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833A - 조립식 철탑 기초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철탑 기초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833A
KR20190037833A KR1020170127562A KR20170127562A KR20190037833A KR 20190037833 A KR20190037833 A KR 20190037833A KR 1020170127562 A KR1020170127562 A KR 1020170127562A KR 20170127562 A KR20170127562 A KR 20170127562A KR 20190037833 A KR20190037833 A KR 20190037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eel bar
base
groo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637B1 (ko
Inventor
고광수
문창배
박완성
신경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2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6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철탑 기초체를 부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각 부분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 후 설치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철탑 기초체{Prefabricated tower founda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철탑 기초체를 부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각 부분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 후 설치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철탑은 송전선로 등을 가설하기 위해 수십 미터의 지상높이로 시공되는 트러스(truss) 형태의 철제 구조물로서, 자체 중량이 수십 톤에서 수백 톤에 이르는 중량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전철탑은 보통, 정방향으로 배치되는4개의 주주재를 가지며, 각 주주재의 하단부는 콘크리트 기초체에 의하여 지반에 고정된다.
송전철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반을 터파기하여 수평으로 콘크리트 면을 평활하게 형성한 다음,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고, 각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글을 설정 높이까지 트러스 형태로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완성시키는 방식을 적용한다.
송전철탑을 지지하는 송전철탑 기초체는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제작되므로 상당한 중량의 자재, 장비 및 넓은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송전철탑이 설치되는 지역이 산, 능선, 급경사지 등에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자재, 장비 등의 이동이 어렵고, 기초공사의 규모가 커 환경파괴를 유발하며, 공사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92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철탑 기초체를 부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각 부분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 후 설치함으로써 기초체를 이루는 기초 부재의 품질을 확보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기간,비용 및 시공 인력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 구조물이 기초체를 당기는 인장력에 대한 기초체의 저항력을 증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 구조물에 발생되는 하중과 지반의 조건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초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있어서,
하단부재를 다수 개 조립하여 구성되는 원판형상의 하단조립체;
하단조립체와 동심이 되도록 하단조립체 상단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재;
상단부재와 동심이 되도록 상단부재의 상측에 적층되는 원판형상의 최상단부재;
중앙에 철탑연결재가 구비되는 원판형상이며, 최상단부재의 상층에 적층되는 각입플레이트;
하단조립체, 상단부재, 최상단부재 및 각입플레이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일정길이의 강봉;을 포함하며,
상단부재의 개수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축력과 인장력에 따라 조절되어 복수 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부재의 내주면에는 외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내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측홈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부재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외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측홈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부재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의 기초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부재의 하면에는 일정 길이의 기초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부재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기초돌출부는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와 인접한 하층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기초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초홈부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초돌출부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초홈부와 기초돌출부는 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초홈부와 기초돌출부의 개수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초홈부의 깊이와 기초돌출부의 길이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부재는,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형상의 하단플레이트와,
하단플레이트의 원호 측 양단부로부터 중심각 부분을 향하여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며,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플레이트의 중심각 부분에는 원호를 향하여 파여진 형상의 중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
각각의 하단플레이트에 형성된 중앙홈에 의해 하단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중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조립체를 이루기 위한 다수 개의 하단부재 사이의 결합은,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 돌출되어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하단강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강봉부는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
하단조립체에 형성된 하단강봉부의 개수는 상단부재에 형성된 내측홈과 외측홈을 모두 합친 개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강봉부의 외측으로는 하단강봉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연결재가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
하단조립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단강봉부 각각의 위치는 상단부재에 형성된 내측홈 및 외측홈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상단부재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상단부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는 하단조립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단강봉부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입플레이트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입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는 최상단부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봉의 일단은 하단조립체의 하단강봉부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봉은 내측홈 또는 외측홈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봉은 최상단부재에 형성된 강봉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봉은 각입플레이트에 형성된 강봉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입플레이트를 관통한 강봉의 타단은 너트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상단부재의 외경은 상단부재의 외경과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부재의 외경은 하단조립체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기초 부재를 제작함으로써 기초 부재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기초 부재를 조립하여 기초체를 구성함으로써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기간, 비용 및 시공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구조물이 기초체를 당기는 인장력에 대하여, 하단 부재와 직접 연결되는 강봉을 통해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초체 전체가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초 부재의 개수를 조절하여 기초체를 조립하기 때문에 지반 조건과 상부 구조물에 발생하는 하중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탑 기초체의 조립 완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봉이 설치된 하단부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 부재, 상단 부재 및 최상단 부재의 조립 완성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철탑 기초체를 부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각 부분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 후 설치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탑 기초체의 조립 완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철탑을 설치하기 위해 지반에 고정되는 본 발명의 기초체는, 하단부재(4)를 다수 개 조립하여 구성되는 원판형상의 하단조립체(2)와, 상기 하단조립체(2)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하단조립체(2)의 상단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재(18)와, 상기 상단부재(18)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상단부재(18)의 상측에 적층되는 원판형상의 최상단부재(28)와, 상기 최상단부재(28)와 동심이며, 중앙에 철탑연결재(34)가 구비되는 원판형상으로 상기 최상단부재(28)의 상층에 적층되는 각입플레이트(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단조립체(2), 상기 상단부재(18), 상기 최상단부재(28), 상기 각입플레이트(32)는 일정 길이의 강봉(3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조립되어진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하단조립체(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하단조립체(2)는 다수 개의 상기 하단부재(4)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의 하단플레이트(6)와,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원호(8) 측 양단부로부터 중심각 부분을 향하여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상면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플랜지부(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부채꼴 형상인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중심각 부분에는 상기 원호(8) 측을 향하여 파여진 형상의 중앙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홈(14)은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중앙홈(14)은 'V'형상으로 형성되어 'V'형상의 꼭짓점 부분이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원호(8) 중앙부를 향하도록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중앙홈(14)은 일정 각도의 원호를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채꼴의 원호 부분이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원호(8) 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단조립체(2)를 구성하기 위해 다수 개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를 조립하였을 때, 각각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에 형성된 상기 중앙홈(14)에 의해 상기 하단조립체(2)의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중앙홀(16)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홀(16)의 형상은 상기 중앙홈(14)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중앙홈(14)이 90도의 중심각을 갖는 'V'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중앙홀(16)의 형상은 사각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중앙홈(14)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중앙홀(16)은 원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하단조립체(2)를 이루기 위한 다수 개의 상기 하단부재(4) 사이의 결합은,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의 일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0) 사이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어느 하나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 양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1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 양단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에 형성된 플랜지부(10)와 각각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부(10) 사이의 결합에 의해 다수 개의 상기 하단부재(4)가 일체화되어 상기 하단조립체(2)를 이루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10) 사이의 결합은 볼트 결합일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강봉이 설치된 하단부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하단강봉부(12)가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하단강봉부(12)의 외측으로는 상기 하단강봉부(12)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연결재(40)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하단강봉부(12)와 상기 연결재(4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연결재(40)의 하단은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상면과 맞닿게 되며, 상기 연결재(40)의 상단은 상기 하단강봉부(12)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강봉(36)의 일단은 상기 연결재(4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삽입되면서 나사결합 되어, 상기 연결재(40) 내부에서 상기 강봉(36)의 일단과 상기 하단강봉부(12)의 상단이 맞닿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기 강봉(36)에는 상기 상단부재(18), 상기 최상단부재(28) 및 상기 각입플레이트(32)가 차례로 삽입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단플레이트(6)가 중심각이 90도인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4개의 상기 하단부재(4)가 하나의 상기 하단조립체(2)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하단플레이트(6)가 N개 조립되었을 때 하나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중심각이 N/360°가 된다면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중심각 각도 및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상단부재(18)의 외경은 상기 하단조립체(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하단조립체(2) 상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상단부재(18)의 외경부가 상기 플랜지부(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단부재(18)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의 기초홈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재(18)의 하면에는 일정 길이 돌출된 기초돌출부(26)가 형성된다.
상기 기초홈부(24)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90도 이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고, 상기 기초홈부(24) 또한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90도 이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즉, 상기 기초홈부(24)와 상기 기초돌출부(26)는 서로 같은 개수로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기초홈부(24)와 어느 하나의 상기 기초돌출부(26)는 상기 상단부재(18)에 있어 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단부재(18)는 다수 개 적층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단부재(18)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18)에 형성된 상기 기초돌출부(26)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18)와 인접한 하층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단부재(18)에 형성된 상기 기초홈부(24)에 삽입되어진다.
상기 기초홈부(24)의 깊이와 상기 기초돌출부(26)의 돌출 길이는 서로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기초홈부(24)가 상기 기초돌출부(26)에 삽입됨으로써 다수 개의 상기 상단부재(18)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상단부재(18)의 내주면에는 외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내측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재(18)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외측홈(22)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홈(20)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외측홈(22) 또한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내측홈(20) 사이의 이격 각도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외측홈(22) 사이의 이격 각도의 2배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홈(20) 사이의 이격 각도는 90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외측홈(22) 사이의 이격 각도는 45도인 것으로 도시되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상기 내측홈(20) 사이에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내측홈(2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내측홈(20)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이 각각 삼각형상의 꼭짓점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초홈부(24)와 상기 기초돌출부(26)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내측홈(2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단플레이트(6)를 다수 개 조립하여 하나의 상기 하단조립체(2)를 구성하였을 때, 상기 하단조립체(2)에 형성된 상기 하단강봉부(12)의 개수는 상기 상단부재(18)에 형성된 내측홈(20)과 외측홈(22)을 모두 합친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하단플레이트(6)를 다수 개 조립하여 상기 하단조립체(2)를 구성하였을 때, 상기 하단조립체(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기 하단강봉부(12) 각각의 위치는 상기 하단플레이트(6)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단부재(18)에 형성된 상기 내측홈(20) 및 상기 외측홈(22)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단플레이트(6)가 90도의 중심각을 갖도록 형성되었을 때, 각각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에는 삼각형상을 이루는 3개의 상기 하단강봉부(1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하단플레이트(6)가 조립되어 하나의 하단조립체(2)를 구성할 때, 어느 하나의 내측홈(2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내측홈(20)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이 이루는 삼각형상이 어느 하나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 상에 위치하게 되고,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하단강봉부(12)와, 삼각형상을 이루는 어느 하나의 내측홈(2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내측홈(20)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이 서로 동축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일단이 상기 연결재(40)에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 삽입된 상기 강봉(36)은 상기 내측홈(20) 또는 상기 외측홈(22)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상단부재(18)는 설치되는 지반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상부의 철탑 등 지상에서 작용하는 압축력에 비해 지반의 지지효과가 부족할 경우 개수를 추가하여 적층함으로써 상부의 압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단부재(18)의 적층 개수는 기초체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구조물에 발생되는 하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재(18)가 다층으로 구성될 때 상기 상단부재(18)는,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외측홈(22) 및 내측홈(20)이 다른 하나의 상기 상단부재(18)에 형성된 외측홈(22) 및 내측홈(20)과 축방향으로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 부재, 상단 부재 및 최상단 부재의 조립 완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단부재(18) 상에 적층되는 상기 최상단부재(28)는 외경이 상기 상단부재(18)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부재(28)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30)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조립체(2), 상기 상단부재(18) 및 상기 최상단부재(28)가 차례로 적층되어있을 때, 상기 최상단부재(28)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30)은 상기 하단조립체(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단강봉부(12) 각각과 서로 동축인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부재(28) 상에 적층되는 상기 각입플레이트(32)에도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어, 상기 각입플레이트(3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또한 상기 최상단부재(28)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기 강봉홀(30)과 각각 서로 동축인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단부재(18)의 상기 외측홈(22) 및 상기 내측홈(20)을 관통한 상기 강봉(36)은 상기 최상단부재(28)에 형성된 상기 강봉홀(30)은 관통한 후, 상기 각입플레이트(32)에 형성된 상기 강봉홀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각입플레이트(32)를 관통한 상기 강봉(36)의 타단에는 너트(38)가 결합되어 상기 하단부재, 상기 상단부재 및 상기 각입플레이트가 일체화 된 상태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기초체를 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강봉(36)은, 양단이 상기 연결재(40), 상기 최상단부재(28) 및 상기 각입플레이트(32)에 삽입되고, 상기 강봉(36)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부분은 상기 외측홈(22) 및 내측홈(20)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형상으로 고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초체는, 상기 하단부재(4), 상기 상단부재(18)를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 및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초 부재에 대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기간, 비용 및 시공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의 압축력 및 인장력에 따라 상기 상단부재(18)의 적층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기초체의 저항력을 증대시켜 기초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등 상부 구조물에 발생되는 하중과 지반의 조건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조립식 철탑 기초체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하단조립체
4 : 하단부재
6 : 하단플레이트
8 : 원호
10 : 플랜지부
12 : 하단강봉부
14 : 중앙홈
16 : 중앙홀
18 : 상단부재
20 : 내측홈
22 : 외측홈
24 : 기초홈부
26 : 기초돌출부
28 : 최상단부재
30 : 최상단부재의 강봉홀
32 : 각입플레이트
34 : 철탑연결재
36 : 강봉
38 : 너트
40 : 연결재

Claims (33)

  1. 철탑을 설치하기 위해 지반에 고정되는 기초체에 있어서,
    하단부재를 다수 개 조립하여 구성되는 원판형상의 하단조립체;
    상기 하단조립체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하단조립체 상단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재;
    상기 상단부재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상단부재의 상측에 적층되는 원판형상의 최상단부재;
    중앙에 철탑연결재가 구비되는 원판형상이며, 상기 최상단부재의 상층에 적층되는 각입플레이트;
    상기 하단조립체, 상기 상단부재, 상기 최상단부재 및 상기 각입플레이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일정길이의 강봉;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부재의 개수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축력과 인장력에 따라 조절되어 복수 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의 내주면에는 외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내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홈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외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홈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의 기초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의 하면에는 일정 길이의 기초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기초돌출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와 인접한 하층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기초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홈부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돌출부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홈부와 상기 기초돌출부는 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홈부와 상기 기초돌출부의 개수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홈부의 깊이와 상기 기초돌출부의 길이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재는,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형상의 하단플레이트와,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원호 측 양단부로부터 중심각 부분을 향하여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중심각 부분에는 상기 원호를 향하여 파여진 형상의 중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상기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
    각각의 상기 하단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중앙홈에 의해 상기 하단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중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조립체를 이루기 위한 다수 개의 상기 하단부재 사이의 결합은,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 돌출되어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하단강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강봉부는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상기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
    상기 하단조립체에 형성된 상기 하단강봉부의 개수는 상기 상단부재에 형성된 내측홈과 외측홈을 모두 합친 개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강봉부의 외측으로는 상기 하단강봉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연결재가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상기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
    상기 하단조립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기 하단강봉부 각각의 위치는 상기 상단부재에 형성된 내측홈 및 외측홈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부재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4. 제19항 또는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부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는 상기 하단조립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단강봉부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입플레이트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6. 제24항 또는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입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는 상기 최상단부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의 일단은 상기 하단조립체의 하단강봉부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8.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은 상기 내측홈 또는 상기 외측홈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은 상기 최상단부재에 형성된 강봉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은 상기 각입플레이트에 형성된 강봉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각입플레이트를 관통한 상기 강봉의 타단은 너트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부재의 외경은 상기 상단부재의 외경과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의 외경은 상기 하단조립체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
KR1020170127562A 2017-09-29 2017-09-29 조립식 철탑 기초체 KR102081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562A KR102081637B1 (ko) 2017-09-29 2017-09-29 조립식 철탑 기초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562A KR102081637B1 (ko) 2017-09-29 2017-09-29 조립식 철탑 기초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833A true KR20190037833A (ko) 2019-04-08
KR102081637B1 KR102081637B1 (ko) 2020-02-26

Family

ID=6616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562A KR102081637B1 (ko) 2017-09-29 2017-09-29 조립식 철탑 기초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6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26B1 (ko) * 2019-07-05 2020-05-25 신을호 조립식 pc 철탑 기초구조물
CN112878355A (zh) * 2021-01-25 2021-06-01 北京天罡星机械设备租赁有限公司 一种塔吊基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564Y1 (ko) * 2000-08-04 2001-02-15 현대피씨엔지니어링주식회사 조립식 교각
KR20060128804A (ko) * 2006-11-24 2006-12-14 전영총 피씨구조체 교각 및 피씨구조체 교각의 시공방법
KR20100130273A (ko) * 2009-06-03 2010-12-13 김정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30076395A (ko) * 2011-12-28 2013-07-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
KR20140049240A (ko) 2012-10-17 2014-04-25 한국전력공사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US20170183840A1 (en) * 2015-12-23 2017-06-29 649119 N.B. Inc. Pre-cast concrete foundation of modular construction for telecommunication or wind turbine tow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564Y1 (ko) * 2000-08-04 2001-02-15 현대피씨엔지니어링주식회사 조립식 교각
KR20060128804A (ko) * 2006-11-24 2006-12-14 전영총 피씨구조체 교각 및 피씨구조체 교각의 시공방법
KR20100130273A (ko) * 2009-06-03 2010-12-13 김정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30076395A (ko) * 2011-12-28 2013-07-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
KR20140049240A (ko) 2012-10-17 2014-04-25 한국전력공사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
US20170183840A1 (en) * 2015-12-23 2017-06-29 649119 N.B. Inc. Pre-cast concrete foundation of modular construction for telecommunication or wind turbine tow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26B1 (ko) * 2019-07-05 2020-05-25 신을호 조립식 pc 철탑 기초구조물
CN112878355A (zh) * 2021-01-25 2021-06-01 北京天罡星机械设备租赁有限公司 一种塔吊基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637B1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991B2 (en) Wind turbine tower base assembly with detachable tower base rings
US9499954B2 (en) Tower support structure
JP4708365B2 (ja) 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に使用する予備製作された金属壁部品および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の構築方法
CN211421159U (zh) 塔筒基础的中心筒构件、中心筒和塔筒基础
EP2929182B1 (en) Wind turbine tower arrangement
EP2510157B1 (en) A structure
US6557312B2 (en) Prefabricated-building tower foundation
EP2188467B1 (en) Tower, in particular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appliances
US20180087287A1 (en) Wind Turbine Tower Section, Wind Turbine Tower and Assembly Method
KR20190037833A (ko) 조립식 철탑 기초체
US69482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load capacity and stability of guyed towers
WO2011029994A1 (en) Connecting element and radial reinforcement structure
WO2015049362A1 (en) Concrete tower formed with precast pieces
JP5496121B2 (ja) 貯水空間形成ブロック
US10119264B2 (en) Air-supported membrane structure dome and foundation thereof
WO1993020290A1 (en) Foundation arrangement
EP1526278A1 (en) Wind turbine foundation
US11499528B2 (en) Wind turbine mast section, wind turbine mast and assembly method
KR102036309B1 (ko) 조립식 철탑 기초체
US1088327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reinforcement for raised-floors and for equipment thereon
EP2746578B1 (en) Segmented tower bottom flange and method of assembly
JP2000303482A (ja) 基礎構造
JP6752006B2 (ja) 建物ユニットの固定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6446314B2 (ja) 擁壁ブロックの連結部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擁壁構造
KR20130023658A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