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582B1 -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종료 해제 신호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종료 해제 신호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582B1
KR920005582B1 KR1019890011640A KR890011640A KR920005582B1 KR 920005582 B1 KR920005582 B1 KR 920005582B1 KR 1019890011640 A KR1019890011640 A KR 1019890011640A KR 890011640 A KR890011640 A KR 890011640A KR 920005582 B1 KR920005582 B1 KR 920005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ing
terminal
switch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619A (ko
Inventor
이병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582B1/ko
Publication of KR91000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종료 해제 신호 검출회로
제1도는 종래의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중 링 검출회로의 구체회로도.
제3도는 제1도중 릴레이 구동부의 구체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블럭구성도.
제5도는 제4도중 링 및 백링 검출회로의 구체회로도.
제6도는 제4도중 릴레이 구동부 및 백링 제어신호 발생부의 구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랜스 2 : 하이브리드 회로
3, 4 : 이동 증폭부 5 : 밸런스 네트워크
10 : 링 검출부 20 : 릴레이 구동부
30 : 백링 검출부 40 : 백링 제어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링 다운 전용선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 다운 전용선 회로에서 링 다운 전용선 가입자가 전용선 중계에 의한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백링을 검출하면 통화 라인을 해제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용선 카드(Tie card)는 다른 교환기와의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링 다운(ring down), 이어 & 마우스(Ear Mouth), 보스 웨이(Both Way) 방식의 3가지 종류가 있다. 상기 링 다운(이하 R/D라 칭함) 방식은 호출 방식이 간단하고 호출 신호 전압(ring 신호)이 높으므로 원거리 방식에 적합하며, 교환기와 특정 가입자간에 링 다운 전화기만으로 통신이 가능하나 피호출 가입자를 일정 시간에만 호출하므로 응답이 없을때에는 다시 호출해야 하고, 상대국 또는 상대기압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즉 R/D 신호 방식은 교환 접속에서 통화 회선으로 필요할때마다 상대국에 링 신호를 보내어 상대국의 가입자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양국간의 회전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먼저 상기와 같은 R/D 전용선 카드의 착신 과정(incoming)을 살펴보면, 링 신호 입력시 제2도와 같은 링 검출부(10)가 이를 검출한다. 즉, 아이들 상태에서 스위치(SW2, SW1)는 NC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팁, 링 라인을 통한 링신호는 제2도와 같은 링 검출부(10)에서 이를 검출하여 릴레이 구동부(20)로 인가한다. 상기 링 검출 신호가 플립플롭(DF2)의 클럭단자로 인가되므로, 플립플롭(DF2)은 "하이"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는 오아게이트(OG1)를 통해 플립플롭(DF3)의 클리어단으로 인가되어 플립플롭(DF3)을 클리어시킨다. 이때 훅크-오프(hook-off) 신호가 발생되고, 해당 R/D 가입자의 채널 번호(channel number)가 지정하면 플립플롭(DF1)은 플립플롭(DF3)으로 클럭을 공급하게 되지만, 이 플립플롭(DF3)은 현재 클리어 상태에 있으므로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onostable Multivibrator)(M1)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어 제2릴레이(RY2)의 출력을 쉬프팅시킨다. 이후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SR1)의 쉬프팅 동작이 완료되면, 이 출력은 상기 플립플롭(DF1)에 인가되며, 상기 쉬프트레지스터(SR1)는 타이머(T1)에서 발생하는 출력을 클럭으로 상기 플립플롭(DF1)를 동작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립플롭(DF1)은 쉬프트레지스터(Static Shift Register)(SR1)을 클리어시켜 제2릴레이(RY2)이 구동을 차단하므로 스위치(SW2) 상태를 계속 유지케 하며 앤드게이트(AG1)를 통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게 되어 제1릴레이(RY1)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스위치(SW1)의 접점이 no 단자로 절체되며, 이에 따라 통화회로가 형성되어 통화를 가능케 한다.
두번째로 발신 과정(outgoing)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훅크 오프하여 훅크 오프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훅크오프 신호가 플립플롭(DF1)의 데이타 입력단자로 인가되고, 채널 번호가 지정되면 이 신호를 클럭으로 입력하게 되므로, 플립플롭(DF1)은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플립플롭(DF1)의 출력은 플립플롭(DF3)의 클럭으로 인가되는데, 오아게이트(OG1)의 출력은 "로우"상태이므로 플립플롭(DF3)은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1)는 캐피시터(C21) 및 저항(R23)의 시정수에 따른 펄스폭을 갖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는 앤드게이트(AG2)를 통해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게 되어 제2릴레이(RY2)를 구동시킨다. 이로 인해 스위치(SW2)가 NC 단자로 NO 단자로 절체되어 링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SW2)의 절체 시간은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1)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플립플롭(DF1)의 출력은 쉬프트레지스터(SR1)에서 소정 지연된 후 플립플롭(DF2, DF3)을 클리어시켜 스위치(SW2)의 접점은 NC 단자측으로 고정시키게 되는 동시에 앤드게이트(AG1)를 통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므로 제1릴레이(RY1)가 구동되어 스위치(SW1)를 NO 단자측으로 절체시킨다. 따라서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R/D 전용선 가입자가 전용선중계를 통해 통화를 수행한 경우, 통화가 종료된 후에 각 가입자가 훅크 온(hook-on)을 하면 해당통화 가입자가 연결된 교환기는 가입자의 훅크 온/오프를 검사하면 통화 라인을 자동 복구시킬 수 있으나, 중계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tie tandem 교환기)는 전용선을 통해 계속 통화중 상태로 인지하게 된다. 이때 전용선 중계 교환기가 복구하는 방법은 중계대(console)에서 감시하여(monitoring)하여 통화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복구시켜 주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전용선 복구 과정이 복잡하게 되었으며, 중계대에서 부주의하게 조작하거나 중계대 운용자가 자리를 비운 경우에는 전용선이 계속하여 비지상태가 되어 전용선을 이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링 다운 전용선 카드를 갖는 교환기에서 해당 교환기가 전용선 중계 교환을 수행할 시 백링의 상태를 검출하여 전용선을 자동 복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R/D 전용선 카드의 구성 블럭도로서, 트랜스(1)는 전용선의 팁 및 링단자와 하이브리드(2)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회로(2)는 상기 트랜스(1)와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1)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이득증폭부(3, 4)는 상기 하이브리드회로(2)와 연결되며, 상기 하이브리드회로(2)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디코더로 출력하는 동시에 코더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하이브리드회로(2)로 출력한다. 밸런스네트워크(5)는 상기 하이브리드회로(2)와 연결되며, 외부 밸런스신호에 의해 상기 하이브리드회로(2)의 임피던스등을 매칭시킨다.
제2스위치 SW2는 공통단자가 상기 전용선과 연결되며, 제1단자 NC가 통화로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2단자 NO가 링발생기와 연결된다. 상기 제1스위치 SW2는 평상시 NC 단자와 연결되어 링발생기와 연결된다. 상기 제1스위치 SW2는 평상시 NC 단자와 연결되어 통화로 측에 위치하며 제2스위치신호 발생시 제2단자 NO로 스위칭되어 링발생기 측으로 연결된다. 제1스위치 SW1은 공통단자가 제2스위치 SW2의 제1단자 NO를 통해 전용선과 연결되며, 제1단자 NO가 통화로측의 상기 트랜스(1)와 연결되는 동시에 제2단자 NC가 링검출부(10)와 연결된다. 상기 제1스위치 SW1은 상기 전용선을 평상시 상기 링검출부(10)와 연결하며, 제1스위칭신호 발생시 상기 전용선을 제2단자 NC로 스위칭하여 통화로 측의 트랜스(1)와 연결한다. 상기 링검출부(1)는 상기 제1스위치 SW1의 제1단자 NC와 연결되며, 상기 전용선을 통해 링 신호가 수신될 시 이를 검출한다. 백링검출부(30)은 상기 트랜스(1)의 양단에 연결되며,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용선으로부터 백링 신호가 수신될 시 이를 검출한다. 백링제어부(40)은 상기 백링검출부(30)와 연결되며, 상기 백링검출신호 수신시 현재 형성된 통화로를 단절하기 위한 제1스위칭 해제신호를 발생시킨다. 스위치제어부(20)은 상기 링검출부(10) 및 상기 백링제어부(30)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교환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채널지정신호 및 훅크오프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스위치제어부(20)는 상기 훅크오프신호 및 채널지정신호 감지시 상기 제2스위칭신호를 발생하고 소정 시간 지연 후에 상기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제2스위칭 신호를 해제하여 발신 통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링검출신호 감지시 제2스위칭신호의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하여 착신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제5도는 상기 제4도중 링검출부(10) 및 백링검출부(30)의 구체회로도로서, 브리지다이오드(BD1), 저항(R2-R7), 포토커플러(PC1), 캐패시터(C2) 및 다이오드(D1)로 구성된 부분이 링 검출부(10)에 대응되고, 브리지다이오드(BD2), 저항(R8-R13), 포토커플러(PC2), 캐패시터(C3) 및 다이오드(D2)로 구성된 부분이 백링 검출부(30)에 대응되며, 링 검출부(10)와 백링 검출부(30)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6도는 상기 제4도중 스위치제어부(20)와 백링제어신호발생부(40)의 구체회로도이다.
스위치제어부(20)는 플립플롭(DF1-DF3), 타이머(T1), 쉬프트레지스터(SR1), 오아게이트(OG1), 모토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1), 앤드게이트(AG1-AG2), 트랜지스터(Q1-Q2), 다이오드(D21, D22), 릴레이(RY1-RY2)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제어부(20)의 구성에서 플립플롭 DF1은 상기 채널지정신호를 클럭으로 수신하고 상기 훅크오프신호를 데이타로 수신하며, 상기 훅크오프신호 감지시 이를 래치한다. 상기 쉬프트레지스터 SR1은 상기 플립플롭 DF1의 출력을 데이타로 입력하고 타이머 T1의 추력을 클럭으로 입력하며, 상기 훅크오프신호 수신시 이를 상기 타이머 T1의 출력으로 소정지연하여 상기 제1스위칭신호로 발생한다. 또한 플립플롭 DF2 및 DF3, 오아게이트 OG1, 모노스테이블 멀타바이브레이터 M1은 상기 제2스위칭신호의 발생 및 해제를 제어한다. 즉 상기 플립플롭 DF2는 상기 제1스위칭신호를 클리어 신호로 수신하고 상기 링검출부(10)의 출력을 클럭신호로 수신하므로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링검출 신호 수신시 논리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플립플롭 DF3는 오아게이트 OG1을 통해 상기 링 검출 신호 또는 상기 제1스위칭신호를 클리어 단자로 수신하며 상기 신호를 수신할시 상기 제2스위칭신호를 해제하기 위한 논리 로우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플립플롭 DF1의 출력을 클럭 단자로 수신하여 상기 훅크 오프 감지 신호 수신시 상기 제2스위칭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논리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모노 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 M1은 상기 플립플롭 DF3의 출력을 데이타로 수신하며, 논리 하이 신호 수신시 트리거되어 제2스위칭신호를 발생하고 논리 로우 신호 수신시 상기 제2스위칭신호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백링제어 신호발생부(40)은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2),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EG) 및 저항(R26)으로 구성된다. 상기 백링제어신호발생부(40)의 구성에서,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 M2는 상기 백링신호검출부(30)의 출력을 데이타로 입력하여 상기 백링검출신호 감지시 소정주기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고, 익스클루시브오아게이트 EG는 상기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 M1의 출력을 수신하며,상기 펄스 신호 수신시 게이팅되어 상기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R/D 신호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호출 가입자를 일정시간만 호출하는 전용선 신호 방식이므로, R/D 가입자가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재차 해당 R/D 가입자를 호출하여야 한다. 상기 R/D 전용선 카드는 한장의 보드에 4개의 R/D 전화 가입자를 수용하게 되며, 제4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제4도에서는 백링검출부(30) 및 백링제어신호발생부(40)를 추가하여, 해당 교환기가 전용선 중계 기능(tie tandem)을 수행하는경우 호출 R/D 전화 가입자와 피호출 R/D 전화 가입자간에 통화 상태를 감지하여 통화 종료시 전용선을 자동적으로 복구(release)하도록 한다.
먼저 착신 과정을 살펴보면, 링 신호 발생시 제2스위치(SW2) 및 제1스위치(SW1)는 NC 단자 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팁 및 링(tip & ring) 라인을 통한 링신호를 링검출부(10)로 공급되며, 링검출부(10)에서 링 신호를 검출하여 스위치제어부(20)로 인가한다. 이때 플립플롭(DF2)는 상기 링 검출 신호를 클럭으로 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하며, 이로인해 플립플롭(DF3)가 클리어되어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1)가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제2릴레이(RY2)로 전류 통로가 형성되지 못해 제2스위치(SW)는 NC 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훅크 오프 신호가 발생되고 채널 지정 번호가 지정되면, 플립플롭(DF1)은 상기 훅크 오프 신호를 데이타로 하고 상기 채널 지정 번호를 클럭으로 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로 인해 상기 플립플롭(DF3)으로 클럭신호를 공급하지만, 상기 플립플롭(DF3)는 클리어 상태이므로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1)가 동작되지 못해 제2릴레이(RY2)는 동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스위치(SW2)는 NC 단자측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플립플롭(DF1)의 출력은 쉬프트레지스터(SR1)의 입력으로 공급되는데, 쉬프트레지스터(SR1)는 타이머(T1)의 출력에 따라 상기 플립플롭(DF1)의 출력을 소정 지연시킨 후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는 플립플롭(DF2, DF3)을 클리어시켜 제2스위치(SW2)의 상태를 계속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쉬프트레지스터(SR1)의 출력은 앤드게이트(AG1)로 입력시키는데, 이때 백링 검출 신호는 발생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제1상태인 "하이"신호가 앤드게이트(AG1)의 또다른 입력으로 인가되어 앤드게이트(AG1)의 출력은 "하이"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은 턴온상태가 되며, 이로인해 제1릴레이(RY1)가 구동되므로서 제1스위치(SW1)는 NC 단자측에서 NO단자로 절체되어 통화로를 형성하게 된다.
두번째로 발신 과정을 살펴보면, 훅크 오프 신호 발생후 채널 지정 번호가 발생되면, 플립플롭(DF1)은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플립플롭(DF1)의 "하이"신호는 플립플롭(DF3)의 클럭단으로 인가되므로, 플립플롭(DF3)은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1)는 저항(R23) 및 캐패시터(C21)의 시정수에 따른 펄스폭을 갖는 "하이"신호를 출력하며,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제2릴레이(RY2)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2스위치(SW2)는 NC 단자측에서 NO 단자측으로 절체되어 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스위치(SW2)가 NO 단자측으로 접속하는 시간은 상기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1)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플립플롭(DF1)의 출력은 쉬프트레지스터(SR1)에 입력된 후 소정 지연되어 상기 플립플롭(DF2, DF3)을 클리어시키므로, 제1릴레이(RY2)는 구동되지 못하며, 이로인해 제2스위치(SW2)는 NC 단자로의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쉬프트레지스터(SR1)의 출력은 앤드게이트(AG1)로 인가되어 제1릴레이(RY1)를 구동시키므로, 제1스위치(SW1)는 NC 단자에서 NO 단자측으로 절체되어 통화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신 또는 착신 과정을 통해 통화로를 형성하게 되면, 제2스위치(SW2)는 NC 단자측에 위치되며, 제1스위치(SW1)는 NO 단자측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통화를 수행하다가 통화를 종료할 경우, 호출 가입자 또는 피호출 가입자가 통화를 종료한다는 백링(back ring)신호를 발생하면, 백링 검출부(30)가 이를 검출하게 된다. 즉 백링 검출부(30)는 트랜스(1)를 통해 유기되는 백링 신호를 "하이"상태의 TTL 레벨로 변환하며, 이 백링 검출신호는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2)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2)는 저항(R25) 및 캐패시터(C22)의 시정수에 따른 펄스폭을 갖는 "하이"신호를 출력하며,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EG)는 상기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2)의 출력과 저항(R26)을 통한 전원전압(+5V)을 배타적 논리합하는데, 백링 신호 발생시에는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2)에서 '하이"신호를 발생하므로 제2상태 신호인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앤드게이트(AG1)는 훅크 오프 신호의 상태에 관계없이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키므로 제1릴레이(RT1)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그러므로 제1스위치(SW1)는 NO단자측에서 NC단자측으로 절체되므로 통화로가 자동 복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R/D 전용선 카드를 갖는 교환기에서, 백링 신호의 발생 유무에 따라 통화로를 자동 복구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해당 교환기가 전용선 중계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백링 신호에 의해 전용선의 비지상태를 자동 복구할 수 있어 전용선의 통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링/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로 제어 회로에 있어서, 공통단자가 상기 전용선과 연결되고, 제1단자가 통화로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2단자가 링발생기와 연결되며 평상시 상기 공통단자와 제1단자가 연결되고 제2스위칭신호 발생시 상기 공통단자와 제2단자가 연결되는 제2스위치와, 공통단자가 전용선과 연결되고, 제2단자가 통화측과 연결되며 평상시 상기 공통단자와 제1단자가 연결되고 제1스위칭신호 발생시 상기 공통단자와 제2단자가 연결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의 제1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전용선을 통해 링 신호가 수신될 시 이를 검출하는 링검출부와, 상기 통화로 측의 트랜스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치의 공통단자와 제2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용선으로부터 백 링 신호가 수신될 시 이를 검출하는 백링검출부와, 상기 백링검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백 링 검출 신호 수신시 형성된 통화로를 단절하기 위한 제1스위칭 해제신호를 발생하는 백링제어부와 상기 링검출부(10) 및 상기 백링제어부(30)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교환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채널지정신호 및 훅크오프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훅크오프신호 및 채널지정신호 감지시 상기 제2스위칭신호를 발생하고 소정 시간 지연후에 상기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제2스위칭신호를 해제하여 발신 통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링검출신호 감지시 제2스위칭신호의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하여 착신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로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제어부가, 상기 채널 지정 신호를 클럭으로 수신하고 상기 훅크 오프 신호를 데이타로 수신하며, 상기 훅크 오프 신호 감지시 상기 채널 지정 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출력을 데이타로 수신하며 상기 훅크 오프 신호 수신시 소정 주기의 클럭 신호에 의해 지연시켜 상기 제1스위칭신호로 출력하는 쉬프트레지스터와, 상기 제1스위칭신호 및 상기 링 검출신호를 클리어 신호로 수신하고 상기 래치의 출력을 클럭으로 수신하며, 상기 훅크 오프 신호 감지시 상기 제2스위칭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스위칭신호 또는 상기 링 검출 신호 수신시 상기 제2스위칭신호를 해제하는 스위치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로 제어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링제어부가 상기 백링검출부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백 링 검출신호 감지시 소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펄스 신호 수신시 게이팅되어 상기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링/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로 제어 회로.
  4. 링/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로 제어 회로에 있어서, 공통단자가 전용선과 연결되며 제1단자가 링검출부와 연결되고 제2단자가 통화로측과 연결되며, 평상시 상기 공통단자와 제1단자가 연결되고 제1스위칭신호 발생시 상기 공통단자와 제2단자가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통화로 측의 트랜스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치의 공통단자와 제2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용선으로부터 백 링 신호가 수신될 시 이를 검출하는 백링검출부와, 상기 백링검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백링 검출 신호 수신시 형성된 통화로를 단절하기 위한 제1스위칭해제신호를 발생하는 백링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로 제어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백링제어부가, 상기 백링검출부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백 링 검출 신호 감지시 소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 상기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펄스 신호 수신시 게이팅되어 상기 제1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로 제어 회로.
KR1019890011640A 1989-08-16 1989-08-16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종료 해제 신호 검출회로 KR920005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640A KR920005582B1 (ko) 1989-08-16 1989-08-16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종료 해제 신호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640A KR920005582B1 (ko) 1989-08-16 1989-08-16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종료 해제 신호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19A KR910005619A (ko) 1991-03-30
KR920005582B1 true KR920005582B1 (ko) 1992-07-09

Family

ID=1928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640A KR920005582B1 (ko) 1989-08-16 1989-08-16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종료 해제 신호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4809C (zh) * 2002-12-09 2008-06-11 北京凯华网联技术有限公司 移动电话智能网上实现电话呼叫回铃音替换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4809C (zh) * 2002-12-09 2008-06-11 北京凯华网联技术有限公司 移动电话智能网上实现电话呼叫回铃音替换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19A (ko) 199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727B1 (ko) 종합정보통신망 단말기 어댑터용 전화기 접속장치
JP2656030B2 (ja) 電話・フアクシミリ切換方式
KR920005582B1 (ko) 링 다운 전용선 카드의 통화종료 해제 신호 검출회로
JPH01235447A (ja) 有線端末装置
US5226072A (en) Facsimile machine having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44717B2 (ko)
JPH0243870A (ja) 転送制御装置
JP2601280B2 (ja) 会議電話装置
JP3033103B2 (ja) 交換処理方式
US20040032938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d for notifying calling telephone number,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3103654B2 (ja) データ端末装置
JPH0244848A (ja) 公衆電話機三者通話装置
JPS61127268A (ja) 2系統給電電話機
JPH03179857A (ja) ファクシミリ及び留守番電話受信方式
JPS61264853A (ja) 端末装置
JP2615029B2 (ja) 加入電信網用加入者線インタフエース回路
JP2543060B2 (ja) 電話交換機
JPH0234505B2 (ko)
JPH06197165A (ja) 交換機における通話保留方式
JPS58225767A (ja) フアクシミリ通信方式
JPH04270595A (ja) ボタン電話装置
JPS5955668A (ja) 話中状態識別方式
JPH01151867A (ja) Dbuによる通信方式
JPH04180497A (ja) 切断保留方式
JPH01233870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