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240A -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240A
KR20140049240A KR1020120115224A KR20120115224A KR20140049240A KR 20140049240 A KR20140049240 A KR 20140049240A KR 1020120115224 A KR1020120115224 A KR 1020120115224A KR 20120115224 A KR20120115224 A KR 20120115224A KR 20140049240 A KR20140049240 A KR 2014004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connection
steel tower
install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2011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240A/ko
Publication of KR2014004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2Arrangements for stacking tower sections on top of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각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철탑 주주재를 연결하여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상 장비를 설치하도록 상기 철탑 주주재를 다수의 상기 철탑 주주재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철탑 주주재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베이스부재와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와 상기 철탑 주주재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보강 연결부재로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보강함으로써, 철탑의 철탑 주주재의 규격에 따라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장 장비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하며, 철탑 인상 장비 설치 비용을 크게 절감한다.

Description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Base Reinforcement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Helper-Tower}
본 발명은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존 송전선로 철탑의 철탑 주주재의 규격에 관계없이 철탑 인상 장비를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전력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설비의 개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시화에 따라 시설물이 점점 대형화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설물의 대형화에 의해서 시설물과 송전선이 설치되는 송전 철탑간의 안전 이격 거리가 확보되지 못해 접촉 위험성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안전 이격 거리를 적기에 확보하지 못함에 따라 양질의 전력 공급 에 지장을 초래하고 및 고장 발생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송전 철탑과 시설물 간의 안전 이격 거리 확보를 위해 송전 철탑의 인상이 필요하다.
현재 운영중인 송전선로 철탑 상향공사는 일반적으로 가철주를 설치하여 임시 송전선로를 구성하고 기존 송전선로 철탑을 철거한 후 그 위치에 철탑을 신설하거나 또는 임시 송전 선로 구성없이 기존 송전선로 철탑 중심에서 전, 후 측방으로 소폭 이동하여 철탑을 신설하는 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철탑이 신설됨으로써 발생되는 지가하락 및 토지사용 제한 등으로 토지사용 협의가 어렵거나 고액보상 요구로 송전선로 지상고 상향공사 사업이 장기화 됨으로써 인력과 예산이 낭비되고 협의기간 동안 취약설비를 관리할 수 밖에 없어 외물접촉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 송전 철탑에 철탑 인상 장비(Helper- Tower)를 장착해서 임시 송전선로를 구성하고 기존 송전선로 철탑 상부를 계탑하여 인상하는 신공법이 개발됨으로써 토지 소유주와 일시 토지사용 협의만 완료되면 설계측량, 도시계획시설결정, 대관인허가 절차 없이도 공사를 진행할 수가 있어 공사기간 및 공사원가가 대폭 단축, 절감되는 효과가 검증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전선로 철탑 상부에 철탑 인상 장비를 설치하는 경우 철탑 인상 장비의 하중에 의해 송전선로 철탑의 주주재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국내 공개 특허 제10-2012-0095092호 '송전 철탑 인상 장치'(2012년 8월 28일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기존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장 장비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기존 송전선로 철탑의 철탑 주주재의 규격에 관계없이 철탑 인상 장비를 편리하게 장착하고, 철탑 인상 장비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다각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철탑 주주재를 연결하여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상 장비를 설치하도록 상기 철탑 주주재를 보강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이며,
다수의 상기 철탑 주주재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철탑 주주재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와 상기 철탑 주주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 연결부재를 포함한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다각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철탑 주주재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보강함으로써,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장 장비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 철탑의 철탑 주주재의 규격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장 장비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철탑 인상 장비 설치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를 설치한 후 철탑 인상 장비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확대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철탑 인상장비는 별도 임시 철탑 설치 없이 기존 송전선로 철탑을 인상하기 위해 설치하는 지지구조물이다. 상기 철탑 주주재(1)에는 상기 철탑 인상 장비(2)의 기초부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는 송전선로 철탑에서 철탑 인상 장비(2)가 설치되는 다수의 철탑 주주재(1)를 연결하여 보강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는 다각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철탑 주주재(1)를 연결하여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상 장비(2)를 설치하도록 상기 철탑 주주재(1)를 보강한다.
상기 송전선로 철탑은 다수의 철탑 주주재(1)를 구비하며, 다수의 상기 철탑 주주재(1)는 서로 이웃하는 것을 연결하여 사각형을 이루도록 사각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는 다각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상기 철탑 주주재(1)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철탑 주주재(1)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베이스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는 다각형으로 배치된 상기 철탑 주주재(1)를 연결하는 대각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와 상기 철탑 주주재(1)는 보강 연결부재(20)로 연결된다.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와 각 상기 철탑 주주재(1)를 연결한다.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양 측은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와 상기 철탑 주주재(1)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와 상기 철탑 주주재(1)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에는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일 측이 장착되는 제 1 장착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철탑 주주재(1)에는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타 측이 장착되는 제 2 장착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장착부재(30)는, 사이에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게 세워진 장착 브라켓트부(31); 및 상기 장착 브라켓트부(31) 사이에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일 측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부(32)는 상기 장착 브라켓트부(31)와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볼트 체결로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일 측을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에 장착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장착 브라켓트부(31)는 다수의 상기 철탑 주주재(1)를 향해 배치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 장착부재(40)는, 상기 철탑 주주재(1)에 장착되는 메인 장착 브라켓트(41)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타 측에는 상기 메인 장착 브라켓트(41)에 장착되는 연결 브라켓트(20a)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장착 브라켓트(41)와 상기 연결 브라켓트(20a)는 제 2 고정부(42)를 통해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 2 고정부(42)는 상기 메인 장착 브라켓트(41)와 상기 연결 브라켓트(20a) 중 어느 한 측에 돌출되어 다른 측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 너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고정부(42)는 볼트 체결로 상기 메인 장착 브라켓트(41)와 상기 연결 브라켓트(20a)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타 측을 상기 철탑 주주재(1)에 장착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장착 브라켓트(41)는 상기 철탑 주주재(1)에 볼트 체결로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는 볼트 체결로 상기 철탑주주재와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에 각각 장착되므로, 장착 및 분해가 용이하다.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는 다각형으로 배치된 상기 철탑 주주재(1)를 연결하는 각 대각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 베이부와 각 상기 철탑 주주재(1)를 연결하는 연결 길이의 차이가 최소화되어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철탑 주주재(1)가 사각형으로 배치되는 경우, 사격형으로 배치된 상기 철탑 주주재(1)를 연결하는 대각선이 연결되는 교차점에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가 배치되면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와 각 상기 철탑 주주재(1) 간의 거리가 동일하여 각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를 동일한 길이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는 다각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상기 철탑 주주재(1)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보강하여 상기 철탑 인상 장비(2)의 기초부가 상기 철탑 주주재(1)에 설치 시 상기 철탑 주주재(1)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철탑 주주재(1)는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기존 송전선로 철탑 및 상기 철탑 인상 장비(2)의 뒤틀림 억제와 변곡점에서 집중되는 외력을 분산시킨다. 즉, 상기 철탑 주주재(1)는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에 의해 보강되므로, 상기 철탑 인상 장비(2)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장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는, 상기 철탑 주주재(1)에 연결된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를 연결하는 가로 보강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 보강부재(50)는 양 측이 각각 두 개의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에 연결되고, 두 개의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철탑 주주재(1)에 각각 연결된 것이다. 즉, 상기 가로 보강부재(50)는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강성을 더 증대시키므로, 상기 철탑 인상 장비(2)를 상기 철탑 주주재(1)에 더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철탑 인상 장비(2)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송전선로 철탑의 철탑 주주재(1)의 규격에 따라 철탑 인상 장비(2)의 대변 길이가 최대 100mm까지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각 송전선로 철탑의 철탑 주주재(1)의 규격에 따라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와 각 상기 철탑 주주재(1)의 거리가 차이가 발생하고 각 보강 연결부재(20)를 각 송전선로 철탑의 철탑 주주재(1)의 규격에 따라 별도 제작하여 사용해야한다.
이 경우 제작 비용의 증가로 예산 낭비의 요인이 되며 현장가공 제작에 따른 정밀도 부족으로 실제 철탑 인상 장비(2)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철탑 주주재(1)와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연결 부분에 볼트 구멍을 확장시키거나, 긴 슬롯 구멍을 형성하여 각 송전선로 철탑의 철탑 주주재(1)의 규격에 따라 연결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를 상기 철탑 주주재(1)에 연결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부재의 유효단면적 감소에 따른 설계하중 미달로 잠재된 외력이 집중될 경우 작업도중에 전도될 수 있는 사고의 중요한 요인이 되어 안전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철탑 건설시 기초 각입오차에 의한 기존철탑 강제 조립이 있을 경우 철탑 인상 장비(2)가 설치되는 위치의 주주재간 대변이가 일치하지 않고 이러한 경우에 기존 송전선로 철탑에 철탑 인상 장비(2)의 설치가 어렵게 되므로 레바블럭으로 긴쪽을 끓어당겨 철탑 인상 장비(2)의 4각 대변 길이를 조정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는, 일 측이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1);
타 측이 상기 철탑 주주재(1)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22);
양 측이 상기 제 1 연결부(21)와 상기 제 2 연결부(22)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나사 결합하는 길이 조정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21)의 타 측과 상기 길이 조정부(23)의 일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제 1 숫나사부(23a)가 형성되고, 다른 한 측에는 상기 제 1 숫나사부(23a)가 나사 결합하는 제 1 암나사부(2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22)의 일 측과 상기 길이 조정부(23)의 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제 2 숫나사부(23b)가 형성되고, 다른 한 측에는 상기 제 2 숫나사부(23b)가 나사 결합하는 제 2 암나사부(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숫나사부(23a)와 상기 제 1 암나사부(21a)가 나사 결합하는 방향과, 상기 제 2 숫나사부(23b)와 상기 제 2 암나사부(22a)가 나사 결합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숫나사부(23a)와 상기 제 2 숫나사부(23b)는 상기 길이 조정부(23)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암나사부(21a)는 상기 제 1 연결부(21)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암나사부(22a)는 상기 제 2 연결부(22)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길이 조정부(23)에는 공구 홈(23c)가 형성된다. 상기 공구 홈(23c)에는 핸들이나 레버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길이 조정부(23)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길이 조정부(23)를 회전시키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 결합된 상기 제 1 연결부(21)와 상기 제 2 연결부(22)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거나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여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 연결부재(20)는 상기 제 1 숫나사부(23a)에 나사 결합하는 제 1 회전 방지 너트부(24); 및 상기 제 2 숫나사부(23b)에 나사 결합하는 제 2 회전 방지 너트부(2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회전 방지 너트부(24)와 상기 제 2 회전 방지 너트부(25)는 각각 상기 제 1 암나사부(21a) 및 상기 제 2 암나사부(22a) 측으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나사 결합된 부분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에는 연결되는 상기 철탑 주주재(1)와 이웃하는 철탑 주주재(1)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가로 보강부재(50)가 장착되는 연장 결합부(26)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 결합부(26)와 상기 가로 보강부재(50) 중 어느 한 측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장홀(5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홀(50a)은 연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가로 보강부재(50)의 연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결합부(26)와 상기 가로 보강부재(50) 중 다른 한 측에 상기 장홀(50a)에 연통되고, 볼트가 통과되는 볼트 구멍 또는 상기 장홀(50a)을 관통하는 볼트가 돌출되어 상기 연장 결합부(26)와 상기 가로 보강부재(50)를 볼트 체결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 브라켓트(20a)에는 별도로 제조되고, 양 측에 상기 연장 결합부(26)가 돌출된 보조 브라켓트(20b)가 조립된다. 즉, 상기 보조 브라켓트(20b)의 양 측에 상기 연장 결합부(26)가 돌출되어 각 상기 연장 결합부(26)로 상기 가로 보강부재(5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회전 방지 너트부(24)와 상기 제 2 회전 방지 너트부(25)를 풀어 상기 제 1 암나사부(21a) 및 상기 제 2 암나사부(22a) 측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길이 조정부(2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길이 조정부(23)를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부(21)와 상기 제 2 연결부(22)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거나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여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다.
즉, 각 송전선로 철탑의 철탑 주주재(1)의 규격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정부(23)를 회전시켜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양 측을 각각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 및 상기 철탑 주주재(1)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보강 연결부재(20)가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10)와 상기 철탑 주주재(1)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장홀(50a)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 보강부재(50)를 볼트 체결로 각각 상기 보강 연결부재(20)에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각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철탑 주주재(1)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보강함으로써,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장 장비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 철탑의 철탑 주주재(1)의 규격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장 장비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철탑 인상 장비 설치 비용을 크게 절감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 : 철탑 주주재 2 : 철탑 인상 장비
10 : 연결 베이스부재 20 : 보강 연결부재
21 : 제 1 연결부 22 : 제 2 연결부
23 : 길이 조정부 24 : 제 1 회전 방지 너트부
25 : 제 2 회전 방지 너트부 26 : 연장 결합부
30 : 제 1 장착부재 40 : 제 2 장착부재
50 : 가로 보강부재

Claims (8)

  1. 다각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철탑 주주재를 연결하여 송전선로 철탑의 상부에 철탑 인상 장비를 설치하도록 상기 철탑 주주재를 보강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이며,
    다수의 상기 철탑 주주재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철탑 주주재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와 상기 철탑 주주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 연결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는 다각형으로 배치된 상기 철탑 주주재를 연결하는 각 대각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탑 주주재에 연결된 상기 보강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가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연결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연결부재는,
    일 측이 상기 연결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타 측이 상기 철탑 주주재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 및
    양 측이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나사 결합하는 길이 조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의 타 측과 상기 길이 조정부의 일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제 1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측에는 상기 제 1 숫나사부가 나사 결합하는 제 1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의 일 측과 상기 길이 조정부의 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제 2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측에는 상기 제 2 숫나사부가 나사 결합하는 제 2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강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숫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 1 회전 방지 너트부; 및
    상기 제 2 숫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 2 회전 방지 너트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철탑 주주재에 연결된 상기 보강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가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연결부재에는 연결되는 상기 철탑 주주재와 이웃하는 철탑 주주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가로 보강부재가 장착되는 연장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 결합부와 상기 가로 보강부재 중 어느 한 측에는 상기 가로 보강부재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KR1020120115224A 2012-10-17 2012-10-17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KR20140049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24A KR20140049240A (ko) 2012-10-17 2012-10-17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24A KR20140049240A (ko) 2012-10-17 2012-10-17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240A true KR20140049240A (ko) 2014-04-25

Family

ID=5065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224A KR20140049240A (ko) 2012-10-17 2012-10-17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24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132A (ko) * 2015-04-30 2016-11-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
CN109138575A (zh) * 2018-10-24 2019-01-04 程海明 一种新型应急电力通讯信息塔
KR20190037833A (ko) 2017-09-29 2019-04-08 한국전력공사 조립식 철탑 기초체
KR20190044804A (ko) 2017-10-23 2019-05-02 한국전력공사 밸브 상태 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036309B1 (ko) 2019-04-04 2019-10-25 한국전력공사 조립식 철탑 기초체
KR20210091618A (ko) 2020-01-14 2021-07-22 한국전력공사 딥 러닝 기법을 이용한 철탑 기초 제원 예측 장치 및 방법
CN113550643A (zh) * 2021-06-24 2021-10-26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塔横隔面加固装置
KR102328875B1 (ko) * 2020-06-29 2021-11-22 주식회사진흥기업 송전철탑의 주체부 보강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132A (ko) * 2015-04-30 2016-11-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
KR20190037833A (ko) 2017-09-29 2019-04-08 한국전력공사 조립식 철탑 기초체
KR20190044804A (ko) 2017-10-23 2019-05-02 한국전력공사 밸브 상태 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CN109138575A (zh) * 2018-10-24 2019-01-04 程海明 一种新型应急电力通讯信息塔
KR102036309B1 (ko) 2019-04-04 2019-10-25 한국전력공사 조립식 철탑 기초체
KR20210091618A (ko) 2020-01-14 2021-07-22 한국전력공사 딥 러닝 기법을 이용한 철탑 기초 제원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328875B1 (ko) * 2020-06-29 2021-11-22 주식회사진흥기업 송전철탑의 주체부 보강 시공방법
CN113550643A (zh) * 2021-06-24 2021-10-26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塔横隔面加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9240A (ko)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CN204754274U (zh) 输电线路砼杆加固装置
KR101142898B1 (ko) 태양광발전모듈 지지구조체
KR200418585Y1 (ko) 강재 받침판 및 이를 이용한 무파쇄 무진동 수평절단을통한 교량받침 교체방법
CN113482034B (zh) 一种输电铁塔不均匀沉降的纠偏方法
CN106049857A (zh) 用于液压爬模系统的涡轮螺杆式可连续调节的支撑装置
CN104005569A (zh) 一种托梁拔柱施工方法
CN104947622A (zh) 护栏高度提升装置以及护栏高度提升方法
CN101736752B (zh) 塔桅式机械设备底架的垂直定位连接构造
CN105781131A (zh) 装配式建筑墙板安装支撑体系及其构建方法
CN103848361B (zh) 塔吊附墙装置的支撑梁
CN101509262B (zh) 地脚螺栓垂直定位连接构造
CN112523775A (zh) 一种新型联络通道预应力支架装置
CN105804417A (zh) 装配式建筑墙板安装用斜支撑及其使用方法
CN105672677A (zh) 装配式建筑墙板安装用支撑工具及其使用方法
CN109898820B (zh) 装配式建筑外防护架及装配式建筑施工方法
CN201635087U (zh) 塔式结构底架十字梁的垂直连接定位构造
CN105804418A (zh) 预制墙板固定支撑体系及构建方法
WO2013088915A1 (ja) 支持瓦
CN102535507B (zh) 组合式塔基
CN109441087A (zh) 一种依附在构筑物上的悬臂挑架
CN201713940U (zh) 一种钢柱脚结构
KR101181493B1 (ko)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CN202114437U (zh) 基础螺栓定位装置
CN206438762U (zh) 一种耐腐建筑用铝合金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