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14B1 -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14B1
KR920000014B1 KR1019850004601A KR850004601A KR920000014B1 KR 920000014 B1 KR920000014 B1 KR 920000014B1 KR 1019850004601 A KR1019850004601 A KR 1019850004601A KR 850004601 A KR850004601 A KR 850004601A KR 920000014 B1 KR920000014 B1 KR 92000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curable resin
ultraviolet curabl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336A (ko
Inventor
히데오 와따나베
요시노부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요꼬하마 고무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히사이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꼬하마 고무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히사이끼 filed Critical 요꼬하마 고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 C08F29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from unsaturated polycondensates
    • C08F299/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from unsaturated polycondensates from polyurethanes
    • C08F299/06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from unsaturated polycondensates from polyurethanes from polyurethanes with side or terminal unsatu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04Coating to obtain optical fibres
    • C03C25/106Singl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면 광학섬유단체(Optical fiber Units)용 완충제(buffer material)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학섬유는 일반적으로 광학섬유단체의 형태로 사용된다. 그 광학섬유단체는 중심부재(Central member) 주위에 배열된 광학섬유 코어(core)의 접합제(assembly)와 이들 코어 주위에 형성된 완충제로 되어 있다.
동선(Copper wire)은 일반적으로 중심부재로서 사용된다. 그 광학섬유 코어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2종의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제 섬유로 된 코어/외피(Sheath) 구조와, 이 코어체(Core body) 주위에 형성된 피복층으로 되어 있다.
이들의 광학섬유는 분산됨이 없이 그 섬유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광(光)을 전달하는 특성이 있다. 이 특성을 실제로 이용하여 통신기술이 현재 개발되고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된 플라스틱제 얀(Yarn)은 완충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얀의 성형 속도가 낮아 제조에 있어 고가(高價)로 되는 것은 불가피 하였다. 따라서, 그 성형 속도를 증가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완충제로서 자외선경화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기술적인 착상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그 자외선경화수지 조성물은 작업성이 향상되나 내습열성, 늘어나기 및 탄성계수가 빈약할 뿐이다. 이들 요건 전부를 충족시키는 자외선경화수지 조성물로 된 완충제는 아직도 발견되지 않고 있다. 예로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조성물은 그 탄성계수가 너무 높고 늘어나기가 불충분한 결점이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조성물은 내습열성과 광경화속도가 낮아지는 하나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습열성이 우수하고 그 목적에 적합한 범위내의 탄성계수를 가지며, 늘어나기가 높은 자외선경화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는데, 그 조성물은 광학섬유단체의 완충제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 소중합체, 트리스(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아래에서는 THEIC-TA라함) 반응성 희석제 및 광중합 개시제로 되어 있다. 아크릴 소중합체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분자량 650-1,300의 폴리테트라 메틸렌 글리콜 및 히드록시기가 있고, 모노아크릴레이트에서 얻어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이다. 그 우레탄아크릴레이트(Ⅰ)은 디 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Ⅱ), 분자량 650-1,300의 폴리테트라 메틸렌 글리콜(Ⅲ)에서 얻어진 말단기 NCO를 가진 우레탄 프레폴리머(Ⅳ)와 히드록시가 있는 모노아크릴레이트(Ⅴ)로 아크릴화함에 의해 다음식에서와 같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에서 사용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위에 설명한 디페닐 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Ⅱ)로, 그 결과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물성효과를 우수하게 나타낸다.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에서 얻어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보다 탄성계수가 낮다. 분자량 650-1,300의 폴리테트라 메틸렌글리콜(Ⅲ)을 본 발명에 의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Ⅰ) 제조시에 사용할 때 광학섬유단위의 완충제 물성에 대한 효과가 바람직하게 된다.
예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제조시에 락톤폴리올을 사용할 때 자외선-경화성만이 빈약하게 얻어진다.
반면에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할 때 내습열성 및 내수성만이 빈약하게 얻어진다. 분자량 650-1,300의 폴리테트라 메틸렌 글리콜(Ⅲ)을 사용할 때 그 결과 얻어진 수지 조성물은 늘어나기와 탄성계수가 높고 균형이 양호하게 잘 이루어진다.
분자량 1,300 이상의 폴리테트라 메틸렌 글리콜을 사용할 때, 그 결과 얻어진 수지 조성물은 탄성계수가 낮고 늘어나기가 빈약하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히드록시기가 있고, 모노아크릴레이트(Ⅴ)에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2-히드록시 프로필아크릴레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THEIC-TA는 다음식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THEIC-TA량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Ⅰ) 100중량부에 대하여 1-25 중량부 미만이며, 바람직하기는 2-15 중량부이다. THEIC-TA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때 경화후의 탄성계수가 1kg/㎟미만이 되며, 반면에 25 중량부를 초과할때 그 수지 조성물은 탄성계수기 25kg/㎟ 보다 높고, 늘어나기가 40% 미만이어서, 광학섬유단체용 완충제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반응성 희석제로서 사용된 아크릴 모노머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할 수 있다.
이들의 희석제로는 이소부틸, t-부틸, 2-에틸핵실, 라우릴, 스테아릴, 2-히드록시에틸, 2-히드록시프로필, 2-메톡시에틸, 2-부톡시에틸, 2-페녹시에틸, 디시클로펜테닐 및 디시클로펜테닐 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이들중 2-페녹시-에틸 및 디시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아크릴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 모노머중 2종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모노머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0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모노머의 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때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작업성은 양호하게 얻을 수 없다. 또 그 량이 100중량부를 초과할 때 양호한 작업성이나 높은 탄성계수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된 광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 에테르, 벤조페논, 4-메톡시 벤조페논,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질 디메틸 케탈, 벤질 β-메톡시에틸아세탈, 메틸 벤조인,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톤페논, 디에틸티옥산톤, 4-이소프로필-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및 2-메톡시안트라퀴논이 있다. 이들중,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및 벤질 디메틸 케탈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 개시제중 2중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개시제는 앞서 설명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THEIC-TA 및 반응성 희석제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10 중량부의 량을 사용한다.
광중합 개시제의 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때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경화률은 낮으나, 10 중량부를 초과할 때 내습열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그 수지 조성물의 코스트도 증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열 중합억제제와 감광조제를 그 조성물에 조합시킬 수 있다. 열중합 금지제로서는 하이드로키논, 메토키논, P-벤조키논, t-부틸하이드로키논 등이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THEIC-TA 및 반응성 희석제의 합계량의 0.001∼1.0%이다.
열중합 억제제에는 저장할 때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열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광증감조제는 자외선조사에 의해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촉매로서 작용한다. 이들 광증감조제의 예로는 트리에틸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타놀, N-메틸디에타놀아민, 트리에탈아민, 3-디메틸아미노-1-프로파놀, 2-디메틸아미노-1-프로파놀,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 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및 메틸 P-디메틸 아미노벤조에이드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 소중합체, THEIC-TA 반응성 희석제 및 광중합 개시제로 되어 있다. 이 수지 조성물에서, 아크릴 소중합체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분자량 650-1,300의 폴리테트라 메틸렌 글리콜 및 히드록시가 있는 모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얻어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이며, THEIC-TA의 사용량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25중량부 미만이다. 이에 또 반응성 희석제는 아크릴 모노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다음 효과가 얻어지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광학섬유단체의 완충제로서 적합하다.
A. 자외선 경화후의 수지 조성물은 내습열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B. 탄성계수 1-25kg/㎟가 얻어진다. 이 범위의 탄성계수를 가지므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광학 섬유단체용의 바람직한 완충제로서 유용하다.
C. 늘어나는 최소한 40% 보다 높으며, 위 B항에서 설명한 탄성계수 값과 균형을 잘 이룬다. 이와 같은 사실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광학섬유단체용 완충제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D. 충분한 자와선 경화률을 얻을 수 있고, 높은 작업성이 유지된다.
E.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광학섬유 코어에 밀착되어 우수한 방수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한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탄성계수(kg/㎟):
TBA(torsional braid analyzer)를 사용하여 프리 탬핑(free damping) 방법에 의해 비틀림의 모듈러스(modulus)를 측정하였다.
늘어나기(%):
JIS K-7113에 의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40mm 간격의 인디케이터(indicator)를 가진 덤벨(dumbbell)에 인장을 주어 그 인디케이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파괴시의 늘어나기를 늘어나기값으로 사용하였다. 인장속도는 50mm/min이었고 측정온도는 25±0.5℃이었다.
2주간 80℃, 90%RH에서 방치한 후의 늘어나기 잔류실험:
아령(덤벨, dumbbells) 형상의 시료를 2주간, 80℃, 95% RH의 공기가 조절된 오븐(air-conditioned oven)에 놓은 다음 꺼내어 그 늘어나기를 앞서 설명한 늘어나기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레탄아크릴레이트(Ⅰ)의 제조]
교반, 온도계 및 적하 깔때기를 장치한 3ℓ용 4구(口) 플라스크(four-necked flask) 에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Ⅱ) 2mol을 넣었다. 분자량 850의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Ⅲ) 1mol을 60℃로 가열하면서 적하하고 4시간 교반하였다. 동시에 N2가스를 넣어 반응시켰다. 이와 같이하여 우레탄 프레폴리머(Ⅳ)를 얻었다. 반응종료는 NCO %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다음,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드(Ⅴ) 2mol을 적하하고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우레탄아크릴레이트(Ⅰ)을 얻었다. 반응 생성물을 적외석 분광 광도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NCO의 피크(Peak)는 관측되지 않았다.
[실시예 2,3 및 4, 비교실시예 1,2 및 3]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THEIC-TA, 반응성 희석제 및 광중합 개시제로된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하여 그 탄성계수, 늘어나기 및 내습열성을 측정하였다. 그 수지 조성물의 변화량과 그 물성간의 관계를 다음표에 나타낸다. 비교실시예 1에서는 THEIC-TA는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실시예 2에서는 THEIC-TA의 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시켰다. 비교실시예 3에서는 또다른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비교실시예 1,2 및 3의 결과 역시 다음표에 나타낸다.
[표]
Figure kpo00003
(주) : (1)FA-731A:THEIC-TA[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히타치 화학(주)제품.
(2)POA: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반응성 희석제); 쿄에이샤 유시(주)제품.
(3)Irgacure 184: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광중합개시제); 시바-게이기(Ciba-Geigy)제품.
(4)폴리프로필렌 글리콜(분자량:1000) 1mol,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mol,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mol로 합성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후 탄성계수가 1-25kg/㎟이고 늘어나기가 적어도 40%이며, 내습열성이 우수한 것임을 표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조성물은 광학섬유단체용 완충제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반면에, 비교실시예 1에 수지 조성물은 탄성계수 및 내습열성이 낮으며, 비교실시예 2의 수지 조성물은 탄성계수가 지나치게 높고, 늘어나기가 낮을 뿐이며, 비교실시예 3의 수지 조성물은 내습열성이 빈약하다. 따라서, 이들 비교실시예에는 광학섬유단체용 완충제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Claims (10)

  1. 아크릴소중합체, 트리스(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반응성 희석제 및 광중합 개시제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소중합체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분자량 650-1,300의 폴리테트라 메틸렌 글리콜 및 히드록시기가 있는 모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얻어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이며, 상기 트리스(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트리아크릴레이트가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5 중량 미만이고,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아크릴 모노머임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가 있는 모노아크릴레이트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로된 그룹(group)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의 량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5 중량부임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로서 사용된 아크릴 모노머논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디시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로된 그룹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로서 사용된 아크릴 모노머의 량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00 중량부임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논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및 벤질디메틸케탈로 된 그룹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반응성 희석제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0 중량부임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히드로퀴논, 메토퀴논, P-벤조퀴논 및 t-부틸히드로퀴논으로 된 그룹에서 선택한 열중합 개시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반응성 희석제의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1.0%임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광증감조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19850004601A 1984-06-30 1985-06-27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920000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35863 1984-06-30
JP59135863A JPS6114210A (ja) 1984-06-30 1984-06-30 光ファイバユニット緩衝材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336A KR860000336A (ko) 1986-01-28
KR920000014B1 true KR920000014B1 (ko) 1992-01-06

Family

ID=1516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601A KR920000014B1 (ko) 1984-06-30 1985-06-27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6114210A (ko)
KR (1) KR920000014B1 (ko)
GB (1) GB21637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845A (en) * 1984-07-10 1987-03-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ltra-violet light curable compositions for abrasion resistant articles
GB2195643B (en) * 1986-07-21 1990-08-15 Yokohama Rubber Co Ltd Uv-curable resin compositions
JP2615180B2 (ja) * 1987-05-01 1997-05-2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注型重合用活性光線硬化性組成物
US4973611A (en) * 1988-04-04 1990-11-27 Uvexs Incorporated Optical fiber buffer coating with Tg
WO1990013579A1 (en) * 1989-05-12 1990-11-15 Desoto, Inc. Photocurable pigmented secondary optical fiber coatings
DE4007519A1 (de) * 1990-03-09 1991-09-12 Rheydt Kabelwerk Ag Durch uv-strahlen haertbare farbgebende harzmischung
WO1994019185A1 (en) * 1991-12-16 1994-09-01 Dsm N.V. Liquid curable resin composition
GB2270917A (en) * 1992-09-23 1994-03-30 Sericol Ltd Urethane(meth)acrylates
CN100335930C (zh) 1997-02-28 2007-09-05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光纤芯丝粘结剂和光纤元件
DE69827807T2 (de) * 1997-08-15 2005-11-03 Dsm Ip Assets B.V. Beschichtete optische faser und strahlungshärtbare harzzusammensetzung
US6579618B1 (en) 1997-08-15 2003-06-17 Dsm N.V. Coated optical fiber and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JP4473364B2 (ja) 1999-06-03 2010-06-02 Jsr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光学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7117A (ja) * 1981-11-20 1983-05-24 Dainippon Ink & Chem Inc 硬化性樹脂組成物
JPS5941366A (ja) * 1982-08-31 1984-03-07 Mitsui Petrochem Ind Ltd 被覆用硬化型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336A (ko) 1986-01-28
GB2163755A (en) 1986-03-05
GB8516039D0 (en) 1985-07-31
JPH0449867B2 (ko) 1992-08-12
GB2163755B (en) 1987-10-28
JPS6114210A (ja) 198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2489A (en) Ultraviolet-curing resin composition
EP2501737B1 (en) D1499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KR20150009571A (ko) 비-방사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1차 광섬유 코팅 조성물
EP1189848B1 (en) Liquid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cured products
JP2002503282A (ja) ポリエステル主鎖を有するウレタンオリゴマーからなる輻射線硬化性組成物
WO2005026228A1 (en) Curable liquid resine composition
KR20070093047A (ko) 경화성 액체 수지 광섬유 업자켓 조성물
KR920000014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US20070263972A1 (en) Optical Fiber with Cured Polymeric Coating
JP2012111674A (ja) 放射線硬化性樹脂組成物
EP4092001A1 (en) Resin composition,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ber
KR20070041670A (ko) 경화성 액체 수지 조성물
JP4341872B2 (ja) 硬化性液状樹脂組成物
KR920000032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000059762A (ko) 광섬유 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WO2003097755A1 (en) Radi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
KR100829636B1 (ko) 액체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된 제품
JP2000344844A (ja) 液状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光ファイバ用被覆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JP3748038B2 (ja) 液状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光ファイバ用被覆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JP3741196B2 (ja) 液状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並びに光ファイバ用被覆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JP3738809B2 (ja) 液状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光ファイバ用被覆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KR100312040B1 (ko) 광섬유 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JPH0477011B2 (ko)
KR100312041B1 (ko) 광섬유 리본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0626509B1 (ko) 광섬유 코팅재용 방사선-경화가능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