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110Y1 -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110Y1
KR900004110Y1 KR2019890005744U KR890005744U KR900004110Y1 KR 900004110 Y1 KR900004110 Y1 KR 900004110Y1 KR 2019890005744 U KR2019890005744 U KR 2019890005744U KR 890005744 U KR890005744 U KR 890005744U KR 900004110 Y1 KR900004110 Y1 KR 900004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beams
vehicle
roll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5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쯔아끼 햐야시다
히로시 우에마쯔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세끼 마사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40002441A external-priority patent/KR850007954A/ko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세끼 마사하루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90005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횡방향 이동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차량 크레인의 개략적인 배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3a도는 좌측 아우트리거 비임을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제3b도는 우측 아우트리거 비임을 신장시켜 차량크레인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제4도는 상기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아우트리거 비임을 다른 위치에서 도시한 제4도와 같은 요부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차량 크레인의 개략적인 배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유압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방부 아우트리거 3 : 차체 프레임
4 : 아우트리거 박스 5,6 : 아우트리거 비임
7 : 아우트리거 돌출 실린더 10,13 : 브라켓
11,14 : 롤러 15,16 : 롤러 지지체
19,22 : 아암 21,24 : 유압실린더
본 고안은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 크레인은 대형화 추세와 함께 좁은 공사현상에서의 이동에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차량 크레인의 차체 프레임에 설치된 아우트리거 박스내에 신축가능하게 내장된 좌우 한쌍의 아우트리거 비임을 한쌍의 아우트리거 돌출 실린더를 동시에 신장 및 수축 작동시키는데 의해 한쪽을 신장시킴과 동시에 다른쪽을 수축시켜 차량 크레인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횡방향 이동시에 아우트리거 비임의 내단하부 및 아우트리거 박스내의 개구단 상부는 각각 박스의 내면 및 비임의 외면에 접촉하고 이 접촉부에는 차량 크레인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아우트리거 박스의 아우트리거 비임의 접동 마찰저항이 상당히 크게 되기 때문에 횡방향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고, 또 대형이나 강력한 아우트리거 돌출 실린더가 필요해지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불합리점을 해소하고 좁은 장소에서 차량 크레인이 횡방향 이동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아우트리거 비임과 아우트리거 박스에 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아우트리거 비임과 아우트리거 박스의 접동 마찰저항이 대폭 감소되고, 횡방향 이동이 원활하게 됨과 동시에 아우트리거 돌출 실린더를 소형화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 크레인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도에 있어서, (1)은 후륜(2)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부 아우트리거이고, 차체 프레임(3)에 부착된 아우트리거 박스(4), 상기 박스(4)내에 신축가능하게 내장된 좌우 한쌍의 아우트리거 비임(5,6) 및 이 비임을 신축시키도록 신축작동 하는 한쌍의 아우트리거 돌출 실린더(제1도에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음)로 이루어진다. 비임(5,6)의 외단에는 재키(89)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좌측의 아우트리거 비임(5)의 내단하부에는, 브라켓(10)을 거쳐 롤러(11)가 지지되고, 아우트리거 박스(4)의 내면을 전동할 수가 있다. 또, 차체 프레임(3) 측면에 연장 설치되어 아우트리거 박스(4)의 개구단 상부에 고착되어 있는 차체측 강도부재인 앵글재(12)에는 브라켓(13)이 부착되어 있고, 이 브라켓에는 상기 개구단 상부에 근접하여 롤러(14)가 지지되고, 하우트리거 비임(5)의 외면을 전동할 수가 있다.
또, 우측의 아우트리거 비임(6)에 관해서도 상기와 같이 복수의 롤러(11,14)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술한 후방부 아우트리거와 동일 구조가 전부 아우트리거가 전륜과 후륜사이에서 차체 프레임(3)에 부착되어 있다.
제3a도 및 (b)는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이동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3a도는 좌측의 아우트리거 비임(5)이 신장하고, 우측의 아우트리거 비임(6)이 수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태로 부터, 비임(6)이 수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로 부터, 비임(6)용의 도시치 않은 실린더를 신장 작동시킴과 동시에 비임(5)용의 실린더(7)를 수축 작동시키는데 의해 비임(6)이 신장하는 한편 비임(5)이 수축하고, 차량 크레인이 제3b도에 도시한 위치로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 도면중 L1, L2는 차량 크레인의 차체 중심선과 우측의 아우트리거 비임(6)선단의 거리를 나타내고 그 차이 L2-L1이 차량 크레인의 이동량이다.
본 고안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시 아우트리거 비임(5,6)은 롤러(11,14)의 전동을 거쳐 아우트리거 박스(4)에 대해 접동하므로 이 비임과 박스의 접동 마찰저항이 대폭 저감되고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짐과 동시에, 소형의 아우트리거 돌출 실린더를 사용하여 횡방향 이동을 행할수 있어, 아우트리거의 중량 경감 및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는 상기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4도에 있어서, 아우트리거 박스(4)의 내면과 아우트리거 비임(5)의 최대 신장위치에 있어서, 롤러(11,14)와 대향하는 위치에 롤러 지지체(15,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롤러 지지체(15,16)는 강도가 큰 재료로 만들어져 있어 각 롤러(11,14)의 곡률과 일치하는 면(17) 및 롤러상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1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롤러 지지체의 면(17)에 의해 롤러(11,14)와 아우트리거 박스(4) 및 아우트리거 비임(5,6)간의 접촉면의 면적이 증대되므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임(5,6)이 최대한으로 신장되는 크레인 작업시에 하중이 작용하는 상기 접촉면의 면압력을 저하시킬 수가 있고, 롤러로서 보다 소형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경사면(18)이 설치되어 있는데 의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시에는 롤러(11,14)가 롤러 지지체(15,16)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가 있어 횡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제2도 실시예를 롤러(11,14)를 아우트리거 박스(4) 및 아우트리거 비임(5,6)에 항상 접촉시키는 대신 아우트리거 비임의 신축 조작시에만 접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7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1)는 실제적으로 V자형의 아암(19)의 일단에 저지되고, 아암(19)의 중앙부는 플랜지(10)의 하부에 추축(20)을 거쳐 장착되며, 아암 타단과 플랜지의 상부 사이에 유압실린더(21)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동일하게, 롤러(14)는 실질적으로 V자형으로 아암(22)의 일단에 지지되고, 아암(22)의 중앙부는 플랜지(13)의 하부에 추축(23)을 거쳐 장착되고, 아암의 타단과 플랜지의 상부 사이에 유압실린더(2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아우트리거 비임(6) 및 전부 아우트리거에 관해서도 상기와 동일 구조의 롤러, 아암 및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각 유압실린더(21,24)는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시등 아우트리거 비임(5,6)을 신축시킬때 예를들면, 아우트리거 돌출 실린더(7)에 유압을 배급하는 유압 회로로 부터 유압이 공급되고 제7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신장하며, 롤러(11,14)를 아우트리거 박스(4) 및 아우트리거 비임(5,6)에 접촉시켜 박스에 대한 비임의 접동을 원활하게 행할수 있게 한다. 한편, 크레인 작업시에는 유압실린더(21,24)는 유압이 배출되어 수축하고, 롤러(11,14)를 아우트리거 박스(4) 및 아우트리거 비임(5,6)으로 부터 이간시키므로 비임의 내단하부 및 박스의 개구단 상부가 각각 박스의 내면 및 비임의 외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되고, 이들 접촉면의 면적이 더욱 증대하여 면압력을 내릴 수가 있다.
제8도에는 전부 및 후방부 아우트리거의 아우트리거 돌출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 회로가 도시되어 있고, (7)은 좌측 후방용 실린더, (7')는 우측 후방용 실린더, (7")는 좌측 전방용 실린더, (7'")는 우측 전방용 실린더, (25)는 탱크, (26)은 펌프, (27)내지 (27'") 각각 실린더(7)내지(7'")로의 유압 배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의 제어밸브이고, 각 제어밸브는 신장위치 A, 중심위치 B, 수축위치 C 및 부동위치 D를 가지고 있다. 이 부동위치 D에서는 각 실린더의 양측의 실에 유압이 자유로이 배급된다.
상기 유압회로는 제8도에서는 전방부 및 후방부 아우트리거가 제3b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차량 크레인을 제3a도에 도시한 위치로 횡방향 이동시키는데는 제어밸브(27,27'")를 부동위치 D로 함과 동시에 제어밸브(27,27'")를 신장위치 A로 하면 좋다.
각 제어밸브에 부동위치 D를 구비한 것에 의해, 횡방향 이동시 제어밸브의 일부를 신장위치 A로, 또 타부를 수축위치 C로 하는 경우에는 이 조작을 정확히 동기로 행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제어밸브의 절환조작을 반드시 동기시키지 않아도 좋아, 조작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차폭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차체프레임(3)에 배치 설계된 아우트리거 박스(4)내를 상기 차폭방향으로 신축함과 동시에 서로 근접하여 설치된 한쌍의 아우트리거 비임(5,6)을 가지는 후방부 아우트리거(1)를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하고 상기 아우트리거 비임(5,6)의 차폭방향 외측 단부에 차체를 들어올리는 재키(8,9)를 설치한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 비임(5,6)을 상기 차폭방향으로 신축 작동시키는 한쌍의 돌출 실린더(7)를 상기 아우트리거 박스(4)의 내측 하부면에 맞닿는 롤러(11)를 아우트리거 비임(5,6)의 차폭방향 내측 단부에 설치하며 또 상기 아우트리거 비임(5,6)의 상면에 맞닿는 롤러(4)를 아우트리거 박스(4)의 차폭방향 외측상단부 근방의 차체측 앵글재에 설치하고, 상기 한쌍의 아우트리거 비임(5,6)의 한쪽을 신장하고 다른쪽을 수축한 상태에서 상기 재키(8,9)에 의해 들어올린 차체를 상기 한쌍의 돌출 실린더(7)를 동시에 신장 및 수축함으로써 차폭방향으로 이동시킬때 상기 아우트리거 비임(5,6)이 상기 롤러(11) 및 상기 롤러(14)를 거쳐서 아우트리거 박스(4)내를 신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크레인 횡방향 이동장치.
KR2019890005744U 1984-05-04 1989-05-02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KR900004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744U KR900004110Y1 (ko) 1984-05-04 1989-05-02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441A KR850007954A (ko) 1984-05-04 1984-05-04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KR2019890005744U KR900004110Y1 (ko) 1984-05-04 1989-05-02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441A Division KR850007954A (ko) 1984-05-04 1984-05-04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110Y1 true KR900004110Y1 (ko) 1990-05-10

Family

ID=2662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5744U KR900004110Y1 (ko) 1984-05-04 1989-05-02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1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60B1 (ko) * 2016-12-23 2018-07-06 주식회사 에버다임 아우트리거용 롤러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60B1 (ko) * 2016-12-23 2018-07-06 주식회사 에버다임 아우트리거용 롤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013A (ko)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장치의 간격조정장치
KR920007914A (ko) 승강장치
US4416344A (en) Outriggered vehicle capable of crabwise translation
US3628771A (en) Scissors-type lifting linkage elevator
KR900004110Y1 (ko) 차량 크레인의 횡방향 이동장치
US3662907A (en) Device for actuating a swingable boom
JPH01137024A (ja) 地均し車
EP0181399B1 (en) Apparatus for moving crane vehicle laterally
EP0205265B1 (en) Vehicle for aerial working
GB2158041A (en) Luffing mechanism for jib-type cranes, particularly cranes with a telescopic jib
JPH0125098Y2 (ko)
JPH0247085Y2 (ko)
KR0138442B1 (ko) 신축부움을 갖춘 산업용지게차
KR200184153Y1 (ko) 텔레스코픽 붐의 패드 조립체
JP3688387B2 (ja) 高所作業車
JPS5934638B2 (ja) クレ−ン
US4046423A (en) Lifting members for truck bodies and similar units
KR100379236B1 (ko) 크레인의 아우트리거장치
JP2727290B2 (ja) 作業車輛のコントロール装置
KR900004986B1 (ko) 승강장치
JP3958607B2 (ja) 作業装置
JPH07100311B2 (ja) 作業車両
KR100779220B1 (ko) 지게차용 보조 캐리지 장치
JPH0642272Y2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操作装置
JP2508070Y2 (ja) ジブ付ブ―ムにおけるジブ起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