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485Y1 - 크레인 차량 - Google Patents

크레인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485Y1
KR200414485Y1 KR2020060001302U KR20060001302U KR200414485Y1 KR 200414485 Y1 KR200414485 Y1 KR 200414485Y1 KR 2020060001302 U KR2020060001302 U KR 2020060001302U KR 20060001302 U KR20060001302 U KR 20060001302U KR 200414485 Y1 KR200414485 Y1 KR 200414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vehicle
fixed
crane
cylind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김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성 filed Critical 김유성
Priority to KR2020060001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4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6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 B66C2700/062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 B66C2700/065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with a slewable ji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석이 위치한 탑부분을 상하로 승강시켜 차체가 사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운전석 뒤쪽에 설치된 크레인의 좌우회전반경 범위를 넓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차량의 탑과 화물칸 사이에 설치된 메인프레임 상부에 보강프레임을 형성하여 차체가 사선방향으로 작동시 크레인의 하중에 의해 메인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탑과 앞범퍼 사이에 2개의 사각프레임과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된 좌우측의 브라켓트 내측에 작동부재와 지지부재가 각각 힌지축으로 고정되면서 지지부재의 제2실린더의 일단이 작동부재의 실린더 로드와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작동부재의 실린더 로드가 전진하면서 지지부재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면 상기 지지부재의 실린더 로드가 하측으로 작동하면서 로드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판이 지면과 밀착되면서 탑이 승강 작동하게된다. 이때 차량이 사선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프레임, 작동부재, 작동레버, 지지부재

Description

크레인 차량{Crane vehicle}
도 1은 종래의 크레인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크레인 차량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부재와 지지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부재와 지지부재의 내측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작동부재와 지지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작업상태를 보여주는 차량의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작업상태를 보여주는 차량의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레인 차량 2 : 탑
10 : 고정프레임(10)(100) 11 : 사각프레임(11)(110)
12 : 고정판(12)(120) 20 : 작동부재(20)(200)
21 : 브라켓트(21)(210) 22 : 제1실린더(22)
23 : 실린더 로드(23)(230) 24 : 연결판(24)(240)
25 : 제1호스(25) 26 : 제2호스(26)
27 : 연결관 30 : 지지부재(30)(300)
31 : 브라켓트(31)(310) 32 : 제2실린더(32)
33 : 실린더 로드(33)(330) 34 : 지지판(34)(340)
35 : 고정축(35)(350) 36 : 제3호스(36)
37 : 제4호스(37) 40 : 작동레버(40)
41 : 제1레버(41) 42 : 제2레버(42)
50 : 보강프레임(50)(500)
400 : 작동스위치
본 고안은 차량에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석이 위치한 탑부분을 상하로 승강시켜 차체가 사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운전석 뒤쪽에 설치된 크레인의 좌우회전반경 범위를 넓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차량의 탑과 화물칸 사이에 설치된 메인프레임 상부에 보강 프레임을 형성하여 차체가 사선방향으로 작동시 크레인의 하중에 의해 메인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화물을 상하/좌우/전후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사용목적과 형식 및 운동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이들 중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크레인차량이 있는바, 이 크레인 차량은 고속으로 주행하여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제한된 범위의 작업에 구애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운전석이 위치한 탑부분의 뒤쪽과 화물칸 사이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화물을 들어올려서 이동시키는 붐시스템과 차체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아우트리거 시스템 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운전석 후미에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유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때 차량이 가장 잘 버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크레인이 차량의 운전석 뒤쪽과 화물칸 사이에 위치된 구조에서 자칫 허용된 하중보다 높은 하중을 붐으로 들어올릴 경우 운전석이 위치한 탑부분과 크레인이 위치한 사이에 하중에 의해 차체의 메인프레임이 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붐시스템의 회전이 차량의 운전석 지붕에 영향을 받는 불편함과 붐시스템의 경우 좌우 회전이 일정각도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을 이동시킨 다음 다시 붐을 좌우로 이동시켜 작업을 수행해야되기 때문에 크레인의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탑을 승강작동시켜 차체가 사선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작동부재와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크레인의 전방에 형성된 붐의 좌우 회전반경 범위를 넓게 작동시켜 화물의 운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체가 사선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질 경우 탑 뒤쪽에 과도한 하중이 발생하면서 메인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크레인이 위치한 곳에서 탑 전방까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양측의 메인프레임 상부에 보강프레임을 설치한 크레인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붐시스템이 무거운 하중의 물건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탑의 수직높이와 전방의 아우트리거의 높이를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탑을 승강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지지부재에 제1,2솔레노이드 실린더를 형성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크레인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우트리거시스템과 붐시스템을 갖춘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석이 위치한 탑 전면과 앞범퍼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에 브라켓트가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 내측에 제1실린더의 일단이 힌지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전방에 형성된 실린더 로드가 출몰동작하는 작동 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반대편 프레임에 브라켓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 내측에 제2실린더의 일단이 힌지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작동부재의 실린더 로드와 힌지축으로 고정되어 상기 로드의 출몰동작에 따라 제2실린더가 브라켓트에 축지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상기 제2실린더의 전방에는 실린더 로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의 단부에 지지판이 힌지축으로 축지되어 상기 지지판의 바닥면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한 지지부재; 상기 제1,2실린더와 호스로 연결되고, 호스로 인입되는 유압을 단속하여 각각의 실린더 로드를 출몰작동시키는 작동레버;및 상기 차체의 메인프레임 상부에 보강프레임을 설치하여 차량이 사선방향으로 설치시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2는 종래 크레인 차량의 측면도와 정면도로써, 크레인 차량(1)은 운전석이 위치한 탑(2)과, 상기 탑(2)의 후방에 크레인(3)이 설치되는데, 크레인(3)은 물건을 들어올리는 붐(4)과, 차체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아우트리거(5)(5a)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체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유압탱크(미도시)와 연결된 각각의 유압라인이 작동레버(6)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탑(2)의 저면에서 화물칸이 위치한 곳까지 메인프레임(7)이 형성되어 차체를 지지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8은 앞범퍼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크레인 차량(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탑(2)과 앞범퍼(8) 사이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서 브라켓트(21)(31)가 형성되어 힌지축(H)으로 고정된 작동부재(20)와 지지부재(30), 상기 작동부재(20)와 지지부재(30)의 실린더 로드(22)(32)를 유압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레버(40)와, 상기 차체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7)의 상부에 형성된 보강프레임(50)으로 크게 구성된다.
고정프레임(10)은,
차량의 운전석이 위치한 전면 프레임을 일반적으로 탑(2)이라고 한다. 상기 탑(2)의 전면과 앞범퍼(8)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은 2개의 사각프레임(11) 중 한개는 앞범퍼(8)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다른 한 개는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간부(13)를 갖도록 하면서 탑(2) 전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2개의 사각프레임(11)은 양단부가 판체로 이루어진 고정판(12)으로 고정되는데, 이때 양측의 사각프레임(11)과 측면의 고정판(12)에는 후술할 작동부재(20)와 지지부재(30)를 고정시키는 브라켓트(22)(32)가 고정된다.(도 7참조)
작동부재(20)는,
상기 사각프레임(11)에 브라켓트(21)의 저면이 용접되고, 2개의 사각프레임(11)에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트(21) 내측에는 제1실린더(22)의 일단이 힌지축(H)으로 축지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1실린더(22)의 타단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전방에 형성된 실린더 로드(23)가 출몰동작하는데, 여기서 실린더 로드(23)의 단부에 U자 형상의 연결판(24)을 형성하여 후술할 제2실린더(32)의 고정축(35)이 연결판(24) 내부에 끼워져서 힌지축(H)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21) 내측에 삽입되는 제1실린더(22)는 일단이 단차지게 절삭되어 힌지축(H)을 중심으로 선회시 브라켓트(21)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작된다.
한편, 제1실린더(22)의 상부 일측에는 제1,2호스(25)(26)가 밸브로 고정되는데, 상기 제1,2호스(25)(26)는 유압탱크(미도시)와 연결된 여러개의 유압라인이 작동레버(6)와 연결되어 작동레버(6)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유압이 각각의 호스로 유입되는 것과 동일하게 상기 제1,2호스(25)(26)는 후술할 작동레버(40)와 연결되어 제1실린더(22)의 실린더 로드(23)를 유압으로 작동시킨다.
상기 실린더 로드(23)가 전방으로 전진하기 위해서 제1호스(25)는 제1실린더(22) 후방에 연결되어 제1호스(25)로 유압이 유입되면 실린더 로드(23)가 전방으로 전진하고, 전방으로 전진한 실린더 로드(23)가 후방으로 다시 이동하기 위해서 제2호스(26)가 제1호스(25)의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2호스(26)의 일측에는 연결관(27)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27)의 타단은 제1실린더(22)의 전방으로 연장설치되어 유압이 연결관(27)을 따라서 제1실린더(22)의 전방으로 유입되면 실린더 로드(23)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초기상태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지지부재(30)는,
상기 작동부재(20)의 반대편에 형성된 사각프레임(11)과 고정판(12)에 브라 켓트(31)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31) 내측에는 제2실린더(32)의 일단이 힌지축(H)으로 축지되어 회전시 브라켓트(31)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2실린더(32)의 타단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전방에 형성된 실린더 로드(33)가 출몰동작하는데, 상기 실린더 로드(33)의 단부에는 지지판(34)이 힌지축(H)으로 축지되며, 상기 지지판(34)은 실린더 로드(33)가 출몰동작시 지지판(34)의 바닥면이 지면과 밀착되어 탑(2)을 승강작동시켜 차체가 사선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도 8참조)
한편, 제2실린더(32)의 중간 부분에는 고정축(35)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축(35)은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22)가 위치한 곳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실린더(22)의 연결판(24) 내측에 끼움 결합 되면서 힌지축(H)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제1실린더(22)의 실린더 로드(23)가 전방으로 전진하면 상기 지지부재(30)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선회하다가 실린더 로드(23)의 작동이 멈추면서 상기 제2실린더(32)는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실린더(32)가 수직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후술할 작동레버(40)를 작동하면 실린더 로드(33)가 작동하면 하측으로 실린더 로드(33)가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실린더 로드(33)와 힌지축(H)으로 연결된 지지판(34)이 지면과 밀착되면서 탑(2)이 상부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후방의 아우트리거가 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체적으로 사선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다.
그리고, 크레인(3)의 작업이 완료된 다음 제1실린더(22)의 실린더 로드(23)가 후진하면 제2실린더(32)가 힌지축(H)을 중심으로 제1실린더(22) 쪽으로 당겨지 면서 상호 접히는데, 이때 접힌 상태를 외부에서 보았을 경우 사각프레임(11)의 공간부(13)에 제1실린더(22)와 제2실린더(32)가 접혀져서 외부에서는 상기 지지판(34)의 일부만이 보이게 된다.(도 5참조)
상기 제2실린더(32)의 실린더 로드(33)가 출몰동작하기 위해서는 작동레버(40)의 제2레버(42)와 연결된 제3호스(36)가 제2실린더(32)의 후방에 밸브로 고정되고, 상기 제3호스(36)로 유압이 유입되면 실린더 로드(33)가 전진하게 되며, 상기 제2레버(42)와 연결된 제4호스(47)는 상기 제2실린더(32)의 전방 쪽에 밸브로 고정되어 제4호스(37)로 유압이 유입되면 실린더 로드(33)가 후진하여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작동레버(40)는,
크레인 차량(1)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크레인(3) 일측에 유압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작동레버(6)는 여러개의 레버가 등간격으로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버(6)를 상/하부로 조작하면 호스를 통해서 유압이 유입되어 아우트리거(5)(5a)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레버(6)의 일측에는 제1,2레버(41)(42)가 작동레버(6)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작동하는데, 상기 제1레버(41)를 상부로 올리면 유압탱크에서 공급되는 유압이 유압라인을 따라서 제1호스(25)로 유입되어 제1실린더(22)의 실린더 로드(23)가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제2실린더(32)를 밀어주게 된다.
여기서, 제2실린더(32)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선회하다가 실린더 로드(23) 의 작동이 멈추면서 제2실린더(32)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레버(41)를 아래로 작동시키면 제2호스(26)로 유압이 유입되면서 실린더 로드(23)가 후진하게 되면 제1호스(25)를 통해 제1실린더(22) 내부로 유입된 유압은 제1호스(25)를 통해 빠져나간다.
그리고, 제2레버(42)를 상부로 밀어주면 유압이 제3호스(36)로 유입되어 제2실린더(32)의 실린더 로드(33)를 전진시키고, 제2레버(42)를 아래로 작동시키면 제4호스(37)로 유압이 인입되어 실린더 로드(33)를 후진시키게 된다.
보강프레임(50)은,
크레인(3)이 위치한 곳에서 탑(2) 전방까지 수평으로 연장된 양측의 메인프레임(7) 상부에 강판을 용접하여 차량의 탑(2) 부분이 작동부재(20)의 작동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시 크레인(3)과 탑(2)이 위치한 중간 부분의 메인프레임(7)이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도 3참조)
이와 같이 본 고안 크레인 차량(1)을 도면을 첨부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차량(1)을 작업장으로 이동시킨 다음 작동레버(6)를 작동시켜 전후방 양측에 형성된 아우트리거(5)(5a)가 지면으로 내려오면서 차량이 전체적으로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크레인(3)의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제1레버(41)를 상부로 작동시키면 제1실린더(22)의 실린더 로드 (23)가 전진하면서 상기 제2실린더(32)가 수평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실린더 로드(32)가 작동한다.(도 6참조)
상기 제2실린더(32)가 수평위치에 도달하면 운전자는 제2레버(42)를 위로 작동시켜 제2실린더(32)의 실린더 로드(33)가 지면쪽으로 전진하여 상기 지지판(34)의 바닥면이 지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탑(2)이 상부로 조금씩 이동한다. 이때 실린더 로드(33)의 전진 길이에 따라서 탑(2)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도 4참조)
한편, 탑(2)이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후방의 아우트리거(5a)가 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30)에 의해서 차체(1)는 사선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게 되는데, 이때 전방에 형성된 아우트리거(5)가 지면과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작동레버(6)를 조작하여 전방 아우트리거(5)가 지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 차체(1)를 전후방 아우트리거(5)(5a)와 지지부재(30)의 실린더 로드(33)와 메인프레임(7) 상부에 설치된 보강프레임(50)이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1)가 안정된 상태에서 화물의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도 9참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1)가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운전자는 크레인(3)의 운전석에 앉아서 붐(4)을 상하/좌우/전후로 작동시키면서 후크를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게되는데, 여기서 종래에는 차량(1)과 크레인(3)이 수평방향을 유지하면서 크레인(3) 작업을 수행하던 중 붐(4)을 이용하여 무거운 중량의 화물을 후크로 들어 올릴 경우 크레인(3)이 위치한 부분에 과도한 하 중이 작용하여 메인프레임(7)이 휘거나 절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차체(1)가 사선방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붐(4)쪽에 무거운 중량의 화물이 들어 올려줘도 하중이 크레인(3) 쪽으로 과도하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1)이 파손되는 일이 없으면서 화물의 운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붐(4)은 좌우회전반경이 일정각도를 벗어나지 못하였으나, 차체(1)가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경우, 붐(4)의 좌우회전 반경이 광범위하게 넓어져서 붐(4)이 도달하지 못하는 반경까지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 킬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화물의 운반작업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먼저 제2레버(42)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33)를 후진시킨 다음 제1레버(41)를 작동시켜 제1실린더(22)의 실린더 로드(23)가 후진하면서 작동부재(20)와 지지부재(30)는 고정프레임(10)의 공간부(13)로 접혀져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작동레버(6)를 조작하여 전방 아우트리거(5)와 후방 아우트리거(5a)를 상부로 이동시켜 차량(1)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설치되는 구성은 본 고안과 동일하고 차이가 나는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유압으로 작동시키던 작동부재(20)와 지지부재(30)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먼저 작동부재(200)는 고정프레임(100)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트(210) 내측에 제1솔레노이드 실린더(220)의 일단이 힌지축(H)으로 고 정되고, 타단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전방에 실린더 로드(230)를 형성하되, 상기 실린더 로드(230)는 내부의 피스톤이 자기력에 의해 전진한다.
그리고, 작동부재(200)의 반대편 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켓트(310) 내측에 제2솔레노이드 실린더(320)의 일단이 힌지축(H)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부재(200)의 실린더 로드(230)와 힌지축(H)으로 고정되어 상기 로드의 작동에 따라 제2솔레노이드 실린더(320)가 힌지축(H)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 실린더(320)의 전방에는 실린더 로드(330)가 출몰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330)의 단부에 지지판(340)이 힌지축(H)으로 축지되어 상기 지지판(340)의 바닥면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지지부재(300)를 형성한다.
한편, 제1,2솔레노이드 실린더(220)(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각각의 실린더 로드(230)(330)를 출몰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400)는 운전석의 일측에 형성하거나, 또는 작동레버(6)의 일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작동부재(200)와 지지부재(300)는 위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탑(2)을 승강 작동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차체가 사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탑부분과 앞범퍼 사이에 작동부재와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크레인의 전방에 설치된 붐의 좌우회전반경 범위를 넓게 작동시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 이다.
본 고안은 크레인의 저면에 형성된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보강프레임을 형성하여 차체가 사선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중량의 화물을 붐을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올릴 경우 크레인 쪽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메인프레임이 휘거나 절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차체를 사선방향으로 설치하여 화물의 운반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한 번의 설치작업으로 화물의 위치나 무거운 중량물에 따라서 여러번 번거롭게 작업하던 것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 크레인 차량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아우트리거시스템과 붐시스템을 갖춘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석이 위치한 탑(2) 전면과 앞범퍼(8)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 일측에 브라켓트(21)가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21) 내측에 제1실린더(22)의 일단이 힌지축(H)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전방에 형성된 실린더 로드(23)가 출몰동작하는 작동부재(20);
    상기 작동부재(20)의 반대편 프레임에 브라켓트(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31) 내측에 제2실린더(32)의 일단이 힌지축(H)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작동부재(20)의 실린더 로드(23)와 힌지축(H)으로 고정되어 상기 로드(23)의 출몰동작에 따라 제2실린더(32)가 브라켓트(31)에 축지된 힌지축(H)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상기 제2실린더(32)의 전방에는 실린더 로드(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33)의 단부에 지지판(34)이 힌지축(H)으로 축지되어 상기 지지판(34)의 바닥면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한 지지부재(30);
    상기 제1,2실린더(22)(32)와 호스(25)(26)(36)(37)로 연결되고, 호스로 인입되는 유압을 단속하여 각각의 실린더 로드(23)(33)를 출몰작동시키는 작동레버(40); 및
    상기 차체의 메인프레임(7) 상부에 보강프레임(50)을 설치하여 차량이 사선방향으로 설치시 메인프레임(7)을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2개의 사각프레임(11)을 구비하여 한개는 앞범퍼(8)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다른 한 개는 일정간격 이격시켜 탑(2) 전면에 대향되게 설치하며, 상기 사각프레임(11)의 양단부에 고정판(12)을 설치하여 상기 작동부재(20)와 지지부재(30)를 축지시킨 브라켓트(21)(31)가 사각프레임(11)과 고정판(12)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20)는 작동레버(40)와 연결된 제1,2호스(25)(26)가 제1실린더(22)의 후방에 밸브로 연결되어 제1호스(25)를 통해서 유압이 유입되면 실린더 로드(23)가 전진작동하고, 상기 제2호스(26)로 유압이 유입되면 실린더 로드(23)가 후진작동하되, 상기 제2호스(26)의 유압이 제1실린더(22)의 전방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관(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로드(23)의 전방에 U자 형상의 연결판(24)이 형성되어 제2실린더(32)의 일측에 힌지축(H)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는 작동레버(40)와 연결된 제3호스(36)가 제2실린더(32)의 후방에 밸브로 연결되어 있고, 이의 반대편에 제4호스(37)가 연결되어 실린더 로드(23)를 출몰동작시키며, 상기 제2실린더(32)의 중간부분에 고정축(35)을 형성하여 상기 제1실린더(22)의 연결판(24) 내부에 삽입되어 힌지축(H)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50)은 크레인(3)이 위치한 곳에서 탑(2) 전방까지 수평으로 연장된 양측의 메인프레임(7) 상부에 강판을 용접하여 차량의 탑(2)이 지지부재(30)의 작동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시 크레인(3)과 탑(2)이 위치한 부분의 메인프레임(7)이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 차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40)는 크레인 차량에 유압을 공급하는 여러개의 작동레버(6) 일측에 제1,2레버(4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레버(41)를 상부로 작동하면 제1호스(25)에 유압이 인입되면서 작동부재(20)의 실린더 로드(23)가 전진하며, 제1레버(41)를 아래측으로 작동하면 제2호스(26)에 유압이 인입되어 실린더 로드(23)가 후진하고, 상기 제2레버(42)를 상부로 작동하면 제3호스(36)에 유압이 인입되면서 지지부재(30)의 실린더 로드(33)가 전지하며, 반대로 작동하면 제 4호스(37)에 유압이 인입되면서 실린더 로드(33)가 후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KR2020060001302U 2006-01-16 2006-01-16 크레인 차량 KR200414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02U KR200414485Y1 (ko) 2006-01-16 2006-01-16 크레인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02U KR200414485Y1 (ko) 2006-01-16 2006-01-16 크레인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101A Division KR100749520B1 (ko) 2006-01-13 2006-01-13 크레인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485Y1 true KR200414485Y1 (ko) 2006-04-20

Family

ID=4929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302U KR200414485Y1 (ko) 2006-01-16 2006-01-16 크레인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48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520B1 (ko) 2006-01-13 2007-08-16 김유성 크레인 차량
KR101409869B1 (ko) * 2013-11-08 2014-06-20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크레인 차량
KR101555835B1 (ko) * 2014-05-02 2015-09-3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차량용 크레인 및 이의 운용 방법
CN116767066A (zh) * 2023-08-17 2023-09-19 山西诺浩机电工程有限公司 移动式换电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520B1 (ko) 2006-01-13 2007-08-16 김유성 크레인 차량
KR101409869B1 (ko) * 2013-11-08 2014-06-20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크레인 차량
KR101555835B1 (ko) * 2014-05-02 2015-09-3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차량용 크레인 및 이의 운용 방법
CN116767066A (zh) * 2023-08-17 2023-09-19 山西诺浩机电工程有限公司 移动式换电装置
CN116767066B (zh) * 2023-08-17 2023-11-28 山西诺浩机电工程有限公司 移动式换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670B2 (en) Mobile work appliance with a supporting structure
US5360311A (en) Car catcher for a roll-off hoist
JP7211813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
KR200414485Y1 (ko) 크레인 차량
KR100749520B1 (ko) 크레인 차량
US3253716A (en) Crane having articulated boom
JP2005138962A (ja) 荷役車両
US20090115238A1 (en) Truck Bed Lifting Device and Method
US7306421B2 (en) Inside vehicle lift
CN204938407U (zh) 集装箱散装货物卸货机
US20110250040A1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JP3922511B2 (ja) 旋回式作業機
KR20190000753U (ko) 차량 크레인
KR910008200B1 (ko)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KR20160032898A (ko) 지게차
CN105110027A (zh) 一种集装箱散装货物卸货机
KR102409999B1 (ko)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KR20190095663A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200395319Y1 (ko) 크레인이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차량
JP4221651B2 (ja) 着脱式運搬車搭載物
JP3848075B2 (ja) 荷受台昇降装置を装備した貨物車における荷受台昇降装置の取付構造
KR102500230B1 (ko) 크레인이 부설된 화물차량
KR19990004943U (ko) 트럭의 적재물 승하차장치
KR101575347B1 (ko)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CN215884965U (zh) 垃圾车的上料叉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