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943B1 - 경사꼬임(warp twist)에 의한 믹스 이펙트(mix effect)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사꼬임(warp twist)에 의한 믹스 이펙트(mix effect)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943B1
KR910009943B1 KR1019890017676A KR890017676A KR910009943B1 KR 910009943 B1 KR910009943 B1 KR 910009943B1 KR 1019890017676 A KR1019890017676 A KR 1019890017676A KR 890017676 A KR890017676 A KR 890017676A KR 910009943 B1 KR910009943 B1 KR 910009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p
pattern
eyelet
twist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988A (ko
Inventor
이종각
구본창
Original Assignee
제일합섬 주식회사
이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합섬 주식회사, 이수환 filed Critical 제일합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943B1/ko
Publication of KR91000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7/00Combined warping and beam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사꼬임(warp twist)에 의한 믹스 이펙트(mix effect)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정경공정 개략도.
제3도는 종래의 차량용 시이트 클로즈의 트리코트지 실물 견본사진.
제4도는 본 발명 제조방법에 의한 차량용 시이트 클로즈의 트리코트지 실물 견본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릴 2 : 아이렛
3 : 크릴가이드바아 4 : 아이렛보오드
5 : 정경빔
본 발명은 랜덤한 불규칙 무늬를 갖는 믹스 이펙트 트리코트 경편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직 준비공정인 정경시 염착성이 서로 다른 동종의 화학섬유 2본을 한 개의 아이렛(eyelet)에 통과시킴으로서 정경과정에서 장력에 의하여 2본의 실이 벌루우닝(Ballooning) 현상으로 서로 엉키게 한다음 이 경사빔으로 제편, 가공함으로서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도 트리코트지 표면에 랜덤한 불규칙 무늬를 현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꼬임에 의한 믹스 이펙트 경편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리코트지로는 아무런 무늬가 없는 평조직 또는 패턴을 이용하여 일정의 규칙적인 무늬를 현출시킨 무늬조직이 공지되고 있으나, 평조직은 단순하며, 규칙적인 무늬부를 현출시킨 무늬조직의 트리코트 지는 생산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단순한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요자가 쉽게 싫증을 자아내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생산성의 저하없이도 다양한 무늬를 자연적으로 자아낼 수 있는 믹스 이펙트 트리코트지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었다. 일반적으로 경편직물의 정경작업은 아이렛(elelet) 한 개에 경사 1본을 통입시키고, 각각의 경사를 일정한 장력과 간격을 유지시킨채 실이 서로 꼬이지 않게 평행 배열시킨 다음 이들을 경사빔에 분리 권취시켜 정경하고, 정경작업이 완료된 경사를 1본씩 분리하여 경편기의 가이드에 삽통시키거나, 비워두는 경사배열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패턴(pattern)에 따라 가이드 바아를 좌, 우 이동시키면서 니이들을 작용하여 편직물 표면에 일정한 무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하고 규칙적인 무늬를 나타내는 종래의 패턴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정경시 염착성이 서로 다른 2본의 실을 한 개의 아이렛에 통과시킴으로서 정경과정중 사의 진행속도가 장력으로 인하여 벌루우닝 현상을 일으켜 2본의 실이 서로 불규칙적으로 엉키면서 꼬여지는 한가닥의 경사를 형성시킨 다음, 이와 같이 염착성이 상이한 두가닥의 실이 서로 엉켜서 구성된 경사빔을 사용하여 제편, 가공하므로써 패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트리코트지 표면에 불규칙적이면서도 독특한 무늬를 현출시킴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트리코트지 정경방식은 한 개의 아이렛에 실1본을 삽입하여 정경하므로 제편된 편물의 무늬는 전적으로 패턴에 좌우되며 이로 인하여 형성된 무늬는 규칙적인 디자인의 문양만 얻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시이트지의 경우에는 밀도가 높고 파일이 빠지지 않으며 패턴의 다양화가 요구되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자는 이와같은 효과를 갖는 트리코트지를 얻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본 별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정경공정에서 염착성이 각기 상이한 두가닥이 실을 한 개의 아이렛에 삽입하여 정경하면 권취속도에 의하여 두가닥의 실은 벌루우닝(Ballooning) 현상을 일으켜 서로 불규칙하게 엉키면서 꼬이게 되고 이와같이 서로 엉켜서된 경사를 경편기로 제편하면 편물의 표면에 염착성의 차이로 인하여 독특한 불규칙 무늬를 연속적으로 현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정경공정의 개략도로써, 이중크릴장치가 설치된 정경기에서 두 개의 크릴(1)(1′)에 각각 염착성이 상이한 실을 감고 이 두 개의 실(A)(B)을 한 개의 아이렛(2)에 통입시켜 크릴가이드바아(3) 및 아이렛 보오도(4)를 거쳐 일정한 밀도를 유지한채 장력을 주어 벌루우닝한 후 정경빔(5)에 권취한다.
이와같이 정경을 실시함으로서 두가닥의 실(A)(B)은 정경공정중 크릴(1)의 실이 정경빔(5)에 감길때까지 실의 권취에 따른 권취속도와 장력으로 벌루우닝이 발생하여 서로 엉켜서 불규칙하게 꼬이게 된다.
이와같이 염착성이 다른 두가닥의 실이 서로 꼬여서된 경사를 사용하여 편직함에 있어서 가이드 1올에 2본의 실을 통입하여 싱커 파일(Sinker Pile)이라는 파일 바아(Pile Bar)를 사용하여 루우프를 형성한후 기모를 하거나 전모(Shearing)하고 히이트 부러쉬(Heat Brush) 가공을 한후 완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경편은 가이드 한올에 한가닥의 실을 통입시켜 균일한 장력을 주어 제편하거나 또는 가이드에 실을 통입하지 않고 몇칸 뛰어서 실을 통입시켜 패턴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나 본 발명 방법에서는 가이드 한올에 두가닥의 실을 통입함으로서 파일의 밀도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염착성이 상이한 두가닥의 실이 불규칙적으로 꼬여서된 파일이므로 염색시 염착성의 차이로 인하여 완성된 파일의 색상이 균일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색상이 상이하여 전체적으로 볼 때 독특한 무늬를 랜덤하게 연속적으로 표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편시 트리코트의 가이드 한올에 두 개의 실을 통입하여 제편하였으므로 두가닥의 실이 한 개의 루우프를 형성하게 되고 이 루우르를 전모하여 파일을 형성하면 4가닥의 실이 되므로 파일의 밀도는 종래의 경우보다 2배로 되어 부피감과 파일이 촘촘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갖게 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의 트리코트지와 본 발명 사이트 클로즈용 트리코트지와의 효과 차이를 보여주기 위한 실물 견본사진으로서 동일한 편직조직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 트리코트지는 정칙적인 사선이나 일정한 무늬를 연속적으로 가짐에 반하여 종래의 트리코트지는 무늬부가 전혀 없으며 표면부의 파일의 밀도 및 두께감도 본 발명품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Claims (1)

  1. 염착성이 서로 다른 2본의 실을 한 개의 아이렛(eyelet)에 통과시킴으로서 2본의 실이 서로 불규칙적으로 엉키면서 꼬여진 정경빔을 제조한 후, 경편기의 가이드 한올에 2본의 상기 정경빔(경사)을 통입하여 편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꼬임에 의한 믹스 이펙트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KR1019890017676A 1989-11-30 1989-11-30 경사꼬임(warp twist)에 의한 믹스 이펙트(mix effect)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KR910009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676A KR910009943B1 (ko) 1989-11-30 1989-11-30 경사꼬임(warp twist)에 의한 믹스 이펙트(mix effect)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676A KR910009943B1 (ko) 1989-11-30 1989-11-30 경사꼬임(warp twist)에 의한 믹스 이펙트(mix effect)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988A KR910009988A (ko) 1991-06-28
KR910009943B1 true KR910009943B1 (ko) 1991-12-06

Family

ID=1929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676A KR910009943B1 (ko) 1989-11-30 1989-11-30 경사꼬임(warp twist)에 의한 믹스 이펙트(mix effect)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5392C (zh) * 2002-05-27 2007-01-17 稻冈工业株式会社 织物的染色加工方法
CN1312334C (zh) * 2002-09-25 2007-04-25 株式会社晓星 粘接力优良的弹性丝络筒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5392C (zh) * 2002-05-27 2007-01-17 稻冈工业株式会社 织物的染色加工方法
CN1312334C (zh) * 2002-09-25 2007-04-25 株式会社晓星 粘接力优良的弹性丝络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988A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539668C3 (de) Verbundgar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9627010C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rumpfarmen Garns
US2535376A (en) Twisted yarn-like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6289700B1 (en) Method of making multi-segmented chenille yarns on a crochet knitting machine
US3899562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ixed yarns
US2006275A (en) Knitted yarn and fabric made therefrom
KR910009943B1 (ko) 경사꼬임(warp twist)에 의한 믹스 이펙트(mix effect)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JPS5812945B2 (ja) 異色性交絡糸条
JP3186508B2 (ja) スパン糸のような毛羽を有するフィラメント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131002A1 (en) Carpet Yarn Denier Differential Improvements
US3422641A (en) Warp knit cord
JPS6223088B2 (ko)
KR20120067576A (ko) 커버링 구조를 가지는 슬러브사
JPS5949337B2 (ja) 合成繊維マルチフイラメント糸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197792B1 (ko) 금속실
JP2023038411A (ja) 杢調混繊糸及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JPH09217238A (ja) 飾り糸及びその製造方法
US10697100B2 (en) Textile manufactured article realized by embroidery machines
KR20230169650A (ko) 직물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S62282053A (ja) 毛布等の経編立毛生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41832B1 (ko) 스펀같은플러프들이있는텍스쳐드필라멘트사및그것을제조하는방법
SU1758099A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 фасонна пр жа
JP2988984B2 (ja) ポリエステル太細複合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191237A (ja) 変り糸およびその製造法
JPH09105041A (ja) フアンシーヤ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92001361; OPPOSITION DATE: 19920201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92001687; OPPOSITION DATE: 19920206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