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69B1 - 크레인 차량 - Google Patents

크레인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69B1
KR101409869B1 KR1020130135492A KR20130135492A KR101409869B1 KR 101409869 B1 KR101409869 B1 KR 101409869B1 KR 1020130135492 A KR1020130135492 A KR 1020130135492A KR 20130135492 A KR20130135492 A KR 20130135492A KR 101409869 B1 KR101409869 B1 KR 10140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ller
pair
crane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섭
Original Assignee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측부로 작동하는 측면크레인장치를 구비하여 도로의 난간을 펴는 등 보수작업 등을 수행함은 물론 견인대상 차량을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는 견인차량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측면크레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 차량{Crane vehicle}
본 발명은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측부로 작동하는 측면크레인장치를 구비하여 도로의 난간을 펴는 등 보수작업 등을 수행함은 물론 견인대상 차량을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는 견인차량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화물을 상하/좌우/전후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사용 목적과 형식 및 운동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이들 중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크레인 차량이 있다.
상기한 크레인 차량은 고속으로 주행하여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제한된 범위의 작업에 구애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크레인 차량은 운전석이 위치한 탑부분의 뒤쪽과 화물칸 사이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하물을 들어올려서 이동시키는 붐시스템과 차체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아우트리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때, 운전석 후미에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유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때 차량이 가장 잘 버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크레인이 차량의 운전석 뒤쪽과 화물칸 사이에 위치된 구도에서 자칫 허용된 하중보다 높은 하중을 붐으로 들어올릴 경우 운전석이 위치한 탑부분과 크레인이 위치한 사이가 하중에 의해 차체의 메인프레임이 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붐시스템의 회전이 차량의 운전석 지붕에 영향을 받는 불편함과 붐시스템의 경우 좌우 회전이 일정각도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을 이동시킨 다음 붐을 좌우로 이동시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크레인의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탑을 승강작동시켜 차체가 사선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작동부재와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크레인의 전방에 형성된 붐의 좌우 회전반경 범위를 넓게 작동시켜 화물의 운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4485호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0414485호는 붐의 길이가 있어 차량의 측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 붐의 길이에 의해 차량을 작업장과 어느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다시 차량을 이동시킨 후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크레인 차량은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차량을 견인하거나 가드레일의 찌그러진 것을 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목적에 맞는 특수차량을 구매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레인 차량에 별도의 측면크레인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차량의 측부에 위치한 가이드레일의 보수공사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측면크레인장치는 적재함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로울러부와, 제1로울러부에 대응되게 적재함의 하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측부로 가이드하는 제2로울러부를 설치함으로써, 측면견인장치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적재함의 후부에 인출가능하게 발판을 구비함으로써, 적재함에 견인할 차량을 적재할 경우에는 발판을 인출시켜 차량을 적재하고 적재완료 후에는 발판을 삽입시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적재함의 가장자리부에 구비되는 적재대는 탈착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탈착이 용이하고, 적재대의 교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측면크레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크레인장치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윈치와,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하부로 가이드하는 제1로울러부와, 상기 제1로울러부와 대응되게 설치되되, 적재함의 후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적재함의 측부로 가이드하는 제2로울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로울러부는 적재함의 바닥면에 고정되되, 장홈이 형성된 제1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의 상부에 서로 대응되게 상부로 돌출된 한 쌍의 제1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고정구 사이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되는 제1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고정구 상부에는 커버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로울러부는 적재함의 하부에 고정되되, 제1로울러부의 제1고정판과 대응되게 장공이 형성된 제2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판의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제2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고정구 사이에 설치되되, 제1로울러부의 제1로울러와 서로 직교되게 제2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제3로울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로울러부는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3고정판의 하부로 돌출되게 한 쌍의 제3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3고정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3로울러부의 후부에는 가이드로울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는 차량탑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탑재부는 적재함의 후부에 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홈에 설치되되, 후부로 인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발판을 동작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적재함 가장자리부에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이 결속홈에 결속 고정되는 적재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적재함 후부에는 한 쌍의 결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에는 작업표시등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크레인 차량에 별도의 측면크레인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차량의 측부에 위치한 가이드레일의 보수공사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면크레인장치는 적재함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로울러부와, 제1로울러부에 대응되게 적재함의 하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측부로 가이드하는 제2로울러부를 설치함으로써, 측면견인장치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함의 후부에 인출가능하게 발판을 구비함으로써, 적재함에 견인할 차량을 적재할 경우에는 발판을 인출시켜 차량을 적재하고 적재완료 후에는 발판을 삽입시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재함의 가장자리부에 구비되는 적재대는 탈착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탈착이 용이하고, 적재대의 교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을 보인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측면크레인장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적재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작업표시등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측면크레인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적재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작업표시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100)은 운전석이 위치한 탑(102)과, 상기 탑(102)의 후방에 메인크레인(104)이 설치되는데, 이 메인크레인(104)은 물건을 들어올리는 붐(106)과, 차체(110)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아우트리거(108)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체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유압탱크(미도시)와 연결된 각각의 유압라인이 작동레버(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탑(102)의 저면에서 적재함(112)이 위치한 곳까지 메인프레임(114)이 형성되어 차체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 차량(100)은 통상적인 기술로서, 크레인 차량(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110)의 적재함(112) 가장자리부에는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다수개의 결속홈(112a)이 형성되고, 이 결속홈(112a)에 결속 및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적재대(11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크레인 차량(100)의 사용목적, 즉 적재함(112)에 화물 등 물품을 실을 경우에는 적재대(116)를 결속홈(112a)에 결속시켜 설치하고, 적재대(112a)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분리시켜 별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체(110)의 적재함(112) 후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결속구(118)가 형성되고, 이 결속구(118)에 결속 고정되는 작업표시등(1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크레인 차량(100)을 도로 등에 주, 정차시킨 후 작업을 하는 경우 적재함(112)의 후부에 작업표시등(120)을 설치하여 작업 중 다른 차량 등에 의해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110)의 적재함(112)에는 측부로 작동하는 측면크레인장치(2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크레인장치(200)는 운전석이 구비된 탑(102)의 후부 적재함(112)의 사이에 설치되되, 와이어(202)가 권취된 윈치(210)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적재함(112)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윈치에 권취된 와이어(202)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로울러부(2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로울러부(220)는 적재함(112)의 바닥면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고정판(222)이 구비되되, 제1고정판(222)에는 다수개의 장홈(224)이 형성되고, 이 장홈(224)이 사이에 위치되게 제1고정판(222)의 상단부 양측부에는 한 쌍의 제1고정구(226)가 형성되며, 제1고정구(226)의 사이에는 와이어(202)가 통과하는 한 쌍의 제1로울러(228)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적재함(112)의 하부에 설치되되, 제1로울러부(220)와 대응되게 제1로울러부(220)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적재함(11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로울러부(2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로울러부(230)는 적재함(112)의 하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고정판(232)이 구비되되, 제2고정판(232)에는 장홈(234)이 형성되고, 이 장홈(234)이 사이에 위치되게 제2고정판(232)의 하부로 돌출된 한 쌍의 제2고정구(236)가 형성되며, 제2고정구(236)의 사이에는 와이어(202)를 적재함(112)의 측부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2로울러(23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로울러부(220) 및 제2로울러부(230)가 설치된 적재함(112)의 바닥부에는 통공(11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로울러부(220)의 제1고정구(226) 상단부에는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판(229)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윈치(210)에 권취된 와이어(202)는 제1로울러부(220)의 제1로울러(228)에 의해 하부로 가이드되고, 하부로 가이드된 와이어(202)는 제2로울러(238)에 의해 다시 적재함(112)의 측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크레인 차량(100)의 측면에서 가이드레일의 보수공사 작업 등 기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110)의 메인프레임(114)에 설치되어 제2로울러부(220)로부터 가이드되는 와이어(202)를 차체(110)의 측부로 가이드하는 제3로울러부(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로울러부(240)는 메인프레임(114)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3고정판(24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3고정판(242)의 일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제3고정구(244)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3고정구(244) 사이에는 한 쌍의 제3로울러(24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로울러부(240)의 후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로울러(2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3로울러부(240)로 가이드된 와이어(202)는 가이드로울러(250)에 의해 차체(110)의 측부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100)은 먼저,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차량을 작업장으로 이동시킨 다음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전, 후 양측에 구비된 아우트리거(108)가 지면으로 내려오면서 차량이 전체적으로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크레인(104)을 이용하여 화물을 싣거나 하역하는 작업은 통상적인 작용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측면크레인장치(200)의 작동은 윈치(210)에 권취된 와이어(202)를 제1로울러부(220)의 제1로울러(228)에 의해 적재함(112)의 하부로 가이드되고, 하부로 가이드된 와이어(202)는 제2로울러부(230)의 제2로울러(238)의 가이드에 의해 제3로울러부(240)로 안내되며, 제3로울러부(240)로 안내된 와이어(202)는 제3로울러(246)의 안내 및 가이드로울러(250)의 안내에 의해 적재함(112)의 폭 방향, 즉 차체(110)의 일측부로 안내되어 와이어(202)의 끝단부에 구비된 후크(204)를 작업 대상물에 걸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체(110)가 가이드레일에 근접되게 주차된 경우 차체(110)와 가이드레일과의 사이 공간이 좁아 메인크레인(104)으로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메인크레인(104)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을 이동시켜 가이드레일과 일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차량을 움직일 필요 없이 측면크레인장치(200)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과 근접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 등의 보수공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로의 가이드레일의 보수공사, 즉 찌그러진 가이드레일을 펴는 작업 등을 수행할 경우에는 보수공사를 수행할 위치에 차량을 주차한 상태에서 측면크레인장치(200)의 와이어(202)에 구비된 후크(204)를 가이드레일에 결속시킨 후 측면크레일장치(2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와이어(202)가 윈치(210)에 권취되면서 가이드레일을 당기게 되어 찌그러진 부위가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크레인 차량(100)에 근접되어 메인크레인(104)으로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차량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이동 주차하지 않고도 측면크레인장치(2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112)에 작재대(116)를 인출 가능하게 결속홈(112a)에 결속 고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적재대(116)를 분리하여 별도 보관할 수도 있고, 적재함(112)에 물건 등을 싣는 경우에는 적재대(116)를 결속홈(112a)에 결속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112)의 후부에 결속구(118)를 구비하여 이 결속구(118)에 작업표시등(120)을 결속시킴으로써, 도로의 작업 중 다른 차량에 의해 교통 사고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10)의 적재함(112)에는 차량을 견인하여 탑재시킬 수 있도록 차량탑재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탑재부(310)는 적재함(112) 후부의 양측부에는 후부가 개방되게 인출홈(130)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인출홈(130)에 설치되되, 인출홈(130)으로부터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31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인출홈(130)의 내측부에는 실린더로드가 발판(132)에 결속되어 발판(312)을 동작시키는 실린더(3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112)에 형성된 인출홈(130)의 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32)가 구비되되, 이 커버부재(132)는 발판(312)의 인출시 발판(312)에 밀려 자동으로 열리고, 발판(312)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인출홈(130)의 입구를 커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차량탑재부(310)를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적재함(112)에 적재하는 경우에는 먼저, 전,후방 아우트리거(108)를 작동시키되, 전방 아우트리거(108)는 길게 인출하여 차량의 앞쪽이 많이 들리고, 후방 아우트리거(108)는 조금 인출시켜 적재함(112)의 후방이 낮게 경사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314)를 작동시키게 되면 발판(312)이 인출홈(13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지면에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발판(312)을 인출시킨 상태에서 메인크레인(104) 또는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당기게 되면 발판(312)을 통하여 적재함(112)에 적재되게 된다.
이와 같이 견인대상 차량을 적재함(112)에 적재한 후에는 실린더(314)를 반대로 작동시키게 되면 발판(312)은 인출홈(130)으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전, 후 아우트리거(108)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켜 삽입시키게 되면 크레인 차량(100)은 수평상태가 되면서 견인 대상차량을 적재함(112)에 적재하는 모든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크레인 차량(100)은 물건을 싣거나 하역 또는 가드레일 등의 보수공사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견인 대상차량을 적재함(112)에 적재하에 이동하는 견인차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크레인 차량 102 : 탑
104 : 메인크레인 106 : 붐
108 : 아우트리거 110 : 차체
112 : 적재함 112a : 결속홈
112b : 통공 114 : 메인프레임
116 : 적재대 118 : 결속구
120 : 작업표시등 130 : 안출홈
132 : 커버부재 200 : 측면크레인장치
202 : 와이어 204 : 후크
210 : 윈치 220 : 제1로울러부
222, 232, 242 : 제1,2,3고정판
224, 234 : 장홈 226, 236, 244 : 제1,2,3고정구
228, 238, 246 : 제1,2,3로울러
229 : 커버판 250 : 가이드로울러
310 : 차량탑재부 312 : 발판
314 : 실린더

Claims (12)

  1.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측면크레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크레인장치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윈치와,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하부로 가이드하는 제1로울러부와, 상기 제1로울러부와 대응되게 설치되되, 적재함의 후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적재함의 측부로 가이드하는 제2로울러부와, 상기 차량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로울러부로부터 가이드되는 와이어를 차량의 측부로 가이드하는 제3로울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로울러부는 적재함의 하부에 고정되되, 제1로울러부의 제1고정판과 대응되게 장공이 형성된 제2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판의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제2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고정구 사이에 설치되되, 제1로울러부의 제1로울러와 서로 직교되게 제2로울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울러부는 적재함의 바닥면에 고정되되, 장홈이 형성된 제1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의 상부에 서로 대응되게 상부로 돌출된 한 쌍의 제1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고정구 사이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되는 제1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구 상부에는 커버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로울러부는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3고정판의 하부로 돌출되게 한 쌍의 제3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3고정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로울러부의 후부에는 가이드로울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는 차량탑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부는 적재함의 후부에 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홈에 설치되되, 후부로 인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발판을 동작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적재함 가장자리부에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이 결속홈에 결속 고정되는 적재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적재함 후부에는 한 쌍의 결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에는 작업표시등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KR1020130135492A 2013-11-08 2013-11-08 크레인 차량 KR10140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492A KR101409869B1 (ko) 2013-11-08 2013-11-08 크레인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492A KR101409869B1 (ko) 2013-11-08 2013-11-08 크레인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869B1 true KR101409869B1 (ko) 2014-06-20

Family

ID=5113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492A KR101409869B1 (ko) 2013-11-08 2013-11-08 크레인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679Y1 (ko) * 2002-09-09 2003-01-06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셀프로다의 더블 롤러방식을 갖는 상판 슬라이드 장치
KR200316160Y1 (ko) * 2003-03-18 2003-06-11 스카니아 코리아 주식회사 금속제 적재함의 측판 분리 및 적재구조
KR200414485Y1 (ko) * 2006-01-16 2006-04-20 김유성 크레인 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679Y1 (ko) * 2002-09-09 2003-01-06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셀프로다의 더블 롤러방식을 갖는 상판 슬라이드 장치
KR200316160Y1 (ko) * 2003-03-18 2003-06-11 스카니아 코리아 주식회사 금속제 적재함의 측판 분리 및 적재구조
KR200414485Y1 (ko) * 2006-01-16 2006-04-20 김유성 크레인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490B1 (ko)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US10160373B2 (en) Utility truck bed
KR102131782B1 (ko)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US20150354277A1 (en) Aircraft maintenance platform for aircraft tire servicing
DE112016001320T5 (de) Auslegeranbringungs-/Trennungsvorrichtung eines Kranes und Auslegeranbringungs-/Trennungsverfahren für einen Kran
KR101409869B1 (ko) 크레인 차량
CN210619925U (zh) 一种建筑施工用物料提升装置
US11629036B2 (en) Outrigger pad hoist apparatus
KR101512128B1 (ko)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
CN216920109U (zh) 锥桶收放机
KR101817338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PT2493653E (pt) Método para o funcionamento de uma linha de fluxo, um reboque de montagem, uma barra de tração e uma máquina pesada instalada sobre um reboque de montagem e uma linha de fluxo
US6543749B1 (en) Rollback wrecker vehicle positioning device
CN204936930U (zh) 车载箱体承载平台及定位锁紧装置
ITPC20110013U1 (it) Struttura di protezione superiore veicoli.
KR100871939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리프트 장치
CN209835514U (zh) 一种装卸车用升降台
GB2476277A (en) Vehicle transporter
RU22402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груз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грузов
CN206086241U (zh) 一种工程车辆刚性牵引辅助连接装置
CN205472177U (zh) 便移式施工升降机
JP7120432B1 (ja) シート掛け補助システムおよびシートハンガー移動装置
CN218950504U (zh) 一种用于装卸货物的移动式升降平台车
US3175715A (en) Crane and trailer structure
KR101533680B1 (ko) 파이프 받침용 다이스 지그,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압식 릴 스탠드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