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117B1 - 동전수납 및 포장기 - Google Patents

동전수납 및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117B1
KR910009117B1 KR1019880008176A KR880008176A KR910009117B1 KR 910009117 B1 KR910009117 B1 KR 910009117B1 KR 1019880008176 A KR1019880008176 A KR 1019880008176A KR 880008176 A KR880008176 A KR 880008176A KR 910009117 B1 KR910009117 B1 KR 91000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s
coin
machine
predetermined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799A (ko
Inventor
히데시 센도꾸
다까요시 아사오까
Original Assignee
로우렐 뱅크 머시인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6602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959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8143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25297A/ja
Application filed by 로우렐 뱅크 머시인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filed Critical 로우렐 뱅크 머시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 G07D9/065Devices for wrapp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전수납 및 포장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수납 및 포장기의 개략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동전수납 및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전을 수납하고 소정수의 동전스태크(Stack)형태로 동전을 계수하고 포장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은행같은 금융회사에서, 소매상점들로부터 수집된 많은 수의 동전들이 매일 계수되고 소트된다. 유사하게 회사택시에서도, 운전수로부터 모아진 많은 양의 돈이 적당한 방법으로 계수되고 소트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목적을 위해 은행에서 돈을 계수하고 분류하는 작업이 돈을 모으는 종업원에 의해 운반될때마다 필요하다. 택시회사에서는 그러한 작업이 택시운전수가 그날의 수입을 가져올때마다 필요하다. 종래 방법에서는, 먼저 그러한 돈이 가짜 동전은 제거되고 적당한 동전들만이 허용되어 소트되고 계수되도록 하는 수납기에 도입된다. 1980년 7월 14일에 공고된 일본 특공소 제55-92990호에서는 전술한 종래의 수납기가 발표된다. 그후에 동전들은 포장기에 도입되어 동전의 금종에 따라 소트되고 소정수의 동전으로 포장된다(포장은 보통 50개의 동전을 포함한다) 1984년 5월 16일에 발표된 일본 특공소 제59-84721호에서는 그러한 종래의 포장기가 발표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동처리방식은 그렇게 실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동전수납기와 동전포장기 두가지 모두를 필요로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것은 돈이 수납기에서 포장기로 이송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동전을 수납 및 포장하는 작업이 번거스럽고, 수납 및 포장기를 설치하기 위한 넓은 작업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돈이 두기계 사이에서 이송될때 안전상이 문제가 있을수도 있다. 돈을 수납하는 작업 수행은 돈이 운반될때마다 필요하다. 한편, 포장작업은 포장되어질 동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돈처리방식에서는, 동전포장작업전에 돈을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적당한 수단을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우기, 일본 특공소 제59-84721호에, 발표된 종래의 동전포장기는 소정금종의 동전보다 직경이 큰 동전의 금종이 동전 축적부로 도입될 수 있기때문에 동전이 직경의 크기순으로 포장하는 불리한 점이 있었다. 바꾸어말하면, 종래의 동전포장기에서는, 여러가지 금종의 동전들중에서 포장되어질 작은 직경의 동전의 금종을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단일 동전수납 및 포장기내에서 동전을 처리함으로써 동전을 수납하고 포장하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동전을 쉽고 바르게 포장할 수 있는 동전수납 및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동전을 안전하게 보존하고 적당한 시간에 동전을 포장할 수 있는 동전수납 및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동전을 쉽게 도입하고 빼낼 수 있는 동전수납 및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특징은 처리되어질 동전을 수납하는 상측호퍼수단, 포장될 소정금종의 동전을 한 방향으로 도입하고 소정동전외의 동전을 또 다른 방향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동전의 금종을 판별하는 판별수단, 동전을 축적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금종의 동전을 수납하는 축적수단, 동전스태크의 형태로 상기 소정금종의 동전을 포장하기 위해 상기 축적수단밑에 제공된 포장수단, 상기 소정금종 동전외의 동전을 판별수단으로부터 임시로 홀드시키기위해 상기 기계에 제거가능하도록 장착된 홀딩수단, 흘딩수단으로부터 동전을 수납하고 흘딩수단으로부터 도입된 동전을 방출하도록 상기 기계에 제거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홀딩수단의 밑에 위치한 셀렉팅 박스(Selecting box)수단, 셀렉팅 박스 수단으로부터 방출하되는 동전과 기계의 외부로 개방된 개방수단을 통하여 도입되는 동전들을 수납하기 위해 기계의 하부에 위치한 하측호퍼수단, 셀렉팅수단이 그 기계에 부가되고 기계의 외부로부터 열쇠를 이용하여 개방될 수 있는 출구수단이 구비될때 홀딩수단가 연결되기에 적합한 출구수단이 구비되는 셀렉팅 박스수단을 포함하는 동전수납 및 포장장치에 의해서 성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기계는 포장수단에서 포장된 포장동전을 보관하기위한 보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측호퍼수단에 도입된 동전을 하측호퍼수단으로부터 상측호퍼수단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판별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축적수단으로 도입되는 동전의 금종을 세팅하는 금종세팅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멸에 따라 동전수납 및 포장기는 모든 동전들이 상측호퍼에서 판별수단으로 도입될 때마다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에 기초하여 판별수단을 통과하는 동전수의 순서로 금종세팅수단에 의해 세트되는 축적수단으로 도입되는 동전의 금종을 바꾸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돈의 일정량이 기계에 도입될때마다, 돈은 판별되고 계수되며 조회된다. 이러한 과정후에 포장되는 동전의 소정금종은 계산수단과 포장수단으로 이송되어 소정수 동전의 동전 스태크바아(Stack bar)의 형태로 포장된다. 한편, 소정금종의 동전과 다른 동전들은 홀딩수단으로 도입되어 일시적으로 흘드된다. 그후에 동전들은 셀렉팅 박스수단과 하측호퍼수단으로 이송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동전은 이송수단을 통해 상측호퍼수단으로 도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장된 소정금종의 동전과 다른 동전들은 필요하다면 안전하게 작용할 수 있는 셀렉팅 박스수단에서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셀렉팅 박스수단이 기계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셀렉팅 박스내의 돈은 또한 기계와 다른 적당한 장소에서 안전하게 보관될 수도 있다 .
하측호퍼수단은 많은 수의 동전들이 하측호퍼수단을 통하여 기계로 직접 도입될 수 있도록 기계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다. 동전들은 하측호퍼수단으로부터 상측호퍼수단으로 전달되어 판별수단에서 판별된다. 소정금종의 동전들은 축적수단으로 이송되고, 차례로 동전이 소정수 동전의 동전 스태크바아의 형태로 포장되는 포장수단으로 이송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라, 포장될 동전의 금종이 포장된 동전 스태크바아의 어떠한 금종이라도 얻도록 금종세팅수단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더우기 기계로 도입된 동전들은 제어수단을 활용하여 각 금종에서의 동전수에 따라 차례로 포장되어 하측호퍼수단과 상측호퍼수단을 통해 순환되는 동전의 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다음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전수납 및 포장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특히 제1도는 일반적으로 기계의 주요구성부에 관한 배치를 상·하 방향으로 나타낸다. 동전수납 및 포장기는 동전을 수납하는 상측호퍼(2), 동전의 금종을 판별하고 가짜 동전을 제거함과 동시에 돈을 계수하는 판별부(3), 판별부(3)로부터 동전을 수납하고 및 상측호퍼로 이송된 모든 동전들이 판별부(3)에서 계수될때까지 그들을 임시로 홀딩하기 위해 판별부(3)상에 위치한 홀딩부(4A)를 구비한다. 흘딩부(4A)는 기계(1)상에 제거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기계(1)는 또한 그안에서 축적되도록 포장되는 소정금종의 동전들만을 수납하기위해 판별부(3) 밑에 축적부(5)를 구비한다.
셀렉팅박스(4B)가 홀딩부(4A)밑에 구비된다. 셀렉팅박스(4B)는 안전하게 작용하도록 기계(1)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셀렉팅박스(4B)밑에 배치된 하측호퍼(6)가 셀렉팅박스(4B)로부터 동전을 수납하기 위해 기계(1)상에 제거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하측호퍼(6)는 기계(1)의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가 구비된다. 콘베이어(conveyer)(7)는 하측호퍼(6)로부터 상측호퍼(2)로 동전을 이송하도록 하측호퍼(6)옆에 배치된다.
포장부(8)는 동전을 포장하도록 축적부(5)밑에 배치되어 축적부(5)에서 소정수 동전의 동전 스태크바아로 축적된다. 클리어박스(9)는 동전따위의 수가 부족하거나 부적당한 포장 때문에 포장과정에서 제외되는 동전들을 보관하도록 포장부(8)밑에 구비된다. 기계(1)는 포장부(B)로부터 포장된 동전들이 동전 스태크바아로 보관되는 로울박스(11)로 동전들을 이송하는 콘베이어(10)를 더 포함한다.
판별부(3)는 예를들어 일본 실공소 제56-88380호 및 본 발명과 같은 양수인에게 양도된 일본 특공소 제62-65348호에 발표된 장치로 보통 구성된다. 판별부(3)는 가짜동전을 검출하고 금종을 판별하기에 적합하다. 이런 목적때문에, 판별부(3)는 그곳으로 이송된 동전의 물질을 판별하는 물질판별센서와 동전의 금종이 판별됨으로서 동전의 직경을 검출하는 직경검출센서를 포함하는 센서(30)를 구비한다. 물질판별센서는 통상 자가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자기장치인 검출코일을 구비한다. 직경판별센서는 통상 각 동전에 의해 차단된 광량을 검출하기 위해 포토어레이 이미지센서를 구비한다. 계수센서(30)와 이미지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는 동전의 금종을 결정하기 위해 기억된 데이타를 가진 신호와 비교하는 제어자치(도시되지않음)로 이송된다. 판별부(3)에서는, 이송된 동전의 수가 금종에 따라 신호의 계수피크값(counting peak value)에 의해 계수되어 돈의 총액이 계산될 수 있다.
상측호퍼(2)로부터 동전들이 회전디스크(20)에 도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디스크(20)의 접선 방향으로 흘러나오며 제1선택통로(21)를 거쳐 제2선택통로(22)로 도입된다. 통로(21 및 22)를 이동하는 동안, 동전의 소정금종만이 제1선택통로(22)의 첨단부(tip end)(23)통해 축적부(5)로 도입되는 것이 허용된다. 통로(21 및 22)에서는 동전들이 콘베이어 밸트(도시되지않음)와 만나 이송된다. 제1통로(21)는 서로 평행으로 위치한 한쌍의 통로멤버(24,24)로 구성된다. 통로멤버(24,24)만의 간격은 기계(1)에 이송된 어떤 금종의 동전이라도 패스될 수 있는 직경으로 세트된다. 가이드멤버(26)는 통로 멤버중의 하나(24)의 일단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가이드 맴버는 소정금종의 동전측면과 연동하는 리드벽(25)으로 형성되어 동전의 이동방향이 충분히 90도로 편향하도록 하고 동전을 제2통로(22)로 리드한다. 가이드맴버 (26)는 또한 경사면(27)으로 형성되어 제2통로(22)로 도입되는 동전보다 더 큰 직경의 동전들은 상승하고 똑바로 이동하여 밑으로 제거된다. 가이드멤버(26)는 통로멤버(24,24)의 타단으로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이드멤버(26)를 통해 제거되는 동전의 금종이 변할 수 있게 한다.
제2통로(22)는 한쌍의 통로레일(28,28)로 구성되어 소정금종의 동전들만이 터미날부(23)로 안내되도록 그들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레일(28,28)간에 선택개구(opening) (29)가 형성되어 레일(28,28) 간격보다 작은 동전들은 레일(28,28)사이로 떨어져 통로(22)로부터 제거된다. 제1통로(21)와 제2통로(22)모두에서 제거돈 동전은 적당한 활강멤버(도시되지않음)을 통해 홀딩부(4A)로 도입된다.
센서(30)가 가짜 또는 모조동전을 검출하면, 제어장치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모조동전을 체크하고 제1통로(21)상에 멤버를 밀어 밑으로 이동시킨다.
그후 모조동전은 적당한 경보장치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인지하여 통로(21)에서 제거된다. 다른 방식으로, 모조동전이 개구(29)로 이동하여 떨어지도록 한다. 그후 모조동전은 모조동전을 제거하기위해 게이트를 통해 리젝트바스(도시되지않음)로 도입된다
흘딩부(4A)는 가이드 멤버(26)에 의해 제1통로(21′)에서 제거되고 개구(29)에 의해 제2통로(22)에서 제거된 동전들을 수납하고, 그들을 임시로 보관하기에 적합하다. 동전들은 기계(1)로부터 홀딩부(4A)를 제거 또는 끌어당김으로서 홀딩부(4A)로부터 꺼낼 수 있다.
홀딩부(4A)는 각핀(32,32)주위에 흔들릴수 있도록 장착되어 홀딩부(4A)의 저면부를 개방하는 한쌍의 저면판(31A)을 구비하여 홀딩부(4A)내의 동전들이 그곳으로부터 밑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셀렉팅박스(4B)는 본 발명과 같은 양수인에게 양도된 일본 실공소 제60-1359호와 제60-135976호에 발표된 장치로서 구성된다. 셀렉팅박스는 기계(1)상에서 활주운동하도록 장착된다. 셀렉팅박스(4B)는 홀딩박스(4A)로부터 동전을 수납하고 보관하기에 적당하다. 셀렉팅박스(4B)는 상부에 개구가 구비되어 셀렉팅박스(4)가 기계(1)에 부가될때 홀딩박스(4A)를 향해 위로 개방되고 셀렉팅박스(4)가 기계(1)로부터 제거될때 폐쇄되기에 적합하다. 셀렉팅박스(4)의 개부는 셀렉팅박바스(4B)가 기계(1)부터 제거되는 경우에 열쇠를 사용하지 않으면, 개방될 수 없다. 셀렉팅박스(4B)는 저면부와 측면부에 게이트(33)를 구비하여 게이트(33)가 개방될 때 그안의 동전들이 하측호퍼(6)를 향해 밑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박스(4B)내의 동전들을 게이트(33) 쉽게 도입하도록 하기위해, 콘베이어밸트가 셀렉팅박스(4B)의 하부에 구비된다. 다르게는 셀렉팅박스(4B)의 하부가 게이트(33)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기계(1)에 고정된 상측호퍼(6)는 동전을 보관하기에 적합하며 콘베이어(7)에 의해동전을 꺼낼 수 있다. 호퍼(6)는 동전입구를 통해 기계(1)로 이송된 동전을 수납할 수 있고 입구는 활강로, 튜브등을 대신하여 기계(1)의 측면 또는 전면에 형성된다.
콘베이어(7)는 기계(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위로 전달되도록 동전과 연동하는 측면돌출부에 형성된다. 동전들이 콘베이어(7)에 의해 상부로 이송될때, 로울러나 디플렉터(도시되지않음)에 의해 체크되어 상측호퍼(2)로 도입된다.
일본 특공소 제59-84721호에 나타난 축적부(5)는 동전 스태크바아의 형태로 판별부(3)로부터 동전을 축적하기에 적합하다. 이 실시예에서, 축적부(5)는 본 발명의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일본 특공소 제62-208329호에 나타난 형태로서 축적부(5)는 외표면에 나선형 돌출부(41,41)를 가진 한쌍의 회전드럼(40,40)을 구비한다. 드럼(40,40)이 회전함에 따라 동전에 대해서 돌출부쌍(41,41)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는 스태크된 동전이 성장하도록 밑으로 이동한다.
일본 특공소 제59-84721호에 나타난 것처람 포장부(8)는 축적부(5)로부터 스태크된 동전을 포장하는데 적합하다. ,
축적부(5)에 스태크된 동전 스태크 바아(보통 50)의 소정동전의 수는 포장로울세트(42,42,42)를 향하여 이송된다. 동전 스태크 바아는 로울(42,42,42)사이에 설비되고 회전하는 동안 한쌍의 이송로울(44,44)에 의하여 공급된 포장시트(43)에 의하여 포장된다.
포장부(8)에서 문제가 발생할때 또는 동전의 부적당한 수가 포장부(8)에 도입될때, 포장로울(42,42,42)은 스태크된 동전을 아래 리젝트박스(9)로 방출하기 위하여 서로 분리된다.
포장된 동전 스태크바아는 경사진 통로를 통하여 콘베이어(10)로 이송된다. 콘베이어(10)는 일본 특고소 제56-95822호에 도시된 것처럼, 포장된 동전 스태크바아를 로울박스(11)에 이송시키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무한 체인에 의하여 운반되는 바스켓을 구비한 형태이다. 지금부터는 기계(1)의 동작을 기술한다.
[돈 수납 모드]
제2도의 흐름도에 분명히 도시한것처럼, 동전이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상측호퍼에 이송될때, 동전은 판별부(3)에 도입된다(S1,S2 및 S3). 판별부(3)에서, 동전의 금종 및 진짜동전인지를 판별한다. 이 경우에, 제1통로(21)의 가이드멤버(26)는 동전의 어떤 금종이라도 제 2통로(22)에 도입하기 위하여 가이드멤버(26)와 한쌍의 통로멤버(24,24)사이의 간격이 가장 넓고 가장 움폭들어간 위치에 설비된다. 제2통로(22)의 통로레일(28,28)은 모든 동전이 홀딩부(4A)에 도입되도록 그들 사이의 가장 넓은 간격을 제공하여 설비한다.
가짜는 제1통로(21)의 입구 근처에 설비된 센서(30)에 의하여 검출되고(S4,S5) 통로(21)에서 자동적으로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체크된다(S6).
진짜 동전은 개구(90)로부터 홀딩부(4A)에 이송되고 그곳에 보관된다. 센서 (30)에 의한 판별의 결과는, 돈의 양이 계산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나타냄으로서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제어장치에 공급된다(57) . 오퍼레이트는, 계산되어 디스플레이장치에 나타낸 돈의 양이 인쇄된 영수증으로로 받았을때 나타난 돈의 양과 일치하는지를 점검할 것이다(S8,S9).
돈의 양이 일치하지 않을때 홀딩부(4A)는 기계(1)로부터 제거된다(S10). 한편, 돈의 양이 일치할때 오퍼레이터는 홀딩부(4A)의 저면부(31A,31B)를 개방하도록 스위치를작동시켜(S12) 홀딩부(4A)내의 동전들을 셀렉팅박스(4B)로 보관하도록 떨어뜨린다(S13). 오퍼레이터는 포장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결정한다(S14). 만약 동전을 포장할 필요가 없다면, 처리는 종료될 것이다(S15) . 그리고 셀렉팅박스(4B)내의 동전이 보관을 위해 이송될때 셀렉팅박스(4B)는 기계(1)로부터 제거된다. 동전이 포장될때, 게이트(33)는 셀렉팅박스(4B)내의 동전을 하측호퍼(6)에 도입하기 위하여 개방된다(S16). 그러므로 일정량의 동전이 셀렉팅박스(4B)에 보관되고, 제4도에 도시한 것처럼 포장모드는 실행될 것이다(517).
한편, 많은 양의 동전이 기계(1)에 이송될때 동전은 동전의 무게를 고려하여 하측호퍼(6)의 약간 위로 설비된 개구를 통하여 기계(1)에 이송된다.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이경우에서 동전이 하측호퍼(6)에 이송될때, 콘베이어(7)는 하측호퍼(6)로부터 상측호퍼(2)까지 동전을 전달하도록 작동된다(S18,S19,S20).
그후, 동전은 제2도와 관련하여 전에 언급한 것처럼 단계(S3 내지 S17)에 따라 처리된다.
흘딩부(4A)는, 홀딩부(4A)가 제거될 수 없고 단계(S8)에서 동전의 양을 점검한 후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자기 로크 메카니즘(maine-tic lock mechanism)과 같은 로킹 메카니즘으로 설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전은 오직 셀렉팅박스(4B)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어 기계의 안전이 향상될 수 있다.
[포장 및 보관모드]
제4도를 참조하면 동전이 적절한부에 수납되고, 포장 및 보관되는 경우의 흐름도를 도시했다. 동전이 상측호퍼(2)에 도입될때 처리는 시작된다(S14) . 동전은 센서에 의하여 판별되고(S42) 통로(21,22)에서 소트된다(543). 단계(S44)에서, 포장될 동전의 금종이 지정되었는지 아닌지 또는 예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동전의 구체적 금동이 포장되도록 예정되었을때, 직견에 관한 동전의 소정금종이 축적부(5)에 이송된다. 동전의 소정금종외의 동전은 홀딩부(4A)에 이송된다. 제1통로(21)에서, 직경이 동전의 소정금종보다 더큰 동전은 직진하도록 가이드멤버(26)의 경사면을 오르며, 활강로(도시되지않음)을 통하여 홀딩부(4A)로 도입되도록 하기위해, 경사면(27)의 첨단으로부터 떨어진다. 한편, 지름이 동전의 소정금종보다 더 작은 동전은 제2통로(22)의 개구(29)을 통하여 떨어지며 활강로를 통하여 홀딩부(4A)로 도입된다. 결국 동전의 오직 소정금종만이 제2통로(22)의 터미날(23)로부터 축적부(5)로 도입된다. 가이드멤버(26) 및 통로 레일(28,28)은 스위치에 의하여 모터를 동작함으로서 동전의 금종을 변화시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축적부(5)에 도입되도록 캠 메카니즘에 의하여 제어된다.
동전외 소정의 수가 축적부(5)에 스태크될때, 스태크된 동전은 포장부(8)에 이송되어 포장된다(545). 축적된 동전의 수는 센서(30) 또는 제2통로(22)의 터미날(23)을 통하여 패스한 동전의 수가 계산되는 방법으로 점검될 것이다. 축적부(5)의 스태크동전수가 소정값에 도달할때마다 스태크된 동전은 포장부(8)에 이송된다. 포장부(8)에 이송된 동전의 수가 소정값보다 적을때, 동전은 포장로울(42,42,42)사이에 떨어져 제거되고 클리어박스(9)에 도입된다(S46,S47). 스태크된 동전의 수가 소정값에 도달할때, 동전은 포장되고 그후 콘베이어(10)를 통하여 로울박스(11)에 이송된다(S48,S49,S50).
단계(S44)에서, 동전의 소정금종외의 동전은 홀딩부(4A)에 이송된다(S51). 그러나 동전은 저면판(31A, 31B)이 모드에서 개방되기 때문에 홀딩부(4A)를 통하여 패스한다. 홀딩부(4A)를 통하여 패스된 동전은 셀렉팅박스(4B)에 이송된다. 셀렉스박스(4B)의 게이트(33)는 상측 및 하측호퍼(2 및 6)가 비었으면 개방된다. 그리고 셀렉스박스(4B)의 동전은 다른 금종의 동전에 대하여 다음 포장처리를 위해 하측호퍼에 이송된다(S53). 콘베이어(7)는 만약 상측호퍼(2)가 비었다면 하측호퍼(6)로부터 상측호퍼(2)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해 동작된다. 그후, 동전의 금종에 대한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
제5도에 도시한 것처럼 처리되기 위한 동전의 양이 매우 많을때 동전은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줄일수있도록 무게를 고려하여 하측호퍼를 통하여 이송될 수 있다(S55). 이 경우에 콘베이어(7)는 판별단계(S42)전에 하측호퍼(6)로부터 상측호퍼(2)까지의 동전을 이송하기 위해 동작된다(S56,S57).
상기 언급된 처리에 따라, 기계(1)에 이송된 동전은 그곳 금종의 어떤순서라도 포장될 수 있다. 대신에 포장된 동전금종의 순서는 통로 레일(28,28)의 간격이 규칙적으로 감소되는 방법으로 세트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전은 직경이 감소되는 크기순서, 즉 500엔,10엔,100엔,5엔,50엔 및 1엔으로 포장된다. 이 모드에서 가이드멤버(26)는 제거될 수 있다. 가이드멤버(26)는 직경이 감소되는 크기의 순서로 동전을 포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제2통로(22)의 통로레일(28,28)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기계(1)는 기계(1)에 이송된 각 금종에서 동전수의 순서대로 동전을 포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동전이 더 큰수 동전의 금종으로부터 더 작은수 동전의 금종까지 순서대로 포장되는 곳에서 처리하는 시간은 기계(1)에서 순환하는 동전의 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감소될 수 있다.
포장될 동전의 금종은 기계(1)에 이송된 모든 동전이 제1 및 제2통로(21,22)를 패스한후 및 동전의 다른 금종에 대한 계수처리가 시작되기전에 항상 변화될 수 있다.
포장동작은 동전이 기계(1)에 이송될때 뿐만아니라, 기계(1)에 보관된 동전의 양이 일정한 양에 도달되었을때 실행될 수 있다. 많은 수정 및 변화는 첨부된 것처럼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않고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상기 설명으로 분명하게 될 것이다.

Claims (7)

  1. 처리되어질 동전을 수납하는 상측호퍼수단, 포장될 소정금종의 동전을 한방향으로 도입하고 소정동전 외의 동전을 또 다른 방향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동전의 금종을 판별하는 판별수단, 동전을 축적하기위하여 상기 소정금종의 동전을 수납하는 축적수단, 동전스택의 형태로 상기 소정금종의 동전을 포장하기 위해 상기 축적수단밑에 제공된 포장수단, 상기 소정금종의 동전외의 동전을 판별수단으로 부터 임시로 홀드시키기위해 상기 기계에 제거가능하도록 장착된 홀딩수단, 홀딩수단으로부터, 동전을 수납하고 홀딩수단부터 삽입된 동전을 방출하도록 상기 기계에 제거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홀딩수단의 밑에 위치한 셀렉팅박스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동전과 기계의 외부로 개방된 개방수단을 통하여 도입되는 동전들을 수납하기 위해 기계의 하부에 위치한 하측호퍼수단, 셀렉팅 수단이 그 기계에 부가되고 기계의 외부로부터 열쇠를 이용하여 개방될 수 있는 출구수단이 구비될때 홀딩수단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출구수단이 구비되는 셀렉팅 박스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수납 및 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그 기계가 포장수단에서 포장된 포장동전을 보관하기 위해 보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수납 및 포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그 기계가 하측호퍼수단에 도입된 동전을 하측호퍼수단으로부터 상측호퍼수단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수납 및 포장기.
  4. 제1항에 있어서, 그 기계가 판별수단을 제어하기위해 축적수단으로 도입되는 동전의 금종을 세팅하는 금종세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수납 및 포장기.
  5. 제1항에 있어서, 그 기계가 모든 동전들이 상측호퍼에서 판별수단으로 도입될때마다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에 기초하여 판별수단을 통과하는 동전수의 순서로 금종세팅수단에 의해 세트되는 계산수단으로 도입되는 동전의 금종을 바꾸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수납 및 포장기.
  6. 제1항에 있어서, 하측호퍼 수단은 동전들이 하측호퍼수단을 통하여 기계로 직접 도입될 수 있도록 기계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수납 및 포장기.
  7. 동전의 일정량을 도입하고, 동전의 금종과 진짜를 판정하며, 동전을 계수하고, 삽입된 동전의 양을 조회하고, 소정수 동전의 동전 스태크바아 형태로 동전의 소정금종을 계산하고, 소정금종의 동전의 스태크바아를 포장하고, 포장된 동전 스태크택바아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소정금종의 동전외의 동전을 임시로 보관하고, 상기 소정금종의 동전을 포장한후 상기 소정금종의 동전외의 동전을 포장용으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수납 및 포장방법.
KR1019880008176A 1987-07-02 1988-07-01 동전수납 및 포장기 KR910009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66025 1987-07-02
JP62166025A JPS649591A (en) 1987-07-02 1987-07-02 Coin incoming machine and coin incoming packer
JP62-181430 1987-07-21
JP62181430A JPS6425297A (en) 1987-07-21 1987-07-21 Incoming coin wrapp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99A KR890002799A (ko) 1989-04-11
KR910009117B1 true KR910009117B1 (ko) 1991-10-31

Family

ID=2649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176A KR910009117B1 (ko) 1987-07-02 1988-07-01 동전수납 및 포장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96481A (ko)
KR (1) KR910009117B1 (ko)
DE (1) DE3822327A1 (ko)
SE (1) SE50531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410B2 (ja) * 1988-08-31 1994-10-19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WO1993010027A1 (en) * 1991-11-15 1993-05-27 Vfj Electronics Pty Ltd. Vertical conveyor
JP2761699B2 (ja) * 1993-04-15 1998-06-0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US5573457A (en) * 1995-03-07 1996-11-12 Cummins-Allison Corp. Coin Wrapping system with touch screen device
US5940623A (en) 1997-08-01 1999-08-17 Cummins-Allison Corp. Software loading system for a coin wrapper
JP3563292B2 (ja) * 1999-04-08 2004-09-08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US6499277B1 (en) 2000-02-22 2002-12-31 Cummins-Allison Corp. Coin wrapper
JP3683483B2 (ja) * 2000-08-28 2005-08-17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3558974B2 (ja) * 2000-08-30 2004-08-25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4884911B2 (ja) * 2006-10-06 2012-02-29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包装機
US9003748B2 (en) * 2008-11-06 2015-04-14 Glory Ltd. Coin process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461A (en) * 1909-08-18 1916-01-18 Automatic Coinwrapping Machine Company Automatic coin separating, adding, counting, and bagging machine.
GB1315971A (en) * 1970-04-08 1973-05-09 Johnston Bros Eng Ltd Coin operated telephone apparatus
US4037700A (en) * 1976-06-01 1977-07-26 Heraty Patrick T Coin vault
US4102110A (en) * 1976-09-06 1978-07-25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packaging system
JPS5333792A (en) * 1976-09-08 1978-03-29 Glory Ltd Coij packing apparatus
JPS5592990A (en) * 1979-01-08 1980-07-14 Laurel Bank Machine Co Selected coin bring out device in coin select counter
JPS5688380A (en) * 1979-12-21 1981-07-17 Canon Inc Amorphous hydrogenated silicon photoconductive layer
JPS5984721A (ja) * 1982-11-02 1984-05-16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計数包装機
JPS60135975A (ja) * 1983-12-24 1985-07-19 Canon Inc トナ−像定着装置
JPH077230B2 (ja) * 1983-12-24 1995-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像定着装置
JPS62208329A (ja) * 1986-02-28 1987-09-12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集積装置
US4897984A (en) * 1987-06-30 1990-02-06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receiving and wrapp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8802446D0 (sv) 1988-06-29
DE3822327C2 (ko) 1991-11-21
KR890002799A (ko) 1989-04-11
US4896481A (en) 1990-01-30
DE3822327A1 (de) 1989-01-12
SE8802446L (sv) 1989-01-03
SE505314C2 (sv) 199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9786A (ja) 硬貨自動入出金機
US4897984A (en) Coin receiving and wrapping apparatus
JPH0682410B2 (ja) 硬貨包装機
KR910009117B1 (ko) 동전수납 및 포장기
US4905841A (en) Money receiving and disbursing machine
JP3683483B2 (ja) 硬貨包装機
JPS6145278B2 (ko)
JPH11288479A (ja) 棒金処理装置および現金処理装置
JP2532485B2 (ja) 硬貨入金包装機
JPH05162711A (ja) 硬貨の選別包装装置
JP2756881B2 (ja) 包装硬貨の分納装置
JPH0585069B2 (ko)
JP2559820B2 (ja) 硬貨入金包装機および硬貨入出金包装機
JPS59174989A (ja) 紙幣取扱装置
JP2702903B2 (ja) 硬貨処理機の硬貨保留機構
JPH0782570B2 (ja) 紙幣処理機
JPH0585068B2 (ko)
JPH0896208A (ja) 紙幣処理装置
JPH0585070B2 (ko)
JPH10241009A (ja) 硬貨処理装置
JP3879962B2 (ja) 硬貨処理装置
JP2559821B2 (ja) 硬貨入出金包装機
JP6776091B2 (ja) 硬貨処理装置
JPH0721439A (ja) 棒金の入出金装置
JP2017156990A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