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873B1 - 경사 자동보수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경사 자동보수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873B1
KR920006873B1 KR1019900001258A KR900001258A KR920006873B1 KR 920006873 B1 KR920006873 B1 KR 920006873B1 KR 1019900001258 A KR1019900001258 A KR 1019900001258A KR 900001258 A KR900001258 A KR 900001258A KR 920006873 B1 KR920006873 B1 KR 92000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cutting
sensor
controller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126A (ko
Inventor
유우지로오 다께가와
소우이치 나까이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67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22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700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6717B2/ja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6Apparatus for joining warp e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4Detection and repair of broken warp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사 자동보수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에서 제13도까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낸 것이다.
제1도는 경사 자동보수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경사 자동보수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헤들 분리 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헤들 분리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
제5도는 헤들 검지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헤들틀의 평면도.
제7도는 실통과 장치의 평면도.
제8도는 실통과 장치의 측면도.
제9도는 콘트롤러와 다른 동작요소와의 회로의 접속도.
제10도는 경사 자동보수 동작의 플로우챠트도.
제11도는 헤들 분리 동작 상태의 평면도.
제12도는 경사 자동보수 동작의 측면도.
제13도는 제어장치의 블록선도.
제14도는 제26도까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낸 것으로 제14도는 경사 자동보수 장치의 정면도.
제15도는 경사 자동보수 장치의 측면도.
제16도는 헤들 분리 장치의 정면도.
제17도는 헤들 분리 장치의 측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적출부재의 단면도.
제20도는 센서의 구동 수단의 평면도.
제21도는 제어장치의 블록선도.
제22도는 콘트롤러와 각 동작 부분과의 접속 상태의 블록선도.
제23도는 동작의 플로우챠트도.
제24도는 절단 경사 부분의 평면도.
제25도 및 제26도는 걸림부재 부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 자동보수 장치 2 : 경사
2a, 2b : 절단경사 3 : 브라켓트
4 : 텐선로울 5 : 드롭퍼 장치
6 : 가이드바 7 : 헤들
8 : 바디 9 : 직포
10 : 로울 11 : 드롭퍼
12 : 관통구멍 13 : 유지구멍
14 : 전극 바 15 : 사이드 프레임
16 : 가이드 레일 17 : 슬라이더
18 : 구동 벨트 19 : 풀리
20 : 모우터 21 : 흡인관(적출부재)
22 : 노터(Knotter) 23 : 잇는 실
24 : 잇는 실 보빈 25 : 크램퍼
26 : 크램퍼 27 : 스프링
28 : 솔레노이드 29, 30 : 실 센서
32 : 솔레노이드 33 : 흡인 파이프
34 : 에어 실린더 35 : 피스턴 로드
36 : 지지핀 37 : 래크
38 : 피니언 39 : 에어 실린더
40 : 에어 실린더 41 : 커터(모우터)
42 : 커터 구동기(레버) 43 : 확대부재
44 : 헤들 틀(후크) 45 : 식별 코오드
46 : 기억장치 50 : 헤들 분리 장치
51 : 브라켓트 52 : 풀리
53 : 벨트 54 : 구동 모우터
55 : 에어 실린더 56 : 에어 실린더
57 : 호울더 58 : 호울더
59 : 에어 실린더 60 : 에어 실린더
61 : 안내로드 62 : 안내로드
63 : 분리부재 64 : 분리부재
65 : 흡인파이프 66 : 센서
67 : 커터 70 : 절단경사 이동장치
80 : 검출장치 90 : 브라켓트
91 : 차륜 92 : 레일
93 : 모우터 94 : 피니언
95 : 래크 100 : 헤들 검지 장치
101 : 풀리 102 : 벨트
103 : 가이드 104 : 모우터
105 : 래크 106 : 피니언
107 : 호울더 108 : 센서
109 : 센서 110 : 실통과 장치
111 : 풀리 112 : 벨트
113 : 모우터 114 : 타이밍 풀리
115 : 타이밍 풀리 116 : 모우터
117 : 후크 부착 니이들(실통과 부재)
118 : 센서 119 : 브라켓트
120 : 제어장치 121 : 앤코우더
130 : 송출 제어기 132 : 펄스 발생 회로
134 : 제1의 카운터 136 : 게이트 회로
140 : 제2의 카운터 142 : 비교회로
144 : 설정회로 170 : 콘트롤러
171, 172…190 : 제어기
본 발명은 제직중에서 경사(warp)가 절단된때에, 절단 경사의 끝단부에 잇는 실을 잇고, 이것을 헤들(heddle)나 바디살쪽으로 당겨서 통과 시키게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직중에 경사가 절단 하였을때에, 직기는 드롭퍼 장치등으로 부터 경사 멈춤 신호를 받아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이때, 직공은, 절단된 경사를 다수의 경사로 부터 추출하여, 그 절단된 경사의 끝단부에 실을 잇고, 이것을 헤들나 바디살로 통과하게 함으로써, 복구하고 직기를 재기동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사의 보수 작업은, 오로지 직공의 손작업에 의하고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이 사람의 손에 의한 복구 작업을 신속하게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개평 1-192853호의 발명에서 경사의 자동 수복 방법 및 장치를 이미 제안하고 있으나, 아직 완전한 자동화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 경사의 끝단부에 접속된 잇는실을 대응한 바디살 사이로 통하게하는 실통과 부재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게 하는 것이었다.
상기 목적하에서, 본 발명은, 경사 절단시에, 경사군(群)으로 부터 절단 경사를 분리한 다음에, 절단 경사의 바디살 또는 그 가까운 바디살의 간격을 넓혀서, 이 넓힌 바디살의 위치로 부터 실통과 부재를 위치결정 함으로써, 절단된 경사의 바디살의 공간으로 향하여 실통과 부재를 삽입하고, 이 실통과 부재로 절단된 경사에 잇는실을 대응한 바디살 사이로 통과 하게하여, 직물 앞부분까지 안내 함으로써, 직기를 재기동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절단된 경사에 인접하는 경사를 이동시켜서 대응하는 바디살의 간격을 넓혀 실통과 부재를 위치 결정하고, 또한 삽입 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다.
[실시예 1]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경사 자동보수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사 자동보수 장치(1)는, 다수의 경사 (2)의 윗쪽 위치에서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라켓트(3)의 부분으로 조립되어 있다.
다수의 경사(2)는, 시트 형상으로되어, 텐션 로울(4), 드롭퍼 장치(5)의 가이드 바(6)에 접하고, 각각 헤들(7) 및 바디(8)의 바디살 사이를 통과하고, 위사와 교차하여 직포(9)로되어, 두루마리 식으로 감는 로울(10)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드롭퍼 장치(5)의 드롭퍼(11)는, 각각 관통 구멍(12)의 부분으로 경사(2)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유지구멍(13)의 부분에서 전극 바(14)와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13)는, 좌, 우 사이드 프레임(15)의 사이에서 직폭방향으로 수평인 2개의 가이드레일(16)에 대하여 슬라이더(17)에 의하여,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또한 앤드레스 형상의 구동벨트(18)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벨트(18)는,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15)에 의하여 지지된 1쌍의 풀리(19)에 감겨져 있고, 위치 제어용의 모우터(2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벨트(18)는,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15)에 의하여 지지된 1쌍의 풀리(19)에 감겨져 있고, 위치 제어용의 모우터(2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브라켓트(3)는, 흡인관(21), 노터(knotter)(22), 잇는실(23)을 감아두기 위한 잇는실 보빈(24)외에, 크램퍼(25) 커터(41)등을 유지하고 있다.
흡인관(21)은, 드롭퍼(11)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브라켓트(3)에 부착되어 있고, 아래로 향하여 개구하여 중간 부분에서 노터(22)와 일체화하여 또한 아랫쪽의 개구부에서 2개의 실 센서(29), (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노터(22)는 기계식, 공기 흐름식, 또는 접착제 도포에 의한 접착식의 것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잇는 실 보빈(24)는, 예를 들면 흡인관(21)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브라켓트(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잇는실(23)의 한쪽 끝단은 솔레노이드(32)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크램퍼(25)에 의하여 유지되고, 또한 흡인 파이프(33)의 내부에 향하고 있다.
또한, 크램퍼(25)는 솔레노이드(32)와 함께 에어 실린더(34)의 피스턴 로드(3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에어 실린더(34)는 수평 방향의 지지핀(36)에 의하여 브라켓트(3)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래크(37), 피니언(38) 및 에어 실린더(39)에 의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는, 상기 흡인 파이프(33)는, 브라켓트(3)쪽의 에어 실린더(40)의 피스턴 로드에 의하여 경사 방향으로 자유롭게 전진, 후퇴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는, 상기 커터(41)는 흡인 파이프(33)의 가까이에서 브라켓트(3)에 의하여, 지지되어 커터 구동기(42)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34)의 회동후의 위치에 있어서의 크램퍼(25)의 전진 위치 아랫쪽 부분에서 흡인 파이프(65), 이 흡인 파이프(65)의 측면에 부착된 센서(66)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바디(8)의 뒷면쪽에 적당한 커터(6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는 헤들 분리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헤들 분리 장치(50)는, 헤들(7)와 드롭퍼 장치(5)의 사이에 있어서 제2도와 같이, 경사(2)의 아랫쪽 위치에서 경사(2)방향 및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브라켓트(51)의 부분에 조립되어 있다.
이 브라켓트(51)은 브라켓트(90)에 의하여 지지된 1쌍의 풀리(52), 이것에 감겨진 엔드레스 형상의 벨트(53) 및 구동축의 풀리(52)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우터(54)에 의하여 직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써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브라켓트(51)는, 각각 직폭 방향의 끝단부에서 수평인 에어실린더(55), (56)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피스턴 로드의 앞끝단부에서 호울더(57), (58)를 직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들의 호울더(57), (58)는 브라켓트(51)에 부착된 안내로드(61), (62)에 의하여 안내되고, 에어 실린더(55), (56)의 실린더 로드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는, 각각의 호울더(57), (58)는 수직 방향의 에어 실린더(59), (60)의 피스턴 로드에 의하여, 분리부재(63), (64)를 상, 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90)는 좌, 우의 끝단부의 차륜(91)에 의하여, 프레임(15)에 부착된 레일(92)위로 실려서 브라켓트(90)에 부착된 래크(95)에 의하여 경사(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인 파이프(65) 및 커터(67)도 헤들 분리장치(50)와 마찬가지로 각각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우터와 이것에 의하여 구동되는 1쌍의 풀리의 사이에 감겨진 무단 형상의 벨트에 부착되어 직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트(90)은, 절단 경사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는 헤들의 식별 코오드를 검지하기 위한 헤들 검지 장치(100)를 유지하고 있다.
즉, 이 헤들 검지장치(100)는, 제4도 이외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헤들 분리장치(50)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1쌍의 풀리(101)사이에 감겨진 무단 형상의 벨트(102)에 의하여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경사(2)의 방향 가이드(103)의 부분에서 래크(105)를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유지하고 있다.
이 래크(105)는, 모우터(104)의 피니언(106)에 의하여 경사(2)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 앞끝단의 호울더(107)의 위끝단 부분에서 2개의 센서(108) 및 센서(109)를 수평 방향 및 아래로 향하게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수평 방향의 센서(108)는 헤들 틀(44)의 헤들(7)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아래로 향한 센서(109)는, 여러개의 헤들 틀(44)중의 1개를 특정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4개의 헤들 틀(44)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즉, 4개의 헤들 틀(44)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경사(2)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1개씩 4개의 경사(2)를 순차 지지하고, 이 지지상태를 반복함으로써, 모든 경사(2)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경사(2)는, 각각 헤들(7)에 의하여 지지되고, 바디(8)에 대하여 2개씩 바디살 사이로 통하여 있다.
따라서, 1개의 바디살 사이로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 2개의 경사(2)에는, 그 경사(2)를 지지하고 있는 헤들 틀(44)의 번호에 대하여 상호 일정한 관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경사(2)가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 부재 예를들면, 헤들(7)에 각각 이것을 지지하는 헤들 틀(44)의 번호에 대응한 고유의 식별 코오드(45)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식별 코오드(45)는, 동일의 바디살 사이에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 경사(2)마다에 기억장치(46)에 의하여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제7도 및 제8도는, 실통과 장치(11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통과 장치(110)는, 상기 헤들 분리 장치(5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5)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이 되도록 부착된 1쌍의 풀리(111)사이에 감겨진 벨트(112)에 의하여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우터(113)의 회전에 의하여 소정량만 이동하고, 바디(8)과 대향하여 간격이 넓은 바디살틀 센서(118)로 검출함으로써 정지한다.
또한, 모우터(113)의 제어는, 제어장치(120)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그 회전량은 앤코우더(121)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 실통과 장치(110)는, 잇는실(23)을 끌어 들이기 위하여 후크 부착 니이들(117)을 구비하고 있고, 이것을 타이밍 풀리(114) 및 타이밍 벨트(115)에 의하여, 경사(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타이밍 풀리(114) 및 타이밍 벨트(115)는, 브라켓트(119)에 의하여, 벨트(112)에 지지되고, 모우터(116)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9도는, 콘트롤러(170)와 기능부재와의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콘트롤러(170)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고,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입력측에서 드롭퍼 장치(5), 실센서(29), (30)등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출력쪽에서 위치 제어용의 모우터(20)나 흡인관(21), 노터(22)등의 제어기(171), (172)…(190)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제어기(171), (172)…(190)는, 제어 대상에 따라서, 회전제어, 압력 공기원의 온, 오프 또는 변환제어, 솔레노이드등의 온, 오프제어 요소로서 조립된다.
상기 경사 자동보수 장치(1)는 콘트롤러(170)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때문에, 콘트롤러(170)는, 본 발명의 경사 자동보수 방법을 기본으로하여, 일련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이 일련의 동작 순서는, 제10도에 나타낸 스텝(step)으로 실행되어 간다.
제직중에, 경사(2)가 절단되면, 제2도 및 제1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경사(2a), (2b)에 대응하는 위치의 드롭퍼(11)가 낙하하고, 전극바(14)에 접하기 때문에, 드롭퍼 장치(5)는 전기적인 중지 신호를 발생하고, 직기의 제어계에 정지 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문에, 직기의 회전은, 다음의 가로넣기 사이클의 적당한 정지각에서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직기의 회전이 정지하면,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2-69851호의 경사 자투리 자동 추출 장치는 이동하면서 낙하 상태의 드롭퍼(11)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거기에서 해당 드롭퍼(11)를 잡아 이것을 직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어 절단 경사(2a), (2b)와 서로 이웃이되는 정상인 경사(2)를 각각의 직물끝단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절단된 경사(2a), (2b)의 부분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들을 빼내기 쉬운 상태로 설정한 다음에, 다수의 경사(2)의 속으로 부터 절단경사(2a)를 빼낸다.
그 다음에, 콘트롤러(170)는, 제10도의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우선, 콘트롤러(170)는, 상기의 경사 자투리 자동 추출장치, 또는 기타의 공지의 경사 절단 위치 검출 장치로 부터 경사 절단위치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기(182)에 의하여, 구동 모우터(54)를 구동하고, 헤들 분리장치(50)를 낙하 상태의 드롭퍼(11)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거기서 제어기(185), (186) 및 에어 실린더(59), (60)의 동작에 의하여 분리부재(63), (64)를 절단경사(2a), (2b)의 좌, 우에 인접한 2개의 경사(2)사이로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헤들 분리 장치(50)는, 드롭퍼(11)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앞의 절단경사(2a)의 추출시에 변위된 경사(2)의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어기(183), (184) 및 에어 실린더(55), (56)에 의하여, 제11b도와 같이, 상승 상태의 분리부재(63), (64)를 서로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정상적인 경사(2)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드롭퍼(11), 헤들(7) 및 바디살은 절단경사(2a), (2b)를 중심으로 하여, 그것으로 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절단 경사(2a), (2b)의 끝단부를 빼내기 쉬운 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헤들 검지장치(100)도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우터로 1쌍의 풀리(101)를 회전 시킴으로써, 헤들 분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낙하 상태의 드롭퍼(11)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리 처리가 완료한 시점에서, 콘트롤러(170)는, 경사 절단 위치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서 위치 제어용의 모우터(20)를 기동시켜, 그 회전량을 제어기(171)로써 제어함으로써, 브라켓트(3)를 직물 끝단쪽의 대기 위치로 부터 낙하 상태의 드롭퍼(11)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흡인관(21)을 상기의 빼낸 상태에 있는 절단 경사(2a)의 끝단부의 대응시켜서, 제어기(172)를 "온"상태로 설정함으로써 흡인관(21)의 내부로 흡인 방향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켜, 흡인 동작을 개시 시킨다.
이 공기 흐름에 의하여, 절단경사(2a)의 끝단부는 제12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흡인관(21)의 내부로 들어가고, 최종적으로 노터(22)의 소정의 위치로 도달된다.
이 상태는, 실센서(29)의 "온"에 의하여 검출되고, 콘트롤러(170)에 다음의 스텝으로의 지령으로서 부여된다.
또한, 흡인관(21)은 액츄에이터에 위, 아래 방향으로 자유롭게 승강되도록 되어 있고, 흡인시에 흡인관(21)을 강하 시켜서, 경사 자투리 자동 추출 장치에 의하여 빼내기가 용이한 상태의 절단 경사(2a)를 직접 흡인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콘트롤러(170)는, 제어기(178)를 조작하고, 거의 수직 상태의 에어 실린더(34)의 동작에 의하여, 상승 위치의 크램퍼(25)를 하강시켜서, 잇는실(23)을 잇는실 보빈(24)에서 빼내고, 제12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흡인관(21)의 개구 위치 가까이 까지 이동시켜서 하강의 완료를 확인하고나서 제어기(176)로 솔레노이드(32)를 구동하고, 크램퍼(25)를 개방 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잇는실(23)의 끝단부는 흡인관(21)의 공기 흐름에 의하여 상기 절단경사(2a)의 끝단부와 마찬가지로, 노터(22)의 소정 위치까지 안내된다.
이 상태는, 실센서(30)의 "온"에 의하여 확인되고, 콘트롤러(170)에 다음의 스텝으로 옮기기 위한 신호로서 부여된다.
그래서, 콘트롤러(170)는, 제어기(178) 및 에어 실린더(34)로 크램퍼(25)를 상승시키고나서, 제어기(173)및 노터(32)를 동작함으로써, 제12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절단된 경사(2a)의 끝단부와 잇는실(23)의 끝단부와를 이은 상태로 설정한다.
그 다음에, 콘트롤러(170)는 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흡인관(21)의 흡인 동작을 정지시키고, 또한 이것에 대신하여 흡인 파이프(33)를 제어기(177)에 의하여 동작시킴과 동시에, 에어 실린더(40) 및 그 제어기(181)에 의하여, 흡인 파이프(33)을 후퇴 위치까지 전진시켜, 제12c도, 제12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잇는실(23)을 도중에서 흡인 방향의 공기 흐름으로써 흡입하여 유지한다.
이것과 전후하여, 흡인관(21)의 공기 흐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접속상태의 절단 경사(2a) 및 잇는실(23)은, 중력에 의하여 자연 낙하하여 흡인관(21)의 내부로 부터 튀어나온다.
이 상태는 실센서(29), (30)가 함께 "오프"상태로 됨으로써, 확인된다.
이것을 확인하고나서, 콘트롤러(170)는, 소정 시간의 경과후에, 흡인 파이프(33)를 후퇴시키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크램퍼(25)를 닫아, 잇는실 보빈(24)과 흡인 파이프(33)와의 사이에서, 잇는실(23)을 다시 유지하고, 다음에 흡인 파이프(33)에의한 흡인 동작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모우터(93)가 "온"상태로 되어 헤들 분리 장치(50) 및 헤들 검지 장치(100)가 절단 경사(2a)의 방향으로 전진하고, 잠시후에 모우터(93)가 "오프"로 되기 때문에, 그들의 장치는 소정의 이동량 만큼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때, 분리부재(63), (64)는 상승한대로 헤들(7)의 근방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절단 경사(2a), (2b)양측의 헤들(7)의 간격 및 절단 경사(2a), (2b)에 인접한 경사(2)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바디살의 간격이 일층 증대된다.
다음에, 모우터(104)가 "온"으로 되어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센서(108), (109)는, 함께 헤들(7)의 방향으로 향하여 전진한다.
이 전진 과정에서 센서(108)가 "온"으로 되었을때에, 센서(109)는 최초의 헤들 틀(44)에 도달된 것이 검지되었기 때문에, 콘트롤러(170)는, 모우터(104)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카운터를 개시한다.
그 다음에, 센서(108)가 "온"이 되면, 헤들(7)가 검출되게되며, 콘트롤러(170)는 카운터를 정지하고, 카운터한 회전량으로 부터 헤들틀(44)의 번호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1개의 헤들 틀(44)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모우터(104)의 회전량을 미리 기억하여 놓고, 카운터 된 모우터(104)의 회전량이 상기 기억된 회전량의 몇배인가를 연산하면 구해진다.
이로 인하여 절단 경사(2a), (2b)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헤들(7)의 식별 코오드(45)가 검출된다.
다음에, 콘트롤러(170)는 기억장치(46)의 내용으로 구한 식별 코오드(45)로 부터 절단 경사(2a), (2b)와 동일한 바디살 사이로 통하고 있는 경사(2)가 좌, 우중 어느것인가를 판단함으로써, 이 다음에 행하여지는 실통과 장치(110)의 위치 결정 하기 위한 조건을 결정하고나서 모우터(104)를 역회전 방향으로 "온"하고, 센서(108), (109)를 후퇴시켜 필요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우터를 "온"하고 헤들 검지 장치(100)만을 직폭 방향으로 비켜서, 제11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절단 경사(2a), (2b)의 위치를 입력하여 헤들(7)와 바디(8)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는 1쌍의 확대 부재(43)를 그 위치로 이동하고, 인접한 경사(2)에 의하여 바디살의 간격을 더욱 확대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1쌍의 확대부재(43)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분리부재(63), (64)와 동일한 지지 기구에 의하여, 예를들면 브라켓트(51)등으로 지지된다.
다음에, 콘트롤러(170)는, 에어 실린더(39)를 제어기(180)로 구동하고, 그 실린더 로드의 직선운동을 래크(37) 및 피니언(38)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34)의 회동 운동으로 변환하고, 크램퍼(25)를 이동한 다음의 흡인 파이프(65)의 개구 끝단측으로 향하게하고, 다음에 에어 실린더(34)를 구동하여 제11c도 및 제12f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크램퍼(25)를 잇는실(23)과 함께 흡인 파이프(65)의 개구측 가까이 까지 하강시켜, 그 하강 완료를 확인하고나서 하강개시때 부터 흡인 파이프(65)에 의한 흡인 동작을 개시시켜, 다음에 커터구동기(42)를 동작시켜서, 커터(41)에 의하여 잇는실(22)를 잇는실보빈(24)과 크램퍼(25)와의 사이에서 절단한다.
절단후의 한쪽의 잇는실(23)은, 흡인 파이프(33)에 흡인유지된다.
이 상태는, 센서(66)의 "온"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와 같이하여 잇는실(23)의 끝단부가 크램퍼(25)와 흡인 파이프(65)와의 사이에서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이때 흡인 파이프(65)내에는, 흡인 파이프(65)로 부터 직물앞에 충분히 달하는 길이의 잇는실(23)이 흡인되어 있다.
다음에, 콘트롤러(170)는, 제어장치(120)에 개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장치(120)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송출 제어기(130), 펄스 발생회로(132), 제1의 카운터(134), 게이트 회로(136), 제2의 카운터(140), 비교회로(142) 및 설정회로(144)로써 구성되어 있다.
송출 제어기(130)는, 개시 신호를 입력하면, 우선 제어기(139)를 통하여 모우터(113)를 "온"으로하고, 실통과 장치(110)를 비교적 고속으로써 직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송출 제어기(130)는, 모우터(113)의 회전량을 표시하는 펄스 발생회로(132)의 펄스 신호를 제1의 카운터(134)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있다.
그리고, 제1의 카운터(134)의 카운터 값이 경사 절단 위치보다도 약간 가까운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에 달하였을때에, 송출 제어기(130)는, "H"레벨 신호를 게이트 회로(136)로 출력함과 동시에, 모우터(113)를 저속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에, 센서(118)가, 최초의 바디살을 통과하였을때에 출력하는 검지신호의 솟아오름으로 게이트회로(136)를 열고, 서로 이웃인 바디살에 다달었을때에 출력하는 검지 신호의 솟아오름으로 다시 받음으로써, 그 사이에 펄스 발생회로(132)로 부터의 기준 펄스를 제2의 카운터(140)의 입력 끝단으로 보내고 있다.
그러나, 제2의 카운터(140)는, 그 기준의 펄스의 수를 카운터 함으로써 바디살의 간격을 측정하고, 측정치를 비교회로(142)로 출력하고 있다.
그 다음에, 제2의 카운터(140)는, 센서(118)가 바디살을 통과할 때마다 이웃의 바디살까지의 간격을 순차적으로 측정하고, 그 값을 비교회로(142)로 출력하여 간다.
이 때문에, 비교회로(142)는 측정치를 입력할때마다 측정치를 설정기(144)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하여 측정치가 기준치를 웃돌때에는, "H"레벨의 신호를 송출제어기(130)로 출력한다.
송출 제어기(130)는, 비교회로(142)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할때마다 그때의 제1의 카운터(134)의 카운터값, 즉 모우터의 회전량을 입력, 기억하여 놓고 비교회로(142)로 부터 신호를 2회 입력한 시점에서 모우터(113)의 구동을 정지 시킨다.
그 다음에, 송출 제어기(130)는, 콘트롤러(170)로부터 먼저 행하여진 조건을 입력하고, 2개소의 바디살 사이중에 절단 경사(2a), (2b)가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 쪽의 바디살 사이를 판단하고, 대응하는 상기 기억된 회전량이 되도록 모우터를 역회전 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간격이 큰 개소를 검사하고, 다시 먼저 조건에 따라서, 절단 경사(2a), (2b)를 삽입하여 통과하게 하고 있는 쪽의 개소를 판단함으로써, 정확, 신속한 절단 경사(2a), (2b)의 바디살 위치를 한출 할 수 있다.
실통과 장치(110)의 위치 결정이 완료하면, 다음에 콘트롤러(170)는, 제어기(187)을 통하여 커터(67)를 동작시켜, 바디(8)과 헤들(7)사이에서, 절단 경사(2b)를 절단하고 제거한다.
또한 실통과 장치(110)의 위치 결정이 완료하였을때, 그 모우터(113)의 회전량은 다른 장치의 위치 결정의 회전량으로 사용된다.
그후, 콘트롤러(170)는 모우터(116)를 정회전 방향으로 "온"하고, 제11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후크부착 니이들(117)를 전진시켜, 그것을 바디살 사이로 부터 헤들(7)의 관통구멍으로 삽입하여, 그의 모우터(116)을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시킴으로써, 후크 부착 니이들(117)을 후퇴시킨다.
후크 부착 니이들(117)은, 전진 과정에서 넓혀진 바디살 사이로 부터 헤들(7)의 관통 구멍으로 들어가고, 후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팽팽하게 넘겨진 잇는실(23)을 이어 걸어서 크램퍼(25)와 흡인 파이프(65)와의 사이에서 위치를 결정하고 있는 잇는실(23)을 "V"자형상으로 걸리게 하면서, 후퇴함으로써, 헤들(7)의 관통 구멍 및 바디살 사이로 잇는실(23)을 안내하여, 후퇴를 완료한다.
그 다음에, 흡인 파이프(65)가 흡인 동작을 정지하고, 크램퍼(25)는 잇는 실(23)을 개방하고, 다음에 에어 실린더(39)가 작동하고, 에어 실린더(34)도 복귀한다.
또는, 에어 실린더(34)의 작동에 의하여, 크램퍼(25)가 복귀하고, 다음에 노터(22), 헤들 분리장치(50), 확대부재(43), 헤들 검지장치(100) 및 실통과 장치(110)가 함께 복귀 동작을 행하여, 일련의 동작을 완료한다.
후크 부착 니이들(117)을 통함에 있어서는, 바디살 사이의 위치에 헤들(7)의 위치를 직선위에 간추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기술로서 일본국 특개소 50-20067호나 실공소 29-17172호와 같은 장치를 응용하면 좋다.
즉, 상기 장치도 헤들 분리장치(50)와 동일한 구성으로 지지함으로써, 직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장치(120)로부터 입력한 모우터(113)의 회전량을 함께 구동 모우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장치의 위치 결정을 한 다음에 상기 장치를 동작시키면, 정밀도가 높은 헤들(7)의 위치 결정 고정을 할 수 있다.
이 실통과 장치(110)는, 바디살의 앞면에 있어도 좋고, 또한 헤들(7)의 뒷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하여 실통과 장치(110)에 의하여, 바디살 사이를 통과하고, 직물앞의 가까이에 안내된 잇는실(23)은, 출원인의 제안장치(일본국 특원소 62-298805호의 장치)에 의하여 처리하면, 직기의 자동재기동까지 완전한 자동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바디살 사이에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 2개의 경사(2)가, 특히 헤들 틀(44)의 번호에 대하여 서로 규칙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때문에, 경사(2)의 삽입 통과 부재인 헤들(7)에 헤들 틀(44)의 번호에 대응한 식별 코오드(45)를 부여하고 있으나, 일본국 특원소 62-334881호의 기술을 적용하여 모든 드롭퍼(11)를 코오드화하고, 드롭퍼(11)의 식별 코오드(45)를 동일의 바디살 사이에 삽입되어 통과되어 있는 경사(2)마다에 기억하여 놓는 동시에, 실 절단시에는 절단 경사(2a), (2b)를 삽입하여 통하게하는 드롭퍼(11)의 식별 코오드를 검출하도록하여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동일 바디살 사이에 삽입되어 통과되어 있는 경사(2)에 상기와 같은 규칙성이 없어도 절단 경사(2a), 2b)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는 바디살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경사(2)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절단 경사(2a), (2b)에 인접하는 경사(2)의 양쪽을 이동시키고 있으나, 이것과는 별도로, 식별 코오드(45)로부터 절단 경사(2a), (2b)와 동일한 바디살 사이에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경사(2)를 판단하여 이것만을 이동시키어, 바디살 간격이 큰 개소에 위치 결정하는 것을 조건으로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디살 사이의 거리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바디살 간격이 큰 개소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바디살을 끼워서 투광기와 수광기와를 마주보게하고, 바디살 사이로 부터의 통과 광량을 검지하면서 양자를 직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광량을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가 여부를 비교함으로써, 바디살 간격이 큰 개소를 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헤들 분리장치(50)를 드롭퍼 장치(5)와 헤들(7)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이것에 관계없이 경사(2) 방향으로 고정된 여러개의 헤들 분리장치(50)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실 종류나 직물 조직등에 의하여서는 바디살이 넓어지기 쉽기 때문에, 1개의 헤들 분리장치(50)만을 임의의 위치로, 바람직하기는 드롭퍼 위치(5)쪽으로 고정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바디살 사이에 2개의 경사(2)가 삽입되어 통과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3개 이상 또는 1개만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바디살에 1개의 경사(2)가 통하고 있는 경우에, 1쌍의 분리부재(63), (64)는 절단 경사(2a), (2b)의 양 이웃의 정상인 2개 경사(2)중 적어도 한쪽을 넓히고, 절단 경사(2a), (2b)의 바디살에 이웃인 적어도 한쪽의 바디살의 간격을 넓히게 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넓혀진 바디살은 센서(118)에 의하여, 검출되고 한쪽을 이동시킨 경우에는, 절단 경사(2a), (2b)에 대한 인접된 경사(2)의 위치 관계를 조건으로하여, 또한 양쪽을 이동시킨 경우에는, 센서(118)의 이동방향을 조건으로하여 절단 경사(2a), (2b)의 바디살의 특정에 이용할 수 있다.
이때문에,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밀도로 실통과 장치의 위치 결정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디살의 간격을 넓히는 조작은, 실통과 장치(110)에 앞이 끝이가는 부재를 자유롭게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것을 바디살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절단 경사에 인접한 경사를 이동시킴으로써, 절단 경사를 다시 통과할 수 있는 바디살 또는 그 이웃의 바디살의 간격을 확대시켜서 이것을 검지하고,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실통과 장치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위치 결정이 높은 정밀도로 또한 신속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1개의 바디살 사이에 여러개 경사가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 경우에는, 실이 통과하는 성의 간격을 직접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후의 경기 통과가 용이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경사 절단시에는, 경사를 실제로 탐지하는 것은 아니고, 절단실이 삽입되어 통과하고 있는 부재의 식별 코오드를 검지할 뿐이고, 절단경사의 동일한 바디살 사이에 삽입되어 통과되어 있는 경사의 특정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2]
제14도 및 제15도는 이 실시예에 의한 경사 자동보수 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사 자동보수 장치(1)는, 시트 형상의 경사(2)의 윗쪽위치에서 절단된 경사 이동장치(70) 및 제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검출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다수의 경사(2)는, 송출측의 텐션 로울(4), 드롭퍼 장치(5)의 가이드바(6)에 접하고, 각각 헤들(7) 및 바디(8)의 바디살 사이를 통과하고, 경사와 교차하여 직폭(9)으로되고, 감긴쪽의 로울(10)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드롭퍼 장치(5)의 드롭퍼(11)는, 각각 관통구멍(12)의 부분에서 경사(2)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유지구멍(13)의 부분에서 전극 바(14)와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 경사 이동장치(70)는, 브라켓트(3)의 부분에 조립되어 있다.
브라켓트(3)은, 적출 부재로서의 흡인관(21)을 유지하기 때문에,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15)사이에서, 직폭 방향에서 수평인 2개의 가이드 레일(16)에 대하여 슬라이더(17)에 의하여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고, 또한 앤드레스 형상의 구동벨트(18)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벨트(18)는 사이드 프레임(15)에 의하여 지지된 1쌍의 풀리(19)에 대하여 감겨져 있고, 위치 제어용의 모우터(2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가이드 레일(16), 슬라이더(17), 구동벨트(18) 및 모우터(20)는 흡인관(21)의 구동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흡인관(21)은, 파이프 형상이고, 드롭퍼(11)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브라켓트(3)에 부착되어 있고, 아래로 향하여 개구하고, 그 개구 위치에서 예를들면 투수광식의 실센서(29) 및 1쌍의 크램퍼(25), (26)를 가지고 있다.
제18도 및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쪽의 크램퍼(25)는 스프링(27)에 의하여 후퇴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다른쪽의 크램퍼(26)는, 솔레노이드(28)에 의하여 다른쪽의 크램퍼(25)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전진, 후퇴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제16도 및 제17도는 헤들 분리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헤들 분리장치(50)는, 헤들(7)와 드롭퍼 장치(5)와의 사이에 있어서, 경사(2)의 아래쪽 위치에서 경사(2)의 방향 및 직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트(51)의 부분에 조립되어 있다.
이 브라켓트(51)는 브라켓트(90)에 의하여 지지된 1쌍의 풀리(52), 이것에 감겨져 있는 앤드레스 형상의 밸트(53) 및 구동측의 풀리(52)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우터(54)에 의하여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브라켓트(51)는, 각각 직폭 방향의 끝단부에서 수평인 에어 실린더(55), (56)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피스턴 로드의 앞끝단 부분에서, 호울더(57), (58)를 직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들의 호울더(57), (58)는, 브라켓트(51)에 부착된 안내로드(61), (62)에 의하여 안내되고, 에어 실린더(55), (56)의 실린더 로드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호울더(57), (58)는 수직 방향의 에어 실린더(59), (60)의 피스턴 로드에 의하여 분리부재(63), (64)를 상, 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90)는, 좌, 우의 끝단부의 차륜(91)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5)에 부착된 레일(92)위에 형성되어, 브라켓트(90)에 부착된 모우터(93), 그것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니언(94) 및 사이드 프레임(15)에 부착된 래크(95)에 의하여 경사(2)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20도는 상기 검출장치(80)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검출장치(80)는, 상기 헤들 분리장치(50)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프레임(15)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된 1쌍의 풀리(111)사이에 감겨진 벨트(112)에 의하여 직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우터(113)의 회전에 의하여 소정량만 이동하고, 바디(8)과 대향하여 간격이 큰 바디살을 센서(118)로 검출함으로써 정지한다.
또한, 모우터(113)의 제어는 제어장치(120)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그 회전량은 앤코우더(121)에 의하여 검출된다.
여기에서, 벨트(112), 모우터(113) 및 제어장치(120)등은, 센서(118)의 구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21도는 상기 제어장치(12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어장치(120)는, 송출 제어기(130), 펄스 발생회로(132) 제1의 카운터(134), 게이트 회로(136), 제2의 카운터(140), 비교회로(142) 및 설정회로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회로(136)의 부분으로 후술하는 콘트롤러(170)를 통하여 상기 센서(118)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송출 제어기(130)의 입출력측에서 모우터(113)의 앤코우더(121)에 접속되어 있다.
제22도는 콘트롤러(170)와 기능 부분과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콘트롤러(170)는, 소정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고, 입력측에서 드롭퍼장치(5), 실센서(29), (118)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출력측에서 위치 제어용의 모우터(20)나 적출부재(21), 솔레노이드(28), 에어 실린더(55), (56), (59), (60) 모우터(93), (113)의 제어기(171), (172), (174), (182), (183), (184), (185), (186), (188), (189)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제어기(171), (172), (174), (182), (183), (184), (185), (186), (188), (189)는, 제어대상에 따라서, 회전제어, 압력 공기원의 "온", "오프"제어 또는 변환제어, 구동전원의 "온", "오프"제어로서 조립되어 있다.
제23도는 상기 콘트롤러(170)에 의한 일련의 제어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직중에 경사(2)가 절단되면, 절단 경사(2a), (2b)에 대응하는 위치의 드롭퍼(11)가 낙하하고, 전극 바(14)에 접하기 때문에 드롭퍼장치(5)는 전기적인 경사 정치 신호를 발생하고, 직기의 제어계에 정지 신호를 보내는 동시에, 절단 경사(2a), (2b)에 대한 직폭방향의 위치 신호를 출력하고, 콘트롤러(170)로 보낸다.
직기가 정지하면,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2-69851호의 경사 자투리 자동 추출장치는 이동하면서 낙하상태의 드롭퍼(11)를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거기에서 해당 드롭퍼(11)를 파지하여 이것을 직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절단 경사(2a), (2b)와 이웃인 경사(2)를 각각의 직폭측으로 이간하고, 또한 변위 시킴으로써, 절단 경사(2a), (2b)의 부분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들 빼내기 쉬운 상태로 설정한다.
콘트롤러(170)는, 상기 설정의 완료 신호를 수취한 시점에서, 제어기(182)에 의하여, 구동 모우터(54)를 기동하고, 헤들 분리장치(50)를 낙하 상태의 드롭퍼(11)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거기에서 제어기(185), (186) 및 에어 실린더(59), (60)의 동작에 의하여, 분리부재(63), (64)를 절단 경사(2a), (2b)의 좌, 우에 인접하는 2개의 경사(2)사이로 상승시킨다.
또한, 먼저 절단된 경사(2a), (2b)의 좌, 우에 인접하는 2개의 경사(2)가 이간하고, 또한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부재(63), (64)는, 용이하게 절단 경사(2a), (2b)와 이것과 인접하는 좌, 우의 경사(2)와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 상승이 완료된 다음에, 제어기(183), (184) 및 에어 실린더(55), (56)에 의하여 상승 상태의 분리부재(63), (64)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분리 완료한 다음에, 콘트롤러(170)는, 제어기(188) 및 구동모우터(93)로서, 피니언(94)을 회전시켜서, 헤들 분리장치(50)를 감겨진 쪽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정상인 경사(2)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드롭퍼(11), 헤들(7)는, 제2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고 있는 드롭퍼(11), 헤들(7)는,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경사(2a), (2b) 중심으로 다시 그곳으로 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2b)의 끝단을 적추출하기 쉽게하기 위하여 공간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 제어기(171)에 의하여 모우터(20)를 기동시켜서, 그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브라켓트(3)를 자투리측의 대기 위치로 부터 낙하 상태의 드롭퍼(11)에 대응하는 직폭 방향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흡인관(21)의 아랫쪽 개방부분을 헤들(7)의 근방에서 절단 경사(2b)의 끝단부와 대응시켜서, 제어기(172)를 "온"상태로 설정함으로써, 내부에 흡인 방향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켜, 흡인 동작을 개시시킨다.
이 흡인 동작에 의하여, 절단 경사(2b)의 끝단부는,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흡인관(21)의 내부로 들어가고, 시센서(29)에 의하여 검출되며, 콘트롤러(170)에 다음의 스텝으로의 명령으로서 부여된다.
이 시점에서, 콘트롤러(170)는, 제어기(183), (184) 및 에어 실린더(55), (56)에 의하여 분리부재(63), (64)를 직폭 방향으로 후퇴시켜, 다시 제어기(185), (186) 및 에어 실린더(59), (60)를 동작시켜서 분리부재(63), (64)를 하강시킨다.
또는, 제어기(174)에 의하여, 솔레노이드(28)를 동작시켜 제19도와 같이 1쌍의 크램퍼(25), (26)사이에서 절단 경사(2b)를 끼워서 유지한다.
적당한 시간의 경과후에, 콘트롤러(170)는, 흡인관(21)의 흡인 동작을 중지시키고, 다음에 제어기(171)로 모우터(20)를 미리 설정된 회전방향 및 회전량 만큼 회전시켜, 흡인관(21)을 직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제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절단 경사(2b)의 장력을 높이고, 그것을 비킴으로써 절단된 경사(2b)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바디(8)의 바디살 간격을 넓힌다.
이 이동 완료 시점에서, 콘트롤러(170)는, 제어장치(120)에 동작개시를 하기 위한 지령을 부여한다.
그래서, 제어장치(120)는, 개시 지령을 입력하면, 우선 모우터(113)을 "온"으로하여, 검출장치(80)를 비교적 고속으로 기준 위치로부터 직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송출 제어기(130)는, 모우터(113)의 회전량을 나타내는 펄스 발생회로(133)의 펄스 신호를 제1의 카운터(134)를 통하여 순차 입력하고 있다.
제1의 카운터(134)의 카운터 값은, 경사 절단 위치 보다도 약간 앞쪽의 위치로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에 도달하였을 때에, 송출 제어기(130)는, "H"레벨의 신호를 게이트 회로(136)에 출력함과 동시에, 모우터(113)를 저속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에, 센서(118)가 최초의 바디살을 통과하였을때에 출력하는 검지 신호의 내려가는 게이트 회로(136)를 열고, 이웃 바디살에 다달았을때에 출력하는 검지신호가 솟아오를때 다시 닫음으로써, 그 사이의 펄스 발생회로(132)로 부터의 기준 펄스를 제2의 카운터(140)의 입력끝단으로 보내고 있다.
그런데, 제2의 카운터(140)는, 그 기준 펄스의 펄스수를 카운터함으로써, 바디살의 간격을 측정하고, 측정치를 비교회로(142)로 출력하고 있다.
그 다음에, 제2의 카운터(140)는, 센서(118)가 바디살을 통과할 때마다 이웃 바디살까지의 간격을 순차 측정하고, 그 값을 비교회로(142)로 출력하여 간다.
이 때문에, 비교회로(142)는, 측정치를 입력할때마다 측정값을 설정기(144)에 의하여 설정되고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고, 측정값이 기준값을 상회할때, "H"레벨 신호를 송출 제어기(130)로 출력한다.
송출 제어기(130)는, 비교회로(142)로 부터의 "H"레벨의 신호를 입력한 시점에서, 제1카운터(134)의 카운트 값 즉, 기준 위치로 부터의 모우터(113)의 회전량을 기억하고, 모우터(11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 다음에 송출 제어기(130)는, 콘트롤러(170)에 카운트 값 결국 모우터(113)의 회전량을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같이 하여, 제어장치(120)는, 간격이 큰 바디살 개소를 검출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절단 경사(2a), (2b)의 바디살의 위치를 산출한다.
이 산출 완료 시점에서, 제어장치(120)는, 위치검출의 완료 신호를 콘트롤러(170)로 송출한다.
그런데, 콘트롤러(170)는, 모든 동작 부분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고, 일련의 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검출장치(80)는, 바디살 사이의 거리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바디살 간격이 큰 개소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바디(8)를 끼워서 투광기와 수광기와를 마주보게 하고, 바디살 사이로부터의 통과 광량을 검출하면서 양자를 직폭 방향으로 이동시키어, 광량의 소정치를 초과하는가 여부를 순차 비교함으로써 바디살 간격이 큰 개소를 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기준치는, 미리 설정기(144)에 설정되어 있으나, 바디살 간격의 큰 개소를 통과하기전에 정상인 바디살 간격을 측정하고, 이에 의하여 얻어진 측정치를 기준치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디살(8)의 간격이 큰 개소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에 인접하는 바디살(8)의 간격이 작은 개소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들면, 제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방향(도면에서 왼쪽방향)으로 절단 경사(2b)를 이동시키고, 그 다음에 센서(118)를 도면에서 오른쪽 끝단으로 부터 왼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바디살 간격의 작은 개소를 최초로 검출하였을때에 모우터(113)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검출된 모우터(113)의 회전량을 대하여 상기 기준치를 빼낸 값이 절단된 실을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바디살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반대로 절단 경사(2b)를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동작시킨 경우에, 검출된 모우터(113)의 회전량을 대하여 기준치를 더한것이 절단 경사(2b)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바디살 위치에 대응하는 회전량에 상당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절단 경사(2b)의 이동방향과 관련하여 검출된 회전량에 대하여 기준치를 더하든가 또는 빼든가에 따라 판단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단된 경사를 이동시키는 부재를 1쌍의 크램퍼(25), (26) 및 흡인관(21) 전체를 이동시키는 모우터(20)로 구성되어 있으나, 모우터(20)에 대신하여 흡인관(21)에 형성된 걸림부재를 구동함으로써 절단 경사(2b)를 변위시키는 예이다.
걸림부재(40)는, 모우터(41) 및 레버(42)로 구성된다.
제25도 및 제2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흡인관(21)의 두루마리측 앞면에는 모우터(41)가 형성되어 있고, 모우터(41)의 회전축에는 레버(42)가 고정되어 있다.
레버(42)의 중간 부분에는 후크(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절단 경사(2b)가 적출되고 또한 1쌍의 크램퍼(25), (26)사이에서 유지되면, 제25도와 같이, 모우터(41)가 작동하여 대기위치에 있는 레버(42)를 이동시킨다.
레버(42)는, 이동에 따라 흡인관(21)과 헤들(7)와의 사이의 절단 경사(2b)와 걸어맞춤하고, 후크(44)로 걸리면서 제26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위치까지 절단 경사(2b)를 변위시킨다.
이에 의하여, 절단 경사(2b)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는 바디살의 간격이 확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흡인관(21)을 드롭퍼 장치(5)와 헤들(7)와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으나, 헤들(7)와 바디(8)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는, 경사(2)의 절단이 바디(8)과 직물 앞과의 사이에서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바디(8)의 앞쪽, 즉 감긴쪽에서, 바디(8)으로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쪽의 절단 경사(2b)를 적출하여 이것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 다음에, 기준 위치에 대기중의 실통과 장치(110)가 송출 제어기(130)로 부터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동함으로써, 절단 경사(2a), (2b)의 바디살에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하고, 그 다음에 실통과 동작이 행하여지는데, 그 실통과 장치(11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본 발명은, 바디으로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 절단 경사의 끝단부를 적출하고, 그 경사를 유지하면서 직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절단 경사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바디살의 간격을 확대하여, 그 큰 간격의 바디살을 센서에 의하여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절단 경사의 직폭 방향의 위치검출이 용이하며, 또한 고정밀도로 자동화할 수 있다.

Claims (4)

  1. 경사(2)의 절단시에, 절단 경사(2a), (2b)에 인접하는 경사(2)의 적어도 한쪽을 직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인접하는 경사(2)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있는 바디(8)의 바디살 간격을 넓히며, 이 바디살 간격이 큰 개소를 검출하고, 이 큰 바디살 간격의 위치에서 절단 경사의 바디살에 대하여 실통과 부재(117)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자동보수 방법.
  2. 절단 경사(2a), (2b)에 인접하는 경사(2)를 직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바디(8)의 바디살 간격을 넓히는 분리부재(63), (64)와, 직폭방향으로 이동하여 큰 바디살 간격을 검지하였을때, 출력을 발생하는 센서(118)와, 절단 경사(2a)에 잇는실 (23)을 잇는 노터(Knotter)(22)와, 잇는실(23)의 한쪽 끝단을 실통과 위치에서 유지하는 수단(25), (65)과, 상기 센서(118)와 함께 직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센서(118)의 출력으로 정지한후에, 큰 바디살 간격내로부터 절단된 실의 헤들(7)의 관통구멍으로 실통과 부재(117)를 삽입하고, 잇는실(23)의 한쪽 끝단을 헤들(7)의 관통구멍 및 바디(8)의 큰 바디살 간격으로 통하는 실통과 장치(110)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자동 보수장치.
  3. 경사(2)의 절단시에, 바디(8)에 삽입되어 통과되어 있는쪽의 절단 경사(2b)를 적출하고, 이 절단 경사(2b)를 직폭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이동시키어, 바디(8)의 큰 바디살 간격에서 절단 경사(2b)의 바디살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자동보수 방법.
  4. 바디(8)에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쪽의 절단 경사(2b)를 적출하는 흡인관(21) 및 이 절단 경사(2b)를 유지하면서 직폭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으로 이루어진 절단 경사 이동장치(70)와, 바디살의 간격을 검출하는 센서(118) 및 이 센서(118)를 직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검출장치(80)를 구비하고, 경사(2)의 절단시에, 흡인관(21)에 의하여 바디(8)으로 삽입되어 통하고 있는 쪽의 절단경사(2b)를 경사(2)군으로 부터 적출하고, 이 절단 경사(2b)를 이동수단에 의하여 유지하면서 직폭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이동시키어, 상기 센서(118)의 구동 수단에 의하여 센서(118)를 직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간격이 큰 바디살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자동보수 장치.
KR1019900001258A 1989-02-02 1990-02-02 경사 자동보수 방법 및 그 장치 KR920006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673 1989-02-02
JP1-24673 1989-02-02
JP2467389A JP2722233B2 (ja) 1989-02-02 1989-02-02 たて糸自動補修方法
JP14700389A JP2696717B2 (ja) 1989-06-09 1989-06-09 切断たて糸の筬羽位置検出装置
JP147003 1989-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126A KR900013126A (ko) 1990-09-03
KR920006873B1 true KR920006873B1 (ko) 1992-08-21

Family

ID=2636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258A KR920006873B1 (ko) 1989-02-02 1990-02-02 경사 자동보수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50643A (ko)
EP (1) EP0381143B1 (ko)
KR (1) KR920006873B1 (ko)
DE (1) DE6902713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9279B1 (en) * 1990-03-28 1995-12-13 TSUDAKOMA Corp. Method of locating a slit between dents corresponding to a broken warp and a slit locating and threading apparatus
KR930004078B1 (ko) * 1990-03-28 1993-05-20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수복(修腹)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US5141030A (en) * 1990-04-18 1992-08-25 Tsudakoma Corp. Warp mending device for feeding a mending yarn to drop wires and a heddle
BE1004740A3 (nl) * 1991-04-09 1993-01-19 Picanol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fzonderen van een draadeinde van een gebroken kettingdraad uit de ketting bij een weefmachine.
KR100248247B1 (ko) * 1992-04-09 2000-04-01 테라다 토키오 정경기의 모우사 보수장치
US6000439A (en) * 1995-09-08 1999-12-14 Textilma Ag Mechanical loom with warp changing apparatus
CN101603234B (zh) * 2009-06-29 2010-12-29 江阴市第四纺织机械制造有限公司 断纱检测装置
EP3341509B1 (en) * 2015-08-26 2020-04-15 Picanol Drive mechanism with a sensor device for driving a heald frame of a weaving machine
CN114381845B (zh) * 2021-12-20 2023-05-05 诸暨市捷速尔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穿综机用宽幅剑带钩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0067A (ko) * 1973-06-28 1975-03-03
CH587180A5 (ko) * 1974-09-26 1977-04-29 Knotex Maschinenbau Gmbh
DE3339331A1 (de) * 1983-10-29 1985-05-09 Hacoba Textilmaschinen Gmbh & Co Kg, 5600 Wuppertal Fadenknotvorrichtung
JPH0735625B2 (ja) * 1985-09-17 1995-04-1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たて糸の切れ端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255737B1 (en) * 1986-07-08 1990-08-08 Picanol N.V. Method and device to facilitate the repair of warp thread in weaving looms with droppers
NL8602192A (nl) * 1986-08-28 1988-03-16 Picanol Nv Werkwijze voor het herstellen van een kettingbreuk bij weefmachines en herbedradingsinrichtingen hierbij aangewend.
BE1000376A4 (nl) * 1987-03-13 1988-11-16 Picanol Nv Werkwijze voor het ter hoogte van de kettingwachter afzonderen van een gebroken kettingdraad uit de ketting bij een weefmachine, alsook inrichting die deze werkwijze toepast.
JP2663269B2 (ja) * 1987-11-26 1997-10-1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継ぎ糸処理装置
JP2631676B2 (ja) * 1987-12-29 1997-07-1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たて糸切れ位置検出装置
JP2665918B2 (ja) * 1988-01-26 1997-10-22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たて糸自動補修方法およびその装置
GB2216908B (en) * 1988-03-30 1991-10-30 Murata Machinery Ltd Yarn splicing system for warp in a loom
JP3436613B2 (ja) * 1995-06-30 2003-08-1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50643A (en) 1991-09-24
EP0381143A3 (en) 1990-12-05
EP0381143A2 (en) 1990-08-08
KR900013126A (ko) 1990-09-03
DE69027130T2 (de) 1996-10-02
EP0381143B1 (en) 1996-05-29
DE69027130D1 (de) 199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873B1 (ko) 경사 자동보수 방법 및 그 장치
US475634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etting weft storage device
BE1001508A3 (nl) Werkwijze voor het uit de gaap verwijderen van een foutief inslagdraadgedeelte bij weefmachines.
JPH0735625B2 (ja) たて糸の切れ端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4962793A (en) Pin type faulty weft extractor
US51058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ring a warp yarn break in a loom
EP03629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and guiding weft thread on weaving machines
US4898213A (en) Device for mending and trimming broken warp yarn
JP2722233B2 (ja) たて糸自動補修方法
KR930004076B1 (ko) 절단 경사에 대한 바디(筬)위치 검출방법 및 위치 제어장치
JP2665918B2 (ja) たて糸自動補修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696717B2 (ja) 切断たて糸の筬羽位置検出装置
JPH09137342A (ja) 経糸の筬通し方法、および同方法に用いる高精度筬通し機
KR930004077B1 (ko) 경사 수복용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088523A (en) Heddle selection in a weaving machine for rethreading
KR930010101B1 (ko) 경사보수 장치
KR930004078B1 (ko) 수복(修腹)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JP2844383B2 (ja) たて糸補修装置
KR910008047B1 (ko) 위사 빼내는 장치
JP2777741B2 (ja) 筬羽位置検出方法
JP2805530B2 (ja) 切断たて糸の筬羽位置検出方法
JP2838227B2 (ja) 織機の糸通し用位置決め装置
JP2969906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JP2796875B2 (ja) たて糸の筬通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