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096B1 -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096B1
KR920006096B1 KR1019900001014A KR900001014A KR920006096B1 KR 920006096 B1 KR920006096 B1 KR 920006096B1 KR 1019900001014 A KR1019900001014 A KR 1019900001014A KR 900001014 A KR900001014 A KR 900001014A KR 920006096 B1 KR920006096 B1 KR 920006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stem
feed conveyor
grai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380A (ko
Inventor
히로미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꼬 가부시끼가이샤
미노 시게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0909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611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0909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993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8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101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8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00113A/ja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꼬 가부시끼가이샤, 미노 시게까즈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
제1도는 전체 줄기 투입형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예취부에 있는 오거(auger) 및 공급 컨베이어 입구 부근의 횡단 평면도
제3도는 예취부에 있는 오거(auger) 및 공급 컨베이어 입구 부근의 종단 측면도
제4도는 공급 컨베이어의 말단 및 처리실 내부의 종단 측면도.
제5도는 공급 컨베이어의 말단 및 처리실 내부의 횡단 평면도.
제6도는 2번 스크류 및 제2호퍼 부근의 종단 평면도.
제7도는 1, 2번 스크류 및 제1,제2호퍼 부근의 횡단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예취부 2 : 차체 프레임
8 : 지지부 11 : 줄기 배출구
13 : 줄기 반송장치 14 : 탈곡실
16 : 탈곡 본체.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에 있어서, 특히 탈곡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로는 예컨대 일본 실공소 63-27554호 공보에 기재된 것처럼 예취된 곡식 줄기를 상하 한쌍의 로울러로 협지하여 탈곡실 내로 반입하고, 반입된 곡실 줄기를 탈곡 본체가 밑에서부터 위를 향하여 타격하여 낟알을 단립화(單粒化)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같은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곡식 줄기가 탈곡실 내로 반입될 때 탈곡 본체로부터 타격을 받고, 그 이후에는 타격등의 탈곡 작용을 받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 탈곡 성능의 면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탈곡 본체의 타격에 의한 단립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는 탈곡실, 예취된 곡식 출기를 상기 탈곡실로 보내는 공급 컨베이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말단 영역에서 곡식 줄기를 협지하여 상기 탈곡실내로 반입시키는 협지 반입 장치, 상기 탄곡실로 반입된 곡실 줄기를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타격하는 탈곡 본체가 포함되고, 상기 탄곡 본체의 외면에 그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거친 톱니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에 의하여 해결된다.
[작용]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곡식 줄기는 탈곡실 내로 반입될 때 탈곡 본체로부터 단순한 타격을 받는 외에 거친 톱니에 의하여 경사진 방향의 훑기 작용 및 유연화 작용을 받게 되므로 단립화가 촉진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곡식 줄기가 탈곡실 내로 반입될 때 탈곡 본체로부터 단순한 타격 작용을 받을 뿐 아니라 훑기 작용 및 유연화 작용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낟알의 단립화가 크게 촉진되고, 낟알의 회수율도 높아지게 된다.
[기타의 특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협지 반입 장치에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말단부와 협동하여 곡식 줄기를 협지하도록 상기 말단부의 상부에 설치된 협지 로울러가 포함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말단부가 상기 협지 로울러보다 상기 탈곡 본체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 컨베이어(13)의 최종단의 로울러(13b)와 탈곡 본체(16)의 사이가 넓게 되어 이 부분으로 단립화된 낟알이 아래로 낙하하기 쉽다.
따라서 곡식 줄기가 탈곡 본체에 의하여 타격을 받을 때 단립화된 낟알이 아래로 낙하 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립화된 낟알의 회수 효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곡식 줄기가 탈곡 본체와 탈곡실 상면 사이를 이동할 때 저항을 받도록 상기 탈곡실 상면에 요철이 형성된 천장판이 상기 탈곡 본체의 표면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탈곡실 내로 반입될 때 탈곡 본체에 의한 타격으로 낟알이 떨어지지 않은 곡식 줄기는 탈곡 본체에 붙어 상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줄기는 요철이 있는 천장면과 탈곡 본체의 사이에서 유연화 작용을 받아 낟알이 떨어지게 된다.
곡식 줄기가 탈곡실 내로 반입될 때 받는 탈곡 본체에 의한 타격 작용외에 탈곡 본체와 천장면의 유연화 작용이 추가되므로, 탈곡 본체의 타격 작용으로 단립화 되지 않은 낟알도 그 후의 유연화 작용에 의하여 단립화가 가능해져서 낟알의 회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전체 줄기 투입형 콤바인의 하나인 콩·메밀용 콤바인으로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체 전방에 예취부(1)가 배치되고, 이 예취부(1)는 긁어 들이는 회전식 리일(2), 바리캉(bariquant)식 예취장치(3), 예취된 곡식 줄기를 밀어 올리는 오거(4), 곡식 줄기를 상향으로 반송시키는 공급 컨베이어(5) 등으로 구성된다. 또, 좌우 1쌍의 크롤러(crawler) 주행 장치(6)가 설치된 차체 프레임(7)의 전방에 지지부(8)가 고정되고, 이 지지부(8)의 횡축심(P1)을 중심으로 예취부(1)가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예취부(1)를 상하 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9)가 구비된다.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6)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륜(6a)을 지지하는 트럭 프레임(6b)이 전후 한쌍의 벨크랭크(6c)에 의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고 양 벨크랭크(6c)에 걸쳐 연동 링크(6d)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유압 실린더(6e)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신축 조작하면 좌우독립적으로 크롤러 주행 장치(6)를 상하로 움직여 기체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예취부(1)에 있는 공급 컨베이어(5)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제1,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쌍의 체인(5a)이 상하의 드럼(5b)에 감겨 있고 양 체인(5a)에 걸쳐 곡식 줄기 반송용의 반송체(5c)가 설치된다. 이 반송체(放)는 판재를 ㄷ자 모양으로 절곡시켜 이루어지고, 공급 컨베이어(5)의 좌우폭보다 좁은 돌기(5d)가 공급 컨베이어(5)의 폭 방향올 따라 하나씩 건너 엇갈리게 반송체(5c)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서 오거(4)에 의하여 공급 컨베이어(5)쪽으로 밀려 모아져 오는 곡식 줄기는 체인(5a)으로 회전 구동되는 돌기(5d) 및 반송체(5c)에 의하여 공급 컨베이어(5) 하부의 안내판(10)과 공급 컨베이어(5)사이를 통하여 줄기 배출구(11)쪽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오거(4)의 하부로부터 공급 컨베이어 내로 긁혀 들어가거나 반송중에 있을 때 가로 놓이거나 경사진 곡식 줄기는 이삭의 선단이 배출구(11)를 향하고 공급 컨베이어(5)의 반송 방향을 따르도록 자세를 바꾸게 되는 것이다. 또, 안내판(10)은 다수의 구멍이 뚫린 금속으로 제작되어 가느다란 검불등이 밑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곡식 줄기 배출구(11)로부터 배출된 줄기는 제1도에 도시된 회전 구동식의 비터(beater,12)에 의하여 줄기 반송 장치인 공급 컨베이어(13)상에 방출된다. 또, 줄기는 공급 컨베이어(13)로부터 탈곡실(14)내로 반입되어 탈곡 처리되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 컨베이어(13)는 1쌍의 로울러(13a,13b)에 고무 벨트(13c)를 감아 놓은 구조로 되어 있고, 줄기 배출구(11)쪽의 로울러(13a)의 지점(P2)을 중심으로 공급 컨베이어(13) 전체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스프링(42)에 의하여 상향으로 힘을 받는다.
더욱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탈곡실(14)쪽의 로울러(13b)의 상부에 협지 로울러(15)가 배치되어 있다. 이는 금속 원통에 고무를 씌워 놓은 구조로서 공급 컨베이어(13)의 이송 속도보다 저속으로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 공급 컨베이어(13)의 반송 방향(A)으로 협지 로울러(15)의 위치보다 공급 컨베이어(13)의 로울러(13b)의 위치를 도면의 왼쪽으로 후퇴시켜 탈곡실(14)의 제1출구(14a)가 넓게 되어 있다.
다음에, 탈곡실(14)내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횡축심(P3)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탈곡 본체(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탈곡 본체(16)에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거친 톱니(rasp,16a)가 그 경사 방향을 교대로 바꾸어 가면서 설치되어 있다.
또, 탈곡실(14)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제2, 제3천장판(17,18,19)이 탈곡 본체(16)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제2, 제3천장판(17,18,19)은 각각의 횡축심(P4,P5,P6)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요동하여 후퇴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20,21,22)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힘을 받는다. 더욱이, 제2 및 제3천장판(18,19)에는 탈곡실(14)의 좌우 방향으로 환봉(18a,19a)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로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 컨베이어(13)에 의하여 이삭의 선단이 도면의 오른쪽을 향하는 자세로 공급된 곡식 줄기는 로울러(13b)와 협지 로울러(15)의 사이에서 가압되고 로울러(13b)와 협지 로울러(15)의 속도 차이에 의하여 유연화되어 탈곡실(14)내로 반입된다. 또, 탈곡 본체(16)의 회전에 의한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타격 작용과 거친 톱니(16a)에 의한 훑기·유연화 작용에 의하여 대부분의 낟알이 단립화되어 탈곡실(14)의 제1출구(14a)로 떨어진다. 또, 충분히 단립화되지 않고 줄기에 붙어 있는 낟알등은 탈곡 본체(16)에 감겨 붙어 상부로 이송되고 탈곡 본체(16)와 제1,제2,제3천장판(17,18,19)의 사이에서 유연화 처리되어 단립화되며, 탈곡 본체(16)의 중심이나 탈곡실(14)의 제2출구(14b)로부터 떨어진다.
다음에 탈곡실(14)로부터 떨어진 처리물의 선별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발
Figure kpo00001
모양의 선별판(23)의 하부에 안내판(24)이 배치되고, 그 양자(23,24)는 일체로 요동 구동된다. 그러므로 선별판(23)상에 떨어진 낟알은 그 요동 작용에 의하여 안내판(24)으로 떨어져,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송되는 선별 벨트(25)상으로 떨어지는 동시에 검불 및 줄기에 붙은 낟알등은 선별판(23) 및 스트로우 래크(26)에 의하여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상기 선별 벨트(25)는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송 구동되고 낟알과 함께 선별 벨트(25)로 떨어진 작은 검불등은 선별 벨트(25)의 이송 작용 및 풍구(27)의 송풍 작용에 의하여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송된다. 또, 풍구(27)를 마주보고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판(28)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선별 벨트(25)로 떨어진 줄기는 선별 벨트(25)의 이송 작용과 관계 없이 아래로 떨어지고 1번 스크류(29)로 회수된다. 또,예취된 곡식 줄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선별 벨트(25)를 도면의 왼쪽으로 역전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스트로우 래크(26) 및 선별 벨트(25)로부터 배출되는 줄기에 붙은 낟알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판(30)으로부터 2번 처리 로터(31)로 이송되어 단립화 처리되고, 낟알등이 천공 금속판(32)을 빠져 내려와 2번 스크류(33)에서 회수된다. 또, 천공 금속판(32)으로부터 빠져 내려온 검불등은 2번 처리로터(31)의 회전 작용에 의하여 이송되어 밖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1번 스크류(29) 및 2번 스크류(33)에 의하여 회수된 제1처리물 및 제2처리물의 처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1,6,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번 스크류(29)에서 회수된 제1처리물은 제1반송 장치(34)에 의하여 제1호퍼(hopper,35)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또, 2번 스크류(33)는 하면이 천공 금속판(36)으로 되어, 2번 스크류(33)으로 반송되는 도중 가느다란 검불등이 이 천공 금속판(36)의 하부로 빠져 나가도록 구성된 동시에 이 천공 금속판(36)은 횡축심(P7)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2번 스크류(33)에서 측방으로 이송된 제2처리물은 제2반송 장치(37)에 의하여 제2호퍼(38)로 반입된다. 또, 2번 스크류(33)로부터 제2반송 장치(37)로 가는 도중의 패널(39)도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어 내부를 정비할 수 있다. 더욱이, 제6,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호퍼(38)로부터 스트로우 래크(26) 상부로 통하는 덕트(40)가 설치되며, 제2반송 장치(37)의 출구(37a)에는 횡축심(P8)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요동 조작되는 셔터(41)가 설치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상태는 셔터(41)를 도면에서 출구(37a)의 왼쪽으로 조작한 상태로서, 출구(37a)로부터 나온 제2처리물이 제2호퍼(38)내로 저장된다. 역으로, 셔터(41)를 도면의 오른쪽으로 조작하면 출구(37a)로부터 나온 제2처리물이 덕트(40)를 통하여 스트로우 래크(26) 상부로 복귀되어 재처리된다.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는 도면과 대조가 편리하도록 부호를 기재하였지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첨부도면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탈곡실(14) : 수확된 곡식 줄기를 상기 탈곡실(14)로 보내는 공급 컨베이어(13) ; 상기 공급 컨베이어(13)의 말단 영역에서 곡식 줄기를 협지하여 상기 탈곡실(14)내로 반입시키는 협지 반입 장치; 및 상기 탈곡실(14)로 반입된 곡식 줄기를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타격하고, 상기 회전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거친 톱니(16a)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탈곡 본체(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줄기투입형 탈곡장치.
  2. 제1항에 있여서, 상기 협지 반입 장치에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13)의 말단부와 협동하여 곡식 줄기를 협지하도록 상기 말단부의 상부에 설치된 협지 로울러(1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13)의 말단부가 상기 협지 로울러(15)보다 상기 탈곡 본체(16)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곡식 줄기가 탈곡 본체(16)와 탈곡실(14) 상면 사이를 이동할 때 저항을 받도록 상기 탈곡실(14) 상면에 요철이 형성된 천장판(17,18,19)이 상기 탈곡 본체의 표면 근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KR1019900001014A 1989-01-27 1990-01-29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 KR920006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97(U) 1989-01-27
JP1989009097U JPH0746114Y2 (ja) 1989-01-27 1989-01-27 大豆そば等の雑穀処理用の全稈投入型脱穀装置
JP1989009096U JPH0629939Y2 (ja) 1989-01-27 1989-01-27 全稈投入型脱穀装置
JP9096(U) 1989-01-27
JP18296 1989-01-27
JP18298 1989-01-27
JP1018296A JPH07110178B2 (ja) 1989-01-27 1989-01-27 全稈投入型のコンバイン
JP1-9096 1989-01-27
JP1-18298 1989-01-27
JP1-9097 1989-01-27
JP1018298A JPH02200113A (ja) 1989-01-27 1989-01-27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380A KR900011380A (ko) 1990-08-01
KR920006096B1 true KR920006096B1 (ko) 1992-07-27

Family

ID=2745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014A KR920006096B1 (ko) 1989-01-27 1990-01-29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040B1 (ko) * 2018-11-21 2019-07-17 (주)에이치에스엠 탈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040B1 (ko) * 2018-11-21 2019-07-17 (주)에이치에스엠 탈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380A (ko) 199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096B1 (ko) 전체 줄기 투입형 탈곡 장치
US3828536A (en) Sugar cane loader-cleaner machine
JP2008167686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EP0186630B1 (en) Improvements in combine harvesters
SU753343A3 (ru) Машина дл уборки томатов
JP2016178947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H02200112A (ja) 大豆用の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H05304826A (ja) 脱穀装置の選別部
CN218042594U (zh) 一种玉米收获机的新型输送槽玉米抛撒装置
JP3686606B2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US189545A (en) Improvement in grain-separators
JPH02200115A (ja) コンバイン
JPH08275671A (ja) 脱穀選別装置
JPH08140450A (ja) 玉葱搬送装置
GB1562737A (en) Apparatus for cleaning root crops
SU1296038A1 (ru) Машина дл очесывани шишек хмел
JP3446283B2 (ja) 脱穀装置
JP2533416Y2 (ja) 根菜類収穫機の夾雑物排出装置
JP5963832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及び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H06113657A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0333528A (ja) 流量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脱穀機
JP2009203022A (ja) 作物整列装置
JPH06113665A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18161155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2010200763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