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81B1 - 트러스 구조물 및 그 건설방법 - Google Patents

트러스 구조물 및 그 건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81B1
KR910008081B1 KR1019860004843A KR860004843A KR910008081B1 KR 910008081 B1 KR910008081 B1 KR 910008081B1 KR 1019860004843 A KR1019860004843 A KR 1019860004843A KR 860004843 A KR860004843 A KR 860004843A KR 910008081 B1 KR910008081 B1 KR 91000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truss
tubes
lower cord
mid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088A (ko
Inventor
죠지 가츠카 브루노
죤 올슨 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스트라취 인더스트리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브루노 죠지 가츠카, 크리스토퍼 죤 올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라취 인더스트리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브루노 죠지 가츠카, 크리스토퍼 죤 올슨 filed Critical 스트라취 인더스트리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7000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8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 E04C3/40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2Structures covering a large free area, whether open-sided or not, e.g. hangars, h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러스 구조물 및 그 건설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세워지게될 구조물의 평면도.
제2도는 세워지기 전에 제1도에 도시된 구조물의 트러스 형성부를 화살표 2-2 방향에서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도시된 트러스의 단부 부분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에서 도시된 트러스의 중간 부분의 일부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원 부분"5"의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의 화살표 6-6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에 도시한 화살표 "7"방향에서 취한 도면.
제8도는 트러스용 측방향 좌굴 방지물을 도시하는 제6도와 유사한 도면.
제9도는 트러스가 부분적으로 세워진 상태에 있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
제10도는 인장된 외부 케이블로 완전히 세워진 상태의 트러스의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조물 12 : 트러스
14 : 단부 부분 16 : 중간부분
18, 36 : 상부코드 20, 38 : 하부코드
22, 24 : 웨브부재 24, 26 : 지표연결점
36A, 36B, 38A, 38B : 튜브 42 : 커넥터
46, 48 : 고장력 케이블 62 : 중도리.
본 발명은 트러스와, 이 트러스로 결합되는 구조물과, 이러한 구조물의 건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을 형성하는 트러스는 오스트레일리아 특허 제505,679호 및 제535,636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트러스는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될 때 종래 구조물 건조 방법과 비교하여 실제로 적은 원가로서 대단히 광범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특허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의 한계는 도달될 수 있는 최대 높이이다. 이런 점에서 트러스에 부과되는 비교적 정도가 낮은 원호가 주요한 제한 요소이다.
또한, 특허 제505,679호에 공지되어 있는 구조물의 상승은 크레인 또는 에어백을 사용해야 하므로 원가 및 노동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오히려 불편하다. 특허 제535,636호에 도시된 건설 방법은 원가가 적당하게 들고, 사용시 불편함이 적다. 트러스의 일 단부는 핀 고정되는 반면에 다른 단부는 인장되므로써 핀 고정되지 않은 단부가 내부로 이동하여 트러스의 곡율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트러스보다 큰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트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레인 또는 에어 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세울 수 있는 트러스룰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경제적인 건축 구조물 건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한 형태는, 대각선 웨브 부재로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를 가지며, 하나의 중간 부분과 단단한 두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분의 하부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력 케이블 내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길이가 긴 다수의 튜브로 형성되어 아래로 구부러져 있는 트러스로서, 상기 트러스의 길이를 짧게하고 상기 케이블을 인장시키므로써 상기 중간 부분의 하부 코드는 짧아지고, 상기 중간 부분은 튜브 부재가 겹침 및 맞닿음 관계를 유지하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위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제적인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2도, 9도 및 10도에는 다수의 트러스(12)를 이용하여 형성된 구조물 (10)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트러스(12)는 두 단부 부분(14)과 하나의 중간 부분(16)을 구비한다.
단부 부분(14)은 강체이며, 완성된 구조물의 벽을 형성한다.
각각의 단부 부분은 상부 코드(18) 및 하부 코드(20)로 형성된다. 상부 코드(18)와 하부코드(20)는 지그재그 형상의 대각선 웨브 부재(22)에 의해 이격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코드는 한 쌍의 강성 튜브(18A,18B)로 형성되고, 하부 코드는 채널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코드를 형성하는 부분의 갯수 및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단부부분(14)의 각 단부에는 제각기 지표 연결점(24,26)이 있는데, 이들의 부착은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지표 연결점은 하부코드(20)의 각형 연장부(30)와, 버팀 부재(32) 및 대각선 웨브 부재(22)로 구성되는 삼각형 하부 구조물(28)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보강 버팀대(34)가 삼각형 하부 구조물을 완성한다.
중간 부분(16)은 상부 코드(36) 및 하부 코드(38)를 구비한다. 상부 코드(36)는 단부부분(14)의 상부코드(18)의 연속적인 연장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코드는 한 쌍의 튜브 (36A,36B)로 형성된다. 구조적 완전함을 위해 각각의 튜브(36A,36B)는 웨브(39)에 의해 결합된다. 하부코드(38)는, 직경 감소 단부 부분(40)을 통해 그 각각의 자체내에서 끼워지도록(telescope)되어 두개의 불연속 튜브(38A,38B)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튜브(38A,38B)를 사용하지만 튜브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사용되는 튜브의 갯수를 증가시키면 적용할 수 있는 인장력과, 완성된 구조물의 전장이 증가하게 된다. 튜브(38A,38B)는 대각선 웨브부재(44)에 고정되는 장방형의 교차부 커넥터(42)내의 삽입에 의해 상부 코드(36)으로부터 이격된다. 중간 부분을 완성하기 위하여 고장력 케이블(46,48)이 각각 튜브(38A ,38B)에 꿰어진다.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하부 코드(38)는 조립상태에서는 아래쪽으로 굽어지게 된다. 케이블(46,48)은, 지점A(제3도 참조)에서 중간부분(16)으로부터 나와서, 단부 부분(14)의 상부 및 하부 코드(18,20)를 연결하는 튜빙(50,52)에 들어가므로써 상기의 아래쪽으로 굽어진 형태를 유지한다. 잡아당김이 완료되었을때 케이블(46,48)을 고정시키기 위해 단부 부분(14)의 단부 부근에 인장 고정점(54,56)이 제공된다.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었을 때 트러스(12)의 측방향 안정성을 위해 중간 부분(16) 및 단부 부분(14)의 선정 위치에는 브레이싱(bracing)(58)이 제공될 수 있다. 제8도는 중간 부분(16)에 측방향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두 개의 트러스(12)각각에는 클리트(cleat)(60)가 고정되고, 인접한 클리트 사이에서 체결구(64)에 의해 중도리(purlin)(62)가 부착된다. 중도리(62)는 상부 코드(36)의 상부면 아래에 설치되고, 비응력 상태에서는 피복물(66)이 정착할 수 있게 한다. 피복물(66)은 체결구(68)에 의해 튜브(36A,36B)에 고정된다(제6도참조). 플라이 브레이스(70)의 일 단부는 하부 코드(38)에 그리고 다른 단부는 중도리(62)에 부착된다. 인장 이음부(72,74)는 상부코드(36)와 하부코드(38) 사이에 연결되고, 건설중에 하부 코드가 축소될때 트러스 깊이 (상부 코드에 대해 수직방향)가 이에 따라 감소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각선 웨브 부재(44)의 평면에 놓인다. 인장 이음보(72,74)의 자유단부(76,78)는 인접하는 트러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피복물(66)은 상부 코드(18)상의 클리트(82)에 부착되어 있는 층도리(girt)(80)(제3도 및 제7도 참조)에 의하여 단부 부분(14)에 고정된다. 층도리(80)의 종래의 경화용 벽 브레이싱 사용을 허용하는 상부 코드(18)의 상부면위에 놓인다.
피복물(66)은 이 부위에서는 응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설치는 중도리의 상부 에지가 상부 코드(36)의 중립축이나 그 부근에 있도록 양호한 위치에서 중도리가 상부 코드의 내측 아래에 있는 중도리(62)에 대한 상술한 바와는 대조를 이룬다. 이러한 상태는 중간 부분의 피복물이 건설 과정중에 그 과정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축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부러지고 축방향으로 압축된 피복물은 중도리와 트러스 시스템에 적절히 부착되었을 때 건설중의 일반적인 불안정성에 대항하여 지붕을 보강하고, 스스로 지탱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중의 일부를 트러스로부터 기둥으로 전달하므로써 트러스 시스템에 부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고, 적용되는 하중을 작업 수명 동안에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분포시킨다.
본 발명의 트러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건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트러스(12)는 현장에서 조립되고, 제1 및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놓인다. 튜브(38A,38B)는 서로의 내부로 삽입되고, 케이블(46,48)이 이를 통하여 꿰어져 인장 고정점(54,56)상의 일단부에서 종결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도의 우측 단부가 종결부이다. 제2도에 도시된 상태로 있는 동안 피복물(66)은 브레이싱(58)과 함께 트러스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장점은 지면 높이에서 조립됨으로써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일어나는 안전 사고가 감소되는 것이다. 전기 설치 작업 또한 상당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시간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제1도의 왼쪽에서 지표 연결점(26)은 고정된 지표(도시되지 않음)에 피봇식으로 핀으로 고정된다.
트러스는, 아래로 굽어진 고장력 케이블(46,48)을 인장시킴으로써 중간 부분(16)에 생성되는 상향력과, 지면 높이 또는 그 바로 위높이에서 일시적인 수평 케이블(84)(제9도 참조)에 의해 트러스의 단부를 함께 당김으로써 나타나는 강성 외측 단부 부분(14)의 외향 회전의 결합 작용에 의하여 상승된다. 피봇되지 않은 지표 연결점은 지표를 따라 활주할 것이고, 트러스는 제9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상승될 것이다.
위로 굽어진 고장력 케이블(46,48)에 의해 트러스에 작용하는 하향력과, 지표 연결점(26)을 수평 케이블(84)로 당기므로써 발생하는 단부부분(14)의 계속적인 회향 회전에 의하여 구속되는 상부코드(36)의 상향좌굴을 제어함으로써 중간부분(16)은 계속 상승된다. 튜브(38A,38B)가 인접한 튜브와 접촉하여 트러스가 최종적으로 그 최종 형상(제10도 참조)을 갖출때까지 상기 튜브(38A,38B)는 상호 끼워짐에 의해 짧아진다. 다음에, 중간부분(16)은 더 이상 굴곡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제1도의 점선은 구조물의 최종 폭을 나타낸다. 고장력 케이블(46,48)에 추가로 인장력을 가하여 하부 코드의 튜브(38A,38B)를 예비압축 시키므로써 중간 부분(16)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제 모든 지표 연결점은 고정된 지표 기부판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46,48)은 인장 고정점(54,56)에 고정된다. 제10도는 또한 인장된 강케이블 지주(86)에 의해 구조물(10)이 초과 부과된 측하중에 대항하도록 예비 하중을 받을수도 있음을 도시한다.
실제로 본 발명은 항공기 및 비행선 격납고에 적합한 적어도 10층 높이의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광범위한 영역 및 이에 관련한 저렴한 원가에 비추어, 본 발명은 종래에는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던 영역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이의 부수적인 장점은 상기 설명에 따라 이해될 것이며, 또한 부품 형태, 구조 및 배치를 여러 가지고 변경시킬 수 있고, 이들 변경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거나 재료의 장점을 희생기키지 않고 트러스의 형태, 구조 및 배치에도 적용시킬 수 있으며, 본원에 기술된 형태는 단지 그 양호한 실시예일 뿐이다.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상부코드, 적어도 하나의 하부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코드를 하부 코드에 연결시키는 다수의 대각선 웨브 부재, 고정된 지표 기부판에 피봇 고정되는 비교적 강성인 제1단부 부분 및 지표위에서 활주 가능한 비교적 강성인 제2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단부 부분은 가요성의 중간 부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중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는 그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력 케이블이 이를 통해 체결되는 다수의 튜브로 형성되고 구조물이 세워지기 이전에 아래로 굽는, 구조물 건설에 사용되는 트러스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가 짧아지고 적어도 하나의 상부 코드와 하부 코드가 위쪽으로 구부러지며 트러스가 직립 위치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장력 케이블이 인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장력 케이블은 상기 중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로부터 나오고, 상기 트러스의 단부 부근의 제1 및 제2단부 부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코드와 교차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단부 부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코드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코드는 그 각각이 다수의 튜브를 통해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장력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튜브는 상기 중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를 짧게 하기 이전에 서로 끼워지며, 상기 중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 주위에 다수의 교차부 커넥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4. 적어도 하나의 상부 코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코드를 하부 코드에 연결시키는 다수의 대각선 웨브 부재, 고정된 지표 기부판에 피봇 고정되는 비교적 강성인 제1단부 부분 및 지표 위에서 활주 가능한 비교적 강성인 제2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단부부분은 가요성 중간 부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중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는 그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력 케이블이 이를 통해 체결되는 다수의 튜브로 형성되고, 구조물이 세워지기 이전에 아래로 굽는, 구조물 건설에 사용되는 트러스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가 짧아지고 적어도 하나의 상부 코드와 하부 코도가 위쪽으로 구부러지며 트러스가 직접 위치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장력 케이블이 인장되고, 상기 다수의 튜브는 상기 중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를 짧게 하기 이전에 서로 끼워지며, 상기 중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코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 주위에 다수의 교차부 커넥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KR1019860004843A 1986-03-13 1986-06-18 트러스 구조물 및 그 건설방법 KR910008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H502286 1986-03-13
AU5022 1986-03-13
AUPH5022 1986-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088A KR870009088A (ko) 1987-10-23
KR910008081B1 true KR910008081B1 (ko) 1991-10-07

Family

ID=377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843A KR910008081B1 (ko) 1986-03-13 1986-06-18 트러스 구조물 및 그 건설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90429A (ko)
EP (1) EP0237667B1 (ko)
JP (1) JPH0637790B2 (ko)
KR (1) KR910008081B1 (ko)
CN (2) CN1011807B (ko)
AT (1) ATE60390T1 (ko)
CA (1) CA1287729C (ko)
DE (1) DE3677198D1 (ko)
NZ (1) NZ2182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8421B2 (en) * 1986-01-31 1989-09-14 Strarch Industries Pty. Ltd. Structures
JPH03295941A (ja) * 1990-04-13 1991-12-26 Ohbayashi Corp アーチ型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GB2281572A (en) * 1991-05-31 1995-03-08 Alfred Alphonse Yee Truss for e.g. bridges
JP2798819B2 (ja) * 1991-06-14 1998-09-17 飛島建設株式会社 ドームの構築工法
JP2798820B2 (ja) * 1991-06-18 1998-09-17 飛島建設株式会社 トラスの製作方法およびトラスによるドームの構築工法
DE4432251A1 (de) * 1994-09-10 1996-05-30 Dietmar Dipl Ing Dip Kallinich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gekrümmten Tragwerkes
US5701713A (en) * 1996-03-29 1997-12-30 Silver; Daniel J. Adjustable truss
DE19837883C2 (de) * 1998-08-20 2003-03-20 Konrad Lehrhuber Trägervorrichtung für Baukonstruktion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rägervorrichtung
GB0002519D0 (en) * 2000-02-03 2000-03-29 Univ Dundee Cantilever support and erectable structures
AT411472B (de) * 2001-09-05 2004-01-26 Poestinger Christian Ing Tragwerk
AUPS171302A0 (en) * 2002-04-12 2002-05-16 Blazley, Wade Hylton Roof structure
US6892502B1 (en) * 2003-03-26 2005-05-17 David A. Hubbell Space frame support structure employing weld-free, single-cast structural connectors for highway signs
FR2857038B1 (fr) * 2003-07-03 2007-03-30 Marc Edouard Irigoyen Systeme d'accrochage de poutre
US20070289228A1 (en) * 2004-03-31 2007-12-20 Peter Key Modular Structures
US20080092481A1 (en) 2004-07-21 2008-04-24 Murray Ellen Building Methods
US20080184657A1 (en) * 2004-07-21 2008-08-07 Murray Ellen Building Methods
US8065762B1 (en) * 2004-09-28 2011-11-29 Jay Ewing Hammock arch
CA2679850A1 (en) * 2006-03-13 2007-09-20 Housall Systems Corporation Panel building component and building shelter
CN100422468C (zh) * 2006-07-07 2008-10-01 贵州大学 大跨度大柱距拟肋型楼盖式预应力钢网格屋盖结构
US20080307718A1 (en) * 2007-06-13 2008-12-18 Murray Ellen Domed steel roof frame
US20080307719A1 (en) * 2007-06-13 2008-12-18 Murray Ellen Domed non-steel roof frame
CN101280613B (zh) * 2008-03-13 2010-06-09 边海波 桁架组装套件及其桁架和桁架支撑系统
AU2011232748B2 (en) 2011-10-05 2016-05-26 Danpal Australia Pty Limited Truss System
CN102733546A (zh) * 2012-07-06 2012-10-17 苏州工业园区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大跨度拱形桁架结构
CN103174258B (zh) * 2013-02-28 2015-04-29 华南理工大学建筑设计研究院 一种张弦梁撑杆的抗滑装置
CN103114672B (zh) * 2013-03-08 2015-12-16 中铁五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高寒多年冻土隧道洞口的钢桁架弧棚
CN105064505B (zh) * 2015-08-06 2017-08-08 中国华西企业股份有限公司 一种倒三角管桁架及其施工方法
CN105569187A (zh) * 2016-01-18 2016-05-11 江苏沪宁钢机股份有限公司 一种大跨度钢结构反拱张弦梁屋盖及其施工方法
CN107974917B (zh) * 2017-11-15 2019-04-16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弯折节点、曲线连续钢桁梁桥及其设计方法
CN108625530B (zh) * 2018-06-26 2024-01-19 上海天华建筑设计有限公司 张弦梁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104203B (zh) * 2019-05-16 2024-03-26 新誉集团有限公司 飞艇用碳纤维桁架的装配定位装置及装配方法
CN112523358B (zh) * 2020-09-04 2022-06-17 浙大城市学院 一种双向斜交组合的轮辐式张拉索桁架体系及应用
CN112523357B (zh) * 2020-09-04 2022-06-17 浙大城市学院 一种立面弧形大开洞的钢支撑筒-下挂式桁架体系及应用
CN112681521A (zh) * 2020-12-25 2021-04-20 海南大学 一种大跨摇摆自复位结构
CN113775053A (zh) * 2021-09-27 2021-12-10 青岛新华友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跨度预应力混凝土框架梁铰连接节点结构
CN114000712A (zh) * 2021-11-24 2022-02-01 上海宝冶工程技术有限公司 大跨度管桁架结构下挠变形空中滑轨系统
CN114263276A (zh) * 2021-12-24 2022-04-01 中核华辰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大跨度建筑钢结构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5461A (en) * 1947-02-11 Scaffolding
BE516495A (ko) *
GB190902508A (en) * 1908-02-11 1909-04-08 Melvin Vaniman Improvements in Shelters for Housing Dirigible Balloons.
US1915424A (en) * 1928-03-14 1933-06-27 Mcclintic Marshall Company Metallic joist
US1985599A (en) * 1931-11-19 1934-12-25 Summerbell Truss Co Roof construction
US2021480A (en) * 1931-12-14 1935-11-19 Davidson Louis Arch construction
US2415240A (en) * 1944-03-10 1947-02-04 Michael A Fouhy Process of erecting large span buildings
US2578465A (en) * 1946-10-07 1951-12-11 Davisbilt Steel Joist Inc Metal joist
US2636457A (en) * 1950-08-22 1953-04-28 Boeing Co Collapsible truss structure
US2793720A (en) * 1951-12-24 1957-05-28 Kwikform Ltd Scaffolding and other structural elements
US2693195A (en) * 1952-07-03 1954-11-02 Frieder Portable shelter
US3091313A (en) * 1958-03-13 1963-05-28 Dan L Colbath Long span deck member
CH378519A (de) * 1960-04-21 1964-06-15 Eggstein Julius Zelthallenkonstruktion
US3377637A (en) * 1965-06-10 1968-04-16 Zamorano Luis Ramirez Pre-stressed truss
FR1445189A (fr) * 1965-08-23 1966-07-08 Esslingen Maschf Procédé pour l'édification de charpentes destinées à soutenir des halles, tentes, ou analogues et appareillag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US3530622A (en) * 1966-05-23 1970-09-29 Edwin Jacques Cohen 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GB1202706A (en) * 1967-05-09 1970-08-19 Edwin Jacques Cohen Arched building members
US3708944A (en) * 1969-10-31 1973-01-09 M Miyake Method of making an arch
US3826057A (en) * 1972-01-03 1974-07-30 J Franklin Truss system
DE2342049A1 (de) * 1973-08-20 1975-03-13 Huurne Johannes Gerhardus Anto Baukonstruktion mit vorgespannten elementen
AU505679B2 (en) * 1975-02-13 1979-11-29 Elspan International Ltd. Roof structure
US4275537A (en) * 1977-05-26 1981-06-30 Tension Structures, Inc. Tension members
JPS5539513A (en) * 1978-09-10 1980-03-19 Yoshihiro Yonahara Simply assembled structure
US4259825A (en) * 1979-02-23 1981-04-07 Nasa Foldable beam
GB2051919B (en) * 1979-06-02 1983-01-19 Gleeson M Stiffened elongate support member
US4393637A (en) * 1980-10-10 1983-07-19 Mosier Leo D Wood roof truss construction
AU535636B2 (en) * 1982-03-15 1984-03-29 Strarch Industries Pty. Ltd. Trussed support for ro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87729C (en) 1991-08-20
KR870009088A (ko) 1987-10-23
ATE60390T1 (de) 1991-02-15
CN86104405A (zh) 1987-10-28
NZ218222A (en) 1989-08-29
CN1043182A (zh) 1990-06-20
JPH0637790B2 (ja) 1994-05-18
EP0237667B1 (en) 1991-01-23
JPS62220636A (ja) 1987-09-28
EP0237667A2 (en) 1987-09-23
EP0237667A3 (en) 1988-02-03
US4890429A (en) 1990-01-02
CN1017173B (zh) 1992-06-24
DE3677198D1 (de) 1991-02-28
CN1011807B (zh) 199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081B1 (ko) 트러스 구조물 및 그 건설방법
US4697397A (en) Trussed girder, roof framing using the trussed gird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oof framing of a building using the trussed girder
US3909993A (en) Arch supported membrane structure
US4676045A (en) Post-tensioned steel structure
US4682449A (en) Retractable stadium roof system with rectangular opening
WO1994015041A1 (en) Precision structural system
US3849953A (en) Arched building assembly formed of resiliently, flexible members
US4052834A (en) Method of erecting a roof structure
KR920002118B1 (ko) 지붕 구조물
US4143502A (en) Method of erecting a structural arch support
JPH01299943A (ja) トラス構造
RU2567588C1 (ru) Вантовое покрытие
US4727696A (en) Stable structure consisting of tubular components and posttensioned cables or other tensory elements
JP3709080B2 (ja) 張弦梁構造
US3990194A (en) Arch supported membrane structure and a method of erection that pretensions the arches and membranes
AU594056B2 (en) Building truss
WO1990013715A1 (en) Lift arch building system
JP3252675B2 (ja) 全天候型仮設屋根
AU640658B2 (en) Lift arch building system
JPH0747866B2 (ja) トラス梁
AT124457B (de) Stahlfachwerke für Wände, Decken u. dgl.
SU1110884A1 (ru) Подвесные подмости
SU1691493A1 (ru) Кондуктор дл возведени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JP2764366B2 (ja) 開閉機構を備えた仮設テント
Tran et al. Butterfly structure for spatial en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