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347B1 -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347B1
KR101575347B1 KR1020080129394A KR20080129394A KR101575347B1 KR 101575347 B1 KR101575347 B1 KR 101575347B1 KR 1020080129394 A KR1020080129394 A KR 1020080129394A KR 20080129394 A KR20080129394 A KR 20080129394A KR 101575347 B1 KR101575347 B1 KR 10157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rotatably installed
body frame
rear end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717A (ko
Inventor
이경래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3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로더 등과 같은 중장비의 후방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는, 중장비의 차체 프레임(2)의 일측에 구비된 베이스브래킷(21);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링크(22);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회전링크(23); 상면부와 측면부의 일부분이 외부로 개방된 수용공간(6a)을 갖는 카운터웨이트(6); 선단부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수용공간(6a) 내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의 하측에 상기 제1 회전링크(22)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제2 회전링크(23)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아암(24); 실린더바디의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중앙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7); 및 상단부가 상기 회전아암(24)의 후단부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7)의 가동로드(7a)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아암(24)의 길이방향 가상축선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고정부재(25);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6)가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장착위치로 인양되었을 시, 적어도 상기 제1,2 회전링크, 상기 회전아암, 상기 유압실린더 및 상기 고정부재가 모두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수용공간(6a)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Counterweight lifting system}
본 발명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 등과 같은 중장비의 후방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운터웨이트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카운터웨이트를 인양하여 장착위치에 안치시 해당 중장비의 차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며, 인양후 링크기구가 카운터웨이트의 수용공간 안에 수용될 수 있게 하는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굴삭, 지면고르기, 지면다지기, 무거운 물체의 승강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굴삭기는 작업기가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며, 굴삭기의 작업은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진 작업기를 각 해당 유압실린더를 통해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로더(loader)는 건설 현장에서 흙, 모래 등을 굴착하는 굴착작업, 굴착된 토사를 운반하는 운반작업, 운반된 토사를 화물차량에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 도로 정지작업, 제설작업, 견인작업을 등을 수행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로더는 차량의 전측에 설치되어 붐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과, 이 붐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킷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버킷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지게차는 중량체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릴 수 있게 하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서, 고중량의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하물을 각종 운반차량에 적재 또는 그로부터 하차시키는 데 사용된다. 지게차는 크게 엔진을 포함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전측에 설치된 마스트조립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트조립체는 포크를 갖는 캐리지를 구비하며, 중량물의 이동높이를 고려하여 2단, 3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굴삭기나 로더, 혹은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는, 장비의 자중 또는 작업기에 작용하는 외력과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균형 하중체인 카운터웨이트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는 차체 프레임(2)에 고정된 지지컬럼(3)과, 상기 지지컬럼(3)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아암(4)과, 상기 제1 회전아암(4)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회전아암(5)과, 상기 제2 회전아암(5)에 연결된 카운터웨이트(6)와, 하단부가 상기 차체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동로드(7a)의 선단부가 상기 제1 회전아암(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7)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7)의 가동로드(7a)를 확장시키면, 상기 제1 회 전아암(4)이 상기 지지컬럼(3)에 대해 상방향으로 궤적(a)을 따라 원운동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제2 회전아암(5)이 상기 제1 회전아암(4)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회전아암(4)에 의해 상기 카운터웨이트(6)가 들어 올려져 해당 중장비의 장착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는 유압실린더(7)의 신축스트로크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인양높이(H1)를 증대시키려면 제1 회전아암(4)의 길이를 증대시켜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는 상기 유압실린더(7)의 가동로드(7a)를 크게 신장시켜야 되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6)가 장착위치로 인양되었을 때 상기 제1,2 회전아암(4,5)의 상단부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과도하게 돌출되어 여러모로 불편을 주는 데다, 상기 제1 회전아암(4)이 엔진룸의 케이스(8)에 접촉하는 순간 원운동으로 인해 큰 충격이 발생함은 물론 상기 케이스(8)와의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는 상기 유압실린더(7)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2)의 대응부분이 외부로 크게 돌출되어 있어 상기 카운터웨이트(6)를 인양시 상기 차체 프레임(2)의 돌출부분을 피하도록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6)의 장착공간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는 위와 같은 이유로 상기 제1 회전아암(4)의 길이를 충분히 증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인양높이(H1)를 크게 하는 것이 어렵고 상기 카운터웨이트(6)를 해당 중장비의 장착위치에서 지면 위로 직접 내리는 것이 불가능함에 따라 부족한 높이 차이만큼을 보충해줄 수 있는 지지대(9)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수반되었다.
한편,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0)는 차체 프레임(2)에 고정된 지지브래킷(11)과, 상기 지지브래킷(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링크부재(12)와, 상기 링크부재(12)에 연결된 카운터웨이트(6)와, 하단부가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지지브래킷(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동로드(7a)의 선단부가 상기 링크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7)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0)는 지면에 직접 놓인 카운터웨이트(6)를 인양할 수 있으며, 상기 카운터웨이트(6)를 들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부품수가 적어 구조적으로 단순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0)는 차체 프레임(2)과 지면에 놓인 카운터웨이트(6) 간의 높이차가 클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7)와 상기 링크부재(12)의 길이도 그만큼 커져야 하므로, 상기 유압실린더(7)의 스트로크 증대가 불가피하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7)의 스트로크 증대는 제작비용의 증대뿐만아니라, 상기 카운터웨이트(6)를 지면에 내리거나 장착시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범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0)는 큰 작업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0)는 카운터웨이트(6)를 인양시 상기 링크부재(12)가 상기 지지브래킷(11)에 대해 궤적(b)을 따라 원운동하기 때문에 상 기 링크부재(12)가 엔진룸의 케이스(8)에 접촉하는 순간 원운동으로 인해 큰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카운터웨이트를 인양하는데 적용되는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줄임과 아울러, 카운터웨이트가 해당 중장비에 긴밀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여 카운터웨이트의 장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운터웨이트를 인양시 카운터웨이트와 직접 연결되는 회전링크의 연결점이 포물선 운동을 하게 하여, 카운터웨이트가 해당 중장비의 장착공간에 부드럽게 안착될 수 있게 하는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운터웨이트를 인양시 카운터웨이트가 해당 중장비의 장착위치에 정확히 안착되게 하여, 인양후 카운터웨이트의 위치를 조정해야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하는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장비의 차체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베이스브래킷;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링크;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회 전링크; 상면부와 측면부의 일부분이 외부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카운터웨이트; 선단부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수용공간 내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의 하측에 상기 제1 회전링크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제2 회전링크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아암; 실린더바디의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의 중앙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 및 상단부가 상기 회전아암의 후단부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가동로드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아암의 길이방향 가상축선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장착위치로 인양되었을 시, 적어도 상기 제1,2 회전링크, 상기 회전아암, 상기 유압실린더 및 상기 고정부재가 모두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수용공간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상기 차체 프레임의 장착위치로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후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측부에 구비된 제1 스토퍼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후측 하부에 구비된 단턱부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단턱부의 후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의 하측부에 구비된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를 들어올리는 링크기구 및 그 링크기구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용공간을 카운터웨이터에 제공하여, 카운터웨이트를 인양하는데 적용되는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카운터웨이트가 해당 중장비에 긴밀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여 카운터웨이트의 장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를 인양시 카운터웨이트와 직접 연결되는 회전링크의 연결점이 포물선 운동을 하게 하여, 카운터웨이트가 해당 중장비의 장착공간에 부드럽게 안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카운터웨이트의 장착시 충격발생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를 인양시 카운터웨이트가 해당 중장비의 장착위치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게 하여, 인양후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들을 이용하여 카운터웨이트를 차체 프레임에 최종고정시 위치조정해야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에 의해 카운터웨이트가 해당 중장비의 장착공간(또는 장착위치)에 안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이다.
하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1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브래킷(21), 제1,2 회전링크(22,23), 카운터웨이트(6), 회전아암(24), 유압실린더(7) 및 고정부재(25)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은 중장비의 차체 프레임(2)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링크(22)는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회전링크(23)는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카운터웨이트(6)는 상면부와 측면부의 일부분이 외부로 개방된 수용공간(6a)을 갖는다. 상기 회전아암(24)은 선단부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수용공간(6a) 내의 일부분에 분리 가능한 축핀 등과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아암(24)은 후단부의 하측에 상기 제1 회전링크(22)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제2 회전링크(23)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7)는 실린더바디의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중앙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25)는 상단부가 상기 회전아암(24)의 후단부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7)의 가동로드(7a)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5)는 상기 회전아 암(24)의 길이방향 가상축선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아암(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을 갖는 복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회전아암(24)의 길이방향 가상축선은 단순히 상기 고정부재(25)가 상기 회전아암(24)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아암의 긴부분과 짧은 부분 중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20)는 상기 카운터웨이트(6)가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장착위치로 인양되었을 시, 적어도 상기 제1,2 회전링크(22,23), 상기 회전아암(24), 상기 유압실린더(7) 및 상기 고정부재(25)가 모두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수용공간(6a) 안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도면(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20)는 위의 구성요소들 뿐만 아니라, 베이스브래킷(21)까지도 모두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수용공간(6a) 안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수용공간(6a)은 상기 구성요소들을 긴밀하게 포함할 수 있도록 그 수용공간의 선단부분이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전측부로 침입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20)는 상기 카운터웨이트(6)를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장착위치로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수단(26)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수단(26)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후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상측부에 구비된 제1 스토퍼(26a)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후측 하부에 구비된 단턱부(26b)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단턱부(26b)의 후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2)의 하측부에 구비된 제2 스토퍼(26c)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토퍼(26a)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대응부분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하중이 크게 작용하므로 상호 수직한 측면들끼리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스토퍼(26c)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단턱부(26b)는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부드러운 안내를 유도하도록 상호 경사진 측면들끼리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각 제1,2 스토퍼(26a,26c)는 상기 차체 프레임(2)에 용접되거나 나사 등과 같은 패스너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부재, 볼트와 와셔 등과 같은 패스너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중장비의 운전실(또는 캐빈) 내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트를 인양하기 위해 해당 작동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컨트롤밸브(미도시)를 통해 압유가 차체 프레임(2)의 베이스브래킷(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7)의 대경부로 유입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가동로드(7a)가 확장된다.
그러면, 상기 유압실린더(7)의 가동로드(7a)의 선단부가 회전아암(24)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부재(25)를 전방으로 밀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회전아암(24)이 제1,2 회전링크(22,23)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상기 제1,2 회전링크(22,23)에 의해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전방 상측(시계방향)으로 약 180°회전하게 된다(도 3과 도 4 참조).
이때, 상기 회전아암(24)의 선단부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연결점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물선 궤적(c)을 그리면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아암(24)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운터웨이트(6)가 해당 중장비의 구조물에 충격을 줌이 없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장착공간(또는 장착위치)에 부드럽게 안착된다. 또한, 이때, 상기 카운터웨이트(6)는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스토퍼(26a)와 하부에 구비된 제2 스토퍼(26c)에 의해 해당 장착위치로 정확히 안내된다.
위와 같이, 상기 카운터웨이트(6)가 차체 프레임(2)의 장착위치로 인양완료되면, 상기 베이스브래킷(21), 상기 제1,2 회전링크(22,23), 상기 회전아암(24), 상기 유압실린더(7) 및 상기 고정부재(25)가 모두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수용공간(6a) 안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카운터웨이트(6)를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2)에 최종적으로 고정하면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된 카운터웨이트(6)를 해당 중장비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공지의 체결수단을 푼 후, 운전실(또는 캐빈) 내의 작동해제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앞서 설명한 카운터웨이트의 장착과정의 역순으로 분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에 의해 카운터웨이트가 해당 중장비의 장착공간(또는 장착위치)에 안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에 의해 카운터웨이트가 해당 중장비의 장착공간으로 인양될 때 카운터웨이트와 직접 연결된 회전아암의 연결점이 포물선 형태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차체 프레임 6: 카운터웨이트
6a: 수용공간 7a: 가동로드
7: 유압실린더 20: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21: 베이스브래킷 22: 제1 회전링크
23: 제2 회전링크 24: 회전아암
25: 고정부재 26: 안내수단
26a: 제1 스토퍼 26b: 단턱부
26c: 제2 스토퍼 c: 포물선 궤적

Claims (3)

  1. 중장비의 차체 프레임(2)의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브래킷(21);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링크(22);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회전링크(23);
    상면부와 측면부의 일부분이 외부로 개방된 수용공간(6a)을 갖는 카운터웨이트(6);
    선단부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수용공간(6a) 내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의 하측에 상기 제1 회전링크(22)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제2 회전링크(23)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아암(24);
    실린더바디의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브래킷(21)의 중앙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7); 및
    상단부가 상기 회전아암(24)의 후단부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7)의 가동로드(7a)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아암(24)의 길이방향 가상축선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고정부재(25);
    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6)가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장착위치로 인양되었을 시, 적어도 상기 제1,2 회전링크, 상기 회전아암, 상기 유압실린더 및 상기 고정부재가 모두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수용공간(6a)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6)를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장착위치로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수단(26)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26)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후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2)의 상측부에 구비된 제1 스토퍼(26a)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후측 하부에 구비된 단턱부(26b)와, 상기 카운터웨이트(6)의 단턱부(26b)의 후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2)의 하측부에 구비된 제2 스토퍼(26c)를 포함하는 것인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KR1020080129394A 2008-12-18 2008-12-18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KR101575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394A KR101575347B1 (ko) 2008-12-18 2008-12-18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394A KR101575347B1 (ko) 2008-12-18 2008-12-18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717A KR20100070717A (ko) 2010-06-28
KR101575347B1 true KR101575347B1 (ko) 2015-12-07

Family

ID=4236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394A KR101575347B1 (ko) 2008-12-18 2008-12-18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363B1 (ko) 2020-03-02 2020-10-06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카운터 웨이트 장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070A (ja) 1999-04-01 2000-10-17 Sumitomo Constr Mach Co Ltd 作業機のカウンタウェイト着脱装置
JP2007162454A (ja) * 2005-11-18 2007-06-28 Komatsu Ltd カウンタウェイトの着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070A (ja) 1999-04-01 2000-10-17 Sumitomo Constr Mach Co Ltd 作業機のカウンタウェイト着脱装置
JP2007162454A (ja) * 2005-11-18 2007-06-28 Komatsu Ltd カウンタウェイトの着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717A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7772B (zh) 用于配重的移动装置
EP1916220B1 (en) Mobile lift crane with variable position counterweight
US7997369B2 (en) Articulating cab assembly for excavator
AU2006246533B2 (en) Industrial vehicle having working implement
EP3406805A1 (en) Working machine
EP3114069B1 (en) Tilting cab mechanism for a crane
EP2319995B1 (en) Apparatus for moving a platform
JP2004203553A (ja) 自走式作業機械
JP2005138962A (ja) 荷役車両
WO2010074467A2 (ko) 시트베이스 슬라이딩 장치
JP4648963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KR101575347B1 (ko) 카운터웨이트 리프팅 장치
EP1604941A1 (en) Self-propelled working machine
JP5984497B2 (ja) 運転室昇降装置
JP5265463B2 (ja) 建設機械
CN112456387A (zh) 基于叉车平台的装载机构及叉车
KR100749520B1 (ko) 크레인 차량
KR200414485Y1 (ko) 크레인 차량
KR20100074394A (ko)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구조
JP5635558B2 (ja) 運転室昇降装置
EP4015441B1 (en) A carriage assembly
EP1264938B1 (en) Earthmoving machine and actuating device for controlling lateral movement of a loading shovel
KR200354660Y1 (ko)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
JP7282610B2 (ja) 杭打機
GB2299979A (en) Mechanical hand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