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132A -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0132A KR20160130132A KR1020150078749A KR20150078749A KR20160130132A KR 20160130132 A KR20160130132 A KR 20160130132A KR 1020150078749 A KR1020150078749 A KR 1020150078749A KR 20150078749 A KR20150078749 A KR 20150078749A KR 20160130132 A KR20160130132 A KR 201601301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plate
- steel
- bracket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상기 다수개의 템플레이트기초노드(TN) 상호간을 연결하는 프레임(P);
상기 다수개의 템플레이트기초노드(TN) 중 대각선 방향의 템플레이트기초노드(TN) 상호간을 연결하는 브레이스(CP);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골조기둥유닛(11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골조유닛(1000)이 상부에 탈부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골조유닛(1000)의 제작을 위한 임시 기초로써 사용되거나 직접 구조물의 기초로 사용되고,
상기 골조유닛(1000)의 제작시나 운송시 또는 양중시 발생하는 진동을 상기 방진패드(PP)가 흡수 및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BS)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기둥플레이트와 기둥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시공장면을 촬영한 것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기둥플레이트와 기둥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에서 양면너트의 결합상태를 시험하는 장면을 촬영한 것이다.
도 5 내지 13은 본 발명의 기둥플레이트와 기둥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 내지 20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 내지 24는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5 및 26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 내지 29는 본 발명의 거더와 빔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0 내지 31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의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2 내지 42는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3 내지 53은 본 발명의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4 내지 70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PC 구조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71 내지 80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81 내지 97은 본 발명의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 구조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98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BFN: 양면너트
B: 볼트
SB: 세팅볼트
SH: 세팅홀
GP: 가이드플레이트
PP: 방진패드
BS: 베이스 템플레이트
TN: 템플레이트기초노드
NP: 노드상부플레이트
NP`: 노드하부플레이트
P: 프레임
P`: 고정프레임
P``: 길이조절프레임
CP: 브레이스
CF: 기둥단부플레이트
CFC: 세팅콘
CFH: 세팅콘삽입홀
FU: 거푸집유닛
WD: 용접
SP: 스페이서
100: 기둥
100`: 철골기둥
100`-1: 기둥플렌지
100`-2: 기둥웨브
110: 기둥플레이트
112: 수직슬롯
114: 수평슬롯
116: 웨브결합부
118: 양면너트매립철근
118-1: 직선형
118-2: U형
200: 보
201: 보철근
202: 보철골
205: 보콘크리트
207: 이격부
200`: 철골보
210: 보플레이트
300: 거더
310: 거더플레이트
312: 수직슬롯
400: 빔
410: 빔플레이트
500: 기둥브래킷
520: 브래킷플레이트
540: 연결플레이트
560: 지지플레이트
580: 고정플레이트
590: 기둥간연결플레이트
1000: 골조유닛
1100: 골조기둥유닛
2000: 파이프
Claims (19)
- 기둥플렌지(100`-1)와 기둥웨브(100`-2)를 가진 철골기둥(100`);
일단에 보플레이트(210)가 결합되는 철골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둥플렌지(100`-1)에는 세팅볼트(SB)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플레이트(210) 하부에는 세팅홀(SH)이 형성되어,
상기 철골보(20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세팅홀(SH)이 상기 세팅볼트(SB)에 거치된 후 상기 기둥플렌지(100`-1)와 상기 보플레이트(210)는 볼트로 체결되므로,
상기 철골보(200`)가 자중에 의해 상기 철골기둥(100`)의 정확한 위치에 셀프레벨링(self leveling)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1항에서,
상기 기둥플렌지(100`-1) 양단부에는 가이드플레이트(GP)가 설치되어,
상기 철골보(200`)가 하강할 때 상기 보플레이트(210)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2항에서,
상기 세팅볼트(SB) 및 상기 세팅홀(SH)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보플레이트(210) 하단은 경사지게 커팅되어,
상기 보플레이트(210) 하단이 상기 기둥플렌지(100`-1)에 접촉한 후 슬라이딩(sliding)하여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기둥웨브(100`-2)에 웨브결합부(116)가 결합되는 기둥플레이트(110);가 추가되고,
상기 기둥플레이트(110) 하부에는 세팅볼트(SB)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철골보(200`)는 상기 기둥플렌지(100`-1)에 결합되는 대신에 상기 기둥플레이트(110)에 결합되되,
상기 철골보(20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세팅홀(SH)이 상기 세팅볼트(SB)에 거치된 후 상기 기둥플레이트(110)와 상기 보플레이트(210)는 볼트로 체결되므로,
상기 철골보(200`)가 자중에 의해 상기 철골기둥(100`)의 정확한 위치에 셀프레벨링(self leveling)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5항에서,
상기 기둥플레이트(110) 후면에 너트(N)가 선결합되어 상기 너트(N)에 상기 볼트가 체결될 수도 있고,
상기 기둥플레이트(110) 후면에 볼트(B)가 체결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기둥플렌지(100`-1)와 기둥웨브(100`-2)를 가진 철골기둥(100`);
일단에 브래킷플레이트(520)가 결합되는 기둥브래킷(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둥플렌지(100`-1)에는 세팅볼트(SB)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플레이트(520) 하부에는 세팅홀(SH)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브래킷(50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세팅홀(SH)이 상기 세팅볼트(SB)에 거치된 후 상기 기둥플렌지(100`-1)와 상기 브래킷플레이트(520)는 볼트로 체결되므로,
상기 기둥브래킷(500)이 자중에 의해 상기 철골기둥(100`)의 정확한 위치에 셀프레벨링(self leveling)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7항에서,
상기 기둥웨브(100`-2)에 웨브결합부(116)가 결합되는 기둥플레이트(110);가 추가되고,
상기 브래킷플레이트(520) 하부에는 세팅볼트(SB)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며,(미도시)
상기 기둥브래킷(500)은 상기 기둥플렌지(100`-1)에 결합되는 대신에 상기 기둥플레이트(110)에 결합되되,
상기 기둥브래킷(50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세팅홀(SH)이 상기 세팅볼트(SB)에 거치된 후 상기 기둥플레이트(110)와 상기 브래킷플레이트(520)는 볼트로 체결되므로,
상기 기둥브래킷(500)이 자중에 의해 상기 철골기둥(100`)의 정확한 위치에 셀프레벨링(self leveling)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8항에서,
상기 기둥플레이트(110) 후면에 너트(N)가 선결합되어 상기 너트(N)에 상기 볼트가 체결될 수도 있고,
상기 기둥플레이트(110) 후면에 볼트(B)가 체결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기둥브래킷(500)의 타단에는 철골보(200`);의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기둥브래킷(500)와 상기 철골보(200`) 각각의 하부플렌지를 연결하여 지지플레이트(560);가 결합되고,
상기 기둥브래킷(500)와 상기 철골보(200`) 각각의 웨브를 연결하여 연결플레이트(540);가 결합되고,
상기 기둥브래킷(500)와 상기 철골보(200`) 각각의 상부플렌지를 연결하여 고정플레이트(580);가 결합되고,
상기 기둥브래킷(500)의 타단과 상기 철골보(200`)의 일단의 형상은,
서로 맞닿아 대응하는 형상이며,
상기 철골보(200`)의 일단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 상기 기둥브래킷(500)의 타단에 걸리지 않고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10항에서,
상기 기둥브래킷(500)의 타단과 상기 철골보(200`)의 일단의 형상은,
상부로부터 직절되다가 경사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10항에서,
상기 기둥브래킷(500)의 타단과 상기 철골보(200`)의 일단의 형상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경사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10항에서,
상기 기둥브래킷(500)의 타단과 상기 철골보(200`)의 일단의 형상은,
상부로부터 직절되다가 단차를 두고 직절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7항에서,
상기 브래킷플레이트(520)가 생략된 기둥브래킷(500)의 일단이,
상기 기둥플렌지(100`-1)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8항에서,
상기 브래킷플레이트(520)가 생략된 기둥브래킷(500)의 일단이,
상기 기둥플레이트(110)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철골기둥(100`) 상부에는 기둥간연결플레이트(590);가 체결되고,
상기 기둥간연결플레이트(590) 상단은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부에서 다른 철골기둥(100`)이 하강할 때,
상기 다른 철골기둥(100`)의 자중에 의해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철골기둥(100`)과 정확한 중심선에 셀프레벨링(self leveling)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5항에서,
상기 기둥플레이트(110) 양단부에는 가이드플레이트(GP)가 설치되어,
상기 철골보(200`)가 하강할 때 상기 보플레이트(210)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7항에서,
상기 세팅볼트(SB) 및 상기 세팅홀(SB)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제5항에서,
상기 기둥플레이트(110) 상단 및 상기 보플레이트(210)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경사지게 커팅되어 상기 보플레이트(210) 하단이 상기 기둥플레이트(110)에 접촉한 후 슬라이딩(sliding)하여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1556 | 2015-04-30 | ||
KR20150061556 | 2015-04-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0132A true KR20160130132A (ko) | 2016-11-10 |
KR101691635B1 KR101691635B1 (ko) | 2017-01-03 |
Family
ID=5748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87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1635B1 (ko) | 2015-04-30 | 2015-06-03 |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163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22253A (zh) * | 2018-02-05 | 2018-06-29 | 洛阳石化工程设计有限公司 | 一种石化跨越钢桁架 |
CN113047432A (zh) * | 2021-03-29 | 2021-06-29 | 中信国安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钢结构预制件、装配式钢框架结构及施工方法 |
CN115853140A (zh) * | 2022-12-22 | 2023-03-28 | 浙江东南绿建集成科技有限公司 | 一种钢筋桁架的高强电阻焊连接节点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8949B1 (ko) * | 2021-08-03 | 2024-09-25 | 삼성물산 주식회사 | 계단실 모듈 및 계단실 모듈 어셈블리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2190A (ja) * | 1992-06-25 | 1994-02-15 | Misawa Homes Co Ltd | 屋根ユニットのトラック積載用治具 |
JPH1054141A (ja) * | 1996-08-09 | 1998-02-24 | Sekisui Chem Co Ltd | ユニット建物の施工装置及び施工方法 |
JPH10230772A (ja) * | 1997-02-19 | 1998-09-02 | Misawa Homes Co Ltd | 小型建物ユニットの輸送治具 |
KR100622300B1 (ko) | 2005-02-02 | 2006-09-1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콘크리트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지주의 핀접합구조 및그 시공방법 |
KR101289934B1 (ko) | 2012-12-18 | 2013-07-25 |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 Pc기둥과 pc보의 포스트텐션 압착식 접합구조물 및 그 접합구조물의 시공방법 |
KR20140049240A (ko) * | 2012-10-17 | 2014-04-25 | 한국전력공사 |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
-
2015
- 2015-06-03 KR KR1020150078749A patent/KR10169163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2190A (ja) * | 1992-06-25 | 1994-02-15 | Misawa Homes Co Ltd | 屋根ユニットのトラック積載用治具 |
JPH1054141A (ja) * | 1996-08-09 | 1998-02-24 | Sekisui Chem Co Ltd | ユニット建物の施工装置及び施工方法 |
JPH10230772A (ja) * | 1997-02-19 | 1998-09-02 | Misawa Homes Co Ltd | 小型建物ユニットの輸送治具 |
KR100622300B1 (ko) | 2005-02-02 | 2006-09-1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콘크리트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지주의 핀접합구조 및그 시공방법 |
KR20140049240A (ko) * | 2012-10-17 | 2014-04-25 | 한국전력공사 |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
KR101289934B1 (ko) | 2012-12-18 | 2013-07-25 |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 Pc기둥과 pc보의 포스트텐션 압착식 접합구조물 및 그 접합구조물의 시공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22253A (zh) * | 2018-02-05 | 2018-06-29 | 洛阳石化工程设计有限公司 | 一种石化跨越钢桁架 |
CN108222253B (zh) * | 2018-02-05 | 2023-09-19 | 洛阳石化工程设计有限公司 | 一种石化跨越钢桁架 |
CN113047432A (zh) * | 2021-03-29 | 2021-06-29 | 中信国安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钢结构预制件、装配式钢框架结构及施工方法 |
CN115853140A (zh) * | 2022-12-22 | 2023-03-28 | 浙江东南绿建集成科技有限公司 | 一种钢筋桁架的高强电阻焊连接节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1635B1 (ko) | 2017-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0419B1 (ko) |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 |
CN107989228B (zh) | 一种预制型钢混凝土剪力墙结构及其制备和安装方法 | |
KR101766806B1 (ko) |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 |
KR101614842B1 (ko) | 층고 증가 없이 다양한 스팬에 적용가능한 내민보 일체형 pc기둥을 이용한 건축물의 골조시스템 | |
KR101691635B1 (ko) |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 | |
KR101572926B1 (ko) | 수평증축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라멘 pc보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665622B1 (ko) |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 구조의 시공방법 | |
KR101751776B1 (ko) |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 |
KR101962853B1 (ko) |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 |
KR101844344B1 (ko) |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 |
KR101700950B1 (ko) |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 | |
KR101675022B1 (ko) |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 거더와 빔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 | |
KR101665626B1 (ko) |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 |
KR101713188B1 (ko) |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 파이프랙 구조의 시공방법 | |
KR101766805B1 (ko) | 기둥플레이트와 기둥의 하이브리드 접합구조 | |
KR101665628B1 (ko) | 하이브리드 pc 구조의 시공방법 | |
JP5869717B1 (ja) |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 |
KR102033417B1 (ko) | 루프 철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 |
CN110820976A (zh) | 减震阻尼器的拼装结构及方法、预制墩托梁和装配式建筑 | |
JP5207078B2 (ja) | 制震間柱の施工方法 | |
KR101872274B1 (ko) |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고정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 |
KR101872298B1 (ko) | 이동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 |
KR20200064856A (ko) | 프리스트레스트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858972B1 (ko) | 상부기둥플레이트 및 하부기둥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콘크리트 무타설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기둥플레이트 및 보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 |
KR102347089B1 (ko) | 강합성 라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