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135B1 - 시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시간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135B1
KR920004135B1 KR1019900701601A KR907001601A KR920004135B1 KR 920004135 B1 KR920004135 B1 KR 920004135B1 KR 1019900701601 A KR1019900701601 A KR 1019900701601A KR 907001601 A KR907001601 A KR 907001601A KR 920004135 B1 KR920004135 B1 KR 92000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magnetic field
display
temperatur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무 마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겐고조신겐규가이
이사무 마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겐고조신겐규가이, 이사무 마스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겐고조신겐규가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시간 표시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실시된 매트를 일부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매트의 다른 사용예를 일부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매트에 장착죄는 제 1 장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 4 도는 제 1 장착부재에 조합해 넣어지는 자계발생치료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제 5 도는 자계발생치료기구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 6 도는 일측케이스의 반분체를 내측에서 본 평면도.
제 7 도는 자계발생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제 8 도는 제 1 장착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 9 도는 조작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 10 도는 제어장치의 회로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 11 도는 제어장치에 의한 제거순서를 도시한 플루우챠트.
제 12 도는 본 발명이 적용실시된 매트의 다른예를 표시한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예를들면 작동시간이 시간설정 되는 전기기구에 대해 설정시간의 경과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시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출원인은 이전에 합성수지제 케이스 내부에 철심위에 코일보빈이 배설된 자개발생기를 수용한 것을 여러개 연결한 구조의 자계발생치료기구를 제품화 한바 있다.
이 기구는 코일보빈에 통전하게 되면 자계발생기가 교번 자계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일측 판면을 인체표면에 접촉하고, 상기 교번자계를 이 판면에서 외부로 작용시키므로써 자기치료효과가 얻어진다.
이 자계발생치료기구는 타이머에 이하여 작동시간을 설정하도록 되어있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작동이 자동 정지하여 치료를 완료시키는 것이다. 이 설정시간의 경과(예를 들면 잔여시간)는 수자 표시기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수자표시기의 수치를 확인하면서 치료에 전념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자계발생기는, 코일보빈으로의 통전에 의하여 표면온도가 상승되는 것으로 이 열을 케이스에 전달하여 온열(溫熱)치료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하는등에 기인하여 자계발생기의 표면온도가 필요이상으로 상승되면 화상의 위험성이 있으며, 그 대책으로서, 상기한 표면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이되면 자계발생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켜서 적정한 온도상태로 복귀할때까지 대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자계발생치료기구에 있어서, 치료도중에 온도상승에 의하여 기구의 작동이 정지되면, 사용자는 기구가 고장난 것으로 오인하거나, 설정시간이 경과하여 작동이 정지한 것이라고 착오를 일으키는 등의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오연이나 착오를 없게 하려면 통보 버져(buzzer)나 통보 램프를 조합하여 넣어서 온도상승을 알릴 수 있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온도상승을 알리기 위한 특별한 통보 부품이 필요하여 부품의 개수가 증가되고, 기구의 제작원가가 고가로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시간경과를 표시하는 수자표시기를 효과있게 이용하여 온도상승의 통보를 행하는 것에 의해, 특별한 통보부품을 사용하는 일 없이 온도상승의 통보가 가능한 시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작동시간이 시간설정 되는 전기기구에 대해 설정시간의 경과를 수자표시기에 표시하기 위한 시간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구의 구동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가 ON되었을때 상기 수자표시기에 의한 표시동작을 점멸동작으로 절환시키는 표시제어부를 구비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수자표시기는 전기기구의 작동중에는 설정시간의 경과를 표시하지만, 온도센서가 ON하면, 시간경과의 표시동작이 소정의 점멸동작으로 절환되기때문에 사용자는 이 표시를 보고 전기기구가 소정치 이상으로 온도상승 되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온도상승을 알리기 위한 통보버저나 통보램프등의 별도의 특별한 통보부품을 사용하는 일 없이 온도상승의 통보가 가능하고, 부품개수의 증가나 원가상승을 초래시킬 우려가 없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 1 도는 본 발명이 실시된 자기치료용 매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매트는 매트본체(1)를 표지커버(2)로 씌운 구조로 된 것이며, 일측의 측단면에는 선단에 플러그(3)를 구비한 전원코드(4)와, 선단에 조작반(5)을 구비한 인출선(6)이 설치되어 있다.
매트본체(1)는, 전체가 우레탄폼등의 쿠션재(7)로 구성되고, 본체부(1a)에 대하여 선단부(1b)가 절첩 가능하게 되어있다. 본체부(1a)는 인체의 머리로부터 허리와 발에 이르기까지 지지하고, 또 선단부(1b)는 인체의 발끝부분을 지지한다. 본체부(1a)의 쿠션재(7)중에는 매트의 골격이 되는 금속파이트(8)가 매설되어 있으며, 그 금속파이프(8)의 길이 중앙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한 공지의 관절기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관절부(1c)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부(1a)의 쿠션재(7)에는 등받이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평면형상이 직사각형으로된 상면이 개방된 요부(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9)에 제 1 장착부재(10)를 끼워넣고 필요에 따라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2 장착부재(11)와 착탈교환이 가능하게 구성되어있다.
제 1 및 제 2 의 각 장착부재(10)(11)는 요부(9)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고, 요부(9)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는 각 장착부재(10)(11)의 상면 쿠션재(7)의 상면돠는 동일 평면이 된다.
제2장착부재(11)는 쿠션재(12)만으로된 것으로서, 이 쿠션재(12)는 인체로의 위화감을 없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a)의 쿠션재(7)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1 장착부재(10)는 쿠션재(13)중에 여러조의 자계발생치료기구(14)를 매설한 구조로된 것으로서,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기재(15)와 쿠션 덮개(16)와의 사이에 구딩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여러조의 자개발생치료기구(14)를 끼워넣어 지지함과 동시에, 각 자개발생치료기구(14)의 자계작용면(후에 설명함)을 쿠션 덮개(16)보다 상면에 노출시키고 있다. 쿠션기재(15) 및 쿠션덮개(16)는 고무나 우레탄 필름으로 형성되지만 쿠션덮개(16)측은 본체부(1a)의 쿠션재(7)와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인체와의 위화감을 없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각 자계발생치료기구(14)는, 제 4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합성수지제 케이스(21)의 내부에 각각 자계발생기(20)를 수납 설비한 구조의 것이며, 각 케이스(21)는 상호 굴곡 자유롭게 일렬로 추지 (樞支) 연결되어 있다.
각 케이스(21)는 쌍을 이루는 케이스 반분체(22)(23)의 개방면을 마주보게하여 여러곳을 나사(24)로 착설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케이스(21) 측단면에는 상하방향을 향한 돌출축(25)(25) 또는 축받이구멍(26)(26)중 어느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케이스(21)(21) 사이에 있어서, 돌출축(25)을 축받이 구멍(26)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각 케이스(21)(21)를 상호 굴곡회동 자유롭게 추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자계발생기(20)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부(27)의 양단에 다리부(28)(29)를 구비한 적층철심(30)과 각 다리부(28)(29)에 끼워맞추어진 코일보빈(31)(32)들로 이루어진다. 각 코일보민(31)(32)은 양단에 플랜지부(33)(34)를 가진 스풀(35)(36)의 둘레면에 코일(37)(38)이 감겨진 구조로된 것이며, 각 코일(37)(38)에 교류전류를 흐르게하면 다리부(28)(29)의 선단부에서 교번지계가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일측의 케이스반분체(23)의 내면에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계발생기(2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편(39)(39)과 자계발생기(20)를 지지하기위한 돌조(4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있으며, 적측철심(30)의 기대부(27)를 양위치결정편(39)(39)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기대부(27)의 하면을 돌조(40)로 지지시키고 있다.
타측의 케이스 반분체(22)의 내면에는 상기 스풀(35)(36)의 일측 플랜지부(33)(34)가 끼워지는 요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요부를 포함한 케이스 반분체(22)의 판면을 자계작용면(41)으로 하고 있다.
4개의 각자계발생기(20)는 리드선(19)으로서 전기적으로 상호 병렬로 집속되고 4조의 각자개발생치료기구(14)도 전기적으로 상호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그 전기접속코드(42)는 제 4 도 및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쿠션재(13)의 일측면을 통해 인출하고, 다시 코넥터(43)를 통하여 단자박스(44)로 도출하여이 단자박스(44)에서 상기 전원코드(4)와 인출선(6)을 인출하고 있다. 상기 코넥터(43)는 상기 요부(9)에 대하여 제1장착부재(10)를 착탈할때에 각 자계발생치료기구(14)를 전원과 단절하거나, 접속하거나 하기위한 것으로서, 요부(9)와 단자박스 수납부(45)와의 사이에 설치한 홈(46)내에 항상 위치시켜, 필요에 따라 그 홈 개방부를 쿠션성이 있는 덮개(도시하지 않음)로 닫아둔다.
제 9 도는 인출선(6) 선단의 조작반(5)을 도시한 것으로, 그 반면(盤面)에는 전원 입력용 전원버튼(47)과, 타이머를 시동시키기 위한 스타트 버튼(48)과,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기위한 시간설정부(49)와, 타이머와 잔여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수자표시기(50)가 배치되어 있다.
제 10 도는 상기 자계발생치료기구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제어장치의 회로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반(5)에 조합하여 넣어진 제어와 연산의 주체인 마이크로 프로세서(51)에 대하여, 과전류센서(53) 온도센서(54)(55), 전원버튼(47), 스타트버튼(48), 수자표시기(50), 시간설정부(49), 램프(56), 전자릴레이(57)등이 전기 접속되어 있다. 도면중 발진기(52)는 클럭(Clock)신호를 생성하여 이것을 마이크로 프로세서(51)에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과전류센서(53)는 이 자계발생체료기구(14)에 규정치 이상의 전류가 흘렀는가의 여부를 검출한다. 2개의 온도센서(54)(55)는 예를들면 바이메탈이며, 일측의 온도센서(54)는 각자개발생기(20)의 철심(21)의 적소에 또 타측의 온도센서(55)는 조작반(5)내의 전원트랜스의 적소에 각각 설치하고, 철심(21) 및 전원트랜스의 표면온도가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된 것을 검출한다. 전원버튼(47), 스타트버튼(48), 수자표시지(50), 시간 설정부(49)는 조작반(5)의 반면에 배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기능을 상기한 바와 같다. 램프(56)는 전원버튼(47)이나 스타트버튼(48)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버튼이 눌려지면 점등한다. 전원릴레이(57)는 과전류센서(53)나 어느하나의 온도센서(54)(55)가 ON하면 작동하고, 각 자계발생기(20)로의 통로회로중의 접점을 열림동작시켜, 통전을 차단한다.
제 11 도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1)에 의한 제어순서를 표시한 것이고, 도면의 스텝(1)(도면중 「ST1」으로 표시함)에서 전원버튼(47)이 눌려졌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이 전원버튼(47)이 눌려지면 제어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51)는 잔여시간 T를 기억시키기위한 내부의 기억영역을 클리어한다(스텝 2). 다음에 마이크로 프로세서(51)는 시간설정부(49)에서설정시간 TO를 판독하고 대응하는 내부의 기억영역에 기억시킨 후 수자표시기(50)에 잔여시간 로하여 설정시간 TO를 표시시킨다(스텝 3,4).
다음 스텝(5)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1)내외보 보조타이머가 스타트하고, 계속해서 스텝(6)(7)에서 타임업(tineup)전에 스타트버튼(48)이 눌려졌는가의 여부를 체크하고 있다. 스텝 6-8은 스타트버튼(48)의 누름조직으로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것으로서, 만일 보조타이머가 타임업하면, 스텝(6)에서 스텝(9)로 이행하여 전원을 OFF하고, 최초의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만일 보조타이머의 타임업전에 스타트버튼(48)이 눌려지면, 스텝(10)에서 보조타이머 T가 리세트(reset)되고, 다음에 스텝(11)에서 잔여시간 T가 0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잔여시간 T는 스텝(2)에서 클리어가 끝나기 때문에 스텝(11)은 "YES"이며, 다음 스텝(12)에서 설정시간 TO가 잔여시간, T로서 소정의 기억영역으로 세트되고, 다음 스텝(13)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51)내의 타이머가 시간계측을 개시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 스텝(14)은 소정치 이상의 온도상승에 의하여 온도센서(54)(55)중 어느 하나가 되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으며, 만일 그 판정이 "NO"이면, 다음 스텝(15)에서 전원버튼(47)이 ON이라는 것을 확인하면서 다음 스텝(16)에서 1분이 경과되었는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1분이 경과하면 스텝(16)의 판정이 'YES"가 되고, 잔여시간 T보다 1분 감산되어 수자표시기(50)의 내용이 갱시된다(스텝 17,18). 다음에 스텝(19)에서 잔여시간 T가 0인가의 여부를 체크하여, 만일 0이 아니면 스텝(14)에 복귀하여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19)에서 잔여시간 T가 0이라고 판정되었을때는 스텝(20)으로 진출하여 일정시간만 수자표시기(50)에 0이 표시된 후, 최초의 대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가령 어느 하나의 자계발생기(20)가 과도하게 온도 상승되었을 경우를 상정하면, 대응하는 온도센서(54)가 ON하고, 스텝(14)의 판정이 "YES"가 된다. 이 경우에 수자표시기(50)에는 소정위 수자(예를들면 「888」)가 표시되는 동시에 그 수자가 점멸하여 온도상승 상태가 되었다는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상태에 이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1)는 전자릴레이(57)를 부세하여 접점을 열고, 각 자계발생기(20)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동시에 타이머의 시간계측 동작을 중단시킨다(스텝 22).
통전정지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1)는 스텝(23),(24)에 있어서 이 온도 저하에 의하여 온도센서(54)가 본래의 OFF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기다리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온도센서(54)가 OFF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1)는 스텝(25)에서 잔여시간 T를 판독하고, 계속해서 스텝(26)에서 점멸표시 대신에 수자표시기(50)에 잔여시간 T를 표시한다. 그후 스텝(5)에 복귀하여 보조타이머를 작동시켜 타임업 전에 계속작동을 위한 스타트버튼(48)이 누름조작되는 것으로 대기한다.
또한, 계속작동시에는 잔여시간 T는 0이 아니기 때문에 스텝 (11)의 판정은 "No"이고 스텝(12)을 건너 뛰어 스텝(13)에 진출하게 된다.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매트본체(1)상에 시이트부재(17)를 중합하고, 그 전체를 포지커버(2)로 덮은 구조의 것으로서, 상기 시이트부재(17)상에는 자계발생치료기구(14)의 대응위치에 영구자석(18)이 배치되어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자계발생치료기구(14)가 작동할때, 그 교번자계에서 영구자석(18)이 진동하기 때문에 인체에 대하여 적당한 맛사지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자계발생치료기에 적용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온도가 상승될 우려가 있는 것이면 어떠한 전기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자표시기(50)에 소정의 수치를 표시하고 또 점멸시키므로써 온도상승을 통보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잔여시간을 표시한 상태에서 점멸동작을 시키는등 다른 표시방법을 따를수도 있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성]
상기 구성의 매트를 치료에 이용할 경우는조작반(5)상의 전원버튼(47)을 눌러 전원공급 상태로 하고, 시간 설정부(49)의 손잡이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타이머시간을 설정한 후, 스타트버튼(48)을 눌러 각자계발생치료기구(14)를 일제히 시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각자계발생치료기구(14)의 각자계발생기(20)에서 교번자계가 발생하고 매트상의 인체에 이 자계가 작용한다.
만일, 치료중에 자계발생기(20)나 전원트랜스가 소정치 이상으로 온도상승하여 온도센서(54)(55)가 ON하면, 자계발생치료기구(14)의 작동이 정지하는 동시에 수자표시기(50)는 잔여시간의 표시동작에서 소정수자의 점멸동작으로 전환되어 온도상승상태에 이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와같이 작동정지에 의하여 온도가 적정상태로 복귀하면 조작반(5)의 조작으로 치료를 재개할 수 있고, 그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각자계발생치료구(14)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하여 치료가 완료된다.
또 치료 종료후에 커버(2)를 열어 매트본체(1)의 요부(9)에서 제 1 장착부재(10)를 빼내고 제2장착부재(11)를 바꾸어 끼우면 통상의 매트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작동시간이 시간설정되는 전기기구에 대한 설정시간의 경과를 수자표시기(50)에 표시하기 위한 시간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구의 구동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54,55)와, 온도센서(54,55)가 ON되었을 때 상기 수자표시기(50)에 의해 표시동작을 졈멸동작으로 절환하는 표시제어부를 구비하여서 되는 시간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구는 코일으로 의 통전에 의하여 교번자계가 발생하는 자계발생기(20)를 내장하여 되는 자계발생치료기구(14)로서, 상기 자계발생기(20) 및 전원트랜스에 온도센서(54,55)가 설치되어있는 시간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자표시기(50)는 전기기구에서 인출된 인출선(6)의 선단에 설치된 조작반(5)에 배설된 시간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1)에 의하여 구성되어있는 시간 표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온도센서(54,55)가 OFF되었을때 상기 수자표시기(50)에 소정의 수자를 표시하여 또 그 수자가 점멸하는 표시동작으로 절환되는 시간 표시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온도센서(54,55)가 OFF되었을때 상기 수자표시기(50)에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수자를 표시하며 또 그 수자가 점멸하도록 하는 표시동작으로 절환하는 시간표시장치.
KR1019900701601A 1988-12-15 1989-04-10 시간 표시장치 KR920004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17287A JPH02161961A (ja) 1988-12-15 1988-12-15 時間表示装置
JP317287 1988-12-15
PCT/JP1989/000387 WO1990006788A1 (en) 1988-12-15 1989-04-10 Tim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135B1 true KR920004135B1 (ko) 1992-05-25

Family

ID=180865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601A KR920004135B1 (ko) 1988-12-15 1989-04-10 시간 표시장치
KR1019900701601A KR900701350A (ko) 1988-12-15 1989-04-10 시간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601A KR900701350A (ko) 1988-12-15 1989-04-10 시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72347A (ko)
EP (1) EP0411125B1 (ko)
JP (1) JPH02161961A (ko)
KR (2) KR920004135B1 (ko)
AT (1) ATE145832T1 (ko)
AU (1) AU623389B2 (ko)
BR (1) BR8907247A (ko)
DE (1) DE68927518T2 (ko)
WO (1) WO1990006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848A (ja) * 1993-01-12 1994-07-26 Danzou Ookubo 磁気治療用ベッド
CA2144760A1 (en) * 1993-07-21 1995-02-02 Isamu Masuda Magnetic therapeutic apparatus
GB2287883B (en) * 1994-03-22 1998-07-29 Nihon Kenko Zoushin Kenkyukai Magnetic therapeutic apparatus
US5645586A (en) * 1994-07-08 1997-07-08 Ventritex, Inc. Conforming implantable defibrillator
US6660974B2 (en) 1997-04-07 2003-12-09 Medical Solutions, Inc. Warming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various items utilized in surgical procedures
AT409932B (de) * 2000-03-27 2002-12-27 Mediscan Gmbh Magnetfeldgenerator für eine spule zur behandlung von menschlichem, tierischem oder pflanzlichem gewebe
KR20040068680A (ko) * 2003-01-2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압 변압기
US8487738B2 (en) 2006-03-20 2013-07-16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storing medical items within a thermal treatment system
JP5889741B2 (ja) * 2012-07-12 2016-03-2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九州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プロペラシャフトの摩擦圧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6364A (en) * 1975-01-08 1976-03-23 Eld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toring, and graphically displaying over-temperature conditions of jet engines
JPS54121099A (en) * 1978-03-13 1979-09-19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fault display of apparatus
US4312358A (en) * 1979-07-23 1982-01-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strument for measuring and computing heart beat, body temperature and other physiological and exercise-related parameters
JPS5893068A (ja) * 1981-11-30 1983-06-02 Fuji Xerox Co Ltd 複写機の表示装置
JPS58193466A (ja) * 1982-05-07 1983-11-11 Citizen Watch Co Ltd ダイバ−用アラ−ム装置
JPS5979398A (ja) * 1982-10-27 1984-05-08 三洋電機株式会社 故障表示装置
GB8316377D0 (en) * 1983-06-16 1983-07-20 Bentall R H C Electrical therapy apparatus
JPH0663815B2 (ja) * 1983-11-08 1994-08-22 株式会社石田衡器製作所 組合せ計量又は計数装置
JPS60193459A (ja) * 1984-03-15 1985-10-01 伊藤超短波株式会社 治療器
US4615179A (en) * 1985-01-17 1986-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Defrost diagnostic arrangement for self-defrosting refrigerator appliance
JPS61191037A (ja) * 1985-02-20 1986-08-25 Fujitsu Ltd エツチング方法
JPS61191037U (ko) * 1985-05-22 1986-11-28
US4901461A (en) * 1985-09-25 1990-02-20 Light-House Products, Inc. House identification fixture
US4923681A (en) * 1986-10-03 1990-05-08 Archeraire Industries, Inc. High velocity hot air sterilization device with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1125B1 (en) 1996-12-04
DE68927518D1 (de) 1997-01-16
EP0411125A1 (en) 1991-02-06
JPH0581153B2 (ko) 1993-11-11
AU3369189A (en) 1990-07-10
AU623389B2 (en) 1992-05-14
DE68927518T2 (de) 1997-04-03
ATE145832T1 (de) 1996-12-15
WO1990006788A1 (en) 1990-06-28
US5172347A (en) 1992-12-15
EP0411125A4 (en) 1992-07-08
BR8907247A (pt) 1991-03-12
KR900701350A (ko) 1990-12-01
JPH02161961A (ja) 199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135B1 (ko) 시간 표시장치
WO2009048644A1 (en) Electrical receptacle
EP0135930B1 (en) Power source off delay timer with liquid crystal display
CA2001608C (en) Magnetic field generat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with a timer
JP2981344B2 (ja) 集合形加熱装置
JP2002051474A (ja) 腕時計型電子機器用充電台
US4158836A (en) Solid state timer for sealed contact relay
JP3235034B2 (ja) 炊飯器
JPS6232503Y2 (ko)
JP2921017B2 (ja) 調理器の電源スイッチ装置
JPH0247363Y2 (ko)
KR100213697B1 (ko) 건강 매트 및 그 구동 제어방법
GB2159346A (en) Timing device for a plug, socket or socket connector
JPH0612413Y2 (ja) やぐらこたつ
JPS6020974Y2 (ja) コ−ヒ−メ−カ−
JPS6018187Y2 (ja) コ−ヒ−メ−カ−
JPS6020975Y2 (ja) ミル付コ−ヒ−メ−カ−
JP2890496B2 (ja) 炊飯器
KR880001604Y1 (ko) 자계발생 치료구
KR100333436B1 (ko) 베어링 유도가열기
JP2647942B2 (ja) アイロン装置
JPH09149999A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JPS61121226A (ja) 時限タイマ制御装置
JP2532459B2 (ja) 厨房装置
JPH0935865A (ja) 電子レン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