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200B1 -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8200B1 KR910008200B1 KR1019860001261A KR860001261A KR910008200B1 KR 910008200 B1 KR910008200 B1 KR 910008200B1 KR 1019860001261 A KR1019860001261 A KR 1019860001261A KR 860001261 A KR860001261 A KR 860001261A KR 910008200 B1 KR910008200 B1 KR 9100082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riggers
- outrigger
- pair
- cylinder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6—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lateral swing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트럭기중기 가로방향이동장치의 정면도.
제1b도는 그 요부의 확대도.
제1c도는 슬라이드판의 확대단면도.
제2도, 제3도는 트럭기중기의 주행시, 기중기사용시의 사시도.
제4a, b도는 가로이동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제5도, 제6도는 유압회로의 개략도.
제7도 내지 제13도는 유압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프레임 7, 8 : 아우트리거
10L, 10R : 아우트리거박스 11L, 11R : 아우트리거비임
12L, 12R : 아우트리거비임용 실린더 15, 16 : 슬라이드판.
본 발명은 트럭기중기 가로방향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프레임(車體 Frame)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각종의 이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트럭기중기는 보다 큰 능력이 요구됨에 따라 점차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좁은 공사장등에서의 이동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트럭기중기의 차체프레임의 앞부분 및 뒤부분에 착설된 각 아우트리거박스(Outrigger box)내에 좌우 1쌍의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아우트리거비임(Outrigger beam)을 착설하는 동시에, 각 아우트리거비임의 단부(端部)에 잭(Jack)을 부착하고, 잭을 지상에 뻗쳐서 차체프레임이 지면에서 뜨게한 상태에서, 좌우의 한쪽편의 실린더를 신장, 다른쪽편을 동시에 단축(短縮)시켜서 저좌우의 아우트리거비임을 신장 혹은 단축시키므로서, 차체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일이 고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로방향이동수단에서는, 아우트리거비임의 내단(內端)하부 및 아우트리거박스의 개구단상부는 각각 박스의 내면 및 비임의 외면에 접촉하나, 이 접촉부에는 트럭기중기의 하중에 작용하고 있으므로, 아우트리거박스와 아우트리거비임과의 접동마찰저항이 상당히 커지며, 그 때문에, 가로방향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않을 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강력한 실린더가 필요하게되는 불편이 있다.
상기 불편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아우트리거비임과 아우트리거박스에 로울러(roller)를 착설한 것이 고안되고 있다. 아우트리거비임과 아우트리거박스의 사이에 로울러를 착설하여, 아우트리거비임 이동시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
아우트리거박스와 아우트리거비임의 사이에 로울러를 착설하는 상기 수단에서는, 아우트리거비임 선축시의 마찰력감소는 기할 수 있으나, 기중기의 사용시, 트릭기중기의 하중은, 로울러를 개재해서 아우트비임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되며, 즉, 로울러와 아우트리거비임, 아우트리거박스와의 선접촉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되어, 국부적(局部的)으로 큰하중이 작용하여, 접촉부의 강성확보, 신뢰성 등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 트럭기중기를 가로이동시킬 경우에는, 좌우의 아우트리거비임의 같은쪽의 것을 정확하게 동기(同期)시키는 일이, 아우트리거비임, 아우트리거박스에의 예기치못한 부하의 회피, 또는 손상 등을 피하는 뜻에서 필요하며, 이와 같은 기능이, 아우트리거비임 모두의 동기이동(同期移動), 각자의 이동과는 별도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트럭기중기에 있어서, 아우트리거비임과 아우트리거박스의 접동의 원활을 유지할 수 있고, 그위에 기중기 사용시에 있어서의 하중지면의 확대를 기할 수 있으며, 또 가로이동시에 우측, 좌측의 아우트리거비임을 동기시켜서, 신장, 단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트럭기중기의 차체프레임의 앞부분 및 뒤부분에 각각 착설된 각 아우트리거박스내에 좌우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좌우 1쌍의 아우트리거비임을수납하고, 각 아우트리거비임의 단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다리부재를 부착하고, 좌우의 아우트리거비임에 이들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를 각각 연결하여 각 실린더를 독자적으로 혹은 모두를 동기해서 혹은 좌우측별로 동기해서 작동시키는 액압회로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아우트리거박스와 각 아우트리거비임과의 사이에 저마찰재제의 슬라이드판을 착설해서 이루어진 트럭기중기의 가로 이동장치에 있다.
상기 구성의 트럭기중기 가로 이동장치에서는, 아우트리거비임과 아우트리거박스와의 사이에 마찰계수가 작은 슬라이드판을 착설해서, 양자가 이 슬라이드판을 개재해서 슬라이드하도록 하였으므로, 아우트리거비임신축시의 마찰저항은 작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중기사용시의 트럭기중기의 하중은 슬라이드판에 의해 면으로 받아지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액압회로에 의해 전후의 좌측, 우측의 아우트리거비임 작동용 실린더가 동기하도록 하였으므로, 아우트리거비임의 신축동작이 원활하게 되어, 아우트리거비임, 아우트리거박스에 예측할 수 없는 힘이 가해지거나 하는 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의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a도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트럭기중기 가로이동장치의 트럭크레인 배면에서 본 모양을 표시하며, 제1b도에는 그 요부의 확대를 표시하고, 제1c도에는 그 슬라이드판의 확대 단면을 표시하고, 제2, 3도에는 트럭기중기의 주행시, 기중시 사용시의 상태를 표시하고, 제4a, b도에는 가로이동 상태를 표시하고, 제5, 6도에는 유압회로의 개략도를 표시하고, 제7도 내지 제13도에는 유압회로예를 표시하고 있다.
제2, 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트럭기중기는, 대형트럭의 차체프레임(1)에 기중기(2)를 탑재해서 이루어진다. (3)은 차량의 운전실, (4)는 차체프레임(1)상에 설치된 운전실, (5)는 차량의 전륜, (6)은 차량의 후륜이다.
차량의 앞부분(전륜(5)의 바로뒤쪽) 및 뒤부분(후륜(6)의 바로 뒤쪽)에는 각각 차체전방쪽 아우트리거(7)와 차체후방쪽 아우트리거(8)가 장착되어 있다.
차체전후방의 아우트리거(7),(8)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한쪽편의 아우트리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차체프레임(1) 및 그것과 일체인 아우트리거스테이(outrigger stay)(9)에는 단면이 구형(矩形)이고 통형상의 아우트리거박스(10R),(10L)가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전후에 2개 부착되어 있다. 우측용의 아우트리거박스(10R)는 우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좌측용의 아우트리거박스(10L)는 좌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이들 아우트리거박스(10R),(10L)내에는 각각 아우트리거비임(11R),(11L)이 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각 아우트리거비임(11R),(11L)과 아우트리거박스(10R),(10L)는 유압실린더(12R),(12L)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12R),(12L)의 신축작동에 의해, 아우트리거비임(11R),(11L)은 아우트리거박스(10R),(10L)에 대해 출입되게 된다. 각 아우트리거비임(11R),(11L)의 외단부에는 다리부재로서, 수직실린더(13R),(13L)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수직실린더(13R),(13L)의 가동부 하단에는 지면에 접지되는 다리부(14R),(14L)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아우트리거비임(11R),(11L)의 안쪽하부와 아우트리거박스(10R),(10L)의 개구단 상부에는 마찰계수가 극히 작은 저마찰재제의 슬라이드판(15),(16)이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판(15)의 아우트리거비임(11R),(11L)에의 부착, 슬라이드판(16)의 아우트리거박스(10R),(10L)에의 부착은, 용접 혹은 보울드 죄임 등에 의해서 행해진다. 슬라이드판(15),(16)의 재료인 저마찰재로서는, 예를들면 제1c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오릴리스재료(oilless材料)가 사용된다. 이것은 기판인 백메탈(back metal) (17)상에 용착층(溶着層) (18)을 개재해서 소결윤활층(燒結潤滑層) (19)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표면의 마찰계수는 0.08-0.20정도이며, 강재의 마찰계수 0.47에 비해서 대단히 작으며, 또 그 표면은 소결재이므로, 고경도(高敬度)로 되어 있다.
이 트럭기중기에 있어서, 가로이동시킬 경우에는, 앞부분 및 뒤부분의 좌단과 우단의 아우트리거비임용의 실린더를 동시에 작동시킬 필요가 있으나, 그유압 회로의 예로서는, 좌우한쪽편의 유압실린더의 단축쪽(短縮側)으로 유압을 공급하면, 그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복귀되므로서 배출되는 압유(壓油)가 다른쪽편의 실린더의 신장쪽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 혹은 그 반대의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제5도에 표시한 개략유압회로는 전자의 것을 표시한다. 즉, 예를 들면, 전후의 좌측의 실린더(12FL),(12RL)의 단측쪽으로 압유를 공급하면, 신장쪽의 압유는 배출되어, 전후우측의 실린더(12FR),(12RR)의 신장쪽으로 공급되며, 좌측의 실린더(12FL),(12RL)의 단축과 우측의 실린더(12FR),(12RR)의 신장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6도에 표시한 것은, 상기한 것과는 반대로, 예를 들면 전후 좌유측의 실린더(12FR),(12RR)의 신장쪽으로 압유를 공급하면, 그 단축쪽의 압유가 배출되어서 전후좌축의 실린더(12FL),(12RL)을 이르며, 결국 우측이 실린더(12FL),(12RR)의 신장과 좌측의 실린더(12FL),(12RL)의 단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5, 6도중, (20)은 오일탱크, (21)은 펌프이다.
다음에, 상기 트럭기중기의 가로 이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트럭기중기의 가로 이동이 필요한 경우로서는, 트럭기중기의 차량이 선회해서 진입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장소에의 진입, 퇴출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제4a, b도에는 가로 이동 상태를 표시하며, 동도(a)는 좌측의 전후의 아우트리거비임(11L)이 신장하고, 우측의 아우트리거비임(11R)이 단축해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각 비임의 단부의 수직실린더(13R),(13L)는 신장되어서 지상에 뻗치게 하여, 차량은 지면으로부터 떠있는 상태에 있다.
이상태에서, 좌측의 실린더(12FL),(12RL)(제5, 6도 참조)를 단축 작동시키는 동시에, 우측의 실린더(12FR),(12RR)를 신장키면, 좌측의 아우트리거비임(11L)이 아우트리거박스(10L)에 납입 동작하는 동시에, 우측의 아우트리거비임(11R)이 아우트리거박스(10R)로부터 뻗어 나오는 동작을 하여, 아우트리거비임(11R),(11L)의 단부가 각각 지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해서, 결국, 제4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박스(10R),(10L)와 함께 차체프레임(1) 즉 차량전체가 왼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도면중 L1, L2는 트럭기중기의 차체중심선과 유측의 아우트리거비임(11R)선단과의 거리를 표시하며, 그차 L2-L1가 트럭기중기의 이동량이다.
상기 가로이동량은 아우트리거박스(10R),(10L)에 차량의 중량이 걸린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제1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비임(11R),(11L)의 안쪽 하부와 아우트리거박스(10R),(10L)의 내저면, 아우트리거박스(10R),(10L)의 개구부상부와 아우트리거 비임(11R),(11L)의 상면이 서로 스치게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비임(11R),(11L)의 내단하부, 아우트리거박스(10R),(10L)의 개구부상에는 저마찰재제의 슬라이드판(15),(16)이 착설되어 있으므로, 아우트리거비임(11R),(11L)과 아우트리거박스(10R),(10L)와의 접동은 매우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아우트리거비임(11L),(11R)를 신장시켜, 수직실린더(13L),(13R)를 뻗침 기중기작업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하중은 슬라이드판(15),(16)의 면에서 받게 되므로, 국부하중의 걸리는 일이 없어지고, 지지시의 강도적 신뢰성이 향상되어, 별도 보강수단 등을 착설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7도 내지 제13도에 표시한 유압회로중 제7도 내지 제10도에 표시한 것은, 제5도에 표시한 형식의 것이며, 제11도 내지 제13도에 표시한 것은 제6도에 표시한 형식의 것이다.
제7도에 표시한 유압회로에 있어서, 동도(a)는 중립상태를 표시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20),(21)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탱크 및 펌프이며, 또, (12FL),(12FR)은 앞부분의 좌우의 아우트리거 비임용 실린더(12RL),(12RR)은 뒤쪽의 좌우의 아우트리거 비임용 실린더, (13FL),(13FR)은 앞쪽의 수직실린더, (13RL),(13RR)은 뒤쪽의 수직실린더이며, (22)는 아우트리거제어벨브로서 절환밸브(22a),(22b),(22c),(22d) 및 (22e)로 이루어지며, (23)은 좌우이동방향 절환밸브, (24)는 이동방식(통상이동, 가로이동) 절환밸브이다.
상기 유압회로에 있어서, 모든 아우트리거비임용 실린더를 신장작동시킬 경우에는, 제7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밸브(22)의 절환밸브(22a)-(22d)는 ①의 위치로 되고, 절환밸브(22e)는 ②의 위치로 되고, 좌우이동방향절환밸브(23)는의 위치 그대로, 이동방식 절환밸브(24)는의 위치 그대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 실린더(12)의 신장쪽으로 압유가 공급되어, 각 실린더는 신장된다.
상기 상태에서, 제어밸브(22)에서는 절환밸브(22a)-(22d)를 ②의 위치로 하면, 각 수직실린더(13)의 신장쪽으로 압유가 공급되어, 수직실린더(13)는 지상에 뻗치게 된다. 또, 절환밸브(22e)를 ①의 위치로 하면, 수직실린더(13)의 단축쪽으로 압유가 공급되어, 수직실린더(13)는 단축된다.
제어밸브(22)에서의 모든 아우트리거비임용실린더(12)신장의 상태(제7b도에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 절환밸브(22e)를 제7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①의 위치로 하면, 모든 실린더(12)의 단축쪽으로 압유가 공급되어, 모든 아우트리거비임(11)은 아우트리거박스(10)에 격납된다.
제7d도에 표시한 상태에서는, 아우트리거박스(10)와 함께 차량프레임(10)을 오른쪽으로 이동할려면 제7e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밸브(22)에서의 절환밸브(22a)-(22d)를의 위치로 하는 동시에, 절환밸브(22e)를 ①의 위치로 하고, 또, 절환밸브(23)를 ②의 위치, 절환밸브(24)를 ①의 위치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를 절환해서 제어하면, 우측앞뒤의 실린더(12FR),(12RR)의 단축쪽으로 압유가 공급되며, 실린더(12FR),(12RR)의 신장쪽의 압유가 좌측앞뒤의 실린더(12FL),(12RL)의 신장쪽으로 교차해서 들어가며, 따라서, 우측의 실린더(12FR),(12RR)는 단축되며, 좌측의 실린더(12FL),(12RL)는 되고, 따라서 아우트리거박스(10)와 함께 차체프레임(1)은 우측으로 이동된다.
제7f도에 표시한 상태에서, 차체프레임(1)을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7g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7e도에 표시한 상태에서, 절환밸브(23)를 ①의 위치로 하면 된다.
제8도는 동형식의 다른 유압회로이며, 이동방식절환밸브(24)를 연동하는 2개의 절환밸브(24a),(24b)로 분할한 것으로서, 그 작용은 제7도에 표시한 것과 동일하다.
제9도에 표시한 것은, 좌우이동방향 절환밸브(23)를 연동하는 2개의밸브(23a)와 (23b)로 분할한 것이며, 또 제10도에 표시한 것은, 절환밸브(23),(24)를 연동하는 절환밸브(23a),(23b),(24a),(24b)로 한 것이며, 이들 유압회로의 작용은 제7도에 표시한 것과 동일하다.
제11도-13도에 각각 표시한 것은, 제6도에 표시한 형식, 즉, 앞뒤우측 혹은 좌측의 한쪽편의 신장쪽으로 압유를 공급하여, 배출된 압유를 다른쪽편의 단축쪽으로 인도하도록 한 것으로서, (25)가 좌우 이동방향 절환밸브, (26a)와 (26b),(26c)와 (26d)는 연동식의 (26)은 단독의 이동방식절환밸브이다.
또한, 밸브조작은 운전실등으로부터 조작된다.
본 발명에 관한 트럭기중기 가로 이동장치에 의하면, 아우트리거박스와 아우트리거비임과의 서로 접하는 부분에 저마찰재제의 슬라이드판을 착설하였으므로, 아우트리거비임의 이동이 종래의 로울러를 사용한 것에 근사해서 원활하게 되고, 또한 하중은 슬라이드판의 면을 개재해서 받게 되므로서, 강도상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종래의 것처럼 강성상(剛性上)의 배려를 하지않아도 되게 된다. 또, 아우트리거비임용 실린더의 앞뒤좌측, 우측의 것이 동기하도록 하였으므로, 아우트리거비임의 이동이 안정되어, 아우트리거비임이나 아우트리거박스에 예기치않는 힘이 걸리는 일이 없어진다.
Claims (8)
- 차폭방향으로 뻗어 있고 서로 근접해서 차체프레임(1)에 고정된 2개의 아우트리거박스(10R,10L)와, 동아우트리거박스(10R,10L)의 한쪽에는 차폭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내삽됨과 동시에, 차폭방향의 한편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단부에 잭장치(13R,13L)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아우트리거박스(10R,10L)의 다른쪽에는 차폭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내삽됨과 동시에 차폭방향의 다른편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단부에 잭장치(13R,13L)를 가진 2개의 아우트리거비임(11R,11L)과, 동 2개의 아우트리거비임(11R,11L)을 각각 이동시키는 2개의 실린더장치(12R,12L)로 이루어지는 1쌍의 아우트리거(7,8)를 구비한 차량기중기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박스(10R,10L)와 상기 아우트리거비임(11R,11L)과의 사이에 저마찰제제의 슬라이드판(15,16)을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15,16)은 저마찰재와, 동저마찰재의 유지 및 보강을 겸한 기판(17)과, 상기 저마찰재를 상기 기판(17)에 결합하는 용착재(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15,16)의 저마찰재가 오일레스메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아우트리거(7,8)를 자체앞뒤방향으로 간격을 두게해서 복수개이상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아우트리거(7,8)를 차량최후부의 차륜측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차체프레임(1)과 차량 최전방부에 위치하는 차륜측과 상기 최후방부의 차륜축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차체프레임(1)에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사기 아우트리거(7,8)의 상기 실린더장치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를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1쌍의 아우트리거(7,8)에서의 차폭방향의 한쪽편에서 신축하는 각각 한쪽의 상기 실린더장치에 대해서 같은 한쪽의 실린더장치를 신장시키는 실(室)에 압유를 공급했을 때, 상기 차체전방쪽 1쌍의 아우트리거(7)의 상기 한쪽의 실린더장치를 단축시키는 실의 압유는 상기 차체후방쪽 1쌍의 아우트리거(8)에서의 차폭방향의 다른쪽 편에서 신축하는 다른쪽의 실린더장치를 단축시키는 실로 압송되고, 상기 차체후방쪽 1쌍의 아우트리거(8)의 상기 한쪽의 실린더 장치를 단축시키는 실의 압유는 상기 차체전방쪽 1쌍의 아우트리거(7)에서의 차폭방향의 다른쪽편에서 신축하는 다른쪽의 실린더 장치를 단축시키는 실로 압송되 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1쌍의 아우트리거(7,8)에서의 차폭방향의 한쪽편에서 신축하는 각각 한쪽의 상기 실린더장치에 대해서 같은 한쪽의 실린더장치를 단축시키는 실로압유를 공급했을 때, 상기 차체전방쪽 1쌍의 아우트리거(7)의 상기 한쪽의 실린더장치를 신장시키는 실의 압유는 상기 차체후방쪽 1쌍의 아우트리거(8)에서의 차폭방향의 다른쪽면에서 신축하는 다른쪽의 실린더장치를 신장시키는 실로 압송되고, 상기 차체후방쪽 1쌍의 아우트리거(8)의 상기 한쪽의 실린더장치를 신장시키는 실의 압유는 상기 차체전방쪽 1쌍의 아우트리거(7)에서의 차폭방향의 다른쪽편에서 신축하는 다른쪽의 실린더장치를 신장시키는 실로 압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0-34004 | 1985-02-22 | ||
JP60034004A JPS61197392A (ja) | 1985-02-22 | 1985-02-22 | トラツククレ−ンの横方向移動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6368A KR860006368A (ko) | 1986-09-09 |
KR910008200B1 true KR910008200B1 (ko) | 1991-10-11 |
Family
ID=1240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1261A KR910008200B1 (ko) | 1985-02-22 | 1986-02-22 |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S61197392A (ko) |
KR (1) | KR910008200B1 (ko) |
CN (1) | CN100583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29385U (ko) * | 1989-03-31 | 1990-10-25 | ||
CN101683843B (zh) * | 2008-09-28 | 2012-05-02 |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 轮式工程机械底盘的支腿操作控制装置 |
CN202279642U (zh) * | 2011-05-25 | 2012-06-20 | 三一汽车起重机械有限公司 | 一种汽车起重机及底座结构 |
CN102582590B (zh) * | 2012-01-29 | 2014-12-10 |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 支撑系统及具有该支撑系统的工程机械 |
CN103101845A (zh) * | 2012-12-10 | 2013-05-15 | 辽宁鑫丰矿电设备制造有限公司 | 一种井下变轨液压吊车 |
CN106379852A (zh) * | 2016-10-08 | 2017-02-08 | 苏州威尔特铝合金升降机械有限公司 | 桅柱式高空作业平台支腿机电连锁机构 |
CN109533025B (zh) * | 2018-11-27 | 2024-02-02 |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整体式车架及消防车 |
CN109353946B (zh) * | 2018-11-30 | 2020-04-21 |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 多层拉紧系统及起重机 |
CN114987409A (zh) * | 2022-05-31 | 2022-09-02 |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 支腿装置、公铁两用车辆及其位置调整方法 |
CN115010018A (zh) * | 2022-05-31 | 2022-09-06 |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 起重机以及起重机移位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517012Y1 (ko) * | 1967-03-22 | 1970-07-13 | ||
JPS5974161U (ja) * | 1982-11-10 | 1984-05-19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トラツククレ−ンの横方向移動装置 |
-
1985
- 1985-02-22 JP JP60034004A patent/JPS61197392A/ja active Granted
-
1986
- 1986-02-20 CN CN86101757.9A patent/CN1005838B/zh not_active Expired
- 1986-02-22 KR KR1019860001261A patent/KR9100082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1197392A (ja) | 1986-09-01 |
CN86101757A (zh) | 1986-09-17 |
KR860006368A (ko) | 1986-09-09 |
JPH0371355B2 (ko) | 1991-11-12 |
CN1005838B (zh) | 1989-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8200B1 (ko) |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 |
JP3237377B2 (ja) | フォーク移動装置 | |
KR200414485Y1 (ko) | 크레인 차량 | |
KR100749520B1 (ko) | 크레인 차량 | |
JPH08333776A (ja) | カウンタウエイトの着脱装置 | |
RU2306389C2 (ru) | Фронтальный погрузчик с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м гидроприводом погрузоч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 |
JP3271036B2 (ja) | クレーン車の転倒防止装置 | |
JPH0717357B2 (ja) | フォークリフト | |
JP3457769B2 (ja) | アウトリガ装置 | |
JP3477491B2 (ja) | デッキ昇降用油圧装置 | |
JPS58195639A (ja) | 建設機械の運転室昇降装置 | |
JP2528067Y2 (ja) | 車台傾斜式車両 | |
JPH0125098Y2 (ko) | ||
JP3699385B2 (ja) | 作業機械のクイックカプラ装置 | |
JP2002120778A (ja) | クローラ式走行体 | |
KR910007882Y1 (ko) | 화물 차량의 적재함 설치 구조 | |
SU1682483A1 (ru) | Одноковшовый погрузчик | |
KR20020050637A (ko) | 측면 하적이 가능한 덤프트럭의 하적 장치 | |
KR100514895B1 (ko) | 슬래그 포트 캐리어 | |
JP2000170709A (ja) | 油圧作業機の制御弁装置 | |
JP3380174B2 (ja) | サイドフォーク式搬送用車両 | |
JPH08282560A (ja) | 履帯張り調整装置 | |
SU1588592A1 (ru) |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самопогрузчик | |
KR900004110Y1 (ko) |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 |
JPH07257445A (ja) | 建設機械の安定性向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