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792B1 - 금속실 - Google Patents

금속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792B1
KR101197792B1 KR1020090075475A KR20090075475A KR101197792B1 KR 101197792 B1 KR101197792 B1 KR 101197792B1 KR 1020090075475 A KR1020090075475 A KR 1020090075475A KR 20090075475 A KR20090075475 A KR 20090075475A KR 101197792 B1 KR101197792 B1 KR 10119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metal
twisted
thread
embroid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944A (ko
Inventor
김현창
Original Assignee
김현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창 filed Critical 김현창
Priority to KR102009007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7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2Threads containing metallic filaments or stri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2Cut or abrasion resist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를 일정방향으로 꼬고, 금속사를 다른 방향으로 꼬아 실을 당겼을 시에 늘어남을 방지하여 자수용 실, 원단제조용 실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금속실에 관한 것으로, 염색 또는 염색하지 않은 상태의 원사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꼬고, 상기 원사가 한 방향으로 꼬은 상태에서 그 외주에 원사가 꼬인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금속사가 꼬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원사를 일정방향으로 꼬고, 금속사를 다른 방향으로 꼬아 실을 당겼을 시에 늘어남을 방지하여 자수용 실, 원단제조용 실 등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원사의 방향과 금속사의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꼬아지도록 형성하므로 인장 강도가 강한 효과가 있으며, 그리고 실을 약 3m 이상 일정 장력을 통해 당기거나 당기지 않는 상태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질 때 실 자체가 꼬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원사, 금속사, 자수사, 금속실,

Description

금속실{THE METAL YAM}
본 발명은 금속실에 관한 것으로, 원사를 일정방향으로 꼬고, 금속사를 다른 방향으로 꼬아 실을 당겼을 시에 늘어남을 방지하여 자수용 실, 원단제조용 실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금속실에 관한 것이다.
결혼 드레스, 이브닝 드레스, 무대용 의상 및 여성복 등에 주로 사용되는 자수 레이스는 튤(tulle), 오건디(organdy), 로온(lawn), 조젯트(georgette) 등의 가벼운 기포 생지상에 자수사를 자수하여 다양한 문양을 만든 제품이다.
자수에는 수를 놓을 바탕지와 2종류의 사를 사용한다.
한 종류의 사는 모양을 놓는 자수사이고, 다른 종류의 사는 작은 보빈에 감겨 셔틀(북)속에 들어 있는 북사이다. 북사는 바탕지 뒷편에 위치하여 바탕지를 관통하여 내려온 자수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자수침은 미싱의 바늘과 비슷하며, 바늘은 동일 위치에서 상하로 움직여 바탕지에 자수사를 찔러 넣는다. 바탕지는 쟈카드 장치에 의해 수 놓을 모양에 따라 서 좌우로 움직인다.
자동 자수기는 천공카드를 사용하여 자수를 하는 것 외에, 기포의 구멍 열기 및 구멍 감치기 등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자수레이스는 크게 자수사 제조 공정, 자수공정 및 염색 공정을 거쳐 제조한다. 자수사제조 공정은 원사를 연사 및/또는 열세팅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염색은 자수공정전 원사 상태를 염색하는 사염과 자수 공정 후 포지 상태를 염색하는 포염중 선택된다.
사염의 경우 공정이 복잡하나 여러 색상을 갖는 자수용사로 자수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포염의 경우 공정은 간단하나 한정된 색상만 얻을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사염은 치이즈 또는 타래 형태로 실시한다.
지금까지 자수레이스 제조용 자수사로 반합성섬유인 레이온 원사(인견사)를 많이 사용해 오고 있다. 이와 같이 자수사로 레이온 원사를 사용하는 경우 광택 및 색상이 우수하고, 열 고정공정이 생략되며, 원사의 강도가 낮아서 자수침 손상이 없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반면 원사가격이 고가이고, 원사품질이 불안정 하, 원사 강도가 낮아 공정 중 사절이 많고, 염색시 사용하는 반응성 염료, 직접염료 또는 뱃트(VAT) 염료의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자수용사로 기존의 레이온 원사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도 일부 사용되어 오고 있다. 자수용사로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는 경우 원사 가격이 저렴하고, 공정 통과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고 수축 문제로 형태 안전성이 나빠지고, 원사 강도가 높아서 기계 오동작시 자수침이 자주 부러지고 분산염료 염색시 고온고압의 조건이 필요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 공개 특허 96-37888호, 동 95-8562호, 동 93-13258호 및 동 92-2848호 등에서는 폴리에스테르중합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공중합성분을 첨가한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여 분산염료에 대한 염색성을 향상시키거나 방사 및 연신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인장 강도, 파단 신도 및 비등수 수축율 등의 원사 물성을 자수사 요구 물성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로 제조된 원사는 염색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분산염료로 상업염색이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더라도 염색이 불균일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물성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보다는 자수사의 요구 물성에 근접하나,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자수용사로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들을 완전하게 해결하지는 못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자수실의 경우, 일정 압력으로 당겼을 시에 일정 길이로 늘어나는데, 이때 길이의 신장이 매우 많고, 당겨진 압력이 해제되면, 실이 꼬여져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사를 일정방향으로 꼬고, 금속사를 다른 방향으로 꼬아 실을 당겼을 시에 늘어남을 방지하여 자수용 실, 원단제조용 실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금속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실 제조방법에 생산된 실에 있어서, 염색 또는 염색하지 않은 상태의 원사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꼬고, 상기 원사가 한 방향으로 꼬은 상태에서 그 외주에 원사가 꼬인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금속사를 꼬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실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사는 약 1M를 기준으로 한 방향으로 900회 ~ 1100회 꼬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실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사 외주에 꼬아지는 금속사는 원사와는 다른 방향으로 1100회 ~ 1300회 꼬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수사 생산방법에 있어서, 어느 한 방향으로 원사를 900회에서 1100회 중 어느 한 회수로 꼬는 연사단계와; 상기 연사과정에 의해 생산된 원사를 염색하는 과정과; 소정길이와 소정 폭으로 이루어져 평판형으로 형성된 PP계열의 금속사 재료를 소정 폭으로 커팅하는 과정과; 소정 폭으로 커팅 된 금속사 외주연에 코팅하는 과정과; 어느 한 방향으로 꼬아진 원사의 외주연에 원사가 꼬아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금속사를 꼬는 과정과; 원사와 금속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꼬아진 상태로 실패에 감는 과정과; 실패에 감아진 실을 포장지에 포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사를 일정방향으로 꼬고, 금속사를 다른 방향으로 꼬아 금속실을 당겼을 시에 늘어남을 방지하므로 자수용 실, 원단제조용 실 등으로 사용할 때 꼬임이 방지되어 자수의 형성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원사의 방향과 금속사의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꼬아지도록 형성하므로 인장 강도가 강하므로 끊어지거나 또는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을 약 3m 이상 일정 장력으로 당기거나 또는 장력을 해지하여 실을 당기지 않는 상태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질 때 원사 외주연에 연사 된 금속사가 조금씩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금속실이 꼬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속실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실 제조방법에 의해 생사되는 금속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염색 또는 염색하지 않은 상태의 원사(11)를 연사 기기(미도시)를 통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꼰다.
상기 원사(11)를 한 방향으로 꼬은 상태에서 그 외주에 원사(11)가 꼬인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금속사(12)를 꼰다.
그리고 상기 원사(11)는 약 1M를 기준으로 한 방향으로 900회 ~ 1100회 꼬은 상태에서 상기 원사(11) 외주에 원사(11)와는 다른 방향으로 금속사(12)를 1100회 ~ 1300회 꼬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원사(11)와 금속사(1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꼬아지므로 신장률을 최소화되고, 일정장력에도 끊어지지 않는다.
또한 일정 장력으로 연속하여 실을 인출할 때 원사와 금속사(1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꼬은 상태이기 때문에 약 5m이상 인출하였을 때 실 자체적으로 교여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사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금속실 제조방법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원사가 감겨 있는 실패: 미도시)에 감겨있는 원사(11)를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꼬으는 과정(S10)을 행한다.
상기 원사(11)의 길이를 약 1m로 기준 할 때,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약 900회에서 약 1100회 중 어느 한 횟수로 연사 한다.
상기 연사에 의해 생산된 원사(11)에 각가지 색을 입히는 염색 과정(S20)을 행하고, 소정 시간 동안 염색한 원사(11)를 말린다.
상기 원사(10)를 어느 한 방향으로 꼬아 놓은 상태에서 금속사(12)를 생산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와 일정 폭으로 형성된 PP 계열의 원재(미도시)를 커팅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도록 커팅하는 과정(S30)을 행한다.
상기 과정에서 금속사(12)의 원재를 커팅 한 후 빛을 받았을 때 발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코팅 과정(S40)을 행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사(11)를 어느 한 방향으로 꼬아놓고, PP계열의 금속사(12) 원재를 커팅하여 코팅한 후 어느 한 방향으로 꼬아진 원사(11)의 외주연에 커팅 한 금속사(12)를 연사하는 과정(S50)을 행하여 금속실(10)을 생산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어느 한 방향으로 원사(11)를 꼬으고, 그 외주연에 PP계열의 금속사(12)를 원사(11)와 다른 방향으로 꼬아 생산된 금속실(10)을 일정 길이만큼만 실패에 감는 과정(S60)을 행한다.
상기 금속실(10)이 실패에 감아진 상태로 포장지에 포장하는 과정(S70)을 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금속실(10)은 컴퓨터 자수 기계(미도시) 등에 금속실(10)을 걸은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당기거나 당기지 않음을 반복적으로 행하는데, 이는 자수가 놓이는 형태에 따라 금속실(10)이 박음질이 되거나 또는 되지않는 상태가 반복적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금속실(10)을 당기거나 또는 당 기지 않는 상태를 반복적으로 행한다.
이때 상기 실패에 감겨 있는 금속실(10)을 당기거나 당기지 않음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금속실(10) 자체적으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언급하면, 원사(11)와 금속사(1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당기거나 당기지 않음을 반복하여도 금속실(10) 자체로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즉, 원사(11)와 금속사(12)가 같은 방향으로 감겨 있다면 일정한 장력으로 당기면서 실을 계속하여 사용하면, 일정한 장력에 의해 실이 꼬이지 않고 인출이 용이하나, 당기지않는 상태(실패에서 실을 풀지않는 상태)에서는 당김에 따른 원사의 외주연에 감긴 금속사(12)가 실패방향으로 약간씩 밀리고, 밀리는 상태가 계속하여 진행되면, 실 자체가 꼬여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원사(11) 외주연에 감기는 금속사(12)의 연사 횟수를 달리하는 것이 상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실패에서 풀릴 때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풀리기 때문에 기존의 실은 꼬임이 발생하나, 본 발명의 금속실(12)은 원사(11)와 금속사(12)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감겨 있고, 그리고 금속사(12)가 원사(11) 외주에 더 많은 횟수로 감겨 있기 때문이다.
다시 언급하면, 실이 풀리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금속사(11)가 원사(12) 외주에 감겨있기 때문에 실패에서 금속실(10)이 풀려도 자체적으로 꼬임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원사를 일정방향으로 꼬고, 금속사(12)를 다른 방향으로 꼬아 금 속실(10)을 당겼을 시에 늘어남을 방지하므로 자수용 실, 원단제조용 실 등으로 사용할 때 꼬임이 방지되어 자수의 형성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원사(11)의 방향과 금속사(12)의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꼬아지도록 형성하므로 인장 강도가 강하므로 끊어지거나 또는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을 약 3m 이상 일정 장력으로 당기거나 또는 장력을 해지하여 실을 당기지 않는 상태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질 때 원사(11) 외주연에 연사 된 금속사(12)가 조금씩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금속실(10)이 꼬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실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금속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금속실 제조방법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금속실 11: 원사
12: 금속사

Claims (5)

  1. 삭제
  2. 원사를 어느 한 방향으로 꼬아 연사하고, 연사된 원사의 외주연에 원사가 꼬아진 다른 방향으로 꼬아지는 금속사에 이루어진 금속실에 있어서,
    원사는 1M를 기준으로 한 방향으로 900회 꼬아지고, 상기 원사가 꼬아진 반대방향으로 금속사가 1300회 꼬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75475A 2009-08-16 2009-08-16 금속실 KR10119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75A KR101197792B1 (ko) 2009-08-16 2009-08-16 금속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75A KR101197792B1 (ko) 2009-08-16 2009-08-16 금속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944A KR20110017944A (ko) 2011-02-23
KR101197792B1 true KR101197792B1 (ko) 2012-11-05

Family

ID=4377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475A KR101197792B1 (ko) 2009-08-16 2009-08-16 금속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474A1 (ko)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두올 전도성 자수사, 그를 이용한 전도성 자수원단 및 그 전도성 자수원단을 이용한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474A1 (ko)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두올 전도성 자수사, 그를 이용한 전도성 자수원단 및 그 전도성 자수원단을 이용한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944A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3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design from a flexible filament having indicators
CA2729954C (en) Finishing needle
KR101197792B1 (ko) 금속실
CN103924395A (zh) 粗纺绒线双面机绣的方法和应用
US2155212A (en) Fabric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CN108149418A (zh) 一种花式纱线染色方法
KR20200030190A (ko) 폴리에스터사를 사용한 선형멜란지 무늬발현 환편물의 제조방법
JP4166531B2 (ja) 経編毛羽糸、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った編、織り地
KR102003247B1 (ko)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07376A (ko) 복합사, 상기 복합사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921144B1 (ko) 복합사, 상기 복합사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910009943B1 (ko) 경사꼬임(warp twist)에 의한 믹스 이펙트(mix effect) 경편직물의 제조방법
US2155213A (en) Yarn
CN104233563A (zh) 一种平纹织物1隔2行丝织补方法
JPH08337937A (ja) スパン糸のような毛羽を有するフィラメント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18167A (ja) 糸状物の模様染め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複合糸状物
JP7121228B2 (ja) 巻き縫い掛合による彩色糸の織物、編物の製造方法
KR102415021B1 (ko) 이색 칼라톤의 발현이 가능한 pet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1282B1 (ko) 손누비 명주 제조 방법
EP3231917B1 (en) Textile manufactured product made using embroidery machines and method for making this product
JPH01314742A (ja) 刺繍糸および刺繍レース
CN108411418B (zh) 机绣品及其绣制方法
KR102084015B1 (ko) 멜란지 컬러 발현이 가능한 라이오셀과 폴리에스테르 스핀드로우사의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RU185333U1 (ru) Трубчатое трикотажное чулочно-носочное изделие
KR100341832B1 (ko) 스펀같은플러프들이있는텍스쳐드필라멘트사및그것을제조하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