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245B1 -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245B1
KR910009245B1 KR1019840008012A KR840008012A KR910009245B1 KR 910009245 B1 KR910009245 B1 KR 910009245B1 KR 1019840008012 A KR1019840008012 A KR 1019840008012A KR 840008012 A KR840008012 A KR 840008012A KR 910009245 B1 KR910009245 B1 KR 910009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built
terminal
resistor layer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344A (ko
Inventor
가쯔히꼬 하따
다까히꼬 야마가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22Elongated resistive element being bent or curved, e.g. sinusoidal, hel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Non-Adjustable Resistor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내장저항기가 조립된 음극선관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음극선관내에 있어서의 내장저항기 각부에 있어서의 전위관계 설명을 위한 특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예가 음극선관에 조립된 경우의 각부에 있어서의 전위관계 설명을 위한 특성도.
제7도, 제8도,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종래의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에 있어서의 저항치 변화 설명을 위한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기판 2 : 고압전극단자
3 : 집속전극단자 4 : 접지전극단자
5 : 분압 저항체층
5′a : 분압 저항체층(5)을 구성하는 저항체층
5′a1, 5′ah : 저항체층(5′a)의 부분 9 : 전자총 구조체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등의 관체내에, 전자총과 함께 조립되는 내장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는 칼라음극선관등에 있어서, 양극전압 이외에, 예를들면, 집속 전극이나 포커스 전극등에 공급되는 고전압이 필요로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경우, 관체내에 전자총과 함께 분압용의 저항기를 내장저항기로서 조립하고, 이것에 의하여 양극전압을 분압하여 각각의 고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고,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내장저항기의 일예로서, 제1도 내지 제2도에 나타난 것과 같은 것이 알려지고 있다.
제1도는 외표부를 형성하는 절연피막상으로부터 투시한 상태의 종래의 내장저항기(7)를 표시하고, 제2도는 이 종래의 내장저항기(7)의 전체의 측면을 나타낸다. 이 제1도 내지 제2도에 나타나는 내장저항기(7)에 있어서, 세라믹판등의 절연기판(1)상에, 도전층이 피착되어서 형성된 단자부, 즉 고전압이 공급되는 고압전극단자(2), 집속 전극용의 고전압, 즉, 집속전압이 얻어지는 접속, 전극단자(이하, CV 전극단자라함)(3) 및 접지전극단자(4)가 설치되고, 또, CV 전극단자(3)와 접지 전극단자(4)와의 사이에는 소요의 저항치를 소요의 저항치를 가지는 저항체층(5a)이, 고압전극단자(2)와 전극단자(3)와의 사이에는 동일하게 소요의 저항치를 가지는 저항체층(5b)이, 또, 저항체층(5a) 및 (5b)와 CV 전극단자(3)의 사이에 미조정용 저항체층(5c)이, 각각 피착되어서, 분압저항체층(5)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1도의 사선부분에는, 분압 저항체층(5)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1도의 사선부분에는, 분압 저항체층(5)을 덮고, 납유리등으로 이루어진 절연피막(6)이 있다. 그리고, 미 조정용 조항체층(5c)은, 내장저항기(7)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그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각 단자간의 저항체층(5a) 및 (5b)의 저항치를 조정할 수가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내장저항기(7)가 칼라 음극선관에 조립된 상태를 제3도에 도시한다. 여기서, 관체(8)의 넥 부(8a)내에 전자총 구조체(9)가 배치되어 있고, 이 전자총 구조체(9)는, 3개의 캐소드(K)에 대하여 공통으로 제1그리드 전극(G1), 제2그리드 전극(G2), 제3그리드 전극(G3), 제4그리드 전극(G4) 및 제5그리드 전극(G5)이 순차 동축상에 배열되어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5그리드 전극(G5)의 후단에는, 집속수단(10)이 배치되고 있다. 각 전극(G1, G2, G3, G4, G5) 및 집속 수단(10)은, 상호 소정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여, 비딩 유리(11)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집속수단(10)은, 도전판(14)을 통하여 제5그리드 전극(G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편형전극판(10a 및 10b)과 그 외측에 이들 전극판(10a 및 10b)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외측편향 전극판(10c 및 10d)를 가지고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총 구조체(9)에 대하여,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나 있는 바같이 내장저항기(7)가 장치되고 있고, 이 내장저항기(7)의 고압전극단자(2)가 제5그리드 전극(G5)에 도전성 설치련(12)을 통하여 연결되고 있다. 관체(8)의 퍼넬부(8b)의 내벽에는, 넥부(8a)의 내벽에까지 뻗어있는 그래파이트 도전박(15)이 피착되고 있고 퍼넬부(8b)에 설치된 고압공급버턴, 즉, 양극브턴(도시치 않음)을 통하여 양극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도전판(14)에는, 도전 스프링(16)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16)이 그래파이트 도전막(15)에 접촉함에 의하여, 제5그리드 전극(G5), 제3그리드 전극(G3), 집속수단(10)의 내측편향전극판(10a 및 10b)에 연결되어, CV 전극단자(3)에, 양극전압이 저항체층(5a 및 5b)에 의하여 분압 되어서 얻어지는 집속전압이, 외측편향 전극판(10c 및 10d)에 공급된다. 또, 내장저항기(7)의 접지 전극단자(4)가, 관체(8)의 넥부(8a)의 기부에 있어서의 스템(18)에 관통 매설된 접지 전극단자 핀(19)에 연결되고, 직접 또는 조정용 외부 접촉저항을 통하여 접지된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에 있어서, 예를들면, 전자총 구조체(9)의 각부에 끝이 날카로운 돌기부분등이 있으면,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 소망스럽지 못한 방전을 발생케된다. 그래서, 음극선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전자총 구조체(9)에 있어서의 첨예돌기부분등의 방전을 생기게 하기 쉬운 부분에 대하여는, 미리 방전을 발생케하고 용해성형하는 등에 의하여, 완성품으로 된 후의 실제의 사용시의 동작은 안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녹킹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녹킹 처리공정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음극선관의 실작용에 비하여 2 내지 3배로 된 고전압(녹킹 전압)이, 제3그리드 전극(G3), 제5그리드 전극(G5) 및 내장저항기(7)의 고압 전극단자(2)에 인가되고, 또, 제1, 제2 및 제4의 각 그리드 전극(G1, G2 및 G4)은 접지상태로 된다. 이 녹킹 처리시에는, 내장저항기(7)의 절연피막(6)의 표면은 일부를 제외하고, 비교적 높은 전위에 대전되어서, 이 절연피막(6)에는, 특히, 분압저항체층(5)을 형성하고 저항체층(5a)의 저압측에서, 실작용시에 비하여 큰 전위차가 걸리게 된다. 제4도는 횡축에 내장저항기(7)의 절연기판(1)상에 있어서의 저압축으로 되고 접지 전극단자(4)로부터의 고압측으로 되는 CV 전극단자(3)측에의 거리(L)를 취하고, 종축에 전위 V를 가지고, 녹킹 처리시에 있어서의 내장저항기(7)의 절연피막(6)의 표면전위(곡선 a), 접지전극단자(4)와 CV 전극단자(3)와의 사이에 배치된 저항체층(5a)의 각부의 전위(곡선 b) 및 양전위의 차(곡선 c)를 나타낸다.
이것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절연기판(1)상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2그리드 전극(G3)에 근접한 위치(p)에 있어서의 비교적 저전위로 되는 저항체층(5a)의 부분에서의, 저항체층(5a)과 절연피막(6)의 표면과의 사이의 전위차가 최대로 되고, 따라서, 이 위치(최대전위치 위치)(p)에서 절연피막(6)에 최대의 전위차가 걸리게 된다. 이 때문에, 제3그리드 전극(G3) 부근에서, 절연막(6)의 내압을 넘는 전위가 걸리어서 절연피막(6)의 절연열화 또는 파괴를 발생케하고, 그 결과, 저항체층(5a)이 피해를 받아서 그 저항치가 현저히 변화해버리는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절연열화 또는 파괴에 의한 저항체층(5a)의 저항치 변화에 관하여서는, 절연피막(6)의 두께를 크게하고, 내압을 높이는 것이 유리하게 된다. 즉, 절연피막(6)의 막두께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고, 절연피막(6)의 절연열화 또는 파괴를 저지하고, 저항체층(5a)의 저항치의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케되지만, 내장저항기(7)에 있어서 절연피막(6)의 막두께가 무조건 크게 된다는 것은 코스트의 면에서 불리하게 되고, 또, 절연기판(1)과 절연피막(6)과의 팽창계수의 차에 기인하는 내장저항기(7)의 전체의 휘어짐을 발생하고, 사용시의 승온 및 불사용시의 강온의 열 사이클에 의하여 절연 피막(6)이 절연기판(1)으로부터 박리하는, 혹은 균열을 발생하는 등의 신뢰성의 저하에 연결되는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절연 기판상에 소정의 패턴을 가진 저항체층이 형성되고, 이 저항체층이 절연 피막으로 덮여진 구성을 가지고 음극선관의 녹킹 처리시등에 있어서도, 절연피막의 절연열화 혹은 파괴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고, 그 결과 녹킹 처리전 후 등에서의 저항체층의 저항치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더욱이 제조 코스트면이나 신뢰성의 면에서의 불리를 초래하지 않도록 된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는 절연기판상에 복수의 전극단자와, 이들 전극단자중의 저압측으로 되는 제1의 단자와 고압측으로 되는 제2의 단자와의 사이에 있어서 소정의 패턴을 가지고 배치되는 저항체층이 형성되고, 더욱이 저항체층을 피복하는 절연 피막이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절연기판상에 있어서의 상술의 제1의 단자와 제2의 단자를 잇는 방향의 단위 길이 당의 저항체층의 저항치가 절연기판상의 절연피막의 표면전위와 저항체층의 전위와의 사이의 전위차가 크게되는 고전위차 부위와 제2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보다도 고전위차 부위와 제1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편이 크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절연기판상의 저압측으로되는 제1의 단자의 부위로부터 고전위차 부위로 걸리는 저항체층의 전위상승 구배가 급준한 것으로 되고, 저항체층의 전위가 고전위차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단부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높게 되고, 그 결과 절연피막의 표면과 저항체와의 사이의 전위차, 즉 절연 피막에 걸리는 전위차가 저감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음극선관의 녹킹 처리시 등에 특히 큰 전위차가 걸리는 부분에 있어서도 절연피막이 절연열화 혹은 파괴를 일으킬 수 없도록 할 수 있고, 저항체층의 저항치의 대폭적인 변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 단자와 제2의 단자를 잇는 방향의 단위길이당의 저항체층의 저항치가, 고전위차부위와 제2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보다도 고전위차 부위와 제1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편이 크게 되도록 되는 것은 예를들어 저항체층이 균질 저항 재료에 의해 균일 단면적을 가지고,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패턴을 연구하여, 제1의 단자와 제2의 단자를 잇는 방향의 단위길이내에 있어서의 저항체층의 실효 길이가 고전위차 부위와 제2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보다도 고전위차부위와 제1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편이 크게 되도록 하는 수법에 의해서, 또 저항체층의 단면적 혹은 그것을 형성하는 저항재료를 부분적으로 함으로써 저항체층 자체의 단위길이당의 저항치가 고전위차 부위와 제2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 보다도 고전위차 부위와 제1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편이 크게 되도록 하는 수법에 의해, 더우기는 이들 각 수법의 조합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예의 내장저항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는 내장저항기(7)와 똑같은 절연 기판(1)상에 분압저항체층과 이것을 피복하는 절연피막이 설치되어 형성되고, 제5도에 있어서는 외표부를 형성하는 절연피막상으로부터 투시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 제5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는 각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1도 및 제2도와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이들에 관한 상세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5도에 도시되는 본 발명에 관한 내장저항기의 일예에 있어서는 절연기판(1)상에 설치되고, 또 예를들어 납유리로 이루어지는 절연피막(도시 생략)에 의해 피복된 분압저항체층(5)이 CV 전극단자(3)와 접지 전극단자(4)와의 사이에 지그재그형 패턴을 가지고 배치된 저항체층(5′a)과, 고압전극단자(2)와 CV 전극단자(3)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똑같은 저항체층(5b) 및 미조정저항체층(5C)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분압저항체층(5)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고, 균일한 저항 재료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저항체층(5′a)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진 지그재그형 패턴을 가진 것으로 되고, 저압측인 접지 전극단자(4)와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되는 내장저항기(7)에 있어서의 최대전위차 위치(p)에 대응하는, 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음극선관 내에 전자총 구조체(9)와 함께 꾸며져 전압이 인가된 때 절연 피막의 표면 전위와 저항체층(5′a)의 전위와의 사이의 차가 최대로 되는 위치인 최대전위차 위치(p′)와의 사이에 배치된 지그재그형 패턴의 뱀모양 피치를 소피치(p1)로 하는 부분(5′a1)과, 이것에 연속하여 최대전위차 위치(p′)과 고압측인 CV 전극단자(3)와의 사이에 배치된 지그재그형 패턴의 뱀모양 피치를 대피치(p2)(p2〉p1)로 하는 부분(5′ah)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연기판(1)상의 접지전극단자(4)와 최대전위차 위치(p′)와의 사이의 단위 길이내에 있어서의 소피치(p′)를 가지는 부분(5′a1)의 실효길이는 절연기판(1)상의 최대전위치 위치(p′)와 CV 전극단자(3)과의 사이의 단위 길이내에 있어서의 대피치(p2)를 가지는 부분(5′ah)의 실효길이 보다도 크게되고, 따라서, 접지(p′)와 CV 전극단자(3)와의 사이의 단위길이당의 저항체층(5′a)의 저항치보다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제5도에 도시되는 내장저항기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음극선관의 전자총 구조체(9)에, 종래의 내장저항기(7)와 똑같이 하여 부착되고, 음극선관의 녹킹 처리시에 있어서 고압전극단자(2)에 녹킹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횡축을 절연기판(1)상에 있어서의 접지 전극단자(4)로부터의 CV 전극단자(3)측에로의 거리 L로 하고, 종축을 전위 V로 하여 나타내는 제6도의 그래프에 있어서 곡선 b′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항체층(5′a)의 접지 전극단자(4)와 최대저위치 위치(p′)와의 사이의 부분(5′a1)에 있어서의 접지 전극단자(4)로부터 최대전위차 위치(p′)에 걸리는 전위 상승 구배가 급준하게 되고, 또, 최대전위차 위치(p′)와 CV 전극단자(3)와의 사이의 부분(5′ah)에 있어서의 최대전위차 위치(p′)로부터 CV 전극단자(3)로 걸리는 전위 상승 구배가 완만하게 된다. 따라서, 저항체층(5′a)의 각부의 전위는 제6도에 있어서 파선 b로 도시되는 종래의 내장저항기(7)의 경우의 전위에 비하여 최대전위차 위치(p′)를 중심으로하여 전체적으로 높게 된다. 이 결과 제6도에 있어서 곡선 a′로 도시되는 제5도의 내장저항기의 절연피막의 표면 전위와 저항체층(5′a)의 전위와의 차, 즉 절연피막에 걸리는 전위차가 종래의 내장저항기(7)의 경우에 비하여 저감된다.
이 경우, 저항체(5′a)의 부분(5′a1) 및 부분(5′ah)의 실효길이를 각각 X1및 Xh, CV 전극단자(3)의 전위를 Vc및 접지전극단자(4)의 전위를 Ve으로 하면 최대전위차 위치(p′)에 있어서의 저항체층(5′a)의 전위 Vp′
Figure kpo00001
로 되고, 또 최대전위차 위치(p′)에 있어서의 절연피막의 표면 전위를 Vs로 하면, 최대전위차 위치(p′)에 있어서 절연피막에 걸리는 전위는
Figure kpo00002
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위차 Vs-Vp′가 절연피막의 내압한계보다 작게 되도록 X1및 Xh가 설정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내장저항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 있어서도 제5도의 예와 똑같이 절연기판(1)상의 CV 전극단자(3)와 접지전극단자(4)와의 사이에 있어서, 부분(5′a1)과 부분(5′ah)으로 구성되는 저항체층(5′a)이 균일한 저항재료에 의해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고, 지그재그형 패턴을 가진 것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이 예의 경우에는 부분 5′a1도 5′ah로 서로 같은 일정의 지그재그형 패턴의 뱀모양 피치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부분(5′a1)의 지그재그형 패턴의 폭(h1)이 부분(5′ah)의 지그재그형 패턴의 폭(h2)보다 크게 (h1〉h2)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예에 있어서도 절연기판(1)상의 접지전극 단자(4)와 최대전위차 위치(p′)와의 사이의 단위 길이내에 있어서의 부분(5′a1)의 실효 길이가 절연기판(1)상의 최대전위차 위치(p′)와 CV 전극단자(3)과의 사이의 단위길이내에 있어서의 5′ah 실효길이보다도 크게 되고, 제5도의 예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제8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내장저항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예는 어느것도 제5도의 예와 마찬가지로, 절연기판(1)상의 CV 전극단자(3)와 접지전극단자(4) 사이에 있어서 부분(5′a1)과 부분(5′ah)으로 구성되는 저항체층(5′a)이 지그재그형 패턴을 갖고 설치되어 부분(5′a1)과 부분(5′ah)은 지그재그형 패턴의 사행 피치 및 사행폭이 각각 서로 같이 일정하게 함과 동시에 부분(5′a1) 자체의 단위길이당 저항치가 부분(5′ah) 자체의 단위길이당 저항치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항체층(5′a)의 부분(5′a1)과 부분(5′ah)이 다른 저항 재료로 형성되어 부분(5′a1)을 형성하는 저항재료의 비저항(m1)이 부분(5′ah)을 형성하는 저항재료의 비저항(m2)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제10도 및 제10도에 있어서의 선(X1-X1)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항체층(5′a)이 균질 저항재료로 형성되어 그 부분(5′a1)에 있어서의 저항체 두께(t1)가 부분(5′ah)에 있어서의 저항체 두께(t2)보다 작게 되어 부분(5′a1)에 있어서의 저항체 단면적이 부분(5′ah)에 있어서의 저항체 단면적에 비해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지전극단자(4)와 최대전위차 위치(p′)와의 사이의 단위길이당 저항체층(5′a)의 저항치가 최대전위차 위치(p′)와 CV 전극단자(3)와의 사이의 단위길이당 저항체층(5′a)의 저항치보다 크게 되어 있어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전자총 구조체(9)에 종래의 내장저항기(7)와 같이 부착되어 음극선관의 노킹처리시에 고압전극단자(2)에 녹킹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저항체층(5′a)의 각부의 전위는 종래의 내장저항기(p′)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 결과 이들 내장저항기의 절연피막의 표면 전위와 저항체층(5′a)의 전위와의 차, 즉 절연피막에 걸리는 전위차가 종래의 내장저항기(7)의 경우에 비하여 저감된다.
이 경우, 저항체층(5′a)의 부분(5′a1) 및 부분(5′a)의 저항치를 각각 R1및 Rh, CV 전극단자(3)의 전위를 Vc, 그리고 접지전극단자(4)의 전위를 Ve라 하면 최대전위차 위치(p′)에 있어서의 저항체층(5′a)의 전위(Vp′)은
Figure kpo00003
로 되며, 또 최대전위차 위치(p′)에 있어서의 절연피막의 표면전위를 Vs로 하면, 최대전위차 위치(p′)에 있어서 절연피막에 걸리는 전위는
Figure kpo00004
로 된다.
따라서, 이 전위차(Vs-Vp′)가 절연피막의 내압 한계보다 작아지도록 R1및 Rh가 설정된다.
제12도는 실험에 의해 얻어진 음극선관의 녹킹처리시에 있어서의 녹킹전압(vn)과 이런 녹킹 전압하에서의 음극선관에 조립된 종래의 내장저항기(7)의 저항체층(5a) 및 본 발명에 관계되는 내장저항기(7)의 저항체층(5′a)의 저항치 변화율(△R)과의 관계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곡선(C)이 종래의 내장저항기(7)의 경우를 표시하고 곡선(d)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내장저항기의 경우를 표시한다.
이렇게하여 본 발명에 관한 내장저항기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내장저항기(7)가 이용되는 경우와 동등한 실용적 녹킹 전압조건하에서는 내장저항기의 저항체층(5′a)의 저항치 변화가 인정되지 않고 또 종래의 내장저항기(7)가 이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녹킹전합하에서의 녹킹처리가 행해져도 내장저항기의 저항체층(5′a)의 저항치 변화가 극히 작은 범위로 억제되는 것을 알았다.
한편, 본 발명에 관계되는 내장저항기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보인 저항체층(5′a)에 관한 연구가 어느정도 조합되어 얻어지는 저항체층(5′a)을 구비한 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상술한 본 발명에 걸리는 내장저항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항체층(5′a)을 구성하는 부분(5′a1)과 부분(5′ah)의 경계가 절연기판(1)상의 최대전위차 위치(p′)에 일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 부분(5′a1)과 부분(5′ah)의 경계는 꼭 최대전위차 위치(p′)에 일치시켜야 할 필요는 없으며, 절연기판(1)상에 있어서의 최대전위차 위치(p′) 근방의 절연피막의 표면 전위와 저항체층의 전위와의 사이의 차가 비교적 커지는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에 의해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에 내장저항기는 음극선관내에 전자총과 함께 조립되어 전압인가 상태로 될 때 그 절연기판상에 배치된 저항체층을 피복하는 절연피막의 표면 전위와 저항체층의 전위와의 사이의 전위차가, 특히 이들이 커지는 부위에 있어서 현저하게 저감되므로 음극선관의 녹킹 처리시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상황하에 있어서도 절연피막의 절연약화 혹은 파괴가 발생되지 않고, 또, 저항체층의 저항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더구나 절연피막의 절연약화 혹은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그 막의 두께를 증대한다는 방법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절연기판과 절연피막과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전체 휘어짐이나 절연피막의 절연기판으로부터의 박리등이 발생하는 단점을 초래하지 않고 또 염가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절연기판상에 복수의 전극단자와, 상기 전극단자중의 저압측으로 되는 제1의 단자와 고압측으로 되는 제2의 단자와의 사이에 있어서 소정의 패턴을 가지고 배치되는 저항체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저항체층을 피막하는 절연피막이 설치되고, 상기 절연기판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를 잇는 방향의 단위길이 당의 상기 저항체층의 저항치가, 상기 절연기판상의 상기 절연피막의 표면전위와 상기 저항체층의 전위간의 차가 크게 되는 고전위차부위와 상기 제2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 보다도 상기 고전위차 부위와 상기 제1의 단자의 부위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쪽이 크게 되도록 된 음극선관의 내장 저항기.
KR1019840008012A 1983-12-16 1984-12-15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 KR910009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38244 1983-12-16
JP58238244A JPS60130033A (ja) 1983-12-16 1983-12-16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238244 1983-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344A KR850004344A (ko) 1985-07-11
KR910009245B1 true KR910009245B1 (ko) 1991-11-07

Family

ID=1702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012A KR910009245B1 (ko) 1983-12-16 1984-12-15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39640A (ko)
JP (1) JPS60130033A (ko)
KR (1) KR910009245B1 (ko)
CA (1) CA1232042A (ko)
DE (1) DE3445706C2 (ko)
FR (1) FR2556878B1 (ko)
GB (1) GB21527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2943A (ja) * 1984-04-06 1985-10-25 Sony Corp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GB2181009B (en) * 1985-09-23 1989-11-29 Fluke Mfg Co Joh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resistive ratio stability of a resistive divider network
JPS6313242A (ja) * 1986-07-04 1988-01-20 Sony Corp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S63108649A (ja) * 1986-10-24 1988-05-13 Sony Corp カラ−陰極線管
JPS63184231A (ja) * 1987-01-24 1988-07-29 Sony Corp 陰極線管のノツキング処理方法
US5210464A (en) * 1991-05-15 1993-05-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Cavity resonance absorption in ultra-high bandwidth CRT deflection structure by a resistive load
JPH09320485A (ja) * 1996-03-26 1997-12-12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
JPH10255682A (ja) * 1997-03-14 1998-09-25 Sony Corp 陰極線管
DE19844721A1 (de) * 1998-09-29 2000-04-2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mit verbesserter Elektrodenkonfiguration
JP4836070B2 (ja) * 2005-11-21 2011-12-14 独立行政法人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高耐久型高抵抗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20210U (de) * 1974-10-10 Crl Electronic Bauelemente Gmbh Elektrischer Widerstand
DE511398C (de) * 1927-10-11 1930-10-29 G Nickel Dr Anordnung zur beliebigen Verteilung der AEquipotentialflaechen in Widerstaenden aus drahtlosem Material
AT150922B (de) * 1935-02-05 1937-10-11 Kremenezky Ag Joh Widerstandssatz.
JPS5514627A (en) * 1978-07-15 1980-02-01 Sony Corp Voltage dividing resistor for electron gun structure
JPS5389360A (en) * 1977-01-17 1978-08-05 Sony Corp Electronic gun constituent
US4349767A (en) * 1977-01-17 1982-09-14 Sony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resistance of ruthenium oxide and glass containing alumina powder
DE2752922A1 (de) * 1977-11-26 1979-05-31 Philips Patentverwaltung Schichtwiderstand
GB1596597A (en) * 1978-04-29 1981-08-26 Ferranti Ltd Cathode ray tubes
JPS55159548A (en) * 1979-05-30 1980-12-11 Toshiba Corp Electron gun structure
EP0036901A1 (de) * 1980-04-01 1981-10-07 Norddeutsche Mende Rundfunk KG Anordnung zur Erzeugung von gebündelten Elektronenstrahlen in einem Vakuum-Entladungsgefä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32042A (en) 1988-01-26
DE3445706A1 (de) 1985-06-27
US4639640A (en) 1987-01-27
JPH0530012B2 (ko) 1993-05-07
GB2152744A (en) 1985-08-07
FR2556878B1 (fr) 1988-07-29
FR2556878A1 (fr) 1985-06-21
DE3445706C2 (de) 1994-07-21
KR850004344A (ko) 1985-07-11
GB8431377D0 (en) 1985-01-23
JPS60130033A (ja) 1985-07-11
GB2152744B (en) 1987-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245B1 (ko)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
CA1110364A (en) Television cathode ray tube having a voltage divider providing temperature-invariant voltage and associated method
KR920005003B1 (ko) 음극선관의 내장저항기
CN1106668C (zh) 电阻元件和阴极射线管
US6005472A (en) Inner resistor for cathode-ray tube
JPS6313242A (ja)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S60124340A (ja)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H0612654B2 (ja)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S60107242A (ja)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2646578B2 (ja) 陰極線管の内蔵低抗器
JPS60239001A (ja) 被膜絶縁型抵抗器
JPS60227342A (ja) 陰極線管装置
JP3303466B2 (ja) 陰極線管
JPS63184231A (ja) 陰極線管のノツキング処理方法
JPS63231847A (ja) カラー陰極線管
JPS61116735A (ja)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S5829894Y2 (ja) 電子銃構体
JP3673906B2 (ja) 抵抗器及びこれを用いた陰極線管用電子銃、並びに抵抗器の製造方法
JPS61250934A (ja)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S60124339A (ja)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JPH11191503A (ja) 抵抗器及びこれを用いた陰極線管用電子銃
JPH07123031B2 (ja) 陰極線管
JPH0748358B2 (ja) 進行波型偏向装置
JPS61147442A (ja) 陰極線管内蔵用抵抗体
JPH0785403B2 (ja) 陰極線管の内蔵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