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859B1 - 드라이크리닝방법 및 장치와 이 장치에서의 용매회수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크리닝방법 및 장치와 이 장치에서의 용매회수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859B1
KR920005859B1 KR1019890015779A KR890015779A KR920005859B1 KR 920005859 B1 KR920005859 B1 KR 920005859B1 KR 1019890015779 A KR1019890015779 A KR 1019890015779A KR 890015779 A KR890015779 A KR 890015779A KR 920005859 B1 KR920005859 B1 KR 92000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air
tank
solvent gas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677A (ko
Inventor
기요미 야마다
하루오 하기와라
노부하루 다카기
히데오 쓰카모토
야스히로 쓰바키
토시오 핫토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쥬우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우에다 쇼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2397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75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6239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8648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339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26590U/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쥬우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우에다 쇼오지 filed Critical 미쓰비시쥬우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6Recovering the solvent from the drying ai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라이크리닝방법 및 장치와 이 장치에서의 용매회수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드라이크리닝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소형화된 용매회수장치의 일실시예의 배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클리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계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소형화된 용매회수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배관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클리닝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계통도,
제6도는 제5도에서 나타낸 공기백 대신에 사용되는 공기복스의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클리닝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계통도,
제8도는 제7도에서 나타낸 탱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 드라이클리닝장치의 계통도,
제10도는 종래의 용매회수장치의 배관도,
제11도는 종래의 용매회수장치를 구비한 드라이클리닝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제12도는 제11도로 나타낸 드라이클리닝장치의 공정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10 : 처리탱크 11, 211 : 처리드럼
12, 212 : 버튼트랩 19, 219 : 공기 회수닥트
26a, 226a, 26b, 226b : 댐퍼, 또는 공기유입구
30a, 230 : 용매회수장치 47a, 47b, 247 : 닥트
50a, 50b, 250 : 밸브, 또는 댐퍼 53, 253 : 공기 유입구
60 : 가스이송장치, 또는 콤프레서 61 : 공기백
70 : 공기복스, 또는 탱크
본 발명은 퍼클로로에틸렌, FLON l13 및 1,1,1-트리클로로에탄등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드라이클리닝 방법 및 장치와, 이 드라이클리닝장치에서의 상기한 유기용매의 회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드라이클리닝 공정을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세탁물(2)을 도어(1)를 통하여 처리탱크(10)에 투입하고, 도어(1)를 밀폐시킨 후에 운전을 시작하며, 일반적으로 드라이클리닝의 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소정량의 용매(4)는 펌프(6)에 의하여 용매탱크(3)로부터 밸브(5)를 통하여 흡입하여 이를 밸브(7)와 필터(8)를 통과하는 통로를 거쳐서 처리탱크(10)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밸브(9)를 통과하는 다른 통로를 거쳐서 처리탱크(10)로 이송시킨다.
(2) 그리고, 처리드럼(11)는 서서히 회전되고, 또한 용매(4)는 처리탱크(10), 버튼트랩(12), 밸브(13), 펌프(6), 밸브(7)와 필터(8), 또는 밸브(9)로 되는 순환통로를 순환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3) 용매(4)는 처리탱크(10), 버튼트랩(12), 밸브(13), 펌프(6), 밸브(14), 증류기(15)로 되는 통로를 통하여 배출된 후에 처리드럼(11)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원심력의 증가로 세탁물(2)로부터 용매(4)를 더욱 탈이시켜서 이를 상기한 동일한 통로로 배출시킨다.
(4) 전술한 공정(1)과 공정(2)를 반복시킨다.
(5) 원심력으로 탈이된 용매(4)는 상기와 동일한 통로인 처리탱크(l0), 버튼트랩(12), 밸브(l3), 밸브(5)로 되는 통로로 배출시킨다.
(6) 처리드럼(11)을 다시 서서히 회전시키고, 세탁물(2)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화살표 방향(20)으로 처리탱크(10)와 공기 회수탁트(19)를 통하여 팬(16)에 의하여 순환시키며, 상기한 공기 회수닥트(19)는 팬(l6), 공기 냉각기(17) 및 공기가열기(18)로 구성된다. 세탁물(2)로부터 증발된 용매가스는 공기 냉각기(17)에서 응축되어 회수통로(21)를 통하여 수분 분리기(22)로 이송되고, 다시 용매관(23)을 통하여 청정탱크(24)로 이송된다.
(7) 드라이클리닝이 완성된 후에 세탁물(2)로부터 용매냄새를 제거시키기 위하여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댐퍼(25) (26)를 개방시켜서 신선한 공기를 댐퍼(25)를 통하여 인입시키고,공기 냉각기(l7)에서 회수되지 않은 비응축된 용매가스는 댐퍼(26)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8) 공정(3)에서 증류기(l5)로 이송된 용매(4)는 여기서 증기화된 후에 응축기(27)로 이송되어 여기서 응축되고, 이 응축된 용매는 수분분리기(22)와 용매관(23)을 통하여 청정탱크(24)로 이송되고, 또한 격판(28)을 넘쳐 흘러서 용매탱크(3)로 환류된다.
또한, 수분 분리기(22)에서 분리된 물은 배수관(29)을 통하여 계외로 배출된다. 다음,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용매회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라이클리닝 공정중에서 세탁물(2)로부터 증발된 용매가스는 공기 냉각기(17)에서 냉각, 응축된다. 이 냉각기(17)는 물을 사용하는 수냉식으로서 여기서 용매가스는 대략 32℃에서 35℃로 냉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매가스는 공기 냉각기(17)에서 응축, 회수되지만 공기를 함유한 용매가스의 농도는 이때에 온도와 압력에 따라서 포화농도의 이하로는 되지않게 된다.
예컨대, 용매로서 퍼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할 경우에 냉각온도가 대략 350℃일때에 공기를 함유한 용매의 농도는 250g/m3이하로는 되지 않아서, 그 결과 상기한 조건하에서는 세탁물(2)에 강한 냄새가 남아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항목(7)의 탈취 공정에서 처리드럼(11)을 회전시키면서 댐퍼(25)를 열어서 충분한 양의 외부공기를 흡인하여야 하며, 처리드럼(11)내에서는 용매가스의 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공기와 세탁물(2)과의 접촉을 시킨 후에 이를 댐퍼(26)를 통하여 처리드럼(11)으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세탁물(2)의 냄새를 제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에 의하여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희석이 되었다고 하지만, 초기단계에서 수천 ppm의 농도를 가진 용매가스로서 배출되어 공기오염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FLON l1이나, FLON l13을 사용할 시에는 이것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서 이와 같은 합성물이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오존층을 파괴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에따라 FLON과 같은 물질의 생산을 금지하자는 전세계적인 여론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여론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9도로 나타낸 종래의 장치에서는 용매를 회수함으로써 용매를 줄이도록 된 것으로, 댐퍼(26)를 통하여 배출되는 희석된 용매가스를 제10도로 나타낸 용매회수장치(30)로 닥트(37)를 통하여 이송시켜서 이 용매회수장치(30)의 내부에 형성된 활성탄층(32)과 접촉시켜서 흡수시킴으로써 용매가 제거된 공기를 청정상태로 대기중으로 방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활성탄층(32)의 용매가스의 흡수능력이 포화수준에 도달되면, 고압증기를 증기관(33)를 통하여 활성탄에 대하여 분출시켜서 이 활성탄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킨다. 즉, 소위 용매를 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증발된 용매가스는 수냉식 응축기(34)로 이송되어 응축, 즉 액화시켜서 이를 수분 분리기(35)에서 용매와 물로 분리되고, 이 분리된 용매는 청정탱크(24)로 환류된다.
상기와 같이 용매의 탈착이 끝난 후에 상기한 활성탄층(32)를 건조시키고, 재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건조용팬(36)에 의하여 이 용매회수장치(30)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시킨다. 따라서, 재활성화된 활성탄층은 다음의 흡수작용을 대비하게 된다. 상기한 방법은 탈취공정중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매회수방법인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용매회수장치에서의 용매가스처리는 우선, 근본적으로 대량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처리드럼(11)을 회전시키면서 이에 용매가스를 희석시켜서 처리탱크와 공기 회수닥트로부터 용매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용매가스의 처리량이 증가하면, 이에따라 용매회수장치(30)의 확장으로 인하여, 장치비의 증가, 과다한 설치면적 및 회수에 소요되는 에머지등과 같은 운전비의 증가를 촉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용매회수장치(30)를 설치하는데에 있어서 제거시켜야 할 심각한 문제점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용매회수장치에 있어서는 대량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처리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용매가스를 장치내에서 희석하여 용매를 회수하는 것이어서 장치가 불필요하게 크게되는 문제점이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시키기 위하여 창안하게 된 것이다.
제11도는 종래의 드라이클리닝장치의 일예의 전체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310은 처리탱크를 나타낸 것이며, 세탁은 처리탱크(310)에서 드라이클리닝으로 세탁이되며, 이 처리탱크(310)는 도어(312)를 가지며, 이 도어(312)를 통하여 세탁물을 투입하며, 또한 꺼내는 것이다. 또한, 처리탱크(310)의 상부에는 가동 댐퍼(316)에 의하여 개폐되는 공기 유입구(3l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가동 댐퍼(316)는 작동구(318)에 의하여 조절된다. 도어(312)와 댐퍼(316)에는 적절하게 가스켓트(도시안됨)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들을 공기 밀봉상태로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처리탱크(310)내에 점선으로 나타낸 것은 처리드럼(320)을 나타낸 것으로, 모터(322)에 의하여 회전이 될 수 있게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모터(322)는 속도절환작동기(324)에 의하여 조정되고, 부호 326은 구동밸트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부호 328은 공기밀봉상태로 된 용매저장 탱크를 나타낸 것으로, 용매는 이 용매에 잠겨있는 펌프(330)에 의하여 처리탱크(310)로 공급된다. 부호 332는 밸브(334)를 가진 용매공급관이며, 상기한 밸브(334)는 작동구(336)에 의하여 조절되며, 처리탱크(310)와 이와 결합된 부위는 용매가 공급할때에는 공기밀봉식으로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탱크(310)내에는 용매가스가 용매저장탱크(328)와 연결된 배출관(338)을 통하여 용매저장탱크(328)로 환류된다.
상기한 배출관(338)은 작동구(342)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밸브(340)를 가져서 배출관(338)을 폐색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용매저장탱크(328)에는 냉각코일(344)이 설치되고, 이 냉각코일(344)은 냉각공급원에 연결되어 있다. 약간 작은 용기인 탱크(346)는 용매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첨가물을 저장시키는 탱크이며, 이 첨가물 저장용 탱크(346)는 펌프(348)의 저압측에 연결되어 있어서 첨가물을 도관(350)을 통하여 수용탱크(352)로 공급하고, 상기한 도관(350) 이외에 또다른 환류관(354)을 첨가물 저장용탱크(346)와 수용탱크(352) 사이에 연결하여 여분의 첨가물을 수용탱크(352)에서 저장용 탱크(346)로 환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수용탱크(352)는 작동구(360)에 의하여 조절되는 밸브(358)를 가진 공급관(355)를 통하여 처리탱크(310)에 연결되어 있다. 세탁작업이 끝난후에 처리탱크(310)에서 사용된 용매는 작동구(366)에 의하여 조절되는 밸브(364)를 가진 도관(362)을 통하여 증류기(368)로 보내진다.
이 증류기(368)는 역지밸브(372)를 가진 등압관(370)을 통하여 용매저장탱크(328)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이 증류기(368)의 내부에 예컨대, 코일의 형태로 된 열교환기(37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열교환기(374)는 통상의 방식으로 열원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구(380)에 의하여 조절되는 2방향 밸브(376)에 의하여 열수의 흐름을 열교환기(374)나, 도관(378)으로 절환시킬 수가 있고, 또한 증류기(368)는 수동식 밸브(384)를 가진 배출관(382)이 설치되어 있다. 증류기(368)는 증류관(386)를 통하여 응축기(388)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응축기(388)의 저면에는 도관(390)과 십자형 연결구(392)를 통하여 수분 분리기(394)와 연결되어 있고, 분리된 용매는 분리기(394)에서 도관(396)를 통하여 용매 저장탱크(328)로 환류된다. 다음, 세탁작업의 공정중에서 발생된 용매가스의 회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적 크고 용매가스 회수용 도관(398)(이후 주도관이라 한다) 이 케이싱(400)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이의 끝단부에 용매가스 저장탱크(41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케이싱(400)에는 필터백(도시안됨)이 내설되어 있고, 도어(402)을 열어서 상기한 필터백을 주기적으로 교환시킨다. 또한, 모터(403)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406)이 내설된 팬 복스(404)가 케이싱(400)과 평행되게 배설되고, 이 경우에 케이싱(400)은 주도관(398)에서 용매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한 팬(406)의 저압측에 연결된다.
상기한 주도관(398)의 끝단부에 설치된 가스저장탱크(410)는 배출관(412)을 통하여 용매저장탱크(328)에 연결되고, 또한 도관(414)을 통하여 상기한 분리기(394)의 상부에 있는 십자형 연결구(39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도관(414)은 지관(416)을 가지며, 이것이 도관(396)과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한 도관(396)이 분리기(394)에 있는 액체를 전부 흡입할 수 없게 된다. 용매가스 저장탱크(410)에는 외부로 개방되는 배출관(4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배출관(418)의 개구단부에는 작동구(422)에 의하여 조절되는 댐퍼(420)가 설치되어 있다. 처리탱크(310)의 저부에서 주도관(398)으로 연장된 도관(424)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탱크(310)의 저부로부터 상향으로 점선으로 나타낸 것이며, 이 도관(424)에는 작동구(428)에 의하여 조절되는 댐퍼(42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도관(424)의 유입구가 처리탱크(310)의 공기 유입구(314)와 직경방향으로 상호대향되게 설치된 점이다.
상기한 팬복스(404)의 배출구는 도관(430)에 연결되고, 이는 연결구(432)를 통하여 도관(434)과 도관(436)으로 연결되어 T자형으로 되어있고, 이 양 도관(434) (436)은 양측의 흡수탱크(438), (438a)의 상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 한쌍의 흡수탱크(438) (438a)는 상호 기계적으로 동일한 것이어서 이중에서 일측의것만 설명한다.
상기한 흡수탱크는 도관(434 또는 436)과 연결된 연결유입구(442)를 가진 케이싱(440)를 구비하고, 이 연결유입구(442)는 작동구(446)에 의하여 조절되는 댐퍼(444)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 흡수탱크는 이의 저면에 다공판(448)이 내설되고, 이 다공판(448)의 상면으로 흡수제(예컨대, 활성탄 입자)가 쌓여 있으며, 또한 이 다공판(448)의 하측에는 배출구(452)가 설치되고, 이 배출구(452)는 작동구(456)에 의하여 조작되는 댐퍼(454)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한 각 흡수탱크의 배출구(452)에는 본 장치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460)이 연결된 도관(458)이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활성탄입자(450)로부터 흡수된 용매를 탈리시키기 위하여서는 중기를 사용하고, 이 증기는 도관(462)를 통하여 증기원으로부터 공급된다. 이 경우에 공급되는 증기의 양은 작동구(466)에 의하여 조작되는 밸브(464)에 의하여 조절된다. 상기한 흡수탱크의 상부에는 작동구(472)에 의하여 조작되는 밸브(470)를 가진 도관(46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도관(468)은 T형 연결구(474)를 통하여 응축기(478)에 연결된 도관(47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응축기(478)는 도관(480)을 통하여 상기한 분리기(394)의 상부에 있는 십자형 연결구(392)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응축기(478)에는 냉각수관(482)과 열수관(484)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열수관(484)은 밸브(376)를 통하여 상기한 열교환기(374)로 역수를 공급한다.
다음, 드라이클리닝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장치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그램 타이머(485)에 의하여 작동시간에 맞춰서 작동된다.
제12도에서 사선부분은 작동시간을 나타낸 것이며, 빈공란은 비작동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소정의 세탁물을 처리드럼(320)에 투입시키고, 이어서 도어(312)를 닫으면, 상기한 프로그램 타이머(485)의 작동에 의하여 본 장치의 운전이 자동적으로 시작되고, 동시에 펌프(330)와 밸브(334) (340) (358)는 작동되며, 용매의 1차분과 첨가물의 1차분이 저장탱크(328)와 수용탱크(352)로부터 동시에 처리탱크(310)로 공급된다. 용매가스는 처리탱크(310)내에서 공기와 혼합되면도 도관(338)을 통하여 저장탱크(328)로 환류된다. 모터(322)의 구동과 동시에 처리드럼(320)은 저속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이에 의하여 세탁작업이 시작된다.
다음 단계의 세탁시간이 오래되면, 밸브(364)는 개방되고, 처리드럼(320)은 보다 높은 속도로 회전되어 이에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세탁물로부터 오염된 용매를 추출시키게 되며, 이 추출된 용매는 이미 개방된 밸브(364)를 통하여 증류기(368)로 보내진다. 이 용매가 증류기(368)에 전부 오게된 후에 밸브(364)는 폐색되고 처리드럼(320)은 다시 저속으로 회전된다. 다음에 펌프(330)가 다시 작동하여 용매의 2차분이 처리탱크(3l0)로 보내지고, 이에따라 짧은 시간동안에 헹굼이 행해진다. 다음에 밸브(364)가 다시 개방되어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원심력으로 용매를 세탁물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증류기(368)로 보내지고, 이 용매가 증류기(368)로의 이송이 끝난후에 밸브(364)와 밸브(340)는 폐색되고, 건조작업이 시작된다.
한편, 세탁 및 헹굼작업을 하는 동안에 팬(406)이 구동되고, 댐퍼(420) 역시 개방되어 주도관(398)을 통하여 처리탱크(31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흡수탱크(438) (438a)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용매가스 저장탱크(410)은 도관(412) (414)을 통하여 유입된 용매가스로 이미 채워져 있기 때문에 흡수탱크(438) (438a)로 유입되는 가스는 용매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가스인 것이다. 건조작업이 시작될 때에 댐퍼(420)는 부분적으로 폐색시켜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댐퍼(316) (426)를 개방시켜서 처리탱크(310)의 주위의 공기가 공기유입구(3l4)를 통하여 유입하도록 하여서 처리드럼(320)내에서 회전하고 있는 축축한 세탁물과 접촉하도록 한다, 공기가 상기한 통로로 유입될때에 용매가스는 하향으로 유동된다. 즉, 도관(424)의 하측으로 설치된 배출측으로 유동되며, 이것이 팬(406)의 흡인력에 의하여 주도관(398)를 통하여 흡수탱크(438) (438a)로 보내진다.
전술한 방법은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이는 블로워의 흡인력에 의하여 외부공기를 처리탱크로 유입시켜서 세탁물의 건조 및 탈취작업을 행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서, 공기의 유동이 크면 클 수록 건조 및 탈취효과는 크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활성탄에 의하여 용매가스를 흡수하는 데에 있어서 흡수장치의 크기가 공기유동에 비례하는 것이다. 즉, 용매가스가 활성탄과 약 1초동안 접촉시키는데에는 상기한 활성탄을 통과하는 용매가스의 선속도는 용매가스의 흡수설계치로서 0.3에서 0.5m/초로 되는 것은 널리 알려진 것이다.
따라서, 활성탄층의 단면적은 공기흐름 및 선속도에 달려있으며, 또한 활성탄승의 두께는 용매가스의 접촉시간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제11도로 나타낸 장치는 제9도 및 제10도 나타낸 장치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장치 자체가 불필요하게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장치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탈취공정에서 처리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공정과, 처리탱크 또는 공기 회수닥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공정과, 용매가스를 외부공기로 대체시키기 위하여 처리드럼을 정지시킨 상태하에서 처리드럼에서 용매가스가 교반됨이 없이 처리탱크 또는 버튼트랩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용매회수장치에 연결된 배출수단에 의하여 처리탱크로부터 서서히 용매가스를 배출시키는 공정과, 용매회수장치를 통하여 용매가스를 1회 또는 수회에 걸쳐서 재사용하는 공정으로 구성된 기술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을 개량시킨 기술인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 및 이의 개량기술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과 기능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어서 처리탱크에서 소정량의 용매를 회수하는 데에 소용되는 가스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용매회수장치를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소형화 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오염 및 오존층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용매를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때문에 용매를 절감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용매회수장치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도 줄 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드다이클리닝장치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며, 제2도는 최소화된 용매회수장치의 배관도이다. 제1도에서 제9도로 나타낸 종래의 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상 동일한 부호를 부가한다.
제1도로 나타낸 장치는 도어(1), 세탁물(2), 용매탱크(3), 용매(4), 밸브(5), 펌프(6), 밸브(7), 필터(8), 밸브(9), 처리탱크(10), 처리드럼(11), 버튼트랩(12), 밸브(13), 밸브(14), 증류기(l5), 팬(l6), 공기냉각기(l7), 공기히터(18), 공기 회수닥트(19), 수분 분리기(22), 용매관(23), 청정탱크(24), 응축기(27), 넘쳐 흐르도록 된 격판(28) 및 배수관(29) 등으로 구성되고, 이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로 나타낸 장치와 제9도로 나타낸 종래의 장치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처리탱크(10)는 밸브(50a) 또는 밸브(50b)와 닥트(47a) 또는 닥트(47b)를 통하여 크기가 작은 용매회수장치(30a)에 연결되어 용매가스는 처리탱크(10)로부터 처리드럼(11)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하에서 처리탱크(10) 또는 버튼트랩(12)의 하측의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크기가 작은 용매회수장치(30a)로 서서히 이송되고, 공기 회수탁트(19) 및 또는 처리탱크(10)의 상측의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된다.
다음, 제2도로 나타낸 크기가 작은 회수장치(30a)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장치(30a)의 중심부에는 활성탄층(42)이 설치되고, 이의 용적은 종래의 장치에서의 활성탄층의 용적의 약 1/10정도이다. 또한, 이 장치(30a)에는 용매가스의 흡입과 활성탄의 건조 및 재생용팬(46)과, 연결관의 절환용 밸브(51) (52) (53)와, 활성탄으로부터 용매를 탈리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증기밸브(54)를 가진 용매 탈취용 증기관(43)과, 증발된 용매를 응축 및 회수시키는데에 사용되는 수냉식 응축기(44)로 구성된다. 다음, 상기한 크기가 작은 용매회수장치(30a)를 포함하여 드라이클리닝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드라이 클리닝장치는 통상적으로 세탁 및 건조작업을 행하다. 이어서, 처리드럼(11)을 정지지시키고, 이의 상부에 설치된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시켜서 외부공기를 흡입시킨다. 또한, 외부공기와 용매가스와 섞이지 않도록 밸브(50a) 또는 밸브(50b)를 조절하여 처리드럼(10)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상기와 같이 조절된 낮은 공기유동에 의하여 화살표(20a)방향으로 유동시켜서 크기가 작은 용매회수장치(30a)의 활성탄층(42)으로 이송시키며, 이에 의하여 용매가스는 활성탄에 의하여 흡수되어 용매가스가 포함되지 않은 공기만이 밸브(52)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활성탄층(42)이 용매가스로 포화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고압증기를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증기관(43)을 통하여 활성탄층(42)에 대하여 분출시켜서 활성탄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킨다. 즉, 소위 탈이작용을 행한다.
다음, 가스는 수냉식 응축기(44)에는 응축되어, 이 응축액은 드라이클리닝장치의 자체내에 설치된 수분 분리기(22)에 의하여 수분과 용매로 분리되어 분리된 용매는 청정탱크(24)로 환류된다. 다음 활성탄층(42)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외부공기가 밸브(53), 팬(46) 및 밸브(52)로 경로를 통하여 유입되어 건조가 되고, 이 건조된 활성탄층(42)은 다음의 흡수공정(용매가스 탈취공정)을 대비하게 된다.
상기한 계통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탱크(l0)로부터 용매가스를 배출시키는 데에 소요되는 공기량은 종래의 용매냄새를 희석시키는 방법의 경우에 비하여 약 1/10 정도가 되어서 활성탄층(42)를 최소화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속장치로서 수냉식 응축기(44)와 팬(46) 역시 최소화 시킬 수가 있어서 전체적인 용매회수장치(30a)를 소형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1의 크기가 작은 용매회수장치(30a)는 종래의 경우와 같이 분리형의 장치로서, 배설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이때에도 그 효과는 동일한 것이다.
실시예 1의 방법에 있어서, 용매성분이 어느정도는 세탁물에 잔류하게 된다. 이 용매의 잔류성분을 세탁물로부터 제거하여 회수하는 데에는 처리드럼의 1차 호전을 정지시켜서 용매성분을 처리탱크내로 확산시키고, 다시 처리드럼을 정지시켜서 상기한 탈취작업을 반복하여 행하면 되는 것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용매회수장치에서는 활성탄을 사용하는 장치이지만, 다른 흡수제(예컨대, 제오라이트)를 사용하는 장치, 냉동기를 사용하는 응축/회수장치, 동일한 종류의 용매와 이 용매가스와 접촉시키는 오일을 사용하는 흡수장치, 또한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또한, 상기한 장치를 반밀폐형 또한 전밀폐형으로 구성하여 외부가스유입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대신에 상기한 공정중에 용매로부터 분리되는 공기를 일부분 또는 전부를 사용하는 장치로 하여도 그 효과는 동일한 것이다.
[실시예 2]
활성탄 탱크의 소형화는 활성탄 재생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며, 이 결과로 이의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 클리닝장치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그 비중이 공기에 비하여 3배 내지 4배로 정도로 무겁기 때문에 공기와 용매가 교반된 상태가 아니면, 공기와 용매는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처리탱크의 상,하부에 각각 공기유입구와 용매가스 배출구가 설치되고, 이 처리탱크의 내부에 용매가스가 충만되어 있을 시에 상기한 상,하부의 공기 유입구와 용매가스 배출구가 동시에 열릴시에 용매가스는 처리탱크의 하부의 배출구를 통하여 자연히 배출되고, 공기는 상부의 유입구를 통하여 처리탱크로 유입되어 진다.
상기 경우에는, 처리탱크내의 용매가스의 충입된 높이는 용매가스와 공기가 분리된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처리탱크로부터 배출된 용매가스는 활성탄으로 보내지고, 활성탄에 의하여 처리되는 용매가스의 양은 처리탱크의 용적과 같다. 결과적으로, 용매가스를 적은 양의 공기로 대체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l에서, 상기한 원리를 적용한 것이며, 이러한 원리를 사용한 장치의 채용으로 활성탄 탱크의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에서 용매가스가 공기에 전혀 희석되지 않아서 용매가스가 활성탄에 의하여 흡수될 시에 흡수열이 크게 발생되기 때문에 활성탄의 수명을 단축시키게된다. 전술한 장치에서 활성탄을 통과하는 용매가스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지 없는지, 즉 용매가스의 농도가 상기한 장치에 의하여 50ppm 또는 그 이하의 수준으로 낮춰서 대기오염방지법 및 그외 법률에 맞출수 있는지 없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활성탄 탱크의 일차측(유입구측)의 용매가스의 농도가 1,000,000ppm으로 너무 높게 됨을 알게 되었으며, 이에따라 상기한 장치에서는 처리된 용매가스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가 없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열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된 용매가스의 농도를 안정성 있게 낮출 수가 없는 것이었다. 용매가스의 농도를 낮추는 방도로서는 활성탄 탱크의 크기를 충분하게 대형화시키는 것이지만, 이는 활성탄의 양을 감소시키고저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2의 목적은 활성탄의 양을 감소시키고, 활성탄의 흡수력을 증대시키며, 또한 가능한 흡수열의 발생을 억제시켜서 이에 의하여 활성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드라이 클리닝장치에서의 용매 회수장치는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상부에 공기 유입구를 설치하고,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용매가스 배출구를 설치하여 상기한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드라이 클리닝장치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드라이 클리닝장치에서 발생된 용매가스는 용매가스 배출구를 통하여 활성탄으로 이송시키며, 이에 의하여 용매가스가 활성탄에 의하여 흡수 및 회수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활성탄의 흡수부와 용매가스 배출구 사이에 또다른 공기 유입구를 배설하여 드라이 클리닝장치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용매가스를 외부공기와 혼합하여 이 희석된 용매가스를 활성탄에 의하여 흡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전술한 문제점등을 해결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용매가스는 건조/탈취하는 시간에 처리탱크의 하부를 통하여 흡입된다. 실시예 1에의 한가지 결점은 용매의 농도가 흡수과정에서 너무 높게되는 것이었다. 활성탄 탱크내에서 활성탕의 흡수력에 대하여 예컨대, 퍼클로로에틸렌을 용매로 사용시에는 실사용 부하로서 활성탄의 중량의 20% 이상 흡수되고, FLON l13을 사용시에는 활성탄의 중량의 10% 이상 흡수된다. 그러나, 활성탄의 양은 흡수된 용매의 부하에 관계없이 활성탄을 통과하는 공기흐름에 관계가 있는 것이어서 많은 양의 공기를 사용한다면, 활성탄의 양 역시 전술한바와 같이 증가된다.
여기서, 고농도의 용매가스가 허용범위내에서 공기로 희석되어서 이 희석된 용매가스가 활성탄탱크로 이송되어 활성탄에 흡수될시에 흡수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활성탄의 양 역시 최소화시킬수 있음을 알아내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을 재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용매가스를 흡수한 활성탄은 수증기를 사용하여 활성탄으로부터 용매가스를 분리시켜서 활성탄을 재생시킨다. 그리고, 활성탄을 건조시켜서 흡수력을 복귀시키는 것이다. 이 건조과정은 활성탄 탱크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서 그 공기를 건조용 공기로서 활성탄으로 통과시켜서 건조를 행하게 된다.
실시예 2에서는 예컨대, 외부공기 흡입용 공기 유입구를 활성탄의 흡수공정중에 개방되어 있어서도 추가장치의 설치없이도 단지 작동의 변경에 의하여 소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처리탱크의 상,하부에 설치된 공기 유입구 및 용매 배출구가 개방되어 있을시에 활성탄 탱크의 유입구측에 설치된 공기 유입구도 동시에 개방된다.
그리고, 활성탄 탱크에 부설된 흡입팬이 구동되어 드라이 클리닝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고농도의 용매가스가 외부공기에 의하여 희석되어진 후에 활성탄에 의하여 흡수된다.
이 경우에 활성탄의 양은 소량이면 충분하고, 이때에 흡수열은 적게 발생되어서 활성탄의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제3도는 실시예 2에 연관된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것이며, 제4도는 실시예 2에 연관된 용매 회수장치의 활성탄의 흡수부분의 상세도이다.
우선, 제3도를 참조하여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세탁물을 처리탱크(210)의 내부에 설치된 처리드럼(211)의 내부로 장입시키고, 용매탱크(203)에 있는 용매(204)를 용매펌프(206)에 의하여 배출밸브(205)를 통하여 흡입하여 이를 필터(208)를 거치지 않고 직결된 밸브(209)를 통하여 처리탱크(210)로 보낸다. 처리탱크(2l0)의 내부에 용매(204)가 소정량으로 충입되면, 회전드럼(211)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용매는 처리탱크(210)에서 버튼트랩(212)을 통하여 밸브(213), 펌프(206), 용매 필터입구측 밸브(207) 및 용매필터(208)를 거쳐서 다시 처리탱크(2l0)로 되돌아 오게되는 통로를 순환하게 되어서 이에 의하여 세탁이 행해지며, 오염된 고형물은 용매 필터(208)에서 포집된다.
소정의 세탁주기가 지난 후에 오염된 용매는 버튼트랩(21), 밸브(213), 펌프(206) 및 증류기 밸브(214)를 거쳐서 증류기(215)로 보내지고, 이 증류기(215)에서 용매와 물이 열에 의하여 증류되어 이 증기는 응축기(227)로 보내져서 응축되어 액체로 된다.
이 액체는 수분 분리기(222)로 보내져서 이 수분 분리기(222)에서 비중차에 의하여 물이 분리되고, 이 분리된 물은 배출관(229)을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분리된 용매는 용매관(223)을 통하여 용매탱크(203)로 되돌아 오게되고, 이를 세탁액으로서 재사용 하게 된다. 세탁이 끝난 후에, 처리드럼(211)은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이에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세탁물로부터 용매를 추출하게 되고, 이 추출된 용매는 전술한 경로를 통하여 증류기(215)로 역시 보내진다.
다음, 세탁물은 건조공정으로 들어가며, 이 건조공정에서는 공기닥트(219)가 설치된 장치를 사용하며, 이 장치는 공기닥트(219), 팬(216), 공냉식 냉각기(217) 및 공기히터(218)로 구성되고, 공기 히터(218)에서는 더운 공기를 세탁물로 공급하여 이에 합침된 용매를 증발시키고, 이 증발된 용매는 공낵식 냉각기(217)에 의하여 응축시켜서 회수된다. 소정의 주기동안 건조작업을 행한 후에도, 냉각기(217)의 배출구의 가스농도와 같은 농도를 가진 용매가스가 처리탱크(210)와 공기닥트(219)의 내부에도 있게 된다.
여기서, 용매가스를 회수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 연관된 용매가스 회수장치가 작동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닥트(219)가 처리탱크(210)의 직상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유입구(226a)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공기닥트(219)가 처리탱크(210)의 상면에서 약간 사이두고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입구(226b)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며, 부호 250은 용매가스 배출댐퍼이며, 부호 247은 활성탄이 충입된 회수장치(230)로 연결된 용매가스 닥트이며, 이 닥트(247)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워(246)를 통하여 활성탄 탱트(241)로 연결되어 있다. 부호 242는 활성탄층이며, 부호 251은 활성탄층으로 유입되는 측의 댐퍼이고, 부호 252는 활성탄층을 통과하여 나오는 측의 댐퍼이다.
전술한 블로워(246)는 활성탄층(242)을 통과하는 나오는 측의 댐퍼(252)의 하측으로 설치하여도 되는 것이며, 부호 253은 공입 유입구로서 실시예 2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부이다.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탈취공정시에 처리드럼(211)과 팬(216)을 정지시키면, 처리탱크(210)와 공기닥트(219)내에 있는 용기가스의 유동역시 정지되어 용매가스는 그 이상 유동이 되지 않게 된다.
이때에 용매가스는 처리탱크(210)의 하부로 모아져서 고농도로 되어지고, 이 상태하에서 활성탄 탱크(241)의 유입댐퍼(25l)와 배출댐퍼(252)를 개구시킴과 동시에 블로워(246)를 구동시키고, 이때에 공기 유입구(253)를 열면, 이 유입구(253)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댐퍼(251)를 통하여 활성탄층(242)을 통과하여 댐퍼(252)를 통하여 배출되고, 몇초후에 용매가스 배출용 댐퍼(250)를 개구시키고, 즉시 외부공기유입구(226a 또는 226b)를 열게 되면, 처리탱크(210) 내부에 있는 용매가스는 누출됨이 없이 용매가스 도관(247)으로 인입되어 지고, 이 용매가스의 농도는 처리탱크(210)에 있는 용매가스의 농도와 동일하다.
즉, 처리탱크(210)로부터 배출되는 용매가스의 농도는 낵각기(217)의 출구측의 용매 가스농도와 동일하고, 그 용매가스의 자체온도로서 포화농도가 된다. 상기한 용매가스는 활성탄층(242)으로 가는 도중에 공기유입구(253)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다. 활성탄층(242)에 의하여 흡수되는 용매가스의 농도는 공기유입구(253)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과 용매가스 배출댐퍼(250)를 통하여 배출되는 용매가스의 양에 의하여 결정되고, 또한 블로워(246)의 소요동력은 용매가스와 공기 유입구(253)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의 희석에 의하여 정해지며, 사용상 약 세배정도의 희석이 실용적이다. 활성탄층(242)을 통과한 용매가스는 50ppm의 농도(이론적으로는 0ppm) 또는 그 이하로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상기한 공정은 통상적으로 2 내지 3분내에 수행되고, 처리탱크(210)내의 용매가스는 외부 공기 유입구(226a) 또는 유입구(226b)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로 대체되어서 이에 의하여 탈취작업이 끝나게 된다. 활성탄층(242)의 흡수능력이 상실되었을때에는 활성탄층(242)의 입구측 및 출구측의 댐퍼(251) (252)를 닫은 후에 증기관(243)과 증기 입구측 밸브(254)를 통하여 활성탄탱크(242)로 수증기를 분출시켜서 이 수증기의 열에너지에 의하여 활성탄에 침투된 용매성분을 증발시킨다.
이 증발된 용매가스는 응축기(244)에서 응축, 액화시켜서 이를 수분 분리기(222)로 이송하여, 소위 탈리작업(재생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탈리작업이 끝난 후에 공기 유입댐퍼(253)를 통하여 블로워(246)의 흡인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활성탄(242)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에, 활성탄 탱크(241)의 입구측의 댐퍼(251)와 출구축의 댐퍼(252)는 물론 열어놓고, 증기 공급밸브(254)는 폐색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유입밸브(253)는 활성탄에 의하여 흡수작업이 행해질때와 이의 건조작업시에 개구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앞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드라이클리닝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매가스를 공기로서 희석시키기 때문에 활성탄에 의하여 고농도 용매가스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회피시킬 수가 있으며, 그 결과로 활성탄이 흡수열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출되는 용매가스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배출가스의 농도를 낮은수준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활성탄 탱크를 크게하거나, 또는 활성탄의 양을 증가시킬 필요가 전무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3]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오염에 대한 문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기술에 의하여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용매를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용매의 회수단계에 있어서의 운전비용(수증기, 냉각수 및 기타의 비용)은 아직도 높으며, 또한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의 동향에서 엿볼 수 있둣이 밀폐시스템으로 된 방법을 드라이 클리닝장치에서의 용매가스를 탈취시키지 않을 시에 채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드라이 클리닝장치에서는 처리탱크의 내부에 잔존하는 용매가스가 처리탱크의 도어를 열고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꺼낼시에 작업장소로 유출되어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실시예 3은 용매 회수단계에 있어서 운전비용, 주기적인 보수점검 및 밀폐된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의 작업환경의 악화와 같은 전술한 문제점등을 전부 해결시킬 수 있는 드라이 클리닝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는 것이다.
실시예 3에는 탈취공정에서 처리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공정과, 처리탱크의 상부에 또는 공기 회수닥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유입구를 통하여 처리탱크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정과, 이와 동시에 공기탱크로 용매가스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처리탱크가 정지된 상태하에서 가스이송장치에 의하여 처리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가 교반되지 않도록 서서히 처리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배출구 또는 버튼트랩을 통하여 처리탱크로부터 용매가스를 배출시키는 공정과, 처리탱크의 도어를 열고 세탁된 세탁물을 취출한 후에 세탁하고저 하는 세탁물을 투입하고 상기한 도어를 잠그는 공정과, 공기 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공기이송장치에 의하여 처리드럼의 처리탱크로 환류시킴과 동시에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처리탱크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된 드라이 클리닝방법에 의하여 전술한 문제점등을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첨부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낸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계통도이며, 제6도는 제5도에서 나타낸 공기백 대신에 사용되는 공기복스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제5도에서 제9도(종래의 장치)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제9도와 동일한 부호로서 나타낸다.
제5도와 제9도의 실시예의 차치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가스는 공기 회수닥트(19)의 상부 개구부, 또는 처리탱크(10)의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처리탱크(10)로 유입됨과 동시에 처리탱크(10), 또는 공기 회수닥트(19)내에 있는 용매가스는 처리드럼(11)이 정지된 상태하에서 처리탱크(10)의 하부 또는 버튼트랩(12)으미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가스이송장치(60)로 서서히 배출된다.
또한, 처리탱크(10)는 밸브(50a) 또는 밸브(50b) 및 닥트(47a) 또는 닥트(47b)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와 같은 구성은 제9도로 나타낸 종래의 장치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밸브(50a) (50b) 및 도관(47a) (47b)의 구성은 제1도에 나타낸 바 있지만, 제5도의 실시예와 제1도의 실시예는 상이한 것이다. 즉, 제5도에서는 제1도의 크기가 작은 요매회수장치(30a) 대신에 도관(47a) 또는 (47b)에 연결된 가스이송장치(60)와 공기백(61)을 설치한 것이며, 또한 제5도에서 밸브(62 내지 65)는 공기유동의 방향을 절환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제6도는 제5도의 공기백(6l) 대신에 사용되는 공기복스(70)의 사시도이다. 다음에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공기백(61)이 설치된 제5도의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세탁 및 건조를 종래의 방식대로 드라이 클리닝장치내에서 행한 후에 처리드럼(11)을 정지시키고, 이어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하여 상부 개구부의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각각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시켜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고, 처리탱크(10)내에 들어있는 용매가스는 화살표(20a)방향으로 밸브(50a) 또는 밸브(50b), 밸브(62) 가스이송장치(60) 및 밸브(63)를 통하여 소정주기 동안에 공기백(61)으로 이송시킨다.
상기한 작동은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용매가스와 혼합되지 않도록 소량의 공기를 사용하여 행해지며, 이때에 밸브(64) (65)는 잠궈진다. 상기한 작동은 외부공기를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통하여 유입시켜서 행해진다. 다음, 처리탱크(10)의 도어(1)를 열고 세탁된 세탁물(2)을 꺼내고, 다시 세탁할 세탁물(2)을 처리탱크(10)의 내부로 넣은 후에 도어(1)를 닫는다.
이어서,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개방시키고, 공기백(61)에 있는 용매가스를 가스이송장치(60)에 의하여 밸브(64), 가스이송장치(60), 밸브(65) 및 밸브(50a) 또는 밸브(50b)를 거쳐서 처리탱크(10)의 하부를 통하여 처리탱크(10)로 공급되어서, 이에 의하여 처리탱크(10)의 내부에 있던 공기는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 3에서 처리탱크(l0)의 내부에 있는 용매가스를 공기백(61)에 저장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며, 이 용매가스를 제6도에 나타낸 공기복스(70)에 저장시킬 시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공기백(61)에 있는 용매가스를 처리탱크(10)로 환송시키는 데에도 동리한 가스이송장치(60)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가스이송장치(60)를 사용하여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통하여 역으로 처리탱크(10)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킬 수가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상기한 경우에는 처리탱크(10)의 내부에 부합하에 있게 되어 공기백(6l)에 있는 용매가스는 밸브(50a) 또는 밸브(50b)를 통하여 처리탱크(10)내로 흡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용매가스가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공기중으로 확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하는데에 있는 것이다.
[실시예 4]
본 실시예 4의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특징은 탈취공정에서 처리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하에서 처리탱크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처리탱크의 상부에 또는 공기 회수닥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개구부와, 처리드럼이 정지된 상태하에서 처리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가스이송장치에 의하여 교반되지 않도록 서서히 공기탱크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처리탱크의 하부에 또는 버튼트랩에 설치된 하부 개구부와, 처리탱크의 도어를 열고 세탁된 세탁물을 꺼낸후에 세탁할 세탁물을 처리탱크에 투입시키고 도어를 밀폐시키고 공기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처리드럼의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처리탱크로 다시 환송시킴과 동시에처리탱크내에 있는 공기를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실시예 4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7도는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연관된 실시예 4의 계통도이며, 제8도는 냉각코일이 배설되어 용매가스의 일부를 응축 및 회수시키는 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제7도와 제9도의 실시예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제7도로 나타낸 실시예 4에서 외부공기는 공기 회수닥트(19) 또는 처리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개구부를 통하여 처리탱크(10)로 유입되고, 처리탱크(10)의 하부 또는 버튼트랩(12)의 하부 개구부를 밸브(50a) 또는 밸브(50b) 및 닥트(47a) 또는 닥트(47b)를 통하여 가스콤프레서(60)와 연결하여 처리드럼(11)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하에서 처리탱크(l0)내로 외부공기를 유입하면서 이 처리탱크(10)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서서히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7도의 구성은 제9도의 구성과는 상이한 구성이며, 밸브(50a) 또는 밸브(50b) 및 닥트(47a) 또는 닥트(47b)의 구성은 제1도에서 나타낸 것이지만, 제7도의 실시예는 탱크(6l), 닥트(47a) 또는 닥트(47b) 및 탱크(61)에 연결된 가스콤프레서(60)와 가스콤프레서(60)를 거치지 않고 연결된 밸브(62) 등이 상이한 것이며, 이것은 제1도에서 나타낸 크기가 작은 가스회수장치(30a)를 대체하여 배설된 것이다.
제8도는 냉각코일(71)을 가진 탱크(7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7도에서의 탱크(60) 대신에 사용되는 것이며, 또한, 제8도에서 부호 72는 냉동기이고, 부호 73은 가스회수밸브이며, 부호 74는 용매회수탱크이다.
다음, 제7도의 실시예 4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가스콤프레서(60)와 탱크(61)가 포함된 것이며, 우선, 세탁 및 건조작업을 드라이 클리닝장치내에서 통상적으로 행한 다음 처리드럼(11)을 정지시키고 다음, 상부 개구부의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각각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개방시켜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며, 처리탱크(10), 또는 공기회수닥트(19)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밸브(50a) 또는 밸브(50b)와 콤프레서(60)를 통하여 화살표(20a)방향으로 소정기간동안에 탱크(61)로 이송시킨다. 이때에 밸브(62)는 폐색된다.
상기한 작동은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용매가스가 혼합되지 않도록 소량의 공기를 사용하여 행하게 되며, 또한 이 작동은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처리탱크(10)를 충입시키는 것이다.
다음, 처리탱크(10)의 도어(1)를 열고 세탁이 끝난 세탁물(2)을 꺼낸다음에 세탁할 다른 세탁물(2)을 처리탱크(10)로 투입시키고, 도어(1)를 밀폐시킨다.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개방시킨 채로 탱크(61)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밸브(62)와 밸브(50a) 또는 밸브(50b)를 거쳐서 처리탱크(10)의 하부를 통하여 처리탱크(10)로 이송되고, 이에 의하여 처리탱크(10)내에 있는 공기는 댐퍼(26a) 또는 댐퍼(26b)를 통하여 배출된다. 실시예 4에 있어서 처리탱크(l0)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탱크(61)에 저장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다음, 처리탱크(10)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냉각코일이 내설된 탱크(70)에 저장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경우에는 탱크(70)내에 저장된 용매가스의 일부를 냉동기(72)에 연결된 냉각코일(71)에 의하여 냉각, 응축시켜서 이를 탱크(70)의 저면에 저장시키는 것이다.
탱크(70)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된 용매(4)는 탱크(70)내에 응축이 안된 용매가스와는 분리된 상태로 있게된다. 다음에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이 안된 용매가스를 처리탱크(10)로 환류시키는 한편, 응축된 용매(4)는 용매 회수용 밸브(73)를 열어서 용매회수탱크(74)로 보낸다.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응축된 용매(4)를 용매 회수탱크(74)로 보내는 대신에 수분 분리기(22)로 보내도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용매가스가 공기보다는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공기중으로 확산되지 않아서 이에 의하여 처리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는데에 있는 것이다. 또한, 용매가스는 콤프레서를 사용하여 압축시켜서 저장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탈취공정주에 희석된 용매가스를 압축시켜서 응축 및 액화시켜도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실시예 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이어서 세탁된 세탁물을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꺼낼때에 드라이클리닝장치의 도어를 통하여 작업장으로 누출되는 용매가스의 양을 최저수준으로 제한시킬수가 있는 것이며, 그 결과로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에 부유하고 있는 용매가스를 공기탱크 또는 다른 탱크에 저장시켜서 이를 회수탱크로 환류시키게 되어서 이에따라 용매의 손실을 감소시키게 되고, 또한 FLON오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탈취공정중에 처리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공정과, 처리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외부공기로 대체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처리탱크의 상부 또는 회수용 공기닥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한 처리탱크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공정과, 이 유입공정과, 동시에 상기한 처리드럼이 정지된 상태하에서 용매 회수장치에 연결된 배출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처리탱크내에 있는 상기한 용매가스가 교반되지 않도록 상기한 처리탱크 또는 버튼트랩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한 처리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서서히 배출시키는 공정과, 상기한 용매회수장치를 통하여 상기한 용매가스를 한번 또는 수회에 걸쳐서 재사용하는 공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클리닝장치에서의 용매 회수방법.
  2. 드라이클리닝세탁기의 상부에 공기유입구를 설치하고, 상기한 드라이클리닝세탁기의 하부에 용매가스배출구를 설치하여 상기한 유입구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한 세탁기내에서 발생된 용매가스를 용매가스 배출구를 통하여 활성탄으로 이송시켜서 이에 상기한 활성탄에 의하여 용매가스를 흡수, 회수사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활성탄측으로의 입구측과 상기한 용매가스 배출구 사이에 또다른 공기유입구를 설치하여 상기한 드라이클리닝세탁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농도의 용매가스를 상기 공기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이 희석된 용매가스를 상기한 활성탄에 의하여 흡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이클리닝장치에서의 용매 회수장치.
  3. 탈취공정에서 처리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공정과, 처리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공기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처리탱크의 상부 또는 공기 회수닥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한 처리탱크내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공정과, 상기한 유입공정과 동시에 상기한 처리드럼이 정지된 상태하에서 가스 이송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처리탱크내에 있는 상기한 용매가스가 교반되지 않도록 상기한 처리탱크의 하부에 또는 버튼트랩에 설치된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한 처리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서서히 배출시키는 공정과, 상기한 처리탱크의 도어를 열고 세탁이 끝난세탁물을 꺼낸 후에 세탁할 세탁물은 투입 시키고, 상기한 도어더를 밀폐시키는 공정과, 상기한 가스이송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공기탱크내에 있는 상기한 용매가스를 상기한 처리드럼의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한 처리탱크로 환류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한 처리탱크로부터 공기를 방출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방법.
  4. 처리드럼이 정지된 상태하에서 탈취공정중에 처리탱크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처리탱크의 상부에 또는 공기 회수닥트의 상부에 상부 개구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처리드럼이 정지된 상태하에서 가스이송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처리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교반됨이 없이 서서히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처리탱크 또는 버튼트랩에 하부 개구부를 설치하여 이에 의하여 상기한 용매가스를 공기탱크로 이송시키고, 상기한 처리탱크의 도어를 열고 세탁이 끝난 세탁물을 꺼낸 후에 새로 세탁할 세탁물을 처리탱크로 투입하고, 상기한 도어를 밀폐시키며, 상기한 공기탱크내에 있는 용매가스를 상기한 처리드럼의 하부 개구부를 통하여 환류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처리탱크내에 있는 공기를 상기한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스이송장치는 가스콤프레서로 구성하고, 상기한 용매가스를 이송시키는 공기탱크는 별도로 구성하여 이에 의하여 상기한 용매가스를 압축시켜서 상기한 별도의 공기탱크에 저장하여 이 압축되어 저장된 용매가스를 다시 상기한 처리탱크로 환류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클리닝 장치.
KR1019890015779A 1988-11-30 1989-10-31 드라이크리닝방법 및 장치와 이 장치에서의 용매회수방법 및 장치 KR920005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33986 1988-03-24
JP30239788A JP2617548B2 (ja) 1988-11-30 1988-11-30 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
JP???88-302397 1988-11-30
JP88-302397 1988-11-30
JP???88-162399 1988-12-16
JP88-162399 1988-12-16
JP1988162399U JPH0286485U (ko) 1988-12-16 1988-12-16
JP89-33986 1989-03-24
JP1989033986U JPH02126590U (ko) 1989-03-24 1989-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677A KR900014677A (ko) 1990-10-24
KR920005859B1 true KR920005859B1 (ko) 1992-07-23

Family

ID=2728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779A KR920005859B1 (ko) 1988-11-30 1989-10-31 드라이크리닝방법 및 장치와 이 장치에서의 용매회수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107605A (ko)
EP (1) EP0371569B1 (ko)
KR (1) KR920005859B1 (ko)
CN (2) CN1017356B (ko)
DE (1) DE6892546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252A (en) * 1988-11-30 1993-03-2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ry cleaning as well as a method for recovery of solvent therein
IT1246821B (it) * 1990-06-21 1994-11-28 Multimax Srl Dispositivo per il recupero di solventi in macchine lavasecco.
US5346534A (en) * 1990-09-12 1994-09-13 Baxter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treating an article with a volatile fluid
US5232476A (en) * 1990-09-12 1993-08-03 Baxter International Inc. Solvent recovery and reclamation system
US5236580A (en) * 1991-07-08 1993-08-17 Kelleher Equipment Co., Inc. Device for reclaiming dry cleaning solvent from a dry cleaning machine
US5267455A (en) * 1992-07-13 1993-12-07 The Clorox Company Liquid/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ry cleaning system
US5625915A (en) * 1993-05-14 1997-05-06 Cyclo3Pss Textile Systems, Inc. Laundry ozone injection system
US5374337A (en) * 1993-08-20 1994-12-20 Technichem Engineering, Ltd. Halohydrocarbon recovery process
US5573730A (en) * 1995-05-09 1996-11-12 Gillum; Theodore J.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irborne residues
US6006387A (en) 1995-11-30 1999-12-28 Cyclo3Pss Textile Systems, Inc. Cold water ozone disinfection
US5763382A (en) 1996-01-03 1998-06-09 Cyclo3Pss Textile Systems, Inc. Cold water wash formula
US5690703A (en) * 1996-03-15 1997-11-25 Valence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of preparing electrochemical cells
CN1086213C (zh) * 1996-11-25 2002-06-12 张志芳 干洗机
US6006445A (en) * 1998-09-03 1999-12-28 Large; Ronald D. Washer/dryer combination
US6212916B1 (en) 1999-03-10 2001-04-10 Sail Star Limited Dry cleaning process and system using jet agitation
US6260390B1 (en) 1999-03-10 2001-07-17 Sail Star Limited Dry cleaning process using rotating basket agitation
US6128830A (en) * 1999-05-15 2000-10-10 Dean Bettcher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solid articles
US6200618B1 (en) 1999-10-18 2001-03-13 Ecopure Food Safety Systems, Inc. Cold water disinfection of foods
US6458398B1 (en) 1999-10-18 2002-10-01 Eco Pure Food Safety Systems, Inc. Cold water disinfection of foods
US6776801B2 (en) 1999-12-16 2004-08-17 Sail Star Inc. Dry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ITBO20010605A1 (it) * 2001-10-03 2003-04-03 Sodibo Spa Circuito di asciugamento per macchine lavasecco, per solvente n-propil-bromuro
US20030092955A1 (en) * 2001-11-09 2003-05-15 Mouw Kenneth W. Method for the elimination of hazardous waste from dry cleaning waste products
US20050204478A1 (en) * 2004-03-16 2005-09-22 Middleton Richard G Method for cleaning textile absorbers
KR20050114107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가 구비된 세탁기 및 그 탈취방법
ES2279675B1 (es) * 2005-03-23 2008-08-01 Ibai, S. Coop. Armario de desarrugado y secado de ropa.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KR100839047B1 (ko) * 2006-09-15 2008-06-17 이진식 멀티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E102008029431A1 (de) * 2008-06-23 2009-12-24 Prinovis Ltd. & Co. Kg Vorrichtung zur Lösemittelrückgewinnung
DE102009028931A1 (de) * 2009-08-27 2011-03-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dsorptions-Trockners und Trockner zur Realisierung des Verfahrens
PL2386678T3 (pl) * 2010-05-10 2017-04-28 Whirlpool Corporation Suszarka z obiegiem zamkniętym i sposób suszenia odzieży z wykorzystaniem takiej suszarki
CN102839519B (zh) * 2011-06-22 2017-05-03 海尔集团公司 一种家用干洗机及衣物的干洗方法
CN107385807A (zh) * 2017-08-04 2017-11-2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US11504644B2 (en) * 2020-07-02 2022-11-22 Colorado Extraction Systems, LLC Closed loop extra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3657A (en) * 1928-06-09 1932-02-02 Public Ind Corp Dry-cleaning apparatus
DE2852449C2 (de) * 1978-12-04 1982-03-04 August Lepper Maschinen- U. Apparatebau Gmbh, 5340 Bad Honnef Trommelwasch- und Trockenmaschine
DE2915735A1 (de) * 1979-04-19 1980-11-06 Krugmann Hans Guenth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lueftung der trommel einer trockenreinigungsmaschine mit in einem geschlossenen luftkreislauf angeordneter loesemittelrueckgewinnungseinrichtung
US4622039A (en) * 1985-03-15 1986-11-11 Rosario Merend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covery and reuse of solvents in dry cleaning systems
DE3609587C1 (de) * 1986-03-21 1986-12-04 BÖWE Reinigungstechnik GmbH, 8900 Augsburg Vorrichtung zur Rueckgewinnung von Loesemittelga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356B (zh) 1992-07-08
CN1061060A (zh) 1992-05-13
CN1032495C (zh) 1996-08-07
EP0371569A3 (en) 1990-08-01
KR900014677A (ko) 1990-10-24
DE68925469D1 (de) 1996-02-29
US5123176A (en) 1992-06-23
US5107605A (en) 1992-04-28
EP0371569A2 (en) 1990-06-06
DE68925469T2 (de) 1996-05-30
CN1043176A (zh) 1990-06-20
EP0371569B1 (en)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859B1 (ko) 드라이크리닝방법 및 장치와 이 장치에서의 용매회수방법 및 장치
KR0152684B1 (ko) 의류의 세정.건조방법
US4513590A (en) Combination filter apparatus for use with a dry cleaning machine
US428201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an adsorption agent
JPS5924848B2 (ja) 空気流から溶媒蒸気を吸着する装置
US4885099A (en) Closed system solvent stripping and reclaiming apparatus
SU1744158A1 (ru) Машина дл химической чистки текстильных изделий
US5467539A (en)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solvent vapors in drycleaning machines
US5195252A (en) Method for dry cleaning as well as a method for recovery of solvent therein
JP2617548B2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
JP4530472B2 (ja) 有機溶剤回収装置、及び同回収方法
JP2813454B2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
KR102496993B1 (ko) 진공 에멀젼 세정 장치
KR102039167B1 (ko) 세탁 용제 정화 장치, 이를 구비한 드라이 클리닝 세탁기, 상기 드라이 클리닝 세탁기의 작동 방법
JP2948302B2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機械
JPH0571281B2 (ko)
JPH07136385A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
JP2992480B2 (ja) 洗浄装置または蒸留再生装置若しくは減圧乾燥装置に於ける溶剤ガス回収または吸引装置
JPH0747109Y2 (ja) ドライクリーナ用溶剤回収装置
JPH0815518B2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における溶剤回収方法
JPS63288192A (ja) ドライクリ−ニング装置の運転方法
JPH0919596A (ja) 可燃溶剤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装置
JP2960989B2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機械及び方法
JPS6357082B2 (ko)
JPH04114697A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