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444B1 - 지폐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444B1
KR860000444B1 KR1019830004863A KR830004863A KR860000444B1 KR 860000444 B1 KR860000444 B1 KR 860000444B1 KR 1019830004863 A KR1019830004863 A KR 1019830004863A KR 830004863 A KR830004863 A KR 830004863A KR 860000444 B1 KR860000444 B1 KR 860000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cassette
batch
rod
aud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302A (ko
Inventor
히데오 오오무라
다께시 오오와
구니히꼬 나까무라
마사시 나까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4000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7/00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25Removing or cutting binding material, e.g. strap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4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09Cutting strand extending from or lying on strand or package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19Disassembling with conveying of work or disassembled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02Binding or covering and cutting
    • Y10T29/5103Cutting covering material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36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 Y10T29/5137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 Y10T29/5139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sever work prior to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 Pile Receive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류 처리장치
제1a도, 제1b도, 제1c도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류 처리장치의 실례로서 은행권처리장치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종단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제2a도, 제2b도는 각각 은행권처리장치의 전면에서 본 사시도 및 후면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2c도는 파공급 장치(a batch feeder)의 또 다른 실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3도는 파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4도는 파공급대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며,
제5도는 파압출부를 도시한 종단측면도이며,
제6도는 처리불능과 배제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제7도는 로울러군의 회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제8a도, 제8b도는 대(帶=띠) 절단제거부를 각각 도시한 종단 정면도 및 종단측면도이며,
제9a도-제14a도는 대(띠) 절단제거동작을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정면도이며,
제9b도-제14b도, 제15도는 대(띠) 절단제거동작을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측면도이며,
제16도는 배제권 집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17a도, 제17b도는 속포장동작을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며,
제17c도는 포장된 다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18도는 외부 조작 장치의 CRT에 도시된 표시형태의 실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작바넬부 14 : 대절단제거부
50 : 집적장치
본 발명은 소정 매수의 지폐류가 들어있는 파를 공급반송하고, 파를 묶은 끈을 제거해서 흩어진 날개의 지폐류로 만든 다음 차례로 1장씩 꺼내서 소정의 처리를 하는 지폐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지폐류 처리장치의 일종으로는 예를들면 100장의 은행권을 종이끈으로 묶은 것을 끈을 끊어서 1장씩 꺼내어 반송하여 은행권을 감사하여 감사결과에 따라 각각 구분해서 집적하는 은행권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은행권처리를 실시할때에는 파를 묶은 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한편 그 제거전 또는 후에 꺼낼때 한장씩 나오지 않고 2장 또는 그이상 겹쳐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은행권 에스퀴이즈(squeeze ; 압착력)를 가해주어야 한다. 이것을 위하여 끈 제거장치와는 별도로 스퀴이즈(압착)장치가 필요하고, 장치의 복잡화를 초래하여 장치의 소형화나 저가격화의 방해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 본 발명은 끈제거와 스퀴이즈(압착)를 위한 장치를 간략화하므로써 장치의 소형화와 저격화를 달성할 수 있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끈제거와 스퀴이즈를 동일공정에서 할 수 있는 끈제거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지폐류 처리장치를 지폐류로서 은행권을 처리하는 은행권 처리장이에 적용한 실례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셔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 내지 제1c도는 은행권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으로서, 제1a도는 은행권 처리장치의 평면도, 제1b도는 종단측면도 그리고 제1c도는 정면도이다. 상기 은행권 처리장치는 은행권의 발행원에 설치되어, 시중 은행에서 회수된 유통 은행권을 정권, 손권, 위권 및 감사불능권으로 분류하고 정권만을 시중은행으로 반려하여 다시 유통시키기 위해 다시 파속(杷束)하기 위한장치이다. 상기 은행권 처리장치는 크게 파공급 장치 1, 잡아내기 장치(취출 장치) 2, 반송 구분 장치 3, 감사장치 4, 구분직접장치 5, 파시봉 장치 6, 속시봉 장치 7A, 속포장장치 7B, 실효장치 8, 제어장치 9, 및 조작 파넬부 10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파"(把)란 은행권을 100매 겹쳐서 대봉(帶封)을 한것을 말하며 "속"(束)이란 파를 10개 시봉한 것을 말한다. "정권"이란 감사의 결과 정규이며, 또한 유효한 권이라고 인정되어 발행원에서 다시 이용하기 위해 반려되는 권을 말하며, "손권"이란 감사의 결과정규이며, 또한 유효한 권이라고 인정되었으나, 재이용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발행원에 있어서, 폐기처분되는 권을 말하며, "위권"란 감사의 결과, 정규도 유효도 아니라고 인정된(판정의 불가능한 것은 무효로 인정한다)권을 말하며, 그리고 "감사 불능권"이란 예를 들면 겹쳐잡이, 스큐, 쇼오트 핏치(반송 경로중에 있어서 앞의 권과의 간격이 너무 짧아서 후단의 처리가 곤난하게 되는 것)등이 이유에 의해 감사를 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이중"위권"과 "감사불능권"은 은행권 처리 장치에서 배제되는 권이므로 "배제권"이라고도 한다. 또, "최량권"은 "정권"중 가장 깨끗한 권을 말한다.
구분 집적장치 5는 배제권구분집적부 5A, 이종권구분집적부 5B, 최량권구분집적부 5C, 정권 구분집적부 5D, 손권구분집적부 5E를 구비하고 있고, 반송구분장치 3도 구분집적장치 5의 각부 5A-5E에 대응하여서 반송경로중에 설치된 5개소의 반송구분부 3A-3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구분부 3A-3E의 각 분기부에는 게이트 GT가 각각 설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 구분집적부 5A-5E에는 공지의 회수륜(recovery wheels)FW1-FW5가 각기 설비되어 있으며 반송되어오는 은행권을 1매씩 취출하여 대응하는 집적상자(BIN)에 집적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집적상자 BIN중, 배제권구분집적부 5A에는 상하에 2개의BIN1(위권집적상자), BIN2(감사불능권집적상자)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다른 구분집적부 5B-5E에는 각 1개마다의 집적상자 BIN3~BIN6이 배치되어 있다. 파시봉장치 6은 각 집적상자 BIN3~BIN6의 하측에 각기 배치된 파시봉부 6A-6E를 구비하고 있다. 정권집적부 5D의 하측에 설비된 파시봉부 6C의 하측에는 속시봉장치 7A가 설비되어, 이 속시봉 장치 7A에는 이것의 후방의 속포장장치 7B에 은행권을 수도하기 위한 창 7A1이 설비되어 있다. 잡아내기장치 2는 1매씩으로 된 은행권이 복수 매집적된 집적부 2A, 집적부 2A에서 집적된 은행권을 1매씩 집어내는 송출 로울러 2B, 잡아내어진 은행권을 반송하는 반응로울러군2C 및 반송 경로에 설비되어서 은행권의 상태(겹쳐잡기, 스큐, 쇼오트 핏치 등의 감사 불능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 2D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잡아내기 장치는 앞의 파의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다음 파의 1매씩을 취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조작바넬부 10은 제1c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공급된 파의 입구부 10A와 그 상측에 설치된 텐키등을 포함하는 조작부 10B, 모니터용 CRT10C, 및 카셋트 취출구 10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속포장장치 7B에는 취출구 7B1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각 장치를 수납한 부분은 각기 모듈화되어 있어, 제1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공급대 11이 착탈자재로 부착된 금송모듈 M1, 감사모듈 M2, 제1 및 제2의 집적모듈 M3, M4 폐기모듈 M5, 및 속포장장치 7B가 각기 서로 착탈가능으로 배치되어, 용도및 기능에 응하여서 임의로 증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급송모듈 M1은 상하로 구분되어 있어 배제권구분집적부 5A와 취출장치 2가 수납되어 있으며, 그 후방에는 제어 장치 9가 수납되어 있다. 또, 모듈 M2에는 감사부 4와 제1및 제2의 반송구분장치 3A, 3B가 수납되고 있으며, 제1의 집적모듈 M3에는 이종권 구분 집적부 5B, 최량권구분집적부 5C, 파시봉부 6A, 6B및 제3 제4의 반송구분부 3C, 3D가 수납되어 있으며, 또한 제2의 집적모듈 M4에는 정권구분집적부 5D및 그 파시봉부6C손권 구분집적부 5E및 그 파시봉부 6D, 제5의 반송구분부 3E와 제1, 제2의 실효장치로서의 슈렛더8A 8B가 수납되어 있으며, 모듈 M5에는 폐기상자 8C가 수납되어 있다.
제2a도는 은행권 처리장치의 일부분해사시도이며, 제2b도는 배면사시도이며, 제2c도는 파공급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제2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각 모듈 M1-M4에는 문짝이 설치되어있어, 예를들면 모듈 M4의 문짝을 열어서 제1과 제2의 슈렛더 8A, 8B와 속시봉 장치 7A를 서로 접속한 상태에서 수납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배제권 구분집적부 5A에서 처리된 배제권을 수납하는 배제권 카셋트 CST를 집어내어와서, 배제된원인을 점검하기 위한 외부조작장치 100이 은행권 처리장치의 근방에배치되어 있다. 외부조작장치 100은 데스크 100A, 이 데스크 100A상에 배치된 텐키 등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100B, CRT 100C, 프린터 100E및키이보오드 100D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모듈 M1의 측면에는 풀린권(bose note)투 입용의 카버 10F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버 10F를 열었을때의 은행권처리장치는 풀린 권처리 모오드로 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제2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은행권 처리장치의 배면(뒷면)에는 쿨링 파이프(cooling pipe)등을 수납한 파이프수납부 101이 부착되어있다.
제2c도는 파공급대 11대신에 장축방향으로 복수의 파를 반송할 수 있는 벨트콤베어를 배치한 공급대 11A'를 부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밖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설치한 뚜껑 11A'를 여는데 따라, 파(把)및 속(束)의 권을 수동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 반송되는 은행권의 파및 속은 화살표 A방향으로 유동되어 은행권처리장치내에 공급되고, 처리후의 은행권은 속은 모듈 M1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구 10E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외부에 배출된다.
이하, 은행권처리장치의 각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파공급장치 12은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파공급대 11, 파압출부 12, 처리불능파 제거부 13및 대절단제거부 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파공급대 11및 파압출부 12는 소정매수, 예를들면 100매의 은행권을 시봉대에서 시봉하여 형성된 파를 순차적으로 하나의 파씩 집어 내어서 반송하는 파취출 수단의 일예이며, 대절단 제거부 14는 파취출 수단부에서 취출된 파의 시봉대를 제거하는 시봉대 제거 수단의 일예이다. 파공급대 11은 제4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면이 사면(斜面)으로 형성되고, 홈이 설치된 프레임 11, 사면에 따라서 파를 장축 방향(저면(低面)에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배치된 제1의 벨트 11B, 제1의 벨트 11B, 의 하나의 단부에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파의 위치를 규정하도록 배설된 제2의 벨트 11C, 이들 각 벨트 11B및 11C를 권회(券回)한 로울러 11D및 11E, 각 로울러 11D, 11E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벨트 11F, 톱니바퀴군(치자군) 11G, 모우터 11H를 구비하고 있다. 파압출부 12는 제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벨트 11B의 연장선상에 설치된 경사하는 상(床) 12A, 상 12A의 하단부에서 사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압압판(押壓板) 12B, 이 압압판 12B에 부착된 볼나사축, 이 볼나사축 12C를 구봉하는 모두터 12D, 상12A의 선단부에 대향하여서 배치되어 압출된 은행권 P의 파를 하측으로 인도하기 위한 가이드 12E, 낙하하여 온 파를 재치하여서 반송하는 벨트 12F및 12G, 볼나사축 12C의 후단부에 부착된 차폐판(遮弊版) 12H, 차폐판 12H의 위치를 검출하여 압출판 12B의 초기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의 센서 S1, 이와 동일하게 차폐판 12H의 통과를 검출하여 압출판 12B의 종단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의 센서 S2, 압출된 파에 의해서 회동하는 작동기(actuator) AT에 의해서 동작하고 모우터 12D의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3의 센서 S3, 낙하한 파 P에 의해 광원 LP에서 광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서 동작하며 반송벨트 12F및 12G의 구동개시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4의 센서 S4및 파의 압압판 12B의 상방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여 모우터 12D의 구동정지 타이밍등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5의 센서 S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은 파공급장치 1에 의하면, 파공급대 11의 10개의 파는 벨트 11B, 11C가 구동로울러 11D, 11E의 회전에 의해서 주행하는 것에의해 압압판 12B의 위에 반송되고, 소정위치에 설정된 센서 S5를 횡단함과 동시에 구동로울러 11D의 회전 및 벨트 11B, 11C의 주행이 정지되고 파의 이동은 정지된다. 다음에 압압판 12B가 동작하고, 파를 경사진상방으로 미는 것에 의해 최상단의 파가 정상보다 반대측으로 가이드 12E에 다라서 미끌어떨어져 1개의 파씩 공급이 이루어진다. 즉, 압압판 12B는 모우터 12D의 회전에 의해 축 12C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파를 밀어낸다. 파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센서 S3가 명(밝음)에서 암(어둠)으로 되고 모우터 12D는 일단정지하며, 그후 모우터 12D가 단속적으로 회전하여 파가 차례로 상 12D에서 벨트 12F및 12G상에 떨어진다. 떨어진 파가 센서 S4를 가로막을때(차폐시킬때) 모우터 12D의 회전은 정지되고, 벨브 12F및 12G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후 일정한 타이밍 간격으로 모우터 12D가 단속적으로 회전하고, 파를 1개의 파씩 공급하게 된다. 10개의 파전부를 공급할 수 있는 위치에 센서 S2가 부착되어 있다. 센서 12를 축 12C의 단부 차폐판 12H가 차폐시킬때 모우터 12D가 역전하고, 센서 S1을 차폐판 12H가 차폐시킬때 모우터 12D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정지와 동시에 공급대 11의 로울러 11D, 11E가 회전하고, 벨트 11B, 11C에 의해 다음의 10개의 파 P가 압압판 12B상에 반송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련의 사이클이 반복된다. 만약 어느 소정시간내에 압압판 12B의 근방의 센서 S5에 의해 파가 확인될 수 없었을 경우에는 벨트 11B, 11C가 계속 움직여서 CRT에 표시하거나 혹은 부자가 울려, 조작원에게 공급대 11상에 파를 부하시킬 것을 촉구한다.
이하, 처리불능파제거부 13및 대(띠)절단제거부 14의 구성을 제6도에 참조하여서 설명한다. 우선, 처리불능파제거부 13은 압출된 파를 받아 인도하는 수도대(受渡臺) 13A, 이 파를 반송, 안내하는 로울러군 13B, 반송경로도중에 설치된 금속편 검지부재 13D, 안내로울러군 13B를 회동변위시키는 회동가구 13D, 안내로울러군 13B의 상방에 설치된 로터리 솔레노이트 13K, 안내로울러군 13B와 그룹을 차례대로 포개어넣을 수 있는 상자 상태로 되어있으며 로터리 솔레노이드 13K에 의해서 회동변위시켜 수도된 파를 두드려 배출구 13N에 두드려 떨어트리는 레버 13L, 배출구 13N의 하방에 설치된 바스켓 13M및 수도된파 P의 표리를 검출하는 표리검출기 13R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로울러군 13B의 회동변위기구 13D는 제7도에 표시된바와같이 구성되어있다. 즉, 회동변위기구 13D는 안내로울러군 13B를 회전자재로 지지하는 후레임 13E와 후레임 13E에 완웨이 크럿취(one-way clutch) 13P를 개재하여 부착되었으며, 후레임 13E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 회전측 13S, 안내 D-5군 13B의 일단에 고정된 한쪽의 삿갓치차 및 회전축 13S의 도중에 고정되고 한쪽의 삿갓치차에 물려맞는 다른편의 삿갓치차를 보유하는 치차군 13Q, 회전축 13S의 단부에 부착된 푸우리 13F, 구동용 모우터 13H, 푸우리 13F와 모우터 13H의 푸우리에 놓여진 벨트 13G, 프레임의 초기위치를 결정하는 스톱퍼 13I, 스톱퍼 13I를 회동시켜 후레임 13E를 자유상태로 하는 프런저 솔레노이드 13J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동변위기구 13D는 작동시 프런저 솔레노이드 13J의 동작에 의해서 스톱퍼 13I가 후레임 13E에서 벗어나고, 안내로울러군 13B를 자체무게에 의해 제6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안내로울러군 13B를 초기위치로 되돌릴 때에는 모우터 13H의 구동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처리불능과 제거부 13에 의하면, 공급장치 1의벨트 12F및 12G상의 파가 급속편검지기 13C를 통하였을때, 이 금속편 검지기 13C에 의해서 파중의 그립, 바늘핀 등의 금속편의 유무가 첵크된다. 파는 벨트 12F및 12G에서 로울러군 13B에 수신되어 소정위치까지 이동한 것이 도시되지 않은 센서로 확인되면 벨트 12F, 12G및 로울러군 13B의 움직임이 정지된다. 만약, 파중에 금속편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금속편 검지기 13C에 의해 확인된 경우, 벨트 12F, 12G및 로울러군 13B가 정지된 후 로터리 솔레노이드 13K가 여가되고, 레버 13L에 의해 파가 장치밖의 바스켓 13M으로 배출된다. 솔레노이드 13K가 여가된 경우 다음의 파는 벨트 12F및 12G상에 공급된다. 배출된 파는 조작원에 의해서 첵크되고, 다시 장치에 공급되어 처리된다 또한, 표리검출기 13R에 의해서 이면의 것이 첵크된 경우도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불능파란 상기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속에 금속편이혼입하고 있는 파 및 이면상태로 공급된 파를 의미하고, 금속편 검지부재 13C및 표리검출기 13R이 처리불능파검출 수단의 일예이다.
또한, 금속편검지기 13C에 의해, 금속편이 그속에 포함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파는 대(띠) 절단제거부 14에 보내진다. 대 절단제거부 14는 제8b도 및 제8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복수의 로울러 14A3, 구동로우러 114A1, 회동레버 14A4에 부착된 이동로울러 14A2및 벨트 14A5를 구비한 상부반송부 14A와 복수의 로울러 14B3, 구동로우러 14B1, 회동레버 14B4에 부착된 이동로우러 14B2및 벨트 14B5를 구비한 하부 반송부 14B와, 상하반송부 14A및 14B 사이에 형성된 반송로의 중앙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있으며 상호 근접 및 분리됨이 가능하도록 배설된 상부압착봉 14C및 하부 압착봉 14D와, 상부 압착봉 14C에 부착된 대캣취레버(band catch lever) 14E와, 하부 압착봉 14D에 따라서 형성된 캇터 가이드(cutter guide) 14F와, 대캣취레버 14E의 하측을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대캣취핀(band catch pin) 14G와, 캇터가이드14F에 따라서 이동가능한 캇터 14H및 대절단제의 은행권을 반출하는 백업판 14I를 구비하고 있다. 상하 압착봉 14C및 14D는, 제8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공급된 파 P의 대(띠) Pa가 감겨진 부분을 제거하는 부분을 끼우는 것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한쌍의 봉 14C1및 14C2에 의해서 상부 압착봉 14C가 구성되며, 그 한쪽의 봉 14C1에 대캣취레버 14E가 회동자재로 부착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부세부재(付勢部材)로서 제8a도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에 부세되어서 제8a도에 표시하는 위치가 규제위치로 되고 있다.
그리고 한편의 봉 14C1의 저부에 형성된 홈내에 대캣취핀 14G가 출입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있다. 한쌍의 봉 14D1및 14D2에 의해서 하부 압착봉 14D가 구성되고, 양자간에 캇터가이드 14F부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봉 14D1내에 출입가능한 캇터 14H가 수납되고 있다. 백업판 14I의 벨트 14B5는 그릇을 포게넣을수 있는 상자상(네스트 타입형-Nest type)으로 설치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절단제거부 14는 제9a도-제15도에 표시된 바와같은 동작이 이루어진다. 파 공급 장치 1에서 공급된 파 P는, 제9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부반 송부 14A와 하부 반송부 14B사이의 반송경로 중앙의 상하의 압착봉 14C, 14D에 삽입된 위치에서 정지한다. 파 9A는 제9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시봉대9a를 제외한 네귀퉁이가 봉 14C1, 14C2, 14D1, 14D2에 의해 삽입된 형태로 배치된다. 다음에, 제10a도및 제10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하의 압착봉 14C, 14D가 모두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파 P를 아래쪽으로 凸상이될 수 있도록 만곡시킨다. 이 결과 파 P의 상면과 시봉대 Pa의 상측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됨과 동시에 시봉대 Pa는 대캣취레버 14E의 저면에 접촉한다. 이때, 상하반송부 14A, 14B의 회동레버 14A4, 14B4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벨트 14A5, 14B5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여 압착 동작을 원활히 행하도록 한다. 제11a도와 제11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부 압착봉의 한쪽의 봉 14C1내에 수용되어있던 대캣취핀 14G가 제11a도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우측방향으로 전진하여 시봉대 Pa, 상방부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즉, 시봉대 Pa의 상방부는 대 캣취레버 14E와 대캣취핀 14G사이로 끼워 진다. 다음에 제12a도, 제12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하의 압착봉 14C, 14D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파 P가 상측으로 凸로되도록 만곡된다. 이때, 시봉대 Pa의 상방부는 대캣취레버 14E와 대캣취핀 14G사이에 협지(狹持)됨과 동시에 하방부 캇터가이드 14F에 접하여서 장력을 받는다. 이 단계에서, 제13a도및 제13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하부 압착봉 14D의 한쪽에 봉 14D에 수용되어있던 캇터 14H가 캇터가이드 14F의 홈에 따라서 화살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전진하여 캇터가이드 14F의 상면과접 해장력을 받고 있는 시봉대 Pa에 부닥쳐서 그것을 절단한다. 그 후, 제14a도 및 제14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하부 압착봉 14D만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되돌아온다. 한편, 절단된 시봉대 Pa는 상부 압착봉 14C의 한쪽봉 14C1에 설치된 대캣취 레버 14E의 대캣취 핀 14G사이에 협지된 채로 남는다. 이때 상하의 반송부 14A, 14B의 회동레버 14A4 14B4는 각각 화살표로 표시된 바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원상태로 되돌아 온다. 마지막으로, 제1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하의 반송부 14A, 14B가 구동되어서 시봉대 Pa가 제거된 은행권이 발송되고, 대기하고 있던 백업판 14I가 반송로내로 진입하고, 반송되어온 은행권을 받아들인, 다백업판 14I에 받아들여진 은행권은 백업판 14I의 상측이동에 따라 이송되고, 후술하는 취출(取出)장치 2의 적상자에 수도된다. 또한 절단된 시봉대 Pa는 배제권 구분 집적부 5A내로 보내진다.
상기 배제권 구분집적부 5A는 제16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감사 불능권 집적상자 BIN2를 보유하는 감사불능권 집적장치 50, 위권 집적상자 BIN1을 보유하는 위권집적장치 51, 구분 카아드 발행장치 52, 카셋트 집적장치 53를 구비하고 있다. 감사불능권집적장치 50은 반송장치에 의해 보내져온 감사불능권 P3를 순차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집적시키고 있다. 이 감사불능권 집적장치 50은 감사불능권 P3의 전입방향과 수직이되는 3매의 입위구분판(立位區分板) 50A를 설치한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콤베어벨트 50B와 콤베어벨트 구동용 모우터 50C를 보유하고 있다. 이 콤베어 벨트 50B상에 집적된 감사불능권 P3는 콤베어벨트 50B의 측단부에 통핏치로 설치한 공을 검출하는 위치결정용 센서 S6에 의해서 소정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콤베어벨트 50B에 부착된 3매의 입위구분판 50A는 등핏치로 늘어서있어 인접하는 2개의 입위구분판 50A에 의해 감사불능권 집적상자 BIN2의 권 P3의 진입방향과 직교하는 2개의 벽이 규정된다.
이 콤베이어 벨트 50B는 소정핏치로 이동하고, 이동후에는 다른 입위구분판으로 전술된 집적상자의 2개의 벽이 규정된다.
위권집적장치 51은 반송장치에 보내져온 위권 P4를 이것의 진행방향과 동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하는 회수류 FW1의 인접 날개사이에서 규정된 특성상의 홈에서 일단 정지외어 위권 P4를 감속시킨후, 순차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집적된다. 상기 위권 집적장치 51에서는 정권 및 손권 집적부 5D, 5E와 동일하게 회수를 FW1으로 진입하여오는 위권 P4에 대하여, 회수륜 FW1의 곡선상의홈 이동시에 회전하고 있어 위권 P4가 획실히 회수륜 FW1의 곡선상의 홈내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회수륜 FW1의 곡선상의 홈에 들어간 위권 P4는 약 180도 회전한다. 그리고, 권신단 방향에 설치된 고정판 51A에 의해 위권 P4의 진행이 방해된다. 회수륜 FW1의 회전에 의해 위권 P4가 서서히 곡선상의 홈에서 빼내어져서, 위권집적상자 BIN1내에 일률적으로 집적된다.
위권집적 상자 BIN1의 저판 51B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모우터 51C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아암 51D의 개재하에 저판 51B가 위권 집적상자 BIN1밖으로 이동되어집적된 위권을 위권 집적상자의 하측으로 배출한다. 여기서, 위권 지적상자 BIN1의 하측에 감사불능권집적상자 BIN2가 위치된다. 이 감사불능권 집적 상자 BIN2에 집적된 감사불능권 P3상에 위권집적상자 BIN1내에 집적된 위권 P4가 겹쳐 쌓여진다.
또한 전술의 대(띠) 절단 제거부 14에서 절단제거된 시봉대 Pa는 현재처리하고 있는 파에 대응하는 대(띠)마다 위권집적상자 BIN1내에 수용된다. 즉, 처리된 파중의 위권 P4의 최초의 1매가 집적 되기 전에 시봉대 Pa가 위권 집적상 BIN1의 저판 451B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위권 집적상자 BIN1내에는 최초로 시봉대 Pa가 놓이게되고, 그위에 P4가 겹쳐쌓이게 되게된다.
구분카아트 발행단위 52는 카아드 수납상자내에 수평으로 겹쳐쌓아서 수납된 구분카아드 CAD를 1매씩 집적이 끝난 위권 P4상에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 구분 카아드 CAD에는 고유번호가 붙여져 있다. 구분카아드 CAD의 하면에 배치된 취출로 울러 52B가 1회전하는 것에 의해 구분카아트 CAD의 선단이 배출구로울러 52C에 도달하게 되며, 배출 로울러의 회전에 의해 구분카아드 CAD가 배출된다. 구분 카아드 CAD의 배출과정에서, 구분카아드 CAD상의 고유번호가 도시하지 않은 판독헤드에서 판독되어, 제어부 9내의 자기디스크에 기억된다. 그리고, 배출된 구분카아드 CAD는 위권집적 상자 BIN1내에 집적된다.
카셋트 집적장치 53은 감사불능권 집적장치 50의 콤베어벨트 50B상에 집적된 감사불능권 P3, 시봉대 Pa, 위권 P4, 구분카아드 CAD를 카셋트 내에 집적하는 장치이다. 이 카셋트 집적장치 53은 콤베어 벨트 50B상의 권(지폐)등을 카셋트내에 압출하기 위한 압출판 53A, 카셋트상의 권(지폐)등을 위에서 압축하여, 카셋트내에 수용하기 위한 압입판 53B, 나란히 놓여진 2개의 카셋트 CST1, CST2를 구비하고 있다. 압입판 53B는 2개의 카셋트 CST1및 CST2에 따라 2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카셋트 CST1, CST2및 압입판 53B의 설치에 의해 한쪽의 카셋트 CST1이 충진되었을때 다른 쪽의 카셋트 CST2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원리에 의해 카셋트 교체시의 시간낭비를 없앤다.
모우터 53C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볼나사축 53D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볼나사축 53D의 선단에 고정된 압출판 53D가 축 53A와 더불러 전후로 이동되어 권(지폐)등을 압출한다. 압출된 권(지폐)등은 카셋트 CST1및 CST2상에 설치된 판 53H에 의해서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압출판 53A와 카셋트 CST1, CST2는 콤베어벨트 50B의 대향편에 배치되고 있으며, 카셋트 CST1, CST2가 2개인데 비해, 압출판 53A는 1개 구비되어있다. 압입판 53B는 아암 53E, 이동판 53F의 개재하에 모우터 53G와 연결된다. 이 압입판 53B는 통상 카셋트 CST1 혹은 CST2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압입시, 모우터 53G의 회전에 의해 체임을 개재하에 압입판 53B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권(지폐)등을 카셋트 CST1, 혹은 CST2내에 압입시킨다.
카셋트 CST, CST2는 상측이 열린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상자체의 내부에는 마찰력으로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 백업판(도시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백업판은 수납된 권등의 압입판 53B에 의해 수시로 하측으로 압압(押壓)이동된다. 백업판이 최하위로 내려가면 카셋트 CST1에 형성된 절결부 H1(切缺部)를 통하여 센서 S7에 의해 첵크되어 만배신호(滿杯信號)가 난다. 이 만배신호의 출력에 응해서 다음의 수납시부터는 다른쪽의 카셋트가 사용된다.
이하 배제권구 분집적 5A부의 동작에 대하여서 설명한다. 우선, 파공급장치 1에 의해 파 P에서 시봉대 Pa가 절단제거되면 즉시 시봉대반송에 의해 시봉대 Pa는 위권집적상자 BIN1내에 수납된다. 파공급장치 1은 시봉대 반송과는 관계없이 동작이 추진되어, 파를 구성하는 100매의 은행권은 취출장치 2에 의해 1매씩 취출된다. 파 P중에는 예를들면 위권 1매, 감사불능권이 1매씩 포함되어, 감사의 결과 각각의 집적상자 BIN1, BIN2에 집적된다. 위권 P4는 위권집적 상자 BIN1내에서 전술의 시봉대 Pa의 위에 집적된다. 그리고 최종의 100매째의 은행권의 검지판 정결과가 나왔을때, 혹은 최종의 100매째의 은행권의 후단이 위권 집적상자 입구센서(도시않음)를 차단했을 때 구분카아드 발행장치 52의 구분카아드 취출에 의해 52B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위권위에 구분카아드가 배출된다. 그후, 위권 집적상자 BIN1의 저판 51B를 구동하는 모우터 51C가 회전하여 아암 51D의 개재하에 저판 51B가 위권 집적상자 BIN1밖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서 시봉대 Pa, 위권 P4, 구분카아드 CAD의 순으로 감사불능권 P3의 위에 집적된다.
다음에, 감사불능권 집적장치 50의 콤베어벨트용 모우터 50C가 하전회여서 콤베어벨트 50B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3개의 입위구분판50A가 1핏취만큼 이동한다. 여기서 벨트 50B의 구멍이 센서 S6에 의해 검출되어 모우터 50C의 회전 및 콤베어벨트 50B의 주행이 정지된다. 이러한 정지와 동시에 압출판용 모우터 53C가 회전하기 시작하여 콤베어벨트 50B상에 감사불능권 P3, 시봉대 Pa, 위권 P4및 구분카아드 CAD의 순으로 집적된 것을 압출판 53A에 의해 한쪽의 카셋트 CST1상에 압출한다. 압출판 53A가 최전단으로 이동한 것이 센서(도시않음)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해 압입판용 모우터 53G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와동시에 압출판용 모우터 53G가 역전하여서 압출판 53A가 원위치로 되돌아오고, 또한 모우터 53C가 정지한다. 압입판 53B가 소정의 스트로크(stroke)만큼 이동되었을 때 모우터 53G의 역전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오고, 또한 모우터 53G가 정지한다.
이상이 1사이클의 움직임이며, 순차로 이 움직임이 반복된다. 따라서, 구분카아드 CAD에 의해 뱃치구분 및 시봉대구분이 이루어진다.
카셋트 CST1내에 권(지폐)등이가득 집적되었을 경우, 콤베어벨트 50B가 2핏치 움직이고, 따라서 또다른 한쪽의 카셋트 CST2에 집적된다. 다음 파의 취출(집어내기) 스타아트의 타이밍은 전술된 바의 1사이클이 끝날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콤베어벨트 50B가 이동한 것을 확인후에 다음의 파취출을 스타아트할 수가 있다. 당연히 이때는 시봉대 Pa의 위권집적상자 BIN1에의 수납이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않된다.
또한 감사불능권 P3의 반송버스보다 위권 P4의 반송버스가 더욱 길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1개의 파중에 감사불능권과 위권이 없을 경우, 시봉대 Pa와 구분카아드 CAD만이 카셋트 CST1내에 수납된다. 여기서 구분카아드 CAD는 제일먼저, 혹은 제일나중에 카셋트가 직접들어 간다할지라도 구분카아드로서의 효과를 낼 수가 있다. 시봉대 Pa를 위권과 감사불능권 사이에 넣는 것은 다음과 같은 잇점을 준다. 즉 위권이 많은 경우에도 위권은 이미 본 장치에 의해 계수되므로 위권의 재계수가 필요없다. 그러나, 감사불능권은 계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봉대 Pa에서 구분된 감사불능권 P3만을 다시 계수하면되므로 카셋트 처리에서의 스피이드 업(speed up)이 이루어진다. 또한 카셋트 처리시에서의 스피이드업을 무시하는 경우라도 시봉대 Pa를 직접 카아셋트내에 넣을 수도 있다.
파시봉장치 6은 각 구분 집적부 5B-5E에 반송되어 집적상자에 집적된 권(지폐)을 100매의 파로서 시봉하는 장치이며, 예컨대 본원출원인 이앞서 제안한 "결속장치"[특원소 57-153546호(1982년 3월 31일에 출원됨),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480,902호(1983년 3월 31일에 출원됨), 유럽 특허 출원 제 83 102905. 3(1983년 3월 23일에 출원됨)]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결속장치는 전술된바의 회수륜 FW2-FW5의 동작에 의해서 집적 상자의 백업판상에 집적된 100매의 권을 캐리어에 옮겨바꾸고, 이 캐리어를 결속부에 인도하여 캐리어상의 파를 열착테이프로 감아붙이고, 열착테이프 단부끼리의 열용착에 의해 시봉된 후, 캐리어의 방향이 바뀌어 반송로상에 위치되며, 캐리어가 경동(傾動)되어 시봉된 권을 낙하시켜 다음 공정까지 반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각 파시봉 장치 6중 정권구분집적부 5D바로 아래에 설치된 파시봉부 6C에서는 시봉된 파를 하부에 배치된 속시봉장치 7A에 반송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실효장치 8상의 손권구분집적부 5E에 대응하는 파시봉부 6D에서는 파를 작성하는 경우와, 시봉은 행하지않고 100매집적되면 그대로 캐리어로서 반송로상에 이송한후 실효장치 8에 보내는 경우가 있다.
속시봉장치 7A는 파시봉장치 6C에서 처리되어 이송된 정권의 파를 10개씩 겹쳐 결속시봉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본원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결속장치" [특원소 55-158531호(1980년 11월 11일 출원),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318,856호(1981년 11월 6일 출원) 영국 특허출원 제8133508호(1981년 11월 6일 출원) 독일 특허출원 P 3144 820 8(1981년 11월 11일 출원)]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이 결속장치는 파시봉부 6C에서 송출되는 파를 인도하고, 이것을 높이 치수를 크게한 캐리어상에 위치시키고 캐리어상에 10개의 파가 위치된 단계에서 결속부에 인도하고, 결속부에서 캐리어를 회전시켜 십자상으로 시봉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서 작성된 속(束)은 후방의 윈도우부(Window) 7A1에서 속포장장치 7B내로 이송된다.
속포장장치 7B는 속치봉 장시 7A에 의해서 시봉된 속을 포장하는 장치이며, 예컨데, 공지의 슈린크 포장장치(shrink wrapping device)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 슈린크포장장치는 예컨데, 제7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배치된 한쌍의 반송부 CA1, CA2를 구비하고, 이들 반송부 CA1, CA2의 사이에 로울러 R에 감긴 열수축성 필름 F의 단부를 늘어뜨려놓고, 한쪽의 반송로 CA1에 속 P를 재치하여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고, 속 P가 필름 F에 접촉된 후, 제17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반송로 CA2에 이동시키고 다시 전진시킨다. 그후, 속 P의 움직임을 정지시킨다. 필름 F가 감겨 있지 않은 부분은 상하에서 필름 F가 접촉하여 덮는다. 이 상태로 접촉부를 열용융시켜서 접속한 후, 용융점에서 절단하면 2점쇄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된다. 그후, 각진부분을 접어넣어서 제17c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포장속 PX를 얻는다.
실효장치 8은 제18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2개의 슈렛더 8A, 8CB및 폐기박스 8C를 구비하고 있다.
제Ⅰ의 슈렛더 8A는 손권을 가는 지편상으로 절단하고, 제2의 슈렛더 8B는 그 지편을 다시 잘게하여서 분상(粉狀)으로 만든다. 이와같이하여서, 분상으로 된 손권은 예컨데, 송풍에 의해서 폐기상자 8C내에 수납되게 된다.
제어부 9는 상세히 도시되어있지 않으나 취출장치 2내의 검사부 2D에서 검사된 결과나 감사부 4에서 감사된 결과등을 처리파마다 기억하는 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와, 전기 각 센서에서의 출력에 의거하여서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각부의 제어의 타이밍과 처리지령을 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은행권 처리의 전체의 동작을 설명한다. 파 P의 공급대 11에는 조작원에 의해 10개 단위로 파가 공급된다. 공급된 파는 1파씩 취출되어지고, 파반송벨트 11B, 11C에 의해 반송된다. 반송 도중에 급속편 검지기 13C가 구비되어 있어, 파속에 금속편 예컨데 그립, 바늘핀등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취출장치 혹은 반송장치를 손상하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전에 그 파를 배제하도록 되어있다. 급속편 검지기 13C를 통과한 파 P는 취출장치 2에 의한 미스취출 예컨데, 스큐, 겹쳐잡이 등의 발생을 막기위해 파 P를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것에 의해 권의재단과 동시에 파 P에서 시봉대 Pa의 절단제거를 행하고 이후에 시봉대 Pa가 없는 100매의 권을 취출장치 2에보내서, 권 1매씩의 취출이 취출장치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 앞의 파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는 다음 파 P의 1매 취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파 공급장치 1에는 파단위(100매의 권에 시봉대를 한것)로 공급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파단위가 아니라도 좋고, 흩어진 권(JAM 권등의 재처리로 시봉대를 하고있지 않은 것)의 공급도 가능하다. 흩어진권의 공급은 공급정지시에 취출장치 2의 전면을 덮고 있는 카버 10F를 여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흩어진 권공급모오드에 자동적으로 바뀌어진다. 파 P의 공급 취출에도 사용되고 있는 취출장치 2의 하측에 있는 백업판에 흩어진권을 부하하고 카버10를 닫고 공급개시 스윗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흩어진 권의 취출이 개시된다. 이때 카버 10F를 닫지 않고 공급개시 스윗치를 눌렀을 경우는 공급개시 스윗치는 작동하지 않는다. 공급개시 스윗치를 눌렀을 경우, 백업판상에 권이있느냐 없느냐가 자동적으로 첵크된다. 백업판상에 권이 있으면 그대로 흩어진 권공급모오드로 기계가 운전된다. 백업판상에 권이 없었던 경우는 자동적으로 흩어진권 공급모오드가 해제되어, 기계는 통상의 모오드로 작동된다. 또한 흩어진 권이라도 당연히 기계공급 전에 조작원이 시봉대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파공급대 11에서의 공급이 가능하다.
은행권의 취출직후에는 간단한 검지부 2D가 설치되어있다. 이 검사부 2D는 스큐권, 겹쳐잡이권, 파손권등을 판별하고, 판별된 스큐권, 겹쳐잡이권, 파손권 등은 감사불능권 P3으로서, 권종별검지, 정손판별 검지 등을 행하는 감사부 4를 통과하지 않고 감사 불능권 집적박스 BIN2에 집적된다. 감사 불능권 P3이외는 모두 감사부 4를 통과하며 각각의 판별 결과에 의해 위권 P4는 위권 집적 박스 BIN1, 이종권은 이종권 집적부 BIN3, 최량권은 최량권 집적 9박스 BIN4, 정권은 정권집 적박스 BIN5, 손권은 손권집적박스 BIN6에 각각 집적된다.
이종권 집적박스 BIN3내지 손권집적박스 BIN6은 각각 모듈화되어 있어, 모듈의 증설삭감이 가능하다. 예컨대 이종권을 위권과 같이 집적시켜 이종권 집적박스를 삭감하여서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혹은 특수용도용의 집적박스를 증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데, 통상의 정권을 공급하면, 권막힘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ATM이 있는 경우, 권막힘이 일어나지않게 정권중에서도 보다 깨끗한 권을 판별구분하여서 집적하는 최량권 5C를 설치하거나, 혹은 신권 및 구권의 양쪽이 있는 경우에 구권만을 집적하는 집적부를 설치하거나 혹은 모가꺽어진권이 많이 포함되고 있는 경우에 모의 꺾어짐을 수정하여서 재처리하기 쉽도록 모가꺾인권만을 집적하는 집적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은행권의 뱃취처리중에 종이막힘 혹은 기계이상이 일어났을 경우는 처리중의 파의 계수관리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당연히 집적박스나 반송로에서 권을 뽑아내서 재처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앞의 뱃취와 지금의 뱃취를 구별하고 재처리하지 않으면 않되는 권을 최소한으로 또한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이종권 집적 박스 BIN3및 최량권 집적박스 BIN4등은 뱃취구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뱃취구분 수단은 만약, 소정매수 예컨데 100매 마다의 구분이 필요하면 100매 구분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권막힘을 일으킨 권이 사복(蛇腹=자비라)상으로 되곤하여서 그대로는 제공급할 수 없고, 사복상(蛇腹狀)의 권은 손으로 수정한 후가 아니면 재공급할 수 없다. 그러므로 조금이라도 기계의 처리효율을 올리기 위해, 종이막힘을 일으킨 뱃취는 즉시 재공급하지 않고 다음의 뱃취를 진행시켜 놓으며, 사복상으로된 권의 수정이 끝났을 때, 즉 재공급이 가능하게되었을때 재공급을 한다. 이 경우, 권막힘을 일으켰을때 아직 취출되지않고 취출부에 남아있는 권도 당연히 재공급된다. 그러나, 감사불능권 집적박스 BIN2, 위권집적복스 BIN1에 집적한 감사불능권은, P3및 위권 P4가 종이막힘을 일으켰을 때 뱃취가 종료된 것과 같이 구분 카아드 집적박스에서 구분 카아드가 발행되어 대(띠) Pa도 포함하여 CST속에 집적된다.
본건의 자기 디스크에는 권막힘이 일어나 재공급되는 권이 있는 것을 기억한다. 후에 권막힘을 일으킨 뱃취를 재공급하면 이중의 감사불능권 P3, 위권 P4는 통상대로 구분 카아드 CAD와 같이 카셋트 CST에 집적된다. 여기서, 전회의 권막힘시의 뱃취 번호 혹은 구분카아드 고유번호가 재공급뱃취에 자동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후에 카셋트 처리를 할때에 재공급한 뱃취에 관하여 권막힘을 일으킨 뱃취번호 혹은 구분카아드의 고유번호를 CRT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양뱃취를 동시에 조사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계수의 확인 및 위권이 있는 경우 대(띠)정보의 키인(key in)이 가능하다.
정권 및 손권은 소정매수, 예컨데 100매 집적한 시점에서, 집적장치 5에 의해 구분되고, 파시봉 장치 6에 의해서 대(띠)에 의해 시봉되어 파로되어 있다. 이러한 시봉과 동시에 처리일, 조작원명 등의 필요사항이 압인(押印)된다. 시봉된 파는 다시 소정파수(예컨데, 10파)가 집적된 속시봉장치 7A에 의해 시봉되어, 속으로 되어진다.
속에도 일자, 조작원명등의 필요사항이 압인된다. 즉, 10개의 파는 속포장장치인 슈링장치 7B에 의해 포장되고, 장치에서콤베어상에 방출되어 소정장소 까지운 반된다. 슈링장치 7B는 콤베어의 후방에 설치되어서 2매이상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손권집적부 5E에는 시봉장치 6D외에 실효장치 8, 예컨데, 슈렛 8A, 8B가 배치되어, 모오드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100매 구분집적된 권이 시봉 혹은 슈렛더의 어느쪽의 장치에서도 걸리도록 되어 있다. 슈렛더장치8A, 8B에서 처리된 권은 다시 작은 파편(●狀)으로 절단되고, 다른 장소에 공기반송되어 폐기처리된다. 공기는 기계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계의 배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슈렛더에 의해 절단된 파편을 공기로 보내고 다시 작은 분상의 파편으로 할때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나사상을 회전시켜 파편을 보낼 수도 있다. 조작 패널부 10에는 기계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윗치류, 조작원인 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텐키, 기계의, 작상태나 조작원에 대한 기계조작법의 안내와 종이막힘이 일어났을때의 발생장소등을 표시하기 위한 CRT 디스프레이가 배설되어 있다. 조작 패널부 10과 기구부는 벽으로 간막이 되어있어, 조작패널부 10과 파공급대 11이외는 모두 간막이벽속에 있다. 이때문에 조작원이 느끼는 소음을 낮게할 수 있다. 또 간막이 벽안에들어 가기 위해 도어를 열면 감시장치가 자동적으로 움직여 안의 상태를 관리자 등이 감시하는 것에 의해시스템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배제권구분 집적부 5A내의 카셋트 CST를 취출하여 처리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체의 자기 디스크에는 뱃치의 은행권에 대한 계수 및 검지결과의 모든 데이터, 예컨데, 정권매수, 손권매수, 감사불능권 매수, 위권 매수 등이 기억된다. 감사불능권에 대하여서는 다시 그 검지결과, 예컨데, 겹쳐잡이, 슈큐, 쇼오트 빗취등의 감사불능 내용이, 한편 위권에 대하여는 예컨데, 자성불포함, 권모양불일치음화 안전 나사 없음, 형광성없음, 등의 검지결과가 한개의 뱃취마다, 각각권 1매마다 순번으로 본체 자기디스크에 기억된다. 이 축척된 데이터와 전술의 구분 카아드의 고유번호와는 메치가 이루어져 있다. 카셋트 CST는 적어도 2개 이상본 장치에 셋트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 1개의 카셋트 CST1이 사용되고, 카셋트 만배시(滿杯時)혹은 카셋트 제거시에 다른 카셋트 CST2에 자적동으로 절환된다. 카셋트 CST내의 권을 처리할 때 기계 처리중이면 예컨데 "카셋트 처리"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현재 처리하고 있는 카셋트에 상당하는 램프가 점등하고, 동시에 자동적으로 다른 카셋트에 처리가 옮겨지고, 카셋트의 제거가 OK로 된다. 기계처리 정지중이면 "기계처리정지" 버튼을 누른 시점에서 현재까지 사용되어왔던 카셋트에 상당하는 램프가 점등하고, 언제든지 제거 OK로 된다. "기계처리"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현재까지 점등하고 있던 램프가 꺼진다. 카셋트 집적만배시는 집적반배의 카셋트에 상당하는 램프가 점등하고 동시에 다른 카셋트에 처리가 옮겨지고 제거 OK로 된다. "카셋트처리" 버튼을 눌렀을때, 혹은 카셋트가 집적만배로되어 램프가 점등한 후, 소정 매수처리후에 카셋트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는 지금까지 점등하고 있던 램프가 점열하고, 조작원에 카셋트의 제거를 촉구한다. 그래도 아직 카셋트를 제거하지 않었을 경우는 다시 소정 매수 처리후에 또한 쪽의 카셋트(현재 처리중의 가셋트)에 상당하는 램프가 점등한다. 이것이 최종경고이다. 이때는 점멸하고 있는 쪽의 카셋트를 제거하고 빈 카셋트를 넣으면 양쪽의 램프가 소등한다. 최종경고후, 혹은 카셋트를 제거한 후 빈카셋트를 넣지않었을 경우, 현재처리중의 카셋트가 만배로 되었을 때 지금 처리중의 카셋트가 만배로 된 시점에서 램프가 점멸하고, 동시에 기계 처리정지로 된다. 램프점등 혹은 점멸시에는 경보가 울리고 더한층 카셋트처리를 촉구할 수도 있다. 제거된 카셋트는 본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한 카셋트처리 테이블에서기계조작원과는 별도의 조작원이 카셋트내의 권위 계수를 손으로 감사, 처리한다. 취출된 카셋트는 전술의 외부 조작장치 100에 의해서 처리된다.
상기 외부 조작장치 100은 각각 본체와 ON-LINE접속되어 구분 카아드의 고유번호를 입력혹은 매수의 키인등에 사용하는 키이보드 100E, 구분카아드의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뱃취의 처리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CRT 100C, 필요에 응해 CRT에 표시된 혹은 각 뱃취의 처리데이터등을 프린트 아웃(print-out)하기 위한 프린터 100D를 구비하고 있다.
카셋트 CST의 처리방법은 우선 카셋트의 뚜껑을 키로열고 제일 위의 구분 카아드 CAD의 고유번호를 키인하다. CRT 100C에는 구분 카아드 CAD의 고유번호에 상당하는 계수 데이터및 검지데이터가 표시된다. 예를들면 제18도에 표시하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제18도의 표시예를 위로부터 설명하면 구분 카아드의 고유번호가 "1234", 일자 "1982/10/1", 시간이 AM 11 : 02", 조작원번호가 "09, 567", 기계번호가 "M/C NO. 3", 전원 ON에서 처리한 통산 뱃취수가 "100"권종이 "1000 Yen", 배제권 R가 "2"매(그중, 위권이 1매), 정권 F가 "80"매, 손권 UF가 "18"매 있는 것을 각기 표시하고 있다. 또한 "M"은 배제권 2매중 위권 1매의 판정이유가 자기를 불포함했기때문이라는 것이며, "SK"는 감사불능권 1매가 스큐인되었다는 것을 각기 표시하고 있다. 배제권이 복수인때는 후에 집적된 권부터 순차로 CRT에 표시되어 권과 CRT의 표시가 대응되도록 되어있다. "R"(리젝트 ; Reject) 2매의 표시는 하나의 배치에 포함되어 있다. 은행권의 매수인100에서 "F"(정권)의 80과 "UF"(손권)의 18과를 감한 것이다. 이와같이 실제로 카셋트내의 매수를 첵크하고 2매있는 경우 키이보드 100E의 크리어버튼을 눌러 감사불능권 P3의 상에 실려있던 대(띠)를 폐기하고, 리젝트권을 재처리박스에 보관한다. 이싯점에서 100뱃취째의 계수 조회가 확인되면, CRT100C의 표시가자동적으로 다음의 뱃취(99배취째)를 표시한다. 여기서 100배취째로부터 역순으로 되돌아오도록 하여 표시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즉, 카셋트내에서는 1뱃취째가 최초로 처리되고, 순차로 위에 집적되고 있는 것에 대해 카셋트내의 처리권을 취출할때에는 순차로 취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셋트를 역으로 하여 1뱃취째로부터 처리하는 경우는 CRT 100C에도 대응한 순서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지 않으면 않된다.
리젝트 매수가 표시매수와 상이한 경우는 감사불능권의 위에 실려있는 대(띠)에 표시하고 있는 시봉지명을 코오드화한번호를 키인하고, 그 후방에리젝트권을 의미한 마이크「R」및 정규의 매수를 키인하고, 크리어버튼을 2회 누른다. 위권의 매수가 표시매수와 상이할때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대(띠)코오드번호를 키인하고 그 후방에 위권을 의미하는 마이크「C」및 정규의 매수를 키인한다. 손으로의 감사의 결과, 리젝트권 매수와 위권매수양쪽이 CRT 표시매수와 다를 경우는 대(띠)코오드번호를 키인한 후, 예컨대, 리젝트군 2매중 위권이 1매인경우 R2C1을 키인하고, 크리어버튼을 2회 누르면된다. 또한 위권의경우는 감사불능권과 는 별도로 박스에 대(띠)와 같이 보관하여 후의 감정을 하기 쉽게 한다. 또한, 위권의 CRT 표시는 다른 표시와 색을 바꾸어(예컨데 적색), 눈에 잘띄게하여도 좋다.
구분 카아드의 고유번호는 제일위의 1매만을 키인하면되는 데, 1매뒤는 순번으로 자동적으로 CRT에 표시된다. 상기 외부 조작장치는 100은 복수 대(臺)의 본체와 연결가능하도록 되어있다. 구분카아드 CAD에 배취의 계수 및 검인내용의 모든데이터를 축적하여도 좋으며, 리젝트 처리종료후본체의 카아드 판독기에서 구분카아드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계수조회 및 데이터가 수정될 수 있다. 즉, ON/LINE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소정매수의 지폐류가 끈으로 묶인 파를 한쪽으로 만곡시켜서 파와 끈사이의 간극을 형성하고, 이 간극이 형성된 쪽의 끈을 절단하도록 한 지폐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끈으로 묶인 지폐류의 파를 한쪽으로 만곡해서 파와끈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키는 압착봉으로 구성된 제1의 만곡수단(14C)과, 제1의 만곡수단(14C)으로 형성된 간극이있는쪽의 끈을 유지하는 대(band)캣취 레버 및 핀등의 유지수단(14E, 14G)과, 상기 지폐류의 파를 다른쪽으로 만곡시켜서 상기 유지수단(14E, 14G)이 있는 쪽과 반대쪽에 파와 끈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키는 제2압착봉으로 구성된 제2의 만곡수단(14D)과, 제2의 만곡수단(14D)으로 형성된 간극의 있는쪽의 끈을 절단하는 캇터로 구성된 절단수단(14H)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처리장치.
KR1019830004863A 1982-10-14 1983-10-14 지폐류 처리장치 KR860000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80227A JPS5969882A (ja) 1982-10-14 1982-10-14 紙葉類処理装置
JP82-180227 1982-10-14
JP180227 1982-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302A KR840006302A (ko) 1984-11-29
KR860000444B1 true KR860000444B1 (ko) 1986-04-26

Family

ID=160796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863A KR860000444B1 (ko) 1982-10-14 1983-10-14 지폐류 처리장치
KR1019830004864A KR860000459B1 (ko) 1982-10-14 1983-10-14 지폐류 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864A KR860000459B1 (ko) 1982-10-14 1983-10-14 지폐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586232A (ko)
EP (1) EP0106277B1 (ko)
JP (1) JPS5969882A (ko)
KR (2) KR860000444B1 (ko)
AT (1) ATE28616T1 (ko)
DE (1) DE337274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9884A (ja) * 1982-10-14 1984-04-20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GB8333856D0 (en) * 1983-12-20 1984-02-01 Delco Prod Overseas Sheet sorting apparatus
DE3443362A1 (de) * 1984-11-28 1986-05-28 Kodak Ag, 7000 Stuttgart Kopiergeraet
US4845917A (en) * 1986-10-14 1989-07-11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for processing paper sheets
DE3889698T2 (de) * 1987-08-04 1994-10-06 Toshiba Kawasaki Kk Papierbogenverarbeitungsvorrichtung.
JP2771984B2 (ja) * 1988-03-29 1998-07-02 株式会社東芝 物品処理装置
US5156516A (en) * 1988-06-29 1992-10-20 Vega Automation Device for breaking and removing a tie surrounding a bundle
FR2633587B1 (fr) * 1988-06-29 1991-03-29 Vega Automation Procede et dispositif pour rompre et enlever un lien entourant un paquet. procede et appareil d'alimentation en decoupes utilisant ce procede et ce dispositif
JP2746996B2 (ja) * 1989-03-31 1998-05-0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束処理装置
IT1242086B (it) * 1990-06-08 1994-02-16 Mario Moltrasio Dispositivo di slegatura di sacchi legati in pacchi.
US5096176A (en) * 1990-12-24 1992-03-17 Pitney Bowes Inc. Sheet set separation using folded strips
US5088712A (en) * 1990-12-31 1992-02-18 Pitney Bowes Inc. Sheet set separation using wide folded strips
WO1993007588A1 (en) * 1991-10-08 1993-04-15 Kabushiki Kaisha Ace Denken Changing machine having function of judging wear of bill
JP3917291B2 (ja) * 1998-03-24 2007-05-23 株式会社東芝 施封帯除去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US20070267496A1 (en) * 2006-05-16 2007-11-22 Ncr Corporation Methods of processing a check in an image-based check processing system to determine if the check is potentially fraudulent
ITMO20130109A1 (it) * 2013-04-22 2014-10-23 Selcom Elettronica S P A Apparato e metodo per riempire una cassetta con gruppi di foglietti, in particolare con pile di banconote
FR3021243B1 (fr) * 2014-05-21 2016-07-01 Robert Charles Pierre Nicolas Appareil permettant de couper et d'extraire les ganses des billets de banque
JP6529792B2 (ja) * 2015-03-13 2019-06-12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前処理装置
US9747741B2 (en) * 2015-03-18 2017-08-29 Toshiba International Corporation In-pocket currency bundler
DE102016007833A1 (de) * 2016-06-27 2017-12-28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trennen einer Banderole
CN113211025A (zh) * 2021-05-01 2021-08-06 上海世禹精密机械有限公司 连线型换盖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0676B2 (ko) * 1973-09-28 1982-12-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DE2729830A1 (de) * 1977-07-01 1979-01-11 Gao Ges Automation Org Verfahren zum automatischen sortieren von duennem blattgut
JPS54115198A (en) * 1978-02-28 1979-09-07 Toshiba Corp Paper leaves classifying and counting device
JPS5856430B2 (ja) * 1979-05-28 1983-12-14 株式会社クボタ 曲り管の水圧試験装置
JPS56147258A (en) * 1980-04-15 1981-11-16 Laurel Bank Mach Co Ltd Bank note deposition machine
DE3118113C2 (de) * 1980-05-12 1984-11-15 Tokyo Shibaura Denki K.K., Kawasaki, Kanagawa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Banderolen von banderolierten Papierblattstapeln
US4414730A (en) * 1980-09-22 1983-11-15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cessing paper sheets of banded paper sheet bundles and a processing machine therefor
JPS5786420A (en) * 1980-11-11 1982-05-29 Tokyo Shibaura Electric Co Bundling device
JPS57121761A (en) * 1981-01-22 1982-07-29 Toshiba Corp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of currency
JPS57153546A (en) * 1981-03-17 1982-09-22 Toshiba Corp Lead devic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GB2076355B (en) * 1981-05-07 1983-10-05 Tokyo Shibaura Electric Co Apparatus for taking off a band wound about a paper sheet bundle
EP0090348B1 (en) * 1982-03-31 1987-12-23 Kabushiki Kaisha Toshiba Bund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303A (ko) 1984-11-29
EP0106277B1 (en) 1987-07-29
EP0106277A1 (en) 1984-04-25
KR860000459B1 (ko) 1986-04-28
JPS5969882A (ja) 1984-04-20
KR840006302A (ko) 1984-11-29
DE3372745D1 (en) 1987-09-03
US4586232A (en) 1986-05-06
ATE28616T1 (de) 198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444B1 (ko) 지폐류 처리장치
KR910009118B1 (ko) 지폐류처리장치
EP0106278B1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US4825378A (en) Bundler including bill handling system which keeps track of unbundled bills
JP3315204B2 (ja) 紙葉類処理装置
GB2128594A (en) Sorting banknotes
JPH0334091A (ja) 紙幣処理装置
KR890003375Y1 (ko) 지엽류 처리장치
JPH0241724Y2 (ko)
CA1219610A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S5974019A (ja) 紙葉類処理装置
CA1219609A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S5969883A (ja) 紙葉類処理装置
CA1219608A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S59130581A (ja) 紙葉類処理装置
JPS59132084A (ja) 紙葉類処理装置
JPS5969890A (ja) 紙葉類処理装置
JPS5969888A (ja) 紙葉類処理装置
JPS6184789A (ja) 紙葉類処理装置
JPS59130582A (ja) 紙葉類処理装置
JPS59132082A (ja) 紙葉類の供給方法
JPS5969889A (ja) 紙葉類処理方式
JPS5969183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960072B2 (ja) 紙幣処理装置
JPS59132981A (ja) 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