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118B1 - 지폐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118B1
KR910009118B1 KR1019880009888A KR880009888A KR910009118B1 KR 910009118 B1 KR910009118 B1 KR 910009118B1 KR 1019880009888 A KR1019880009888 A KR 1019880009888A KR 880009888 A KR880009888 A KR 880009888A KR 910009118 B1 KR910009118 B1 KR 91000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exclusion
bills
audi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258A (ko
Inventor
히데오 오무라
노부사토 마루야마
마사토시 시오야
요시아키 아시카와
가즈노리 기노시타
코조 마츠모토
도시유키 미야노
히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094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100091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621959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773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9657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4108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0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류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지폐류처리장치에 대한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제2a도와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지폐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다발처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
제4도는 미감사다발투입대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미감사다발투입대의 선반상에서 다발의 처리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다발이송컨베어에 다발이 이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도는 다발이송컨베어에서 이송된 다발이 다발정지배제팔형상부에 의해 분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8도는 다발이송컨베어로부터 감사완료다발투입대에 구성된 선반에 다발이 이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감사완료다발투입대에 구성된 선반에 다발이 이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0도는 다발이송컨베어로부터 투입다발컨베어에 미감사다발이 이송되는 상태와 수납다발컨베어로부터 다발이송컨베어에 감사완료다발이 이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1도는 컨베어의 대략적인 도면.
제12도는 선(先)처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3a도는 감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3b도는 감사기의 개략적인 정면단면도.
제14도는 감사기의 배제권구분집적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15도는 배제권처리기의 배제권처리부에 관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제1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지폐류처리장치에서의 선준비처리동작에 대한 플로우차트.
제17도는 다발처리기에서 다발의 공급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18도는 선처리기에서의 선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감사기에서의 감사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20도는 다발처리기에서의 다발수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21도는 스트랩(strap)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2도는 집중제어테이블과 각 감사기 및 배제권처리기사이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3도는 집중제어테이블에서의 스트랩 로그정보의 격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4도는 스트랩 로그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제25도는 배제권카셋트에 수용된 배제권과 구분카드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26a도 내지 제26c도는 배제권처리기에서의 배제권정리동작에 대한 플로우차트.
제27도는 대조용 계수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8도는 대조결과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9도는 사고전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폐류처리장치 12 : 다발처리기
14 : 감사기 16 : 선처리기
18 : 컨베어 20 : 집중제어테이블
22 : 배제권처리기
본 발명은 지폐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폐류등의 유가증권류로 이루어진 지폐류를 묶음다발(束)로 하여 이 다발의 묶음 띠지를 절단해제해서 1매씩 감사등과 같은 소정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된 지폐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지폐류처리장치로서는 예컨대 1986년 5월 6일자로 오무라(Ohmura)등에 의해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586,232호라던지, 1988년 2월 2일자로 마루야마(Maruyama)등에 의해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722,443호 및, 1987년 10월 13일자로 오무라등에 의해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07,504호에 소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폐류처리장치에서는 피검사물체인 예컨대 은행권을 순차로 1매씩 취출해서 진위(위조)여부라던지 정상/훼손상태등에 관해 검사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이 경우, 이 지폐류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은행권을 낱장으로 수취하지 않고 묶음 띠지에 의해 결속된 상태로 수취하도록 되어 있는 바, 예컨대 작은 띠지에 의해 100매씩 묶여진 것 (이하 뭉치라 함)을 10개씩 큰 띠지로 결속시켜 놓은 것(이하 다발이라 함)을 수취하게 됨에 따라 지폐류처리장치내에서 상기 큰 띠지, 작은 띠지를 절단해서 차례로 은행권을 취출시켜 후속의 여러가지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지폐류처리장치의 경우에는 뭉치라던지 다발의 처리에서 시작해서 감사처리, 재감사가 필요한 은행권에 대한 배제권의 처리등에 이르는 일련의 처리단계에서 어느 개소인가에서는 수작업에 의한 처리가 필요하게 되고 있기 때문에 대량의 은행권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없고, 또한 종래 지폐류처리장치의 경우에는 감사종료후의 은행권에 대해 단지 소정의 장소에 축적시켜주기만 하므로 그 후의 처리는 전담요원의 수작업에 위임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 지폐류처리장치에서도 지폐류의 감사를 수행하는 감사기와, 이 감사기에 의한 감사에 따라 재감사가 필요하게 되는 배제권(排除券)의 처리를 행하는 배제권처리기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지폐류처리장치에서는 감사기와 배제권처리기가 1:1의 상태로 대응되게 구성되기 때문에 배제권의 발생이 작은 경우 배제권처리기의 가동율이 낮은 상태가 나타나게 되어 지폐류처리장치 전체에서의 종합적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첫째 상기한 종래의 지폐류처리장치에서는 은행권의 신속한 처리 요청에 대처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감사종료후의 은행권처리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책이 강구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지폐류의 감사에 수반되는 일련의 처리동작을 거의 자동화하므로써 대량의 지폐류를 신속하면서도 효율이 좋게 처리할 수 있게 되고, 둘째 종래의 지폐류처리장치에서는 감사기와 배제권처리기의 가동률에 상위(相違)가 발생되어 총합적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그 지폐류처리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된 지폐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첫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띠지에 의해 묶여진 미감사다발을 복수로 수용해서 이 수용된 미감사다발을 다발마다 순차로 송출해 줌과 더불어, 감사완료된 지폐류의 다발을 각 다발마다 순차로 수납해서 이 수납된 감사완료다발을 차례대로 수용하게 되는 다발처리기(12)와, 이 다발처리기(12)로부터 상기 미감사다발을 수납해서 이송시켜 줌과 더불어, 상기 다발처리기(12)로 상기 감사다발을 이송시켜주는 다발이 송컨베어(18), 이 다발이송컨베어(18)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지폐류의 미감사다발을 수납해서 이 미감사다발로부터 상기 띠지를 분리시켜 각 띠지에다 그 수납된 지폐류와의 관련정보를 부여해서 보관해 주는 선처리기(16) 및, 이 선처리기(16)에 의해 띠지가 분리된 지폐류를 도입해서 재사용가능한 지폐류와 재사용불가능한 지폐류 및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로 구분해 준 다음, 재사용가능한 지폐류 및 재사용불가능한 지폐류의 매수를 각각 계수기억시키게 됨과 더불어 상기 선처리기(16)에 의해 띠지에 부여된 관련정보를 기억시키게 되고, 재사용가능한 지폐류에는 띠지에 의한 묶음처리를 수행해서 감사완료 다발로서 상기 다발컨베어(18)에 송출해 주는 한편, 재사용불가능한 지폐류에는 띠지에 의한 묶음처리 또는 무효처리를 수행해 주고,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에는 상기 선처리기(16)에서 분리된 지폐류뭉치마다 구분해서 집적처리를 수행해 주는 감사기(14)로 구성된 지폐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사기(14)에 기억된 상기 계수 결과 및 관련정보를 수취해서 순차로 기억시켜 주는 제어기(20)와, 상기 감사기(14)로부터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를 수납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기(20)로부터 상기 계수결과 및 관련정보를 수취해서 수납된 배제권의 진위(위조)여부판별과 지폐권종류검지 및 계수대조처리를 수행해서 위조되지 않은 지폐권으로 판단되는 진권은 무효처리를 수행하는 반면 그 이외의 지폐류는 상기 띠지와 관련되는 집적처리를 수행하는 배제권처리기(22)가 구비 된다.
이어, 상기한 둘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폐류의 감사를 수행하면서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를 배제권으로서 축적해 주는 감사기(14)와, 이 감사기(14)에 의해 축적되는 배제권을 수납해서 배제권처리를 수행하는 배제권처리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폐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사기(14)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배제권처리기(22)는 각 감사기(14)에 의해 축적되는 배제권을 적절히 수납해서 배제권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지폐류처리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지폐류처리장치에 대해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지폐류처리장치의 전체외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중 참조부호 10은 지폐류처리장치를 나타낸다. 또 다발처리기(12)에는 다발이송기로서의 컨베어(18)를 매개해서 감사처리 수단을 구성하는 감사기(14)와 선(先)처리기(16)가 복수대 접속되고, 제어수단인 집중제어테이블(20)은 상기 구성의 장치와 더불어 후술되는 배제권처리기(22)를 집중제어해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발처리기(12)는 제2a도와 제2b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감사다발투입대(24)와 다발취출부(26), 10뭉치계수부(28a,28b), 투입다발배제부(30), 수납다발배제부(32), 압인(押印)집적부(34), 감사완료다발수집부로서의 감사완료다발수입대(36), 은행권종류즉인부(38A,38B), 조작표시패널(40)등이 갖추어져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감사다발투입대(24)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계원에 의해 투입되는 다발은 적재부로서의 선반(42)상에 적재되는데, 이 경우 선반(42)상에는 다발(T)을 최대 10다발정도 투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다발(T)은 제5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류로서의 은행권(P ; 이하 필요한 경우 "권"(券)이라 약칭함)은 예컨대 100매씩 작은 띠지(k)로써 묶음뭉치(H)로 묶여지고, 이 묶음다발(H)이 10개정도 모아져서 큰 띠지(K)에 의해 "+"자로 결속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42)에 적재되는 다발(T)은 작은 띠지(k) 또는 큰 띠지(K)에 부여된 은행점명(S)이 윗면에 압인되는 한편 작은 띠지(k)가 전방에 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42)의 양단부는 무한체인(endless chain ; 44a,44b)에 연결되는데, 이 무한체인(44a, 44b)은 모터(46)에 의해 풀리(48) 및 벨트(50)를 매개해서 순환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 상기 선반(42)은 조작면측에서 항상 4단이 되도록 해서 다발(T)의 최대적재량은 40개로 해 주고 있으며, 이 선반(42)의 각 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다발(T)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52)가 배치되고, 이 센서(52)의 각 검출출력에 따라 선반(42)의 자동회전이동과, 투입된 다발(T)이 모두 처리된 경우의 자동정지, 경보등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 센서(52)에 의해 최하단에 위치되는 선반(42)이 공백으로 검출되면 선반(42)은 윗쪽에서부터 아랫쪽으로 자동적으로 1단씩 이동되고, 또 최하단위치의 선반(4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센서(52)와는 별도로 감지센서(54)와 은행권종류의 확인정보를 얻어내는 센서(56)가 설치되어, 상기 선반(42)의 회전이동중에 감시센서(54)가 차단되어지면 선반(42)이 즉시 정지되어 계원의 안전을 지켜줄 수 있게 되며, 상기 센서(S6)에서 얻어지는 확인정보는 후술되는집중제어테이볼(20)에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다발(T)의 취출은 최하단엔 위치되는 선반(42)의 우측(제5도 참조)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바, 즉 취출되는 다발(T)이 상기 선반(42)의 우측에 도달되면 다발배출팔형상부(58)에 의해 선반(42)의 내측에서 해당 선반(42)과 평행하게 설치된 다발이송컨베어(60 ; 제6도 참조)상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다발이송컨베어(60)에 접촉된 다발(T)의 전단이 우측으로 이동되기 시작하는 한편, 그 다발(T)의 후단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滿曲)형상의 가이드판(62)에 의해 일시적으로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다발(T)이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다발(T)이 90°방향으로 변환된다. 이와 더불어 도시되지 않은 정위기(整位機)에 의해 다발(T)이 상단이 내측으로 내리눌려지게 되어 다발(T)이 넘어지게 되고, 이렇게 해서 다발(T)이 다발이송컨베어(60)로부터 10뭉치계수부(28a)를 경유해서, 10뭉치이외의 다발(T)은 후술되는 배제다발집적함(64)으로 전송되는 반면 10뭉치의 다발(T)은 후술되는 투입다발컨베어(66)로 이송된다.
또, 제5도에 도시된 선반(42)상에서 가장 우측에 있는 다발(T)은 다발배출팔헝상부(58)에 의해 내측으로 배출되고. 그 다발배출팔형상부(58)가 이전상태로 복귀된 다음 다발이송팔형상(68)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검출해내기 위한 센서(70a,70b)의 신호에 따라 상기 다발이송팔형상부(68)의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이어, 상기 10뭉치계수부(28a)에 대해 설명한다.
이 10뭉치계수부(28a)는 상기 다발이송컨베어(60)의 다발이송로방향에 설치되어 제6도에 도시된 이송중인 다발(T)에다 주사장치(scanner ; 72)로부터 광선을 조사해서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서 주사하게 됨에 따라 그 반사광량을 이용해서 작은 띠지(k)의 경계선을 검출해내어 이 경계선을 계수함으로써 다발수를 검출해 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다발배제부(30)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발정지배제팔형상부(74)와 배제다발집적함(64)을 갓추고서 상기 10뭉치계수부(28a)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바, 10뭉치계수부(28a)에 의해 이상상태 즉 10뭉치임을 확인할 수 없는 다발(T)에 대해서는 해당 배제위치에 도달되기 이전에 발생된 이상신호에 따라 다발성지배제팔형상부(74)가 다발이송컨베어(60)상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송도중의 다발(T)은 상기 다발정지배출팔형상부(74)의 전면부(74a)에 의해 정지되는 한편 그 측면부(74b)에 의해 다발이송컨베어(60)로부터 측방향에 설치된 배제다발집적함(64)으로 밀려서 배출된다.
또, 제7도에 도시된 다발도착검출기(76)의 출력은 다발정지배제팔형상부(74)의 측면부(74b)로써 다발(T)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때의 동작트리거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10뭉치계수부(28a)에 의해 10뭉치가 확인된 다발(T)에 대해서는 다발정지배제팔형상부(74)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다발(T)은 투입다발배제부(30)를 그대로 통과해서 후술되는 투입다발컨베어(78)로 송출된다. 이 경우 상기 수납다발배제부(32)는 제7도에 도시된 상기 다발이송컨베어(60)에 대해 후술되는 수납측의 다발이송컨베어(80)의 이송방향이 반대로 되는 상태를 제외하고는 거의 투입다발배제부(30)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압인집적부(34)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측의 다발이송컨베어(80)의 이송단말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이 다발이송컨베어(80)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후술되는 감사완료다발(T)을 회전대(82)에 의해 수취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다발도착검출기(84)에 의해 감사완료다발(T′)이 검출되고, 이러한 검출에 따라 회전대(82)가 90°회전되어 다발(T′)을 90°방향 회전전환시켜 주게되며, 이 상태로부터 압인기(86)에 의해 큰 띠지(K)의 교차부분에 예컨대 은행점명의 압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압인동작이 완료된 다음 이번에는 집적팔형상부(88)에 의해 회전대(82)의 다발(T′)이 감사완료다발수입대(36)의 선반(90)상으로 배출되고, 이러한 배출동작이 종료된 다음 회전대(82) 및 집적팔형상부(88)는 다음에 처리될 다발(T′)이 갖게 되는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감사완료다발수입대(36)는 압인이 이루어진 감사완료다발(T′)을 집적해 주기 위해 미감사다발투입대(24)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순환가능한 선반(90)이 조작면측에 5단으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90)에서 다발(T′)은 압입된 점포명(S)이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집적되고, 이들 다발(T′)이 최하단선반(90)의 우측에서 집적팔형상부(88)에 의해 선반(90)상의 압입(
Figure kpo00001
)되며, 또 압입된 다발(T′)의 좌단에는 유지팔형상부(9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유지팔형상부(92)는 1다발씩 압입될 때마다 소정량만름 이동해서 다발(T′)이 넘어지는 상태를 방지해 주게 되고, 이 경우 그 유지팔헝상부(92)는 미감사다발투입대(24)의 다발이송팔형상부(68)와 운동방향은 다르지만 동작원리는 동일하게 된다.
이하, 선반(90)에서의 다발(T′)의 처리동작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선반(90)상에 다발(T′)이 집적되면 그 선반(90)은 순환동작에 의해 1단 상승해서 다음의 다발(T′)을 수납하는 동작을 재개하게 되는데, 여기서 이 선반(90)은 다발(T′)이 집적될 때마다 차례로 1단씩 상승되면서 5단(최상단)의 선반에 다발(T′)이 모두 집적된 경우에는 물론이지만 하단과는 관계없이 최상단에 다발(T′)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 장치가 정지되는 한편 계원에게 선반(90)내의 다발(T′; 특히 최상단)을 취하도록 주의를 환기시켜 주기 위한 부저를 올려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어(18)에 대해 제9도와 제10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다발처리기(12)의 다발이송컨베어(60)에 이송되어지는 다발(T)이 버퍼(buffer)컨베어(94)에서 수납된 다음 다발정지벽 (96)에 의해 그 다발(T)이 정지되는데, 상기 버퍼컨베어(94)상에는 2개의 다발(T)이 축적될 수 있게 되고, 이 경우 2번째 다발(T)은 1번째 다발(T)의 후단에 맞닿아서 정지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서는 축적되는 다발수를 2다발로 해 주고 있지만, 2개의 다발로 한장되지는 않고 임의 갯수의 다발수가 축적될 수 있도록 변형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게 된다.
이어, 집중제어테이블(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투입다발압입판(98)이 동작하게 되어 다발(T)이 하나씩 투입다발컨베어(66)상에 압출되고, 이 경우 2번째의 다발(T)은 상기 1번째의 압입동작중에는 투입다발압입판(98)의 측벽에서 규제되게 되며, 투입다발압입판(98)이 초기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2번째 다발(T)은 다발정지벽(96)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다발정지벽(96)에 의해 정지되고, 이어 상기 투입다발압입판(98)은 다음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다발검출기(100 또는 102)의 검출신호에 따라 다발처리기(12)의 다발압출팔형상부(58)가 동작되어 다음의 다발(T)을 투입시키고, 이어 투입다발플렌저(plunger)가 투입다발컨베어(66)에 진입되고 다발(T)을 선처리기(16)내에 수납시켜 주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투입다발컨베어(66)의 단말전방에 검출기가 설치되는데, 이 검출기의 신호에 따라 다발플렌저에 의해 투입컨베어(66)상의 다발(T)이 처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다발(T)이 투입컨베어(66)의 단말에 설치된 수납부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배제함에 집적된다. 이에 따라, 비록 단말의 선처리기(16)가 다발(T)을 처리하지 못한 경우에도 이 선처리기(16)의 수납부분에 다발(T)이 체류되지 않게 되어 이 선처리기(16)의 동작에 지장이 초래되지는 않게 된다.
또, 나중에 상세히 설명되는 감사기(14)에서 배출된 감사완료된 다발(T′)은 투입다발컨베어(78)상에 인도되어 이송되는데, 이 투입다발컨베어(78)의 이송단말에는 투입다발압입판(104)이 설치되어 이송되어지는 다발(T′)이 수납되고, 이어 검출기(106)의 신호에 따라 다발(T′)이 다발처리기(12)의 다발이송컨베어(80)상에 인도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어(18)를 구성하는 투입다발컨베어(66)와 투입다발컨베어(78)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루어져 있는 바, 즉 이들 컨베어(66,78)는 케이스(108)내에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케이스(108)의 일측면에는 다발(T,T′)을 필요에 따라 출입시킬 수 있는 개폐커버(110,112)가 설치되면서, 이 케이스(108)내에는 다발처리기(12) 및 감사기(14)에서 배출되는 열(熱)을 모으는 배기덕트(duct ; 114)가 설치됨과 더불어 다발처리기(12)와 감사기(14)를 접속해 주는 신호케이블(116), 전원케이블(118)등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상기 선처리기(16)내에서 지폐류다발의 처리상태를 제12도에 도시된 개략적인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 한다.
상기한 투입다발컨베어상(66)에 이송되는 다발(T)이 선처리기(16)의 투입구근방에서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확인되면 셧터(120)가 개방되고, 이때 다발(T)은 투입다발컨베어(66)에 의해 구동되어 소정의 수납위치(A)까지 이송되며, 이 수납위치에서 다발플렌저(122)가 구동되어 다발(T)이 장치내로 수입된 다음 이 다발(T)은 상승 하강이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사이드스톱퍼(side stopper)에 도달되는 위치(B)까지 이송되어 정지되고, 이때에 사이드스톱퍼까지 이송된 다발(T)을 결속해 주는 큰 띠지(K)에는 큰 띠지의 일련번호프린터(124)에 의해 지폐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련번호가 인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사이드스톱퍼가 하강해서 다발(T)의 맞접촉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다발플렌저(123)가 재차 구동되어 다발(T)이 제1절단위치(C)까지 이동되고, 다발(T)의 위치(C)에 이송되게 되면 다발이동기(126)가 작동해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다발스톱퍼(128)축을 향해 다발(T)을 이동시킨 다음 상기 다발이동기(126)와 상기 다발스톱퍼(128)에 의해 다발(T)의 위치가 결정되게 끼워지지시켜 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 다발(T)에 결속된 2개의 큰 띠지(K)가 제 1절단부(130)를 구성하는 2개의 절단기(130A,130B)에 의해 절단되어 다발(T)의 묶음상태가 해제되고, 이어 제 1 띠지분리부(132)를 구성하는 2개의 캣처 (catcher ; 132A,132B)에 의해 지폐류뭉치와 큰 띠지(K)가 분리되는데, 이때 상기 큰 띠지(K2)는 압입판(134)에 의해 아랫쪽으로 이송되어 큰 띠지보관카셋트(136)에 수납된다.
한편, 큰 띠지(K)가 분리제거된 10개의 지폐류뭉치는 앞서 이송퇸 다발(T)에 포함되는 10개의 지폐류뭉치중에서 하나의 뭉치씩 인출되는 동작이 종료되기를 대기하게 되고. 이어 앞서 이송된 다발(T)의 지폐류 뭉치의 최종인출이 완료되면 뭉치이동부(138)가 제 1절단위치(C) 즉 다발스톱퍼(128)의 위치까지 이동되어 정지됨에 이어 상기 다발스톱퍼(128)가 상승되어 풀어 헤쳐진 10개의 지폐류뭉치에 대해 상기 다발이동기(126)와의 끼워지지상태를 해제시켜 주는데, 이때 상기 지폐류뭉치는 상기 다발이 동기(126)와 상기 뭉치이동부(138)에 끼워지게 되고, 이들 10개의 지폐류뭉치는 끼워지지상태하에서 지폐류뭉치인출위치(D)까지 이송된다.
그리고, 뭉치이동부(138)는 지폐류뭉치가 인출위치(D)까지 이동되면 하강되어 지폐류뭉치의 아랫측을 통해 상기 다발이동기(126)보다도 제 1절단위치(C)측으로 복귀된 다음 상승됨에 이어 재차 지폐류뭉치인출위치(D)측으로 이동되어 지폐류뭉치를 압박해 주게 된다. 또 상기 다발이동기(126)는 제 1절단위치(C)로 복귀되어 후속다발의 처리를 대기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지폐류뭉치인출위치(D)에 이송된 10개의 지폐류뭉치는 상기 뭉치이동부(138)와 뭉치스톱퍼(140)에 의해 유지되면서 인출부재(142)에 의해 1뭉치씩 인출됨에 이어 뭉치전송부재(144)에 의해 제2절단위치(E)까지 1뭉치씩 이송된다. 여기서, 제2절단위치(E)에는 지폐류뭉치에 결속된 작은 띠지(k)를 절단처리해 주는 작은 띠지절단부(146)가 설치되는데, 이 작은 띠지절단부(146)는 뭉치압축기구(148)와 제2절단부(150), 푸셔(pusher ;152), 작은 띠지감지부(154), 캣처(1S6), 작은 띠지프린터(158) 및 묶음 띠지이송벨트(16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뭉치압축기구(148)는 도시되지 않은 천정베이스(天井 base)의 고정면에 지폐류뭉치를 상승시켜 압박끼워지지해서 위치가 결정되게 유지시켜 주게 되고, 제2절단부(150)는 이 뭉치압축기구(148)에 의해 유지된 지폐류뭉치의 작은 띠지(k)를 2개의 절단기(150A,150B)에 의해 절단해 주게 되며, 푸셔(152)는 이 제2절단부(150)에 의해 분리된 지폐류다발(T)과 작은 띠지(k)를 뭉치압축기구(148)의 하강상태에서 후술되는 작은 띠지(k)의 인출위치(F)까지 이송시켜 주게 되고, 작은 띠지감이부(154)는 이 푸셔(152)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류다발(T)의 아랫면측에 마찰체(162)를 매개해서 맞접촉되며, 상기 캣처(1S6)는 이 작은 띠지감이부(154)에 의해 감겨진 작은 띠지(k)를 지폐류로부터 떼어내어 지폐류와 작은 띠지를 분리시켜 주는 제2묶음 띠지분리부(164)를 구성하게 된다.
또, 작은 띠지프린터(158)는 캣처(1S6)에 의해 인출되는 작은 띠지(k)에 지폐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련번호를 압인해 주게 되고, 묶음 띠지이송벨트(160)는 이 캣처(1S6)에 의해 인출된 작은 띠지(k)를 수납하게 되며, 이 묶음 띠지벨트(160)에 의해 작은 띠지(k)가 작은 띠지보관카셋트(166)의 투입구로 이송되어 묶음티지수납부재(168)에 의해 상기 작은 띠지보관카셋트(166)내에 차례로 수용되는 한편, 상기 작은 띠지(k)가 분리된 100매의 은행권(T1)은 도시되지 않은 공급부에 의해 감사기(14)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한 뭉치전송부재(144)에 의해 제2절단위치(E)까지 1뭉치씩 이송되는 지폐류뭉치의 작은 띠지(k)를 절단처리 해 주는 작은 띠지절단부(146)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뭉치압축기구(148)의 상승에 의해 지폐류묶음 뭉치를 장치본체의 천정베이스의 고정면측으로 상승시켜 압박끼워유지시켜 줌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어 유지되고, 이에 따라 지폐류묶음뭉치의 휘어진 상태가 평평한 상태로 되어 작은 띠지(k)의 절단이 무리없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
다음, 상기 감사기(14)에 대해 제13a도 내지 제13c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이 감사기(14)는 작은 띠지(k)가 분리된 다발(T)을 전송해 주는 선처리기(16)와 접속되면서, 취출부(172)와 이송구분부(174), 감사부(176), 구분집적부(178), 뭉치묶음부(180), 다발묶음부(182), 다발포장부(184), 무효부(186), 제어부(188), 조작표시부(190)를 구비하게 되는데, 그중 상기 조작표시부(190)를 구비하게 되는데, 그중 상기 조작표시부(190)는 조작부의 일례로서 구성되는 한편, 취출부(170)와 이송구분부(174), 감사부(176), 구분집적부(178), 뭉치묶음부(180), 다발묶음부(182), 다발포장부(184), 무효부(186)는 기구부의 일례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기구부로부터 발생되어 조작부에 전달되는 소음을 방지해 주기 위해 예컨대 조작포시부(190)의 주위에는 본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천정에 이르기까지에 벽(BOAD)이 설치되어 있어 조작부와 기구부는 이 벽(BOAD)에 의해 대략적으로 분리되게 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 "뭉치"는 100매의 지폐류(예컨대 지폐류등의 유가증권 ; 이하 필요에 따라 "권"이라 약칭함)를 포개 쌓아서 묶음 것을 의미하고, "다발"은 10개의 뭉치를 묶어놓은 것을 의미하며, 또 "정상권" 은 감사결과 정규하면서 유효한 은행권으로 인정되어 발행처에서 재이용에 제공되도록 반려되는 권을 의미하고, "손상권"은 감사의 결과 정규하면서 유효한 은행권으로 인정은 되지만 재이용에는 적당하지 않기 때문에 발행처에서 폐기처분될 은행권임을 의미하며, "위조권"은 감사결과 정규하지 않으면서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인정되는(이 경우 판정이 불가능한 것은 뮤효로 인정) 은행권을 의미한다. 그리고, "감사불능권"은 예컨대 겹침, 스큐(skew ; 은행권의 경사진행), 쇼트핏치(short pitch ; 이송경로중에서 선행권과의 간격이 너무 가까워 후단의 처리가 곤란한 것)등의 이유에 의해 감사를 할 수 없는 은행권을 의미하고, 이중에서 위조권과 감사불능권은 장치에서 배제되기 때문에 "배제권"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 구분집적부(178)는 배제권구분집적부(178A)와 이종권(異種券)구분집적부(178B), 정상권구분집적부(178C), 손상권구분집적부(178D)로 분할되는 한편, 이송구분부(174)도 상기 구분집적부(178)의 분할에 기초해서 이송경로중에 4개소(174A∼174D)가 설치되는 바, 각 이송구분부(174)에는 게이트(gate ; GT)가 각각 설치된다. 또, 상기 각 구분집적부(178A∼178D)에는 공지의 은행권수납용 휠 (wheel ; FW1∼FW4)이 각각 설치되어 이송되어지는 은행권을 1매씩 취출해서 각 집적함(BIN)에 집적시켜 줄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구분집적부(178)중 배제권구분집적부(178A)에는 상하로 2개의 집적함(BINO1 ; 위조권집적함, BINO2 ; 감사불능권집적함)이 설치되고, 다른 집적부(178B∼17BD)에는 각 1개씩의 집적함(BIN2-BIN4)이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뭉치묶음부(180)도 "180B,180C,180D"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집적함(BIN2∼BIN4)의 아랫쪽에 각각 분산배치되고, 상기 정상권집적부(178C)의 하부에 설치된 뭉치묶음부(180)의 아랫쪽에는 다발묶음부(182)가 설치되면서 후방의 다발포장부(184)에 은행권을 인도해주기 위한 창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부(172)는 상기 선처리기(16)에서 이송되는 다발(T1)을 받아 집적해 두는 집적부(172A)와, 이 집적부(172A)에서부터 은행권을 1매씩 취출해 주는 이송로울러(172B), 취출된 은행권을 이송해 주는 로울러군(172C),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은행권의 특징(겹침, 스큐, 쇼트핏치등의 감사불능상태)을 검사해 주는 검사부(172D)로 구성되는데, 그중 상기 검사부(172D)와 상기 검사부(176)는 소정항목에 따라 지폐류를 검사해 주는 검사장치에 관한 구성의 일례로서, 이들 검사부(172D,176)에 의한 검사결과는 상기 제어부(188)내의 기억부(192)에 기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부(172)는 선행의 뭉치처리가 종료되기까지 후속의 지폐류뭉치에서 1매의 은행권을 취출해 내는 동작은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조작표시부(190)는 제1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지폐류뭉치의 입구부(190A)와 그 윗쪽에 설치된 10-키등을 포함하는 조작부(190B), 모니터용 CRT(190C), 카셋트취출구(190D)로 구성되고, 상기 다발포장부(184)에는 취출구(184A)가 설치되며, 이러한 각 기구부를 수용하는 부분은 각각 모듈(module)화되어 있어, 제1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대(194)가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설치된 공급전송모듈(Ml), 감사모듈(M2), 집적모듈(M3,M4), 폐기모듈(M5), 다발포장부(184)가 각각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배치되어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임의로 증감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공급전송모듈(M1)에는 상기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구분되어 배제권구분집적부(178A)와 취출부(172)가 수용되어 있다. 또 모듈(M2)에는 감사부(176)와 제1, 제2이송구분부(174A, 174B)가 수용되어 있고, 모듈(M3)에는 이송권구분집적부(178B)와 뭉치묶음부(180) 및 제3이송구분부(174C)가 수용되어 있으며, 모듈(M4)에는 정상권구분집적부(178C)와 그 지폐류묶음부(180C), 손상권구분집적부(178D)와 그 뭉치묶음부(180D), 정상권과 손상권을 계수해 주기 위해 정상권 및 손상권을 검출해 내는 센서(198,200), 제4이송구분부(174D), 제1, 제2무효부로서의 재단기(186A, 186B)가 수용되어 있고, 모듈(M5)에는 폐기함(186C)이 수용되어 있다.
또, 상기 2개의 BIN01,BINO2 부근에는 배제권카셋트(196)가 설치되고, 상기 배제권구분집적부(178A)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감사불능권집적부(202 ; BINO2) 위조권집적부(204 ; BION1), 구분카드발행부(206), 카셋트집적부(208 ; 감사결과에 기초해서 배제되어지는 지폐를 집적해 주는 배제권집적장치의 일례)로 구성되며, 그중 감사불능권집적부(202)에는 이송수단에 의해 전송되어 오는 감사불능권(P3)을 차례대로 아래에서 부터 위로 쌓이도록 집적시켜 주게 되는데, 이는 은행권의 진입방향과 직각의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입체구분판(202A)이 설치된 컨베어벨트(202B)와 컨베어벨트구동용모터(202C)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컨베어벨트(202B)상에 집적된 은행권은 컨베어벨트(202B)의 움직임을 검출해 내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와, 컨베어벨트(202B)의 측단부에 같은 핏치로 설치된 구멍을 검출해 내는 위치결정용센서(S6)의 검출결과에 의해 컨베어벨트(202B)가 작동되어 소정위치로 이동된다. 또 컨베어벨트(202B)에 설치된 입체구분판(202A)은 같은 핏치로 나란하게 되어 있으면서 2개의 입체구분판(202A)에 의해 집적함의 은행권진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2개의 벽이 형성되고, 상기 컨베어벨트(202B)는 소정 핏치로 이동되면서, 이동후에는다른 입체구분판에 의해 상기한 집적함의 2개의 벽이 형성된다. 또한 위조권집적부(204)는 이송장치에 의해 전송되어지는 위조권을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저속회전하는 수납용획(FW1)의 곡선구(曲線溝)에서 일단 저지시켜 은행권을 감속시킨 다음 차례대로 아래에서부터 위로 쌓이게 적재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정상권 및 손상권집적부와 동일하게 수납용 휠(FW1)에 진입되어지는 은행권에 대해 수납용휠(FW1)의 곡선구가 동기되어 회전하게 되므로 은행권이 확실하게 수납용 휠(FW1)의 곡선구에 진입시켜 질수 있게 되고, 이 수납용 휠(FW1)의 곡선구에 진입된 은행권은 약 180°회전된 다음 은행권의 선단방향에 설치된 고정판(204A) 의해 진행이 방행되면서 수납용 휠(FW1)의 회전에 의해 은행권이 서서히 곡선구로부터 방출되어 위조권 집적부(204)내에 마찬가지로 집적된다.
그리고, 상기 위조권집적부(204)의 밑판(204B)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어, 모터(204C)가 회전하게 되면 팔형상부(204D)를 매개해서 그 밑판(204B)이 위조권집적부(204)의 외부로 이동되므로 집적된 은행권등이 위조권집적부(204)의 아랫쪽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이 위조권집적부(204)의 아래쪽에는 감사불능권집적부(202)가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이 감사불능권집적부(202)에 집적된 감사불능권상에 위조권집적부(204)내에 집적된위조권이 포개어져 적재될 수 있게 된다. 또 구분카드발행부(206)는 1개의 지폐뭉치에 대해 배제권집적동작이 종료된 다음 구분카드를 발행해 줌으로써 배제권집적부(배제권카셋트 ; 196)에 집적되는 지폐를 각 지폐뭉치마다 구분해 줄 수 있게 된다. 즉, 예컨대 카드수납함(206A)내에 수평으로 겹쳐 쌓여 수납된 구분카드(CAD)가 1매씩 함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경우 상기 구분카드(CAD)에는 고유번호가 부여된다.
또 상기 구분카드(CAD)의 밑면에 배치된 배출로울러(206B)가 1회전함에 따라 구분카드(CAD)의 전단이 배출로울러(206C)에 이르게 되면 배출로울러(206C)의 배출과정에서 구분카드(CAD)상의 고유번호가 독출헤드(206D)에 의해 독출되어 제어부(188)내의 기억부(192)에 기억되는 한편, 상기 배출된 구분카드(CAD)가 위조권집적부(204)내에 집적된다. 또한, 상기 카셋트집적부(208)는 감사불능권집적부(202)의 컨베어벨트(202B)상에 집적되어진 은행권등을 배제권카셋트(196)내로 압출해 주기 위한 압출판(208A)과 배제권카셋트(196)내에 수용시켜 주기 위한 압입판(208B) 및 배제권카셋트(19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208C)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측(208D)이 전후로 이동되는 한편, 축 전단에 고정된 압출판(208A)이 스크류축(208D)과 더불어 이동되므로 은행권을 압출시킬 수 있게되고, 이렇게 압출되는 은행권은 배제권카셋트(196)상에 설치되어 있는 판(208E)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압입판(208B)은 통상 배제권카셋트(196)의 위쪽에 대기되어 있으면서, 압입시에 아랫쪽으로 이동되는 은행권등을 배제권카셋트(196)로 압입시져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제권카셋트(196)는 위쪽을 열어 준 함(函)으로서 내부에 마찰력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걸려 있는 백엎판(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백엎판은 수납되는 은행권등을 매개해서 압입판(208B)에 의해 수시로 아랫쪽으로 압박이동되고, 이 백엎판이 가장 아랫쪽으로 내려가게 되면 배제권카셋트(196)에 설치되어진 절단부를 매개해서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점검되어 충만 신호가 출력된다. 또 상기 배제권카셋트(196)에는 그 배제권카셋트(196)를 식별하기 위한 카셋트번호가 예컨대 바코드등으로 부여되어지는데, 이 카셋트번호는 독출헤드(208F)에 의해 독출되어 진다.
여기서, 구분카드(CAD)의 고유번호는 배제권집적부(배제권카셋트(196))에 집적되어진 지폐(해당 지폐류 뭉치에서)의 검사결과에 대응해서 상기 제어부(188)내의 기억부(192)에 기억시켜지고, 소정량의 지폐류뭉치에 대한 처리가 본 실시예장치에서 종료되는 경우 최초 또는 최후에 발행되어진 구분카드(본 실시예장치에서는 최후에 발행되어진 구분카드)로 부터 순차적으로 배제권집적부내의 배제권카셋트(196)에서 취출되어 그 고유번호가 상기 조작표시부(190)로 입력됨에 따라 그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검사결과 데이타를 상기 모니터용 CRT(190C ; 최소한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검사결과 데이터를 고유번호마다 표시해 주는 표시 수단의 일례)에 표시해 줌과 더불어, 그 고유번호에 이어지는 고유번호(순차적으로 아래에 적층되어 있는 구분카드에 부여된 고유번호)에 대응되는 검사데이터가 순차적이면서 자동적으로 모니터용 CRT(190C)에 표시되도록 제어해 주는 제어부(표시제어부 ; 212)가 상기 제어부(188)내에 설치되어져 있다.
이어, 배제권구분집적부(178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취출부(172)에 의해 은행권이 1매씩 취출되는데, 여기서 예컨대 위조권 1매와 감사불능권 1매가 각각의 집적함에 직접되어 있다고 하면, 100매째 은행권의 검사판정 결과가 나타나는 싯점 또는 100매째 은행권의 후단이 위조권집적함 입구의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차단하는 싯점에서 구분카드발행부(206)의 구분카드취출로울러(206B)가 회전하기 시작해서 위조권상에는 구분카드(CAD)가 배출된다. 그후 위조권집적함(204)의 밑판(204B)을 구동시켜 주는 모터(204C)가 회전해서 팔형상부(204D)를 통해 밑판(204B)이 집적함 외부로 이동되어 위조권과 구분카드(CAD)가 순차적으로 감사불능권상에 집적된다.
이어, 감사불능권집적부(202)의 컨베어벨트용모터(202C)가 회전해서 컨베어벨트(202B)가 동작하게 됨에 따라 복수개의 입체구분판(202A)의 1핏치분이 이동된다면 벨트의 구멍이 센서(S6)에 의해 검출되므로 모터(202C)의 회전 및 컨베어벨트(202B)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이와 더불어 압출판용 모우터(208C)가 회전되기 시작해서 컨베어벨트(202B)상에 집적되어진 감사불능권(P3)과 위조권(P4) 및 구분카드(CAD)가 압출판(208A)에 의해 배제권카셋트(196)상으로 압출되고, 이 압출판(208A)이 최전단으로 이동되면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되며, 그 신호에 의해 압입판용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압출판용 모터(208C)가 역회전해서 압출판(208A)이 본래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모터(208C)가 정지되는 한편, 압입판(208B)이 소정의 스트로크동작에 의해 본래 위치로 복귀되어 정지된다.
이러한 동작은 1주기로 이루어지게 되고, 더욱이 이러한 동작이 순차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각 지폐뭉치의 배제권(위조권, 감사불능권)이 구분카드(CAD)로 구분되어진 상태에서 배제권카셋트(196)내에 집적되게 된다. 따라서, 배치된 지폐의 매수를 1개의 지폐류뭉치에 대한 처리마다 확인할 필요없이 전체의 지폐류뭉치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다음에 각 구분카드(CAD)로써 구분되어 있는 배제권의 매수를 확인하게 되면 충분하게 된다. 그리고, 1배치(batch)중에 감사불능권과 위조권이 없는 경우에는 구분카드(CAD)는 발행되지 않게 되므로 배제권카셋트(196)내에 수납하지 않게 되고, 또 이 구분카드(CAD)는 가장 먼저 또는 가장 마지막에 배제권카셋트(196)에 직접 들어가도록 해도 구분카드(CAD)로서의 효과에는 변함이 없게 된다.
이어, 상기 배제권처리기(22)에 대해 그 상세한 구성을 상기 제1도 및 제15도를 참초해서 설명한다.
먼저, 그 외관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퍼레이터데스크(operator desk ; 212)와, 숫자키등이 구비된 조작부(214), 출력수단인 예컨대 프린터(216), 구분카드처리부(218), 출력수단 예컨대 CRT 표시부가 구비된 표시부(220) 및, 상기 배제권카셋트(196)로부터 취출되는 배제권중 이상이 없는 은행권을 처리 해주는 배제권처리부(222)가 갖추어져 구성되어 있고, 그중 상기 구분카드처리부(218)는 구분카드투입구(224)에 투입되어지는 구분카드(CAD)를 처리해 주게 되는데, 그 구성은 제2도에서 블럭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구분카드(CAD)의 투입을 접수해서 취출반송해 주는 구분카드취출부(218A)와, 취출된 구분카드(CAD)로부터 코드화부호(카드번호)를 독출해 내는 카드번호독출부(218B) 및 카드번호가 독출된 구분카드(CAD)를 일괄해서 집적해 주는 구분카드집적부(218C)가 구비되어 있다.
이어, 상기 배제권처리부(222)에 대해 제15도에 도시된 배제권처리기(22)의 개략단면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배제권처리부(222)는 배재권투입구(226)와 은행권 공급부(228), 검지부(230), 이송구분부(232), 손상권일시보관부(234), 배재권일시집적부(236), 손상권재단기(238), 계수부(240 ; 제2도 참조) 및 I/O 인터페이스(242 ; 제2도 참조)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배제권투입구(226)에 투입되는 배제권은 은행권공급부(228)에 의해 1매씩 취출되어 검지부(230)로 송출되고, 이 검지부(230)에서는 송출되는 배제권을 재검사하게 되며, 이송구분부(232)는 그 검지결과에 기초해서 최소한 2종류로 구분해 주게 되는바, 예컨대 취출이송되어 오는 은행권의 겹침상태라던지 진위여부에 관해 검지부(230)에서 검지해낸 다음 그 검지결과에 기초해서 은행권을 소정의 집적부에 구분해서 축적시켜 두게된다. 즉 손상권, 위조권, 이종권, 겹쳐진 은행권과 같은 배제권으로 구분해 주게되고, 이 경우 손상권은 손상권일시보관부(234)에 집적되는 반면, 검지부(230)에 의한 검지의 결과, 배제해야 된다고 판단되는 배제권(겹침권, 위조권, 이종권)은 배제권일시집적부(236)에 집적된다. 또 상기 손상권일시집적부(234)에 집적되어진 손상권은 상기 검지부(230)에서의 계수결과와 계수부(240)에서의 계수결과를 대조해서 이상이 인정되지 않을 때에는 손상권재단기(238)에 의해 무효로 된다.
그리고, 상기 계수부(240)는 배제권일시집적부(236) 및 손상권일시보관부(234)에 각기 집적되는 은행권이 매수를 상기 검지부(230)와는 별도로 계수하게 되고, 상기 I/O인터페이스(242)는 상기 집중제어테이블(20)과 데이터교환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분처리부(218)의 구분카드투입구(224)에 구분카드(CAD)가 투입되면 그 구분카드(CAD)로 부터 독출되는 카드번호에 대응하는 배치(후술함)의 검지결과가 후술되는 집중제어테이블(20)의 기억부(244)로부터 독출되어 배제권처리기(22)의 표시부(220)에 표시되는데, 그 표시내용에는 예컨대 배제권의 배제이유와, 해당하는 큰띠지 및 작은띠지의 번호가 대응되게 부가되어 있다.
이어, 상기한 지폐류처리장치(10)의 각부 구성에 대해 제2a도와 제2b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다발처리기(12)는 이미 설명한 미감사다발투입대(24)와 다발취출부(26), 10뭉치계수부(28a)(28b), 투입다발배제부(30), 수납다발배제부(32), 압인집적부(34), 감사완료다발수입대(36) 및 조작표시패널(40)등을 갖추어 구성됨과 더불어, 이 다발처리기(12)는 집중제어테이블(20)과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I/O인터페이스(246)도 갖추어져 있다.
또, 상기 선처리기(16)는 상기 컨베어(18)에서 송출되는 다발(T)을 장치내로 투입시켜 공급해 주는 다발공급부(248)와 공급되어지는 다발(T)의 큰띠지에 식별정보, 예컨대 통과번호(큰띠지번호)를 부여해 주는 큰띠지번호부여부(250), 번호가 부여된 큰띠지를 제거해 주는 큰띠지절단부(252), 절단된 큰띠지를 집적수용해 주는 큰띠지보관카셋트(오퍼레이터에 의핸 장치로부터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함 ; 136), 큰띠지가 제거된 다음 10뭉치에서 순차적으로 1뭉치씩 취출해서 해당 뭉치를 상하로 구부려줌으로써 뭉치를 잡아 당겨 상하로 휘게 해 주는 과정에서 절단기에 의해 작은 띠지를 절단시켜 주는 작은띠지절단부(14), 및 절단된 작은띠지를 번호순으로 집적시켜 10뭉치미다 열융착띠에 의해 다발로 묶은 상태로 수용보관해 주는 작은띠지보관카셋트(16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은띠지보관카셋트(166)중 열융착띠에 의해 연속적으로 소정핏치로 묶여진 10뭉치의 작은띠지마다 작은띠지프린터(158)에 의해 일련번호(작은띠번호)가 부여되고, 이에 따라 10뭉치마다의 작은띠지는 1개의 열융착띠로서 다발로 늘어서게 되므로 작은띠지번호는 반드시 다발로 되어진 10뭉치의 작은띠지 각각에 부여해 줄 필요가 없이 예컨대 상단에 위치되는 10뭉치의 작은 띠지에 대해 번호를 부여해 주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해서 큰띠지절단부(252)와 작은띠지절단부(146)에 의한 처리를 거쳐 취출하는 은행권은 1매씩 감사기(14)로 보내어지게 되고, 상기 감사기(14)는 각기 이미 설명한 취출부(172)와 이송구분부(174), 감사부(176), 구분집적부(178), 뭉치묶음부(180), 다발묶음부(182), 다발포장부(184), 무효부(186), 제어부(188) 및 조작표시부(190)로 구성되어지면서, 또 정상권 또는 손상권의 매수를 상기 센서(198,200)의 검지 결과에 따라 계수해 주는 계수기(254,256) 및 상기 구분카드(CAD)의 카드번호를 독출해내기 위한 독출해드(206D)와 상기 배제권카셋튼(196)의 카셋트번호를 독출해 내기 위한 독출헤드(208F)가 갖추어지게 됨과 더불어, 집중제어테이블(20)과 데이터의 교환을 주행하기 위한 I/O인터페이스(25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제권처리기(22)는 이미 설명한 조작부(214), 표시부(220), 프린터 (216), 은행권공급부(228), 구분카드처리부(218), 검지부(230), 계수부(240), 배제권일시집적부(236), 배제권일시보관부(234), 손상권재단기(238) 및 I/O인터페이스(242)가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집중제어테이블(20)에는 본 지폐류처리장치(10) 전체의 제어를 통제하는 주제어부(260)와 키보드등으로 이루어진 조작부(262), 본 지폐류처리장치(10)의 제어프로그램과 파라미터 예컨대 은행권종류전환에 따른 각부의 조정값 데이터등이 기억된 프로그램메모리(264)와 감사정보와 그 이외의 데이터가 기억된 데이터메모리(266)로 이루어진 기억부(244), 수집 또는 기억되어진 감사정보등을 표시해 주는 CRT(268), 상기한 다발처리기(12), 감사처리수단(선처리기(16) 및 감사기(14)과 배제권처리기(22)사이에서 이미 설명된 각종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I/O인터페이스(270)가 구비되어 있다.
이어, 이상과 같은 구성의 지폐류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6도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선준비처리가 수행되는 바, 즉 오퍼레이터에 의해 집중제어테이블(20)의 조작부(262)가 조작되어 처리될 은행권종류와 대조단위 및 배치의 크기등과 같은 각종 제어파라미터가 설정되는데(단계 S11), 본 실시예에 따른 대조단위는 1다발(10뭉치, 1000매)로 설정해 주면서 1배치는 20다발로 설정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파라미터는 I/O인터페이스(270)를 통해 각 감사기(14)로 출력되므로(단계 S13), 각 감사기(14)에서는 이 제어파라미터를 I/O인터페이스(258)를 통해 접수해서 제어부(188)의 기억부(192)에 기억시켜 두게 된다(단계 S14). 또, 각 감사기(14)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배제권카셋트(196)의 카셋트번호를 독출헤드(208F)에 의해 독출해서 그 독출된 카셋트번호를 상기 기억부(192에기억시켜 두게 된다(단계 S15).
이와 같이해서 선준비가 종료된 다음 오퍼레이터에 의해 다발처리부(12)의 각 선반(42)에 10매의 다발이 적재되어진 다음 조작표시패널(40)의 처리개시보턴(도시되지 않음)이 조작되면, I/O인터페이스(246,247)를 통해 집중제어테이블(20)의 주제어부(260)가 그 상태를 감지해서 각부에 동작개시를 명령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다발처리기(12)의 조작표시패널(40)의 처리개시보턴의 조작에 따라 동작이 개시되도록 하는 대신 집중제어테이블(20)의 조작부(262)의 소정키를 누름에 따라 동작이 개시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동작개시명령에 따라 다발처리기(12)는 제17도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다발공급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선반(42)상에 10개씩 적재된 다발을 1다발씩 선반(42)상으로 이송시킨 다음(단계 S21), 다발이송컨베어(60)근처에 설치되어진 10뭉치계수부(28a)에 의해 10뭉치인지의 여부를 검출해 내게 되는 바(단계 S22), 10뭉치라고 확인되면 그 다발을 투입다발컨베어(66)로 이송공급해 주게 되고(단계 S23), 이어 후속 다발의 이동 및 10뭉치확인을 반복해서 수행하게 되며, 이에 대해 10뭉치가 아니라고 확인되면 그 다발은 반려된다(단계 S24).
또, 상기 선준비처리후에는 제18도의 플루오차트에 도시된 선처리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즉 투입다발컨베어(66)로부터 다발이 공급되면 그 다발을 수납해서(단계 S31), 그 다발을 묶어준 큰띠지에다 큰띠지일련번호프린터(124)에 의해 일련번호를 부여해 주고(단계 S32), 이 경우 상기 파라미터로서 은행의 지점명, 은행의 담당자명, 년월일등도 설정해 줌으로써 일련번호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 내용을 큰띠지에 부여해 줄 수도 있다. 이어 해당 큰띠지가 절단됨과 더불어(단계 S33), 그 큰띠지가 큰띠지보관카셋트(136)에 수용되고(단계 S34), 이때 큰띠지번호는 해당 배치와의 대응이 이루어져 감사기(14)의 기억부(192)에 기억된다(단계 S36). 그후, 지폐류뭉치의 작은띠지가 절단되고(단계 S36), 이 절단된 작은띠지에다 작은띠지프린터(158)에 의해 일련번호가 부여된 다음(단계 S37), 그 작은띠지가 작은띠지보관카셋트(166)에 수용된다(단계 S38). 이 경우에도 작은띠지번호와 해당 배치와의 대응이 이루어져 감사기(14)의 기억부(192)에 기억되며 (단계 S39), 이와 같이해서 순차적으로 이탈제거되어진 10개의 작은띠지의 작은띠지보관카셋트(166)에 수용된다. 또 선처리기(16)에서 작은띠지가 분리되어진 지폐류뭉치는 감사기(14)로 공급되고(단계 S40), 이 감사기(14)에서는 제19a도∼제19c도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감사처리가 수행되는 바, 즉 취출부(172)에 의한 은행권의 취출동작개시전에 구분카드발행부(206)로부터 구분카드(CAD)가 발행되고(단계 S51), 이때 이 구분카드(CAD)의 카드번호가 독출헤드(206D)에 의해 독출되며(단계 S52), 그 구분카드(CAD)로부터 독출되어진 카드번호는 기억부(192)에 해당 배치와의 대응이 이루어져 기억되고(단계 S53), 또 상기 구분카드(CAD)는 해당 배치에서 배제권이 배제되어지기 전에 배제권카셋트(196)에 집적된다(단계 S54).
그리고, 취출부(172)에 의해 은행권이 1매씩 취출이송되어(단계 S55), 감사부(176)에서 그 이송된 은행권의 진위여부, 정상/훼손상태, 은행권종류검지, 겹침검지등과 같은 감사가 실행되게 되고(단계 S56), 이 검지결과 재검사가 불필요한 은행권(이종권, 정상권, 손상권)인 경우에는(단계 S57) 이송구분부(174)에 의해 대응되는 집적함(BIN2∼BIN4)에 이송집적되게 되는데, 이때 정상권 및 손상권의 매수는 계수기(254, 256)에 의해 계수되게 된다(단계 S59).
이와 달리, 상기 검지결과, 재검사가 필요한 은행권[겹쳐진 은행권(여러장이 겹쳐진채로 이송된 은행권), 위조권]인 경우에는(단계 S57) 이송구분부(174)에 의해 배제권집적부(178A)로 이송되어 배제권카셋트(196)내의 상기 구분카드(CAD)상에 집적수송되게 된다(단계 S60).
한편, 상기 감삽(176)에서의 감사내용(예컨대 배제권에 대한 배제이유와 그에 대응되는 매수등) 및 상기 계수기(254, 256)에 의한 정상권 및 손상권의 매수등과 같은 감사정보는 기억부(192)에 기억되어 진다(단계 S61) 그리고, 상기 감사의 결과 정상권으로 판단된 은행권은 정상구분집적부(178C)의 집적함(BIN3)에 집적되게 되는데, 이 정상권이 100매 집적되게 되면(단계 S62) 정상권묶음부(180C)에 의해 묶여지면서 압인되게 되고(단계 S63), 이와 같이해서 묶여진 뭉치의 검사, 즉 은행권의 위치어긋남등의 유무가 확인되는데, 이때 은행권의 위치어긋남등이 확인되면 그 상태를 오퍼레이터에 경고해서 오퍼레이터가 구작업에 의해 수정하도록 해 주게 된다.
이어, 묶여진 정상권뭉치가 10뭉치로 된 경우에는(단계 S64) 다발묶음부(182)에 의해 정상권다발묶음이 수행되게 되고(단계 S65), 또 이 정상권다발(큰다발)은 컨베어(18)[다발이송원베어(80)]를 통해서 상기 다발처리기(12)에 이송된다(단계 S66).
이에 따라 다발처리기(12)는 이송되는 다발을 수취해서 제20도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발수납동작을 실행하게 되는 바, 즉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해서 다발이송컨베어(80) 근방에 설치된 10뭉치계수부(28b)에 의해 10뭉치인지의 여부에 대한 검출이 실행되는 바(단계 S81), 여기서 10뭉치가 아니라고 확인되면 그 다발은 반려되게 되는 반면(단계 S82), 10뭉치라고 확인되면 압인기(86)에 의해 압인이 실행된 다음(단계 S83) 선반(90)상에 집적되게 된다(단계 S84). 이어 1개의 선반(90)에 10다발이 집적될 때마다(단계 S86) 선반(90)이 회전되어(단계 S86) 연속집적이 실행되고, 그후 이들 다발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취출되어 후속처리가 실행되게 된다.
또, 상기 감사기(14)에 의한 감사의 결과가, 손상권으로 판단된 은행권은 손상권구분집적부(178D)의 집적함(BIN4)에 집적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손상권뭉치의 묶음 또는 손상권의 재단을 위한 손상권일시보관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즉, 손상권뭉치의 묶음이 선택된 경우에 (단계 S67)손상권이 100매 집적되면(단계 S68) 손상권묶음부(180D)에 의해 묶여지면서 압인된 다음 도시도지 않은 손상권집적부의 수납함에 집적되고(단계 S69), 이에 대해 손상권일시보관이 선택된 경우에는(단계 S67) 무효부(186)에 의해 손상권의 재단이 실행되게 되고(단계 S70), 재단된 손상권의 조각들은 폐기용 함(186C)으로 배출된다.
이어, 뭉치로 묶여진 은행권전체가 처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단계 S71), 뭉치로 묶여진 은행권이 모두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S55로 복귀해서 다음의 은행권처리를 실행하게 되는 반면, 뭉치로 묶여진 은행권이 모두 처리된 경우에 제어부(18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스트랩정보를 I/O인터페이스(258)를 통해서 집중제어테이블(20)에 전송해 주게 된다(단계 S72). 그리고, 대조단위(1다발)의 처리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단계 S73), 이때 대조단위의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S55로 복귀해서 다음의 은행권처리를 실행하게 되는 반면, 상기 대조단위의 처리가 종료된 경우에는 1배치의 처리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단계 S74), 이 경우 1배치의 처리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S51로 복귀해서 다음의 대조단위의 처리를 실행하게 되는 반면, 1배치의 처리가 종료된 경우에는 그 상태를 조작표시부(190)의 CRT(190C)에 표시해 주고서(단계 S75) 감사처리를 종료하게 된다.
또한, 감사기(14)가 뭉치의 처리를 종료할 때마다 상기 집중제어테이블(12)에 보내는 상기 스트랩정보는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바, 즉 이 스트랩 정보는 기계번호 No. 정보, RUN-NO. 정보, BATCH-NO. 정보 CASSET-NO. 정보, CARD-NO. 정보, BUNDLE-NO. 정보, STRAP-NO. 정보, FIT-NOTE 정보, UNFIT-NOTE 정보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기계번호 NO. 정보는 이 지폐류처리장치(10)중에 구성된 감사기(14)를 나타내는 고유번호 정보이고, RUN-NO. 정보는 처리형태(모드)마다 부여되는 번호정보로서, 이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집중제어테이블(12)에 미리 설정되어지는 예컨대 은행권의 종류라던지 대조단위에 따라서 소정의 번호가 부여되게 된다. 그리고 BATCH-NO. 정보는 처리의 배치마다 부여되는 번호정보로서, 이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집중제어테이블(12)에 미리 설정된다. 또 CASSET-NO. 정보는 현재 감사기(14)에 셋트되어진 배제권카셋트(196)의 번호정보로서 독출헤드(208F)에 의해 독출되어 기억부(192)에 기억된 카셋트번호이고, CARD-NO. 정보는 대조단위마다 발행되는 구분카드(CAD)의 번호정보, 즉 독출헤드(206D)에 의해 독출되어 기억부(192)에 기억된 카드번호이며, BUNDLE-NO. 정보는 처리된 다발의 묶음띠지(큰띠지)의 번호정보로서 큰띠지일련번호프린터(124)에 의해 큰띠지에 부여되어 기억부(192)에 기억된 큰띠지번호이며, STRAP-NO. 정보는 처리되는 지폐류뭉치의 묶음띠지(작은띠지)의 번호정보로서, 절단된 작은띠지에 대해 작은 띠지프린터(158)에 의해 부여되어 기억부(192)에 기억된 작은띠지번호이다. 또한 FIT-NOTE 정보는 처리되는 지폐류뭉치중의 정상권에 대한 매수정보이고, UNFIT-NOTE 정보는 처리된 지폐류중 손상권에 대한 매수 정보로, 이들정보는 계수기(254)(256)에 의해 계수되어 기억부(192)에 기억된다.
제22도는 상기 집중제어테이블(12)과 각 감사기(14) 및 배제권처리기(2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놓은 도면으로, 각 감사기(14 ; CP1, CP2, CP3)는 뭉치의 처리가 종료될 때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트랩정보 ①을 집중제어테이블(12)에 전송해 주게 되고, 집중제어테이블(12)은 이 스트랩정보 ①중에 있는 기계번호 NO. 정보, RUN-NO. 정보, BATCH-NO. 정보를 기초로 해서 스트랩 로그(strap log) 정보를 작성해서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메모리(266)의 소정영역에 저장(save)시켜주게 되는데, 이 경우 스트랩 로그정보의 상세한 내용은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이 제24도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272)은 감사기(14)로부터 뭉치의 처리가 종료될 때마다 송신되어 오는 1개의 스트랩정보 ①에 대응하게 되고, 실선으로 둘러싸인 부분(274)은 1다발분(1대조단위)에 상당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제24도에 의해 1다발의 처리가 종료될 때마다 구분카드(CAD)가 발행되는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구분카드(CAD)의 카드번호는 일련번호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4도에서 DATE 및 TIME은 스트랩정보를 받은 일시 및 시간을 나타내고, FITT+UNFIT가 100이 아닌 경우, 이는 배제권인 것을 반드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본래 100매가 아니라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판단은 차후에 배제권을 정리함으로써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1배치의 처리가 종료된 때 배제권카셋트(196)에는 예컨대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제권과 구분카드(CAD)가 집적수용되는데, 이 배제권카셋트(196)는 제22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출에 의해 배제권처리기(22)로 운반된다. 즉, 감사기(14)에서 처리가 종료된 때에는 배제권처리기(22)를 매개해서 배제권카셋트(196)내에 수용되어 있는 배제권의 정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배제권처리동작은 완전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배제권처리기(22)가 입출감사를 원조하는 형태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제26a도 내지 제26c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상기 배제권정리동작을 설명한다. 단, 이 경우에는 1배치가 1카셋트로 된다. 즉, 어떤 감사기(14)에서 1배치의 처리가 종료되면(단계 S91), 오퍼레이터는 그 감사기(14)로 부터 배제권카셋트(196)를 취출해서(단계 S92), 배제권처리기(22)의 오퍼레이터데스크(212)상으로 운반하게 되고, 이어 오퍼레이터는 그 배제권카셋트(196)의 카셋트번호를 조작부(214)를 이용해서 배제권처리기(22)에 대해 지정해 주게 된다(단계 S93). 그러면, 배제권처리기(22)는 집중제어테이블(12)에 대해 그 카셋트번호의 정보 ②(제22도)를 전송해 주게 되고(단계 S94), 집중제어테이블(12)은 이 카셋트번호정보 ②에 따라 데이터메모리(266)의 소정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스트랩 로그정보에 기초해서 대조용계수데이터 ③을 편집해서 그 편집 데이터를 배제권처리기(22)에 전송해 주게 되므로(단계 S95) 배제권처리기(22)는 상기 대조용계수데이터 ③을 수신해서(단계 S96) 기억시키게 된다. 여기서, 대조용계수데이터 ③은 예컨대 제2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RUN NO. 정보와 카셋트 NO. 정보, 카드 NO. 정보, 배치 NO. 정보, BUNDLE NO. 정보 및 FIT+UNFIT 정보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7도에서 실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276)은 제22도에서 실선으로 둘러싸인 부분(274)에 상당하게 된다.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배제권카셋트(196)내의 배제권과 구분카드(CAD)를 위에서 부터 순서대로 취출하여 처리하게 됨에 따라 배제권카셋트(196)내의 배제권은 감사기(14)의 처리속도에 구애받음없이 감사된다. 즉, 오퍼레이터는 구분카드(CAD)에 의해 구분되는 대조단위의 은행권을 취출해서 그 은행권을 수작업에 의해 감사하게 되는데(단계 S97), 여기서 오퍼레이터는 감사결과 이종권이라던지 위조권과 같은 이상권이라고 판단되면(단계 S98) 그 매수를 조작부(214)에 의해 키입력해 주게 되고(단계 S99), 그 이외의 정상적인 진권이라고 인정되는 배제권을 배제권처리부(222)의 배제권투입구(226)에 투입시켜 주게 되며(단계 S100), 또 거의 동시에 구분카드(CAD)를 구분카드처리부(218)의 구분카드투입구(224)에 투입시켜 주게 된다(단계 S101). 그러면 배제권처리기(22)는 투입된 배제권을 1매씩 취출해서(단계 S102) 검지부(230)에 의해 겹침, 은행권종류, 위조권등을 검지해 내게 되고(단계 S103), 이어 그러한 은행권이 포함되어 있다면(단계 S104) 그 은행권을 재차 배제권으로서 배제권일시집적부(236)에 배제시켜(단계 S105)재차 수작업에 의한 감사에 제공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배제될 은행권이 아니면 손상권일시보관부(234)에 집적시킨 다음 재단함과 더불어(단계 S106) 그 매수를 계수하게 되고(단계 S107), 투입된 1대조단위에서 은행권이 모두 취출되면(단계 S108), 투입된 구분카드(CAD)의 번호를 독출해 내게 되며(단계 S109), 이 카드번호가 독출된 구분카드는 도시되지 않은 카드수납함내에 집적되면서 재차 감사기(14)에서의 사용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기억된 대조용 계수데이터 ③중에서 독출되는 카드번호에 대응되는 1다발분의 데이터를 독출해 내어(단계 S110) 이 데이터와 상기 단계 S107에서의 계수결과에 기초해서 대조를 수행하게 된다(단계 S111). 즉, FIT+UNFIT의 매수와 배제권처리기(22)에서 처리된 매수의 합계가 소정의 대조단위의 매수(1000)로 되어 있는지를 점검하게 되는 바, 이 결과를 기초로 대조결과정보 ④를 작성해서 이 정보를 집중제어테이블(12)에 송신해 주게되는데(단계 S112), 이 대조결과정보 ④는 예컨대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SSET NO. 정보, CARD NO. 정보, BATCH NO. 정보, BUNDLE NO. 정보, FIT+UNFIT 정보, RS-NOTE 정보, OVER 정보, SHORT 정보, D1K 정보, D5K 정보, D10K 정보, 위조권정보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중 RS-NOTE 정보는 배제권처리기(22)에서 처리된 은행권매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OVER 정보 및 SHORT 정보는 대조결과(FIT+UNFIT의 매수와 배제권처리기(22)에서 처리된 매수의 합계)가 소정의 대조단위매수(1000)에 대해 과부족인 매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 D1K 정보, D5K 정보, D10K 정보, 위조권정보는 상기 단계 S99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키입력된 이종권 및 위조권의 매수를 나타내는 정보인 바, 여기서 D1K는 일본국의 1000엔권을 의미하는 한편, D5K는 5000엔권을 의미함에 비해 D10K는 10000엔권을 의미하고 있다.
또, 상기 배제권처리기(22)에서의 대조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계수상의 과부족, 이종권의 혼입, 위조권의 혼입등)에는 (단계 S113), 상기 대조결과정보 ④를 기초로 프린터(216)에 의해 사고전표 ⑤를 발행하게 되는 바(단계 S114), 이 사고전표 ⑤에는 예컨대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지정보가 기록되어 있음에 따라 이상다발(지폐류뭉치)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이 띠지정보에 기초해서 해당되는 큰띠지를 큰띠지보관카셋트(136)로부터 취출해 냄에 의해 그 큰띠지에 기재되어 있는 금융기관명, 수납일자를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배제권카셋트(196)내의 모든 배제권 및 구분카드(CAD)를 취출해 내게 되면(단계 S115), 1배치의 배제권정리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해서 후속의 배제권카셋트(196)를 1배치종료한 감사기(14)로 부터 취출해서 새로운 배제권정리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류처리장치에서는 미감사다발의 수입처리를 비롯해서 감사처리, 감사후의 지폐류에 대한 각종처리, 띠지에 대한 각종처리, 띠지와 지폐류의 대조처리, 감사완료다발의 수납처리등을 자동적이면서도 효율좋게 신속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복수대의 감사기에 의한 감사의 결과로 나타나는 재감사가 필요한 배제권을 배제권처리기에 의해 처리되도록 함에 따라 각각의 감사기에서 나타나는 배제권이 각각 소량이라도 전체의 배제권처리기의 처리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장치전체를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조단위를 1다발로 하고 있지만 1뭉치단위로도 좋고, 또 1배치에 대해서도 20다발로 한정시킬 필요도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류의 감사에 수반되는 일련의 처리를 거의 자동화해 줌에 따라 대량의 지폐류를 효율좋으면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고, 또 장치가 갖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지폐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지폐류의 감사를 수행하면서,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를 배제권으로서 축적해 주는 감사기(14)와 이 감사기(14)에 의해 축적된 배제권을 수납해서 배제권처리를 수행하는 배제권처리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폐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사기(14)는 복수대로 구성되고, 상기 배제권처리기(22)는 각 감사기(14)에 의해 축적된 배제권을 적절히 수납해서 배제권처리를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사기(14)에서 재감사가 필요한 배제권은 겹쳐진 은행권(겹침권)이라던지 진위판별이 불가능한 은행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제권처리기(22)에서의 배제권처리는 수납된 배제권의 진위판별, 은행권종류 검지 및 계수대조처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4. 띠지에 의해 묶여진 지폐류의 미감사다발을 복수수용해서 이 수용된 미감사다발을 각 다발마다 차례로 송출해 주게 됨과 더불어 이 수납된 감사완료다발을 차례대로 수용하게 되는 다발처리기(12)와, 이 다발처리기(12)로부터 상기 미감사다발을 수납해서 이송시켜주게 됨과 더불어 상기 감사완료다발을 상기 다발처리기(12)로 이송시켜 주는 다발이송기(18), 이 다발이송기(18)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지폐류의 미감사다발을 수납해서 이 미감사다발로부터 상기 띠지를 분리시켜 각 띠지에다 수납된 지폐류와의 관련정보를 부여해서 보관해주는 선처리기(16) 및, 이 선처리기(16)에 의해 띠지가 분리된 지폐류를 도입해서 재사용가능한 지폐류와 재사용이 불가능한 지폐류 및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로 구분해서, 재사용가능한 지폐류와 재사용 불가능한 지폐류의 매수를 각각 계수, 기억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선처리기(16)에 의해 띠지에 부여된 관련정보를 기억해서 재사용가능한 지폐류에는 띠지에 의한 묶음처리를 수행하여 감사완료다발로서 상기 다발이송기(18)에 송출해 주게 되고, 재사용불가능한 지폐류에는 띠지에 의한 묶음처리 또는 무효처리를 수행해 주게 되며,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에는 상기 선처리기(16)에서 분리된 띠지마다 구분집적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감사기(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폐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사기(14)에 기억된 상기 계수결과 및 관련정보를 수취해서 차례로 기억해 주는 제어기(20)와, 상기 감사기(14)로부터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를 수납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기(20)로부터 상기 계수결과 및 관련정보를 도입해서 수납된 배제권의 진위판별, 은행권종류검지 및 계수대조처리를 수행해서 진권으로 판단된 지폐류는 무효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반면, 그 이외의 지폐류는 상기 띠지와 관련된 집적처리를 수행하는 배제권처리기(22)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처리기(16)와 감사기(14)의 쌍이 복수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0)는 각 감사기(14)로부터 계수결과 및 관련정보를 수취해서 각 감사기(14)마다 별도로 순차기억시켜 놓게 되고, 상기 배제권처리기(22)는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를 적절히 수납해서 그 지폐류가 집적되었던 감사기(14)에 대응되는 상기 계수결과 및 관련정보를 상기 제어기(20)로부터 도입해서 계수대조처리를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제권처리기(22)는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를 수납한 감사기(14)의 번호를 상기 제어기(20)에 전송해 주고, 상기 제어기(20)는 그 번호에 대응되는 감사기(14)의 계수결과 및 관련정보를 배제권처리기(22)에 공급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사기(14)는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를 집적수용해 주기 위한 배제권카셋트(196)와, 상기 다발마다의 지폐류감사를 수행하기 전에 구분카드를 발행해서 상기 배제권카셋트(196)내에 수용해 주는 수단(206)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그 구분카드에 의해 상기 카셋트(196)내에 집적되는 지폐류를 다발마다 구분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는 지폐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사기(14)는 상기 카셋트(196)의 번호를 독출해 내는 수단(208F)과, 상기 구분카드의 번호를 독출해 내는 수단(206D)을 더 갖추게 되고, 이 수단(208F,206D)에 의해 독출된 카셋트 번호와 카드번호를 상기 관련정보와 더불어 기억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감사기(14)로부터 다발마다의 계수결과 및 관련정보와 더불어 상기 카셋트번호 및 카드번호의 정보를 수취해서 각 다발마다 차례로 기억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폐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처리기(16)와 감사기(14)의 쌍이 복수로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0)는 각 감사기(14)로부터 다발마다의 계수결과, 관련정보, 카셋트번호정보 및 카드번호정보를 수취해서 각 감사기(14)마다 별도로 순차기억시켜 주게 되고, 상기 배제권처리기(22)는 재감사가 필요한 지폐류를 적절히 수납하게 되면서 그 지폐류를 수용하고 있던 카셋트에 대응되는 상기 계수결과, 관련정보 및 카드번호정보를 상기 제어기(20)로부터 도입해서 다발마다의 계수대조처리를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제권처리기(22)는 카셋트번호를 상기 제어기(20)에 전송해 주고, 상기 제어기(20)는 그 카셋트번호에 대응되는 계수결과, 관련정보 및 카드번호정보를 상기 배제권처리기(22)에 공급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제권처리기(22)는 대조처리결과를 상기 제어기(20)에 공급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제권처리기(20)는 계수대조처리에서 상기 제어기(20)로부터 도입된 계수결과와 그 배제권처리기(22)에 의해 처리된 배제권의 합계매수가 상기 다발에 포함된 지폐류의 합계매수와 일치되지 않을 때 사고전표를 발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전표에는 상기 관련정보에 기초해서 일치되지 않는 지폐류의 다발띠지를 특정해주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처리기(16)는 수납된 지폐류와의 관련정보로서 분리된 띠지에 번호를 인자 해 주고, 상기 사고전표에는 상기 일치되지 않는 지폐류다발의 띠지를 특정해 주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띠지번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처리장치.
KR1019880009888A 1987-08-04 1988-08-03 지폐류처리장치 KR910009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95906A JP2577391B2 (ja) 1987-08-04 1987-08-04 紙葉類処理装置
JP62-195906 1987-08-04
JP62-196573 1987-08-05
JP62196573A JPS6441087A (en) 1987-08-05 1987-08-05 Sheet paper proc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258A KR890004258A (ko) 1989-04-21
KR910009118B1 true KR910009118B1 (ko) 1991-10-31

Family

ID=2650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888A KR910009118B1 (ko) 1987-08-04 1988-08-03 지폐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12932A (ko)
EP (1) EP0302458B1 (ko)
KR (1) KR910009118B1 (ko)
DE (1) DE3889698T2 (ko)
HK (1) HK10029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12B1 (ko) * 2011-03-18 2014-01-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6996B2 (ja) * 1989-03-31 1998-05-0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束処理装置
US6311819B1 (en) 1996-05-29 2001-11-06 Cummins-Alli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processing
US6959800B1 (en) 1995-12-15 2005-11-01 Cummins-Allison Corp. Method for document processing
DE4013585A1 (de) * 1990-04-27 1991-10-31 Gao Ges Automation Org Verfahren zur ueberpruefung der ordnungsgemaessen bearbeitung von banknoten
JP2628954B2 (ja) * 1991-12-26 1997-07-09 忠男 宇野 シート束集積装置
US6866134B2 (en) * 1992-05-19 2005-03-15 Cummins-Alli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processing
FI114457B (fi) * 1993-12-03 2004-10-29 De La Rue Giori Sa Laite setelipakettien valmistamiseksi setelinipuista
US6278795B1 (en) 1995-12-15 2001-08-21 Cummins-Allison Corp. Multi-pocket currency discriminator
US6860375B2 (en) 1996-05-29 2005-03-01 Cummins-Allison Corporation Multiple pocket currency bil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8162125B1 (en) 1996-05-29 2012-04-24 Cummins-Allison Corp. Apparatus and system for imaging currency bills and financial docum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5917930A (en) * 1996-07-31 1999-06-29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Method for semi-continuous currency processing using separator cards
USRE38663E1 (en) 1996-07-31 2004-11-30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Method for semi-continuous currency processing using separator cards
US5922959A (en) * 1996-10-15 1999-07-13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Methods of measuring currency limpness
US6065672A (en) * 1997-07-24 2000-05-23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Method for currency distribution and management
US6078683A (en) * 1997-11-20 2000-06-20 De La Rue,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tion of currency by denomination
US6502052B1 (en) * 1998-02-19 2002-12-31 Kabushiki Kaisha Toshiba Note bundle managing apparatus to store and count note bundles
US6227531B1 (en) 1999-05-25 2001-05-08 Hewlett-Packard Company Job separation process,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rint jobs
ATE259281T1 (de) * 1999-12-29 2004-02-15 Kba Giori Sa Verfahren zum schneiden von wertpapieren
US6439563B1 (en) 2000-01-18 2002-08-27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Inc. Note feeder
US6398000B1 (en) 2000-02-11 2002-06-04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US6601687B1 (en) 2000-02-11 2003-08-05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US20050060059A1 (en) 2003-09-15 2005-03-17 Klein Robert J.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atches of documents
US8701857B2 (en) 2000-02-11 2014-04-22 Cummins-Allison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urrency bills and tickets
US6588569B1 (en) * 2000-02-11 2003-07-08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DE10029051A1 (de) * 2000-06-13 2001-12-20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zur Echtheitsprüfung von Dokumenten
US6546351B1 (en) 2000-07-20 2003-04-08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Note-specific currency processing
JP3922425B2 (ja) * 2000-08-30 2007-05-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入金処理機
DE10051554A1 (de) * 2000-10-18 2002-05-02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lage von Banknoten
JP2003216999A (ja) * 2002-01-22 2003-07-31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US7551764B2 (en) * 2002-03-25 2009-06-23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bill and coin processing system
US7158662B2 (en) * 2002-03-25 2007-01-02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bill and coin processing system
US7269279B2 (en) * 2002-03-25 2007-09-11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bill and coin processing system
US7422117B2 (en) 2002-06-21 2008-09-09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Inc. Continuous change order processing
US8171567B1 (en) 2002-09-04 2012-05-01 Tracer Detection Technology Corp.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40182675A1 (en) * 2003-01-17 2004-09-23 Long Richard M. Currency processing device having a multiple stage transport path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E10332212A1 (de) * 2003-07-16 2005-02-24 Koenig & Bauer Ag Vorrichtungen zur Qualitätsprüfung von Prüfkörpern und ein Verfahren zum Prüfen der Qualität von Bogen
JP2005085134A (ja) * 2003-09-10 2005-03-31 Omron Corp 紙幣処理装置
US7016767B2 (en) * 2003-09-15 2006-03-21 Cummins-Allison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urrency and identification cards in a document processing device
US7103438B2 (en) * 2003-09-15 2006-09-05 Cummins-Allison Corp.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verifying documents in a document processing device
JP5060019B2 (ja) * 2004-09-29 2012-10-31 株式会社東芝 ヘッダーカードの処理システム
EP1878679A1 (en) * 2006-07-14 2008-01-16 Kba-Giori S.A.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cessing of stacks of sheets of securities into bundles and packs of bundles
JP5010241B2 (ja) * 2006-11-02 2012-08-2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及び集積装置の電磁ロック方式
NL1033116C2 (nl) 2006-12-22 2008-06-24 Syntech Holdings Bv Inrichting voor het vernietigen van bladmateriaal.
JP5198102B2 (ja) * 2007-03-30 2013-05-15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システム
US8511541B2 (en) * 2008-03-10 2013-08-20 Glory Ltd. Money handling system
KR101390604B1 (ko) 2009-12-21 2014-04-2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처리 방법
JP5179559B2 (ja) * 2010-11-12 2013-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を制御する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制御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550588B2 (ja) * 2011-03-22 2014-07-16 株式会社東芝 集積施封装置
JP5912298B2 (ja) * 2011-06-03 2016-04-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結束装置
US9731849B1 (en) * 2011-08-24 2017-08-15 Glory Ltd. Paper sheet bundl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printing
CN103456084A (zh) * 2012-05-29 2013-12-18 辽宁聚龙金融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多批次纸币处理方法
JP6026194B2 (ja) * 2012-09-21 2016-11-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再検査装置、紙葉類検査システム、及び紙葉類検査方法
US9493307B2 (en) * 2014-03-11 2016-11-15 Sun Automation, Inc. Conveyors for box making machines
JP6260464B2 (ja) * 2014-06-17 2018-01-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16103238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東芝 紙幣処理装置
JP6546047B2 (ja) 2015-09-08 2019-07-17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方法、およ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2017054295A (ja) 2015-09-09 2017-03-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システム
CN106628430A (zh) * 2017-01-11 2017-05-10 珠海格力智能装备技术研究院有限公司 分拣回收装置及具有其的装袋机
DE102020001629A1 (de) 2020-03-12 2021-09-16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Banknotensammelbehälter, Banknotenbearbeit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anknotenbearbeit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0676B2 (ko) * 1973-09-28 1982-12-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JPS5229298A (en) * 1975-08-29 1977-03-04 Glory Ltd Currency processing unit
DE2729830A1 (de) * 1977-07-01 1979-01-11 Gao Ges Automation Org Verfahren zum automatischen sortieren von duennem blattgut
GB2034286B (en) * 1978-10-30 1983-01-19 Tokyo Shibaura Electric Co Thin sheet sorting apparatus
JPS5627490A (en) * 1979-08-09 1981-03-17 Tokyo Shibaura Electric Co Paper document classifier
JPS5644991A (en) * 1979-09-21 1981-04-24 Tokyo Shibaura Electric Co Document handling machine
JPS56147258A (en) * 1980-04-15 1981-11-16 Laurel Bank Mach Co Ltd Bank note deposition machine
JPS5766120A (en) * 1980-10-13 1982-04-22 Teijin Ltd Preparation of pulplike particle
JPS5769377A (en) * 1980-10-13 1982-04-28 Tokyo Shibaura Electric Co Sheets sorting device
JPS57121761A (en) * 1981-01-22 1982-07-29 Toshiba Corp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of currency
US4479049A (en) * 1981-01-22 1984-10-2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JPS5969882A (ja) * 1982-10-14 1984-04-20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S5969884A (ja) * 1982-10-14 1984-04-20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US4845917A (en) * 1986-10-14 1989-07-11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for processing paper shee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12B1 (ko) * 2011-03-18 2014-01-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2458A2 (en) 1989-02-08
DE3889698T2 (de) 1994-10-06
EP0302458B1 (en) 1994-05-25
US5012932A (en) 1991-05-07
EP0302458A3 (en) 1989-10-11
KR890004258A (ko) 1989-04-21
HK1002920A1 (en) 1998-09-25
DE3889698D1 (de) 199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118B1 (ko) 지폐류처리장치
CN100413766C (zh) 片材处理设备和片材处理方法
KR860000444B1 (ko) 지폐류 처리장치
JP2003141606A (ja) 紙幣処理装置
CN112278371B (zh) 一种全智能单工位现钞处理一体机及其运行方法
JPH11195156A (ja) 精査システム及び釣銭作成システム
JP2557900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3980736B2 (ja) 施封小束管理装置
JP2598027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63711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57739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624697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0057402A (ja) 施封小束管理装置
JPH0241724Y2 (ko)
JP3626228B2 (ja) 紙幣処理装置
JPH0790947B2 (ja) 紙葉類取扱機構
JPH07234954A (ja) 紙幣処理装置
JPS5845751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890003375Y1 (ko) 지엽류 처리장치
JPH07249148A (ja) 紙幣処理装置
JPH11250311A (ja) 小束処理装置および小束処理装置の小束収納庫
JPH0896218A (ja) 紙幣処理装置
JP2000057420A (ja) 小束処理装置、および紙幣処理装置
JPH02180133A (ja) 紙葉類束処理装置
JPH11242767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