트(410)를 이용하되, 하중분산판(430)이 U자형으로 형성된 홀컵(431,U형 받침구)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결볼트(410)는 주형(100)의 상부플랜지(110)를 관통하여 상기 홀컵의 저면부에서 체결너트(420)에 의하여 체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컵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덮개판(432)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물질 등이 충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덮개판(432)이 없고, 연결볼트(410)가 일종의 스터드처럼 주형(200)의 상부플랜지(210)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하중분산판(430)이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에 접하도록 하면서, 개략 중앙 하부로 연장된 중공체결봉(433)이 형성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연결볼트(410)는 주형(100)의 상부플랜지(1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로 체결구가 포장층의 두께에 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포장층이 얇게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 탄성판으로 인한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9)

  1. 중공 FRP 바닥판(200)과 주형(100)을 연결볼트(410)를 포함하는 체결구(40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킴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00)가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에 돌출되어 포장층(300)의 두께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하면서도 체결구(400)에 의한 조임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구(400)와 중공 FRP 바닥판(200)의 연결부위와 같은 지압부에 하중분산판(430)을 더 형성시키되, 상기 하중분산판(430)이 중공 FRP 바닥판(200)의 중공(S)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거나,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블록 아웃시킨 홈(211) 내측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판(430)이 중공 FRP 바닥판(200)의 중공(S)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체결구(400)는 중공 FRP 바닥판의 하부판(220)을 관통하여 하부판(220) 상면에 체결되도록 하되,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의 개구부를 통해 추가 충전재(250)가 중공 FRP 바닥판(200)의 중공부에 충진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체결구(400)의 상부가 중공 FRP 바닥판(200) 중공(S) 내부로 상방 돌출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판(430)이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블록 아웃시킨 홈(211) 내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하중분산판(430)은 홈(211) 내측면에 매입되도록 설치하거나, 홈(211)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판(430)이 홈(211) 내측면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경우, 중공 FRP 바닥판(200) 내측면에 접하는 보강판(440)이 추가로 더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판(430)이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블록 아웃시킨 홈(211) 내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하중분산판(430)은 상면이 개방된 U형 받침구(431)로서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U형 받침구(431) 저면에 관통 설치되는 체결구(400)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U형 받침구(431)에 덮개판(432)을 더 형성시키거나, U형 받침구(431) 내측에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충전재를 더 충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판(430)이 중공 FRP 바닥판(200)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블록 아웃시킨 홈(211) 내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하중분산판(430)은 하중분산판(43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중공체결봉(433)으로서 체결구(400)가 상기 중공체결봉(433)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00)는 주형(100)과 중공 FRP 바닥판(200)의 하부판(2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거나, 주형(100) 상부면으로부터 중공 FRP 바닥판(200)의 하부판(2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100) 상부와 중공 FRP 바닥판(200)의 하부판(220) 사이에 탄성판(50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FRP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KR1020060100205A 2006-10-16 2006-10-16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KR100769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205A KR100769222B1 (ko) 2006-10-16 2006-10-16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205A KR100769222B1 (ko) 2006-10-16 2006-10-16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222B1 true KR100769222B1 (ko) 2007-10-23

Family

ID=3881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205A KR100769222B1 (ko) 2006-10-16 2006-10-16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2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19B1 (ko) 2009-04-15 2009-11-17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중공단면의 복합소재 패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의 상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1691817B (zh) * 2009-09-14 2011-01-05 华东交通大学 一种frp布材抗弯加固钢筋混凝土梁附加锚固方法
CN105735148A (zh) * 2016-03-04 2016-07-06 中交路桥(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从桥下处治空心板桥梁单板受力的加固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6462A (ja) * 1988-11-18 1990-05-25 Mitsubishi Mining & Cement Co Ltd 中空パネル建材の施工方法
KR20030064362A (ko) * 2003-07-15 2003-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06564A (ko) * 2002-07-12 2004-0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KR20040044810A (ko) * 2002-11-22 2004-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60021986A (ko) * 2004-09-06 2006-03-09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스냅-핏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교량 바닥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6462A (ja) * 1988-11-18 1990-05-25 Mitsubishi Mining & Cement Co Ltd 中空パネル建材の施工方法
KR20040006564A (ko) * 2002-07-12 2004-0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KR20040044810A (ko) * 2002-11-22 2004-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30064362A (ko) * 2003-07-15 2003-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21986A (ko) * 2004-09-06 2006-03-09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스냅-핏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교량 바닥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19B1 (ko) 2009-04-15 2009-11-17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중공단면의 복합소재 패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의 상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1691817B (zh) * 2009-09-14 2011-01-05 华东交通大学 一种frp布材抗弯加固钢筋混凝土梁附加锚固方法
CN105735148A (zh) * 2016-03-04 2016-07-06 中交路桥(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从桥下处治空心板桥梁单板受力的加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3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KR100703134B1 (ko) 조립식 피시 빔 교량 및 그것의 시공 방법
KR100947306B1 (ko)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1225662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격자형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2024209B1 (ko)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27923B1 (ko) 합성 결합구조를 갖는 사장교 주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93872B1 (ko) 모서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시공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0769222B1 (ko) 중공 에프알피 바닥판과 주형의 연결구조
KR102054709B1 (ko) 보도확장로
KR100984249B1 (ko) 합성거푸집 패널과 상부플랜지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100949828B1 (ko) 층고절감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KR101472027B1 (ko)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690395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의 연속화 방법
JP2011196030A (ja) 階段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719957B1 (ko) 스페이서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 시공방법및 그 연결구조
KR100989153B1 (ko)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84247B1 (ko) 상부플랜지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JP5041481B2 (ja) 既設支承装置の更新方法及び更新構造
KR101886744B1 (ko) 도로용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KR100930629B1 (ko) 크랭크형 콘크리트 엣지 거더를 구비한 케이블 교량
KR101342894B1 (ko) 트러스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그 제작 방법 및 연속화 교량의 제작 방법
KR100984248B1 (ko) 상단돌출블록의 거푸집 역할을 하는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JP2001248331A (ja) 制震ダンパーの設置構造および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