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527B1 - 이동식 크레인의 변위억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의 변위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527B1
KR920004527B1 KR1019890012415A KR890012415A KR920004527B1 KR 920004527 B1 KR920004527 B1 KR 920004527B1 KR 1019890012415 A KR1019890012415 A KR 1019890012415A KR 890012415 A KR890012415 A KR 890012415A KR 920004527 B1 KR920004527 B1 KR 920004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ccumulator
mode
pressur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833A (ko
Inventor
요시미 사오도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90001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66C13/06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for minimising vibration of a b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E02F9/2207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for reducing or compensating osci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의 변위억제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유압회로도,
제 2 도는 유압회로용 제어공정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유합회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유압회로용 제어공정도,
제 5 도는 이동식 크레인의 개략측면도 및
제 6 도는 종래의 대응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차체 3 : 부움
4, 18, 50 : 유압실린더 11, 30 : 방향제어밸브
22 : 주유압펌프 23 : 보조유압펌프
33 : 카운터 밸런싱밸브 44 : 주파일럿 체크밸브
45 : 보조파일럿 체크밸브 60 : 제어기
62 : 댐퍼스위치
본 발명은 거친 지형에서 사용되는 크레인과 같은 이동식 또는 자동추진식 타입의 크레인의 주행에서 진동 및 떨리는 동작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5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크레인은 부움상승 실린더(4)를 통하여 수평축(5) 주위로 선회동작을 하기 위하여 구동바퀴(1)상에 지지되는 차체(2)상에 선회축으로 지지되는 부움(3)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이동식 크레인으로, 차체(2)는 도로표면상의 기복 또는 불규칙함에 따라 또는 차체(2)의 돌발적인 가속 또는 감속으로 인하여 주행동안 진동 또는 떨림동작을 경험하며, 부움(3) 및 다른 부착물도 또한 떨림운동을 하게 되어 차체(2) 차체의 진동 및 떨림동작을 증가시키고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탑승의 불안감을 준다는 것은 통상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
주행중 이러한 진동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일본 특개소 제 59-182159 호에 개시된 장치가 당해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제 6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기술장치는 부움상승 실린더(18)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댐퍼장치(19), 실린더(18)의 하중을 유지하고 있는 오일챔버(181)와 연통하고 있는 도관(13)에 제공된 카운터 밸브런싱밸브(12) 및 전자전환밸브(16)와 도관(13) 및 다른 오일챔버(182)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17) 또는 방향제어밸브(11)에 연통되어 있는 도관(14) 사이에서 제공되어 있는 셔틀밸브(15)를 채용하고 있다.
종래기술장치에 따르면, 만약 전환밸브(16)가 위치(A)에 있을때 방향제어밸브(11)는 부움상승 또는 부움하강위치로 전환된다면, 오일압력은 부움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실린더(18)를 확장시키거나 또는 수축시키는 실린더(18)의 오일챔버(181 또는 182)에 공급되어진다.
만약 전환밸브(16)가 위치(B)로 전환된다면, 도관(13)은 전자밸브(16) 및 셔틀밸브(15)를 통하여 도관(17)에 연통되며, 오일챔버(181, 182) 및 댐퍼장치(19)의 오일챔버(191)를 통하여 폐쇄회로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하여 차량이 주행할때 차체(1)에 대하여 떨리는 동작을 억제시킨다.
이러한 종래기술장치에서, 전환밸브(16)는 진동억제기능을 위하여 위치(B)로 유지되어 있는 전환밸브(16)와 함께 차량의 구동작동과정에서 연료를 재충전시키기 위하여 주유소에서 운전자가 엔진을 꺼서 멈추게 하는 경우에서 처럼 차량의 키이가 동력스위치를 오프상태로 하기 위하여 뽑혀질때 전환밸브의 솔레노이드를 비여자시킴으로써 위치(A)로 복귀되어진다.
연료를 재충전한 후에 차량을 재출발시킬때, 만약 동력이 엔진을 재시동시키기 위하여 온상태로 된다고 할지라도 전환밸브(16)는 만약 댐퍼스위치가 주행위치로 설정되지 않았다면 위치(A)로 유지한다.
즉 차량을 재출발시킬때, 운전자는 엔진을 재시동시킨 후 전환밸브(16)를 위치(B)로 다시 전환하여야 한다. 만약 이러한 절차가 무시된다면, 전환밸브(16)는 차량 주행동안에 위치(A)에 있으며 감쇠작용효과를 일으킬 수 없으며 그리고 결과적으로 승차감을 불안하게 만든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결점 또는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려되었으며 그리고 이동식 크레인의 떨림동작을 감쇠시키기 위한 장치를 본 발명의 목적으로서 제공하며, 그것은 주유소에서 일시적인 정지 후 예를 들면 연료충전을 위하여 주유소에서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재시동시킬때 즉 엔진을 재시동시키면서 엔진이 꺼지기전 상태(주행모우드)로 회복시키며 차량을 진동감쇠작용으로서 안락하게 재출발시키고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식 타입크레인의 진동 또는 떨림동작을 억제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지며 그리고 장치는 수평축 주위로 선회동작을 위하여 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차체상에 선회축으로 지지되어 있는 부움, 제 1 하중유지작용 오일챔버 및 유압실린더의 대향하는 제 2 오일챔버까지 왕래하는 주유압펌프의 토출오일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방향제어밸브, 유압실린더 및 방향제어밸브 사이에서 제공되어 있는 카운터 밸런싱밸브, 차체의 진동억제시키기 위하여 유압실린더 및 카운터 밸런싱밸브 사이에서 제공된 어큐뮬레이터, 제 1 및 제 2 오일챔버를 어큐뮬레이터와 연통되어 있는 회로를 통하여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주행모우드위치 그리고 폐쇄회로와 관계없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 1 및 제 2 오일챔버로 왕래하는 오일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작동모우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모우드 선택부재, 엔진 작동상태하에서 작동모우드가 차량주행 모우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재 및 엔진을 끄기전 즉시 작동모우드를 재산출하기 위하여 그리고 모우드 선택자부재를 기억부재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엔진을 재출발시킬려는 재산출위치로 설정하기 위하여 채용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의 축적된 압력이 차량주행을 위하여 적당한지 여부에 대하여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부재를 제공하는 것은 편리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장치는 전동창치를 통하여 분리될 수 있게 엔진에 연결되어 있는 주유압펌프 및 엔진으로 부터 항상 구동되어지는 보조유압펌프를 포함하고 있다. 모우드 선택부재는 제1 오일챔버로 부터 제 2 오일챔버까지 오일을 봉쇄하기 위한 작동모우드위치 및 2개의 오일챔버를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주행모우드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제 1 전환밸브, 제 2 오일챔버로 부터 어큐뮬레이터까지 오일유동을 봉쇄하기 위한 작동모우드 및 제 2 오일챔버를 어큐뮬레이터와 연통시키기 위한 주행모우드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2 전환밸브, 제 2 오일챔버로부터 방향제어밸브까지 오일유동을 봉쇄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주파일럿 체크밸브 및 보조펌프로 부터 파일럿 체크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밸브개방 파일럿까지 파일럿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작동모우드위치 및 파일럿 도관을 탱크까지 전달하기 위한 주행모우드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3 전환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장치는 보조펌프로부터 어큐뮬레이터까지 오일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위치 및 압력충전을 금지시키기 위한 봉쇄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4 전환밸브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 2 전환밸브 및 어큐뮬레이터 사이에서 어큐뮬레이터 도관으로 부터 적용된 파일럿 압력이 소정의 수준보다 낮을때 작동모우드위치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그리고 소정수준보다 높을때 주행모우드위치로 전환되는 제 1 전환밸브용 파일럿된 전환밸브가 채용될 수 있으며 반면에 다른 전환밸브용 전자밸브가 채용될 수 있다.
진동감쇠장치는 동력전달장치를 온 및 오프하는 전동스위치 및 모우드 선택부재의 주행모우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하지 않는 댐퍼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기는 이러한 스위치 및 기억부재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모우드 선택자의 전환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채용된다.
상기 언급된 장치를 가지면서 차량주행용 모우드위치에서 모우드 선택부재와 함께 차량의 구동작동에 있어서, 승차의 안락감을 어큐뮬레이터의 감쇠작용에 의하여 개선된다. 만약 엔진이 차량의 구동작동 도중에 꺼진다면, 즉시 엔진이 꺼지기전 작동상태는 기억부재에 기억되고 그리고 엔진이 재시동될때는 모우드 선택부재는 차량의 구동작동동안 감쇠작용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기억내용에 따라 자동적으로 차량주행 모우드로 회복되도록 제어된다.
차량을 재시동할시 모우드 선택부재를 차량이동 모우드로 재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것은 운전성을 매우 향상시킨다. 더욱이, 상기 언급된 전환밸브의 결합은 각각의 작동의 제어 및 차량주행 모우드를 매우 부드럽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실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 설명으로 부터 뚜렷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제 1 도는 ,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 5 도에 예시되어 있는 이동식 타입크레인상에 장착되어 있는 엔진은 20으로 표시되어 있다. 주유압펌프(22)은 동력전달장치(PTO)를 통하여 엔진(20)과 연결되어 있으며 반면에 보조유압펌프(23)은 엔진(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체크밸브(222) 및 주릴리이프밸브(223)는 주펌프(22)의 토출측상 도관(221) 그리고 방향제어밸브(30), 카운터 밸런싱밸브(33) 및 모우드 선택부재(40)를 통하여 부움상승 실린더(50 ; 제 5 도에서 실린더(4)에 상당)에 연결된다.
모우드 선택부재(40)는 하기 밸브(41 내지 45)로 제공되어진다. 제 1 전환밸브(41)는 역방향의 오일유동을 허용하면서 도관(34)으로 부터 도관(35)까지 오일유동을 봉쇄하기 위한 위치(c) 및 도관(34, 35)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위치(d)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 1 전환밸브는 전기전환밸브이지만 보통 그것은 파일럿 도관(56)에 적용된 어큐뮬레이터 내부에서 어큐뮬레이터 압력이 소정수준 보다도 낮을 때는 위치(c)에서 유지되면 그리고 소정수준 보다도 높을때 위치(d)로 전환되는 파일럿 작동식 전환밸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55는 쓰로틀을 표시하고 있다.
제 2 전환밸브(42)는 역방향의 오일유동을 봉쇠하면서 도관(54)으로 부터 도관(54)까지 오일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위치(e) 및 이러한 도관(35, 34)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위치(f)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 3 전환밸브(43)는 보조펌프(23 ; 보조압력원)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231)을 파일럿 도관(58)에 연통시키기 위한 위치(g) 및 도관(58)을 탱크(24)에 연통시키기 위한 위치(h)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 2 및 제 3 전환밸브(42, 43)는 제어기(60)로 부터의 전기신호에 반응하여 전환되는 전자전환밸브이다.
주파일럿 체크밸브(44)는 또한 역방향의 오일유동을 봉쇄하면서 도관(32)으로 부터 도관(35)까지 오일유동을 허용하도록 허용하도록 방향이 정해진다. 보조파일럿 체크밸브(45)는 역방향의 오일유동을 허용하면서 어큐뮬레이터 도관(54)으로부터 배출도관(57)까지 오일유동을 봉쇄하도록 방향이 정해진다. 이러한 파일럿 체크밸브(44, 45)는 파일럿 도관(58)에 적용되어 있는 파일럿 압력에 의하여 개방된다.
제어기(60)은 전동스위치(60 : PTO 스위치), 댐퍼스위치(62), 압력스위치(63), 부움길이센서(64), 부움각도센서(65) 및 매달린 하중센서(66)로 부터 수용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환밸브(42, 43)의 위치로 제어한다.
제 2 도는 제어기(60)에 의한 제어공정도이다.
크레인 작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엔진(20) 및 전동스위치(61 ; PTO)는 온상태로 되며 따라서 보조펌프(23)는 구동되고 그리고 전동장치(21)는 주펌프(22)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온상태로 된다. 반면 댐퍼스위치(66)가 오프(작동모우드)상태가 될때, 제어기는 제 2 도의 단계(S1→ S2→ S3→S4→S5)를 추종하며 솔레노이드를 비여자시켜 전환밸브(42, 43)를 각각 위치(e,g)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보조펌프(23)의 토출오일압력은 파일럿 도관(58) 내부로 유동하면서 파일럿 체크밸브(44, 45)를 개방시키며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된 압력을 보조파일럿 체크밸브(45)를 통하여 탱크의 압력수준까지 배출시키고 제 1 전환밸브(41)를 위치(c)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때에, 압력스위치(63)는 오프상태가 된다.
이제 만약 방향제어밸브(30)가 위치(a)로 전환된다면, 펌프(23)의 토출오일압력은 카운터 밸런싱밸브(33)를 통하여 오일챔버(51) 내부로 유동되고 부움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실린더(50)를 확장시킨다. 주파일럿 체크밸브(44)는 이때에 개방되어서 실린더(50)의 팽창결과로서 다른 오일챔버(52)의 외부로 유동하는 오일은 파일럿 체크밸브(44)를 지나서 그리고 방향제어밸브(30)를 통하여 탱크(24)까지 복귀된다. 반면 만약 방향제어밸브(30)가 부움하강위치(b)로 전환되는 펌프(22)의 토출오일압력은 오일챔버(52)내부로 역방향을 유동한다. 유입압력에 따라, 카운터 밸런싱밸브(33)는 부움하강작동용 실린더(50)를 수측시키기 위하여 개방된다.
다음에 작동모우드(전동스위치(61)를 온상태 및 댐퍼스위치를 오프상태)로 부터 차량의 구동작동을 시작하기 위하여, 부움(3)은 도시되지 않은 부움확장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완전히 수축된 상태로 본질적으로 수축되며 그리고 실린더(제 5 도에서 4로 도시됨)는 부움(3)을 일단 하강 제한높이까지 하강시키기 위하여 완전히 수축상태로 또한 수축된다. 매달린 하중을 제거한 후에는, 만약 있다면 크랭크 후크(도시되지 않음)는 적당한 반전각도를 차체(2)에 멈춰진다.
따라서, 댐퍼스위치(62)는 온상태(주행모우드)로 되며 단계(S3)로 부터 단계(S5)까지 이동한다. 이때에, 어큐뮬레이터의 축적된 압력은 탱크압력수준에 있으며 그리고 압력스위치(63)는 오프상태가 되고 제어는 스텝(S6) 및 그 이상으로 진행한다. 부움길이(l), 부움각도(θ) 및 매달린 하중무게(W)가 모두 안전범위(차량주행을 위하여 적당한 값), 즉
l
Figure kpo00001
l0+α, θ
Figure kpo00002
θ0+β, W
Figure kpo00003
W0
여기에서 l : 감지된 부움길이,
l0: 완전히 수축된 부움길이,
θ : 감지된 부움각도,
θ0: 차량주행중 적당한 부움각도,
W : 매달린 하중의 감지된 무게 및
W0: 매달린 하중이 없는 기본무게
단계(S6,S7및 S8)의 무응답이 모두 "예" 이고 제어는 단계(S9)로 진행된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421, 431)는 전환밸브(42, 43)를 각각 주행모우드위치(g, h)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여자되며, 위치(h)에서 제 3 전환밸브(43)를 통하여 도관(58)을 배출도관(57)과 연통시키고, 파일럿 체크밸브(44, 45)를 폐쇄시키며 따라서 도관(35)으로 부터 도관(32)까지 그리고 도관(54)으로 부터 도관(57)까지 오일유동을 폐쇄시킨다. 도관(35)은 도관(54), 즉 위치(f)에서 제 2 전환밸브(42)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53)와 연통된다.
이 시점에서,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된 압력은 소정수준(탱크압력)보다도 낮아서 제 1 전환밸브(41)는 위치(c)에서 유지되며 그리고 압력스위치(63)는 여전히 오프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방향제어밸브(30)를 부움상승위치(a)로 전환시킴으로써 주펌프(22)의 토출오일압력은 실린더(50)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실린더(50)의 오일챔버(51)에 공급된다. 이때에, 파일럿 체크밸브(44, 45)는 폐쇄되며 그리고 제 2 전환밸브(42)는 위치(f)상태에 있고, 실린더의 오일챔버(52)로 부터 오일은 공급되며 그리고 방향제어밸브(30)쪽으로 추종함이 없이 어큐뮬레이터(53)내부로 축적된다.
만약 어큐뮬레이터(53) 내부 축적된 압력이 소정수준을 초과한다면, 제 1 전환밸브는 위치(d)로 전환되며, 도관(34, 35) 및 2개의 오일챔버(51, 53) 사이에서 전달을 형성한다. 이제 압력스위치(63) 온상태가 되어서 제어는 단계(S5)로 부터 단계(S9)로 진행하고, 전환밸브(42, 43)를 각각 위치(f, h)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만약 방향제어밸브(30)가 계속하여 부움상승위치(a)에 유지된다면, 펌프(22)로 부터 토출오일압력은 계속하여 오일챔버(51)에 공급되고 부움상승작동을 위하여 실린더(50)를 더 확장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비록 실린더(50)가 램 실린더식으로 확장되어진다 할지라도 부움(3)이 완전히 수축된 상태이고 어떤 매달린 하중이 없기 때문에 오일챔버(51)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인 높은 수준까지 상승할 가능성은 없다.
이런식으로, 압력은 어큐뮬페이터(53) 내부에 축적되고 그리고 실린더(50)는 실린더의 완전히 수축된 상태로 부터 조금씩 확장되며 부움(3)을 하단높이(H0)로 부터 주행하기 위하여 적정높이(H1)까지 상승시킨다. 따라서 방향제어밸브(30)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면, 실린더(50)는 정지되고 그리고 실린더 오일챔버(51, 52)는 어큐뮬레이터(53)와 관련되어 있는 폐쇄회로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부움(3)을 위한 적정 주행높이(H1)는 교통규칙에서 기재된 것처럼 하한높이(H0)보다는 높으며, 그리고 상한높이(H2)보다도 낮다. 즉(H0〈H1〈H2).
이제 전동스위치(61 ; PTO 스위치)는 오프상태가 되고 그리고 차량은 차량구동장치에 의하여 바퀴(1)를 구동시킴으로서 이동된다. 차량이 주행상태에 있을때, 차체(2)는 도로표면상 기복 또는 불균일성 그리고 차량의 가속 및 감속으로 인하여 진동되거나 또는 떨림동작상태에 있게 되며 신축식으로 실린더(50)를 확장시키고 그리고 수축시킬려는 부움(3)의 수직떨림동작에 의하여 수반되어 진다.
그러나 2개의 오일챔버(51, 52)는 서로간 및 어큐뮬레이터(53)와 연통되기 때문에, 실린더(50)의 신축식 이동으로 부터 초래하는 압력파동은 어큐뮬레이터(53)의 감쇠작용에 의하여 억제되며 그리고 오일압력은 상기 언급된 폐쇄회로의 도관에서 약해지고 운전자에게 승차의 개선된 느낌을 주기 위하여 차체(2)의 진동 및 떨림을 감쇠시킨다. 전동스위치(61 ; PTO 스위치) 및 전동장치(21)는 차량주행동안 정지상태에서 주펌프(22)와 함께 오프상태가 되는 상기 언급된 장치는 에너지 절약효과를 가지고 있다. 비록 보조펌프(23)는 항상 엔진(20)으로 부터 구동될지라도, 그것은 토출오일압력은 어큐뮬레이터에 공급되는 대신에 클러치 및 브레이크용 압력원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차량이 차량의 구동작동도중에 연료재충전을 위하여 주유소 가까이에 정차하여, 일시적으로 엔진(20)을 끄고 그리고 동력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하기 위하여 키이를 뺄 경우에 있어서, 전환밸브(42, 43)는 위치(e,g : 작동모우드위치)로 복귀되며, 도관(231)을 도관(58)에 연통시킨다. 그러나, 보조펌프(23)는 또한 이 시점에서 정지되기 때문에 파일럿 체크밸브(44, 45)는 개방되고 어큐뮬레이터(53) 내부에 있는 축적된 오일압력을 탱크(24)쪽으로 흐르도록 허용할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실린더(50)는 주행동안 부움(3)을 적당한 높이(H1)에서 유지시키도록 소정길이에서 유지된다. 반면, 어큐뮬레이터(53) 내부 축적된 압력은 소정의 압력수준보다도 높은 수준에 있어서 제 1 전환밸브(41)는 전환된 위치(d)로 억제된다. 압력스위치(63)는 온상태이지만 압력스위치를 통하여 전류는 전혀 흐르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비록 엔진이 일시적으로 꺼질지라도,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된 압력은 소정의 압력수준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유지되어서 연료를 재충전 또는 이와 유사한 것 후에 차량을 재출발시킬때 새롭게 압력을 축적시킬 필요는 없다. 더욱이, 차량을 재출발시킬때에 동력 스위치를 온상태로 하고 그리고 전동스위치를 오프상태로 한채 엔진을 가동시키자 마자,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된 압력에 의하여 온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동력 스위치(63)의 온신호는 제어기에 공급되며 제어를 단계(S1→S2→S5→S9)로 진행시킨다.
따라서, 전환밸브(42, 43)는 엔진이 꺼지기 전에 차량주행 모우드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위치(f, h)로 즉시 전환된다. 차량구동작동은 댐퍼스위치(62)를 다시 온상태로 함이 없이 엔진(20)을 단순히 재가동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재출발작동은 재출발작동 동안 및 재출발작동후에 목표감쇠 작용을 확보하면서 극단적으로 조장되어진다.
차량의 구동작동후 크레인 작동을 시작하기 위하여, 전동스위치(61) 및 댐퍼스위치(62)는 온상태(작동모우드)로 되며 따라서 동력전달장치(21)는 주펌프(22)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여자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방금 언급된 스위치가 온상태가 되자 마자, 전환밸브(42, 43)는 작동모우드위치(e, g ; S1→S2→S3→S4)로 복귀되며 그리고 파일럿 체크밸브(44, 45)는 개방되어지고 폐쇄된 회로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도관(35, 32)을 연통시킨다. 동시에, 도관(54, 35)은 서로 연통되며 탱크압력수준으로 보조파일럿 체크밸브(45)를 통하여 탱크(24)까지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된 압력을 배출시키고 그리고 제 1 전환밸브(41)를 위치(c)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부움의 상승동작이 작동모우드로 전환후 즉시 실시될때 조차도, 실린더(50)는 램실린더를 형성하지 않으며 그리고 부드러운 크레인 작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어큐뮬레이터에 의하여 방해받음이 없이 보통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어큐뮬레이터(53) 내부 압력축적 및 실린더(50)의 적정주행높이(H1)로 조정은 주펌프(22)의 토출오일압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이것은 제 3 도 및 제 4 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보조펌프(23)의 토출오일압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도의 실시예는 제 1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회로도에 부가된 제 4 전환밸브를 가지고 있으며 제 4 도의 공정도에서 예시된 것처럼 제어상태하에서 작동되어 진다.
제 3 도 및 제 4 도를 참조하면, 크레인 작동을 수행할 경우에 있어서, 엔진(20) 및 전동스위치(61)가 온상태로 될때 제어는 단계(S11→S12→S13)로 진행되며 전환밸브(42, 42 및 46)를 도시된 위치(e, g 및 j ; 작동모우드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솔레노이드(421, 431 및 461)를 비여자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향제어밸브(30)를 부움상승 또는 부움하강위치로 전환시킴으로써 실린더(50)는 부움상승 또는 하강상승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수축된다.
이제,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부움길이(l), 부움각도(θ) 및 매달린 하중무게(W)는 엔진구동상태 아래 작동모우드에서 각각의 소정값 보다도 작은 값으로 먼저 설정되며 따라서 전동스위치(61)는 오프상태로 되어서 전동장치(21) 및 주펌프(22)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어규뮬레이터(53)의 축적된 압력은 이때에 탱크압력, 오프상태에서 압력스위치(63) 및 부움길이(l)와 같은 수준에 있고 그리고 부움길이(l), 부움각도(θ) 및 매달린 하중(W)은 주행용 적정값 보다도 작으므로 제어는 단계(S11→S12→S14→S15→S16→S17→S18)로 진행된다.
따라서 댐퍼스위치(62)를 온상태로 할때, 제어는 단계(S19)로 진행하며 솔레노이드(421, 431 및 461)를 여자시켜서 전환밸브(42, 43 및 46)를 위치(f, h 및 k)로 전환시키며 이것에 의하여 파일럿 체크밸브(44, 45)를 폐쇄시키고 도관(34,54,59 및 231)을 서로 연통시킨다. 결과적으로 보조펌프(23)의 토출오일압력은 체크밸브(591) 및 도관(59, 54)을 통하여 어큐뮬레이터(53)에 공급되고 축적되며, 어큐뮬레이터 압력이 어큐뮬레이터(53)와 연통되어 있는 폐쇄회로를 통하여 실린더(50)의 오일챔버(51, 52)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수준을 초과하자마자 전환밸브(41)를 위치(d)로 전환시킨다.
댐퍼스위치(62)가 푸쉬버튼타입으로 된 경우에 있어서, 댐퍼스위치가 압박되고 있는 동안 온상태(차량의 주행모우드)가 되며 그리고 댐퍼스위치가 가압에서 벗어나자 마자 오프상태(작동모우드)가 된다.
따라서 스위치(62)가 계속하여 가압되고 있는 동안, 보조펌프(23)의 토출오일압력은 어큐뮬레이터(53) 내부에 축적되며 그리고 전환밸브(41)는 폐쇄회로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위치(d)로 전환된다. 따라서, 펌프(23)의 토출오일압력은 폐쇄회로 내부로 유동하며, 실린더(50)를 확장시켜서 부움(3)을 상승시킨다. 만약 작동자의 손가락이 부움(3) 이동의 초기단계에서 스위치(61)로 부터 벗어난다면 또는 부움의 높이가 주행용 적정높이(H1)에 확실히 도달했을 때, 제어는 단계(S18)로 부터 단계(S20)까지 진행하며 솔레노이드(421, 431)를 여자시켜서 전환밸브(46)를 위치(k)로 복귀시키며 이것에 의하여 압력충진(축적)을 중단시키고 그리고 차량을 주행용 상태로 두기 위하여 회로를 폐쇄시킨다.
상기 설명으로 부터 이해되는 것처럼, 어큐뮬레이터(53)용 압력축적 및 실린더(50)의 조정은 전동장치(21) 및 오프상태에 있는 주펌프(22)와 함께 보조펌프(23)의 토출오일압력을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순조로운 압력축적 및 실린더 조정과 더불어 제 1 도 및 제 2 도와 비교하여 작동은 간단해진다.
더욱이, 축적된 압력은 비록 엔진(20) 및 동력스위치가 꺼질지라도 조차 어큐뮬레이터(53)로 부터 배출되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차량을 재출발시킬시에 어큐뮬레이터(53)에서 압력을 새로이 축적시킬 필요는 없다. 엔진(20)을 재출발시킬때, 전환밸브(42, 43)는 단계(S11→S12→S14→S20)의 제어에 의하여 위치(f, h)로 자동적으로 전환되고, 진동감쇠작용으로 인하여 안락한 승차감을 보장한다.
상기 설명으로 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1) 차량의 구동작동에서 승차의 안락감은 부움상승유압 실린더 및 어큐뮬레이터의 진동감쇠작용에 의하여 향상되어진다. 특히 엔진이 차량주행도중에 연료를 재충진시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꺼질 경우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의 축적된 압력은 차량주행수준에서 유지되어서 차량을 나중에 재출발시킬때 모우드 선택밸브부재는 엔진을 재출발시키며 주행모우드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차량을 재출발시킬때 항상 모우드 선택부재를 차량주행 모우드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
(2) 기억부재는 동력스위치가 오프상태로 된 후에도 조차 어큐뮬레이터의 축적된 압력수준에 의하여 즉시 엔진이 꺼지기전 작동상태를 정확하게 기억시키며, 엔진을 재출발시키면서 기억된 작동상태를 정확하게 재산출함으로써 제어능력을 향상시킨다.
(3) 모우드 선택부재는 주 및 보조파일럿 체크와 협력하여 제 1 내지 제 3 전환밸브를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작동은 차량주행 모우드 및 작동모우드 사이에서 적절히 전환될 수 있으며, 차량의 구동작동 후에 엔진이 꺼질때 축적된 압력이 어큐뮬레이터로 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차량을 재출발시킬때에 차량주행 모우드를 순조롭게 재산출한다.
(4) 보조펌프의 토출오일압력이 제 4 전환밸브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 내부 압력축적용으로 이용될 경우에 있어서, 차량의 구동작동전 작동은 압력축적을 포함하고 그리고 차량주행을 적절한 상태에 실린더를 설정하면서 매우 간단해진다.
(5) 제 1 전환밸브가 파일럿된 전환밸브인 곳에서, 폐쇄회로는 어큐뮬레이터 압력이 소정의 압력수준을 초과한 후에 단지 형성되며 작동모우드를 전환시킬시에 다른 상태로 일어날 수 있는 실린더의 수축을 방지하고 압력을 축적하고 있는 동안 실린더를 정지상태에 유지시킨다.
(6) 제어의 정확성 및 차량의 구동작동 및 크레인 작동에서 효율성은 전동스위치, 댐퍼스위치 및 기억부재로 부터 신호의 결합에 의하여 모우드 선택부재를 제어함으로써 개선되어진다.

Claims (6)

  1. 이동식 크레인의 진동 또는 떨림동작을 억제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평축 주위로 선회축동작을 위하여 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차체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부움, 유압실린더의 제 1 하중유지 오일챔버 및 제 1 하중유지 오일챔버에 대향하는 제 2 오일챔버를 왕래하는 주유압펌프의 토출오일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배출시키기 위한 방향제어밸브, 상기 유압실린더와 방향제어밸브 사이에 제공된 카운터 밸런싱밸브, 상기 차체의 진동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와 카운터 밸런싱밸브 사이에 제공된 어큐뮬레이터,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협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오일챔버를 연통시키기 위한 주행모우드위치와 상기 폐쇄회로를 무시하고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오일챔버를 왕래하는 오일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작동모우드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모우드 선택부재, 엔진작동상태하에서 작동의 모우드의 대하여 적어도 정보를 기억시키기 위한 기억부재 및 기억부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엔진을 출발시키면서 상기 모우드 선택부재를 재산출위치에 설정함으로써 일시적인 엔진 정지전 작동모우드를 자동적으로 재산출시키기 위하여 채용된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재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축적된 압력이 차량주행을 위하여 적절한 값인지 여부에 대하여 정보를 기억시키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동장치 및 상기 엔진으로 부터 항상 구동되는 보조유압펌프를 통하여 상기 엔진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유압펌프로 더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모우드 선택부재는 상기 제 1 오일챔버로 부터 제 2 오일챔버까지 오일유동을 봉쇄시키기 위한 작동모우드위치 및 상기 2개의 오일챔버를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주행모우드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1 전환밸브, 상기 제 2 오일챔버로 부터 상기 어큐뮬레이터까지 오일유동을 봉쇄시키기 위한 작동모우드위치 및 상기 제 2 오일챔버를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연통시키기 위한 주행모우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2 전환밸브, 상기 제 2 오일챔버로 부터 상기 방향제어밸브까지 오일유동을 봉쇄시키기 위하여 방향이 정해져 있는 주파일럿 체크밸브,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부터 배출도관까지 오일유동을 봉쇄시키기 위하여 방향이 정해져 있는 보조파일럿 체크밸브, 상기 파일럿 체크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보조펌프로 부터 밸브-개방 파일럿 도관까지 파일럿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작동모우드 및 상기 파일럿 도관을 탱크에 연통시키기 위한 주행모우드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3 전환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펌프로 부터 상기 어큐뮬레이터까지 오일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위치 및 압력충전을 금지시키기 위한 봉쇄위치로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밸브는 상기 제 2 전환밸브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 사이에서 어큐뮬레이터 도관으로 부터 적용된 파일럿 압력이 소정수준 보다도 낮을때 상기 작동모우드위치에서 유지되며 그리고 소정수준 보다도 높을때 상기 주행모우드로 전환되기 위하여 채용된 파일럿 전환밸브이며 반면에 다른 전환밸브는 전자밸브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온 및 오프상태로 하는 전동스위치 및 상기 모우드 선택부재를 주행모우드로 하는가 아닌가를 선택하는 댐퍼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여기에서 제어기는 상기 스위치 및 상기 기억부재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모우드 선택부재의 전환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90012415A 1989-05-10 1989-08-30 이동식 크레인의 변위억제장치 KR920004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8076 1989-05-10
JP1118076A JPH0662270B2 (ja) 1989-05-10 1989-05-10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33A KR900017833A (ko) 1990-12-20
KR920004527B1 true KR920004527B1 (ko) 1992-06-08

Family

ID=1472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415A KR920004527B1 (ko) 1989-05-10 1989-08-30 이동식 크레인의 변위억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34892A (ko)
EP (1) EP0483393A1 (ko)
JP (1) JPH0662270B2 (ko)
KR (1) KR920004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7019A (en) * 1989-10-10 1994-03-22 The Manitowoc Company, Inc. Control and hydraulic system for liftcrane
US5579931A (en) * 1989-10-10 1996-12-03 Manitowoc Engineering Company Liftcrane with synchronous rope operation
US6758356B1 (en) 1989-10-10 2004-07-06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Liftcrane with synchronous rope operation
US5287699A (en) * 1990-01-16 1994-02-22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Automatic vibration method and device for hydraulic drilling machine
US5282136A (en) * 1990-03-30 1994-01-2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Vertical releasing control device of crane hanging load
DE4021347A1 (de) * 1990-07-05 1992-01-16 Heilmeier & Weinlein Hydraulische steuervorrichtung
US5195864A (en) * 1991-08-28 1993-03-23 Case Corporation Hydraulic system for a wheel loader
US5147172A (en) * 1991-09-03 1992-09-15 Caterpillar Inc. Automatic ride control
JP3162384B2 (ja) * 1991-09-04 2001-04-25 オー ウント カー オーレンスタイン ウント コツペ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作業装置を備えた作業機械のための液圧装置
US5630316A (en) * 1994-11-16 1997-05-20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Hydraulic driving apparatus using a bladder-type accumulator with an improved safety
US5740044A (en) * 1995-06-16 1998-04-14 Caterpillar Inc. Torque limiting power take off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6094910A (en) * 1995-12-22 2000-08-01 Maritime Hydraulics As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a piston in a piston cylinder arrangement in a derrick
DE29520328U1 (de) * 1995-12-22 1996-02-08 Hydac System Gmbh Steuerungsvorrichtung
US5706657A (en) * 1996-04-12 1998-01-13 Caterpillar Inc. Ride control system with an auxiliary power source
US5992146A (en) * 1996-04-12 1999-11-30 Caterpillar Inc. Variable rate ride control system
US5897287A (en) * 1996-09-25 1999-04-27 Case Corporation Electronic ride control system for off-road vehicles
US5890870A (en) * 1996-09-25 1999-04-06 Case Corporation Electronic ride control system for off-road vehicles
DE19711769C2 (de) * 1997-03-21 1999-06-02 Mannesmann Rexroth Ag Hydraulische Steueranordnung für eine mobil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n Radlader
EP0866027B1 (en) * 1997-03-21 2004-05-26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industrial vehicles
DE19734658A1 (de) * 1997-08-11 1999-02-18 Mannesmann Rexroth Ag Hydraulische Steueranordnung für eine mobil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n Radlader
DE19754828C2 (de) * 1997-12-10 1999-10-07 Mannesmann Rexroth Ag Hydraulische Steueranordnung für eine mobil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n Radlader, zur Dämpfung von Nickschwingungen
US6357230B1 (en) * 1999-12-16 2002-03-19 Caterpillar Inc. Hydraulic ride control system
US7204086B2 (en) * 2000-05-25 2007-04-17 J.C Bamford Excavators Limited Method of operating a hydraulic system for a loader machine
GB2365407B (en) 2000-05-25 2003-10-08 Bamford Excavators Ltd Hydraulic system for wheeled loader
SE523988C2 (sv) * 2002-04-22 2004-06-15 Volvo Constr Equip Holding Se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en maskin
AU2003230175A1 (en) * 2002-05-19 2003-12-02 Bivas Hydraulic Industries Ltd. Aircraft loading vehicle
US7181322B2 (en) * 2002-05-20 2007-02-20 B.L. Usa Inc. Ammunition loading vehicle and method
ITMI20030123A1 (it) * 2003-01-27 2004-07-28 Medacta Int Sa Sistema robotizzabile di guida motorizzata per strumenti operativi.
JP4685417B2 (ja) * 2004-11-16 2011-05-1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用液圧制御装置
EP2183437B1 (en) * 2007-07-13 2017-09-06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 method for providing an operator of a work machine with operation instructions and a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WO2012138264A1 (en) * 2011-04-08 2012-10-1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n arrangement for charging an accumulator
US8858151B2 (en) * 2011-08-16 2014-10-14 Caterpillar Inc. Machine having hydraulically actuated implement system with down force control, and method
US8855878B2 (en) * 2012-08-09 2014-10-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ccumulator based on vehicle conditions
EP2786958B1 (en) * 2013-04-05 2017-06-14 Bosch Rexroth Oil Control S.p.A. Control device for the descent of a load
US10641388B2 (en) * 2015-12-07 2020-05-05 Kubota Corporation Hydraulic system of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CN112112848A (zh) * 2020-09-24 2020-12-22 圣邦集团有限公司 一种双回路液压系统
EP4105161A1 (de) * 2021-06-14 2022-12-21 EPSILON Kran GmbH. Hydrauliksystem für eine hebe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4796A (en) * 1975-09-24 1977-05-24 Caterpillar Tractor Co. Float control electrical circuit for a blade
JPS56501058A (ko) * 1979-08-30 1981-07-30
US4674638A (en) * 1983-03-17 1987-06-23 Kobe Steel Ltd. Control for deflection reduction means
US4573592A (en) * 1983-03-17 1986-03-04 Harnischfeger Corporation Means to reduce oscillatory deflection of vehicle
CA1213300A (en) * 1983-03-17 1986-10-28 Larry J. Oliphant Means to reduce oscillatory deflection of vehicle
DE3660226D1 (en) * 1985-02-04 1988-06-3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ntrol system for hydraulic circuit
US4658970A (en) * 1985-11-15 1987-04-21 Kobe Steel Ltd. Deflection reduction module for boom hoist cylinder of mobile crane
JPH0662268B2 (ja) * 1989-04-21 1994-08-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装置
JPH0662269B2 (ja) * 1989-04-21 1994-08-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3393A1 (en) 1992-05-06
KR900017833A (ko) 1990-12-20
JPH02295897A (ja) 1990-12-06
JPH0662270B2 (ja) 1994-08-17
US5034892A (en) 199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527B1 (ko) 이동식 크레인의 변위억제장치
KR920010178B1 (ko) 이동식 크레인의 떨림 억제장치
US4953723A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quaky movements of mobile cranes
US4995517A (en) Mechanism for suppressing vibrations of travelling crane
KR930001766B1 (ko) 이동기중기 변위억제를 위한 장치.
US7621124B2 (en) Travel vibration suppressing device for working vehicle
JP5249468B2 (ja) 作業用車両のダンパ作動制御装置およびダンパ作動制御方法
US5046309A (en) Energy regenerative circuit in a hydraulic apparatus
EP3162965B1 (en) Hydraulic system having automatic ride control
CN102459853B (zh) 工业车辆的发动机转速控制装置
JPH1096402A (ja) 油圧回路
KR20020026850A (ko) 작업용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의 속도제어방법
CN104093994B (zh) 液压驱动系统
KR20190113891A (ko) 건설 기계
JPWO2005035883A1 (ja) 作業車両の走行振動抑制装置
JP2005155230A (ja) 車輪式建設機械の走行振動抑制油圧回路
JPH0978633A (ja) 車輪式建設機械の走行振動抑制油圧回路
JP2596166Y2 (ja) 作業車両の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の切換装置
JP2723416B2 (ja) ホイール式クレーンの油圧サスペンション制御方法および同装置
JP2021021228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及び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3772281B2 (ja) 作業機の制振制御装置
JPH07119179A (ja) 作業車両の可変型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JPH0714203U (ja) 作業機の振動抑制装置
JP2549486B2 (ja) ホイール式クレーンの油圧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3343506A (ja) 作業車両の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