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372B1 -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372B1
KR910007372B1 KR1019860003893A KR860003893A KR910007372B1 KR 910007372 B1 KR910007372 B1 KR 910007372B1 KR 1019860003893 A KR1019860003893 A KR 1019860003893A KR 860003893 A KR860003893 A KR 860003893A KR 910007372 B1 KR910007372 B1 KR 910007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rmwork
concrete
plat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203A (ko
Inventor
다가요시 요고다
시게가즈 호리야
겐지로오 다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구마가이구미
구마가이 다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1513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740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07978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867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0146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0500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구마가이구미, 구마가이 다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구마가이구미
Publication of KR86000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거푸집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거푸집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의 스페이서를 가진 거푸집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에 따르는 횡단면도
제5도는 제 3도에 도시한 거푸집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의 스페이서를 가진 거푸집의 횡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거푸집의 스페이서 및 제1의 시이트의 부분정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제7도의 8-8선 및 9-9선에 따르는 횡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한 스페이서의 변형예의 횡단면도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의 스페이서를 가진 거푸집의 부분정면도 .
제12도 및 제13도는 제11도의 12-12선 및 13-13선에 따르는 횡단면도.
제14도는 다른 실시예의 스페이서를 가진 거푸집의 부분정면도.
제15도 및 제16도는 제14도의 15-15 선 및 16-16선에 따르는 횡단면도.
제17도는 제14도에 도시한 스페이서의 변형예의 횡단면도.
제18도는 다른 실시예의 스페이서를 가진 거푸집의 부분정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19-19선에 따르는 부분횡단면도.
본 발명은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 구축물 등의 콘크리트 성형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콘크리트에 함유하는 수분은 시멘트의 수화(수화水和)에 필요하며 또한 충분한 량일 것이 이상적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함수량의 콘크리트는 유동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그 타설공간의 구석구석까지 들어가 닿지못한다. 그러므로 현실적으로는 시멘트수화에 불필요한 잉여수를 함유한 콘크리트가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으로서 콘크리트의 타설공간에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에 접하는 플래스틱제, 강제혹은 목제의 거푸집판을 가진 것이 주지이며 상기 거푸집판으로 둘러쌓인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잉여수를 함유한 상태로 양생된다.
잉여수를 다량으로 함유한 타설콘크리트는 타설후에서의 초기강도의 발현이 비교적 늦기 때문에 콘크리크 공사가 지연되고 또 상기 타설콘크리트는 그 건조시에서의 수축량이 많으므로 그 성형물에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내구성 및 수밀성에 우수한 양질의 콘크리트 성형물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이 콘크리트중에 기포의 형태로 공기가 혼입하게 되나 이들의 기포의 일부는 양생중에 콘크리트에서 나와 대기에 방출되는 것이나 나머지 일부는 콘크리트가 유동성을 유지하는 동안에 자연적으로 또는 닫지내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 및 이 콘크리트와 상기 커푸집판 사이에 잔류하여 중공부를 형성한다. 이 중공부 역시 콘크리트 성형물의 내구성능 및 수밀성능을 저하시킨다.
종래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타설 후 콘크리트로부터 영여부 및 기포를 될 수 있는한 배출시킬 수 있는 거푸집이 제안되었다.
이 거푸집은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52-1371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공이 뚫어진 판재와 이 판재에 접착된 하나 또는 다수의 필터시이트를 포함하여 이 필터시이트는 수분을 투과시키나 시멘트립자 등의 투과는 저지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거푸집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공간은 상기 필터시이트에 의하여 규정되며 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이 콘크리트중의 잉여수 및 타설시에 상기 콘크리트중에 혼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시이트 및 판재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거푸집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필터시이트로 되는 경우에는 이 펄터시이트가 또 다수의 필터시이트로 되는 경우는 상기 판재에 접하는 가장 안쪽의 필터시이트가 상기 관통공을 제외한 부분에서 각각 판재에 접착되어 다수매의 필터시이트는 또한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여 서로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타설 콘크리트중의 잉여수 및 공기의 거푸집 외부로의 배출은 실질적으로 상기 필터 또는 판재의 표면전체중의 일부의 면적을 차지하는 개소인 상기 관통공 및 이 관통고에 대응하는 필터시이트부분에 의해서 행하여져서 잉여수 및 공기의 배출량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의 유동성을 가진 상태동안에 배출할 수 있는 잉여수 및 공기량은 현저하게 제한된다.
실질적으로 배수 및 배기작용을 하지않는 잔여부분을 적게하는데는 상기 판재에 뚫려지는 관통공수를 보다 많게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판재에 미치는 압압력 즉 측압에 대항가능한 강도를 판재가 유지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또 보다 많은 관통공을 가지며 또한 측압에 대항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판재로 하기 위해서는 두께치수보다 크거나 보다 큰 강도를 가지는 체질의 재질의 것이 필요하게 되나 전자는 경량인 것이 바람직한 거푸집에 중량증대를 가져오고 또 후자는 시공비용의 저감이 필요한 콘크리트공사에서의 설비비의 고등을 가져온다.
또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60-43528호 공보에는 금속판에 통기성 및 흡수성을 가진 다공성자재를 첩착한 거푸집이 기재되어 있다. 이 거푸집에 의하면 타설 콘크리트중의 잉여수는 상기 다공성자재를 통하여 거푸집외부로 배출되며 또 공기는 다공성자재의 구멍을 통하여 대기에 반출되는 것이나 상기 다공성자재를 금속판에 접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제가 다공성자재의 구멍을 메꾸어 이것이 잉여수 및 공기를 위한 유동 경로를 제한하여 이들의 배출량을 적게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이트가 부착되는 판의 강도를 저하시킴이 없이 또 두께치수의 비교적 크거나 특히 강도에 우수한 재질의 판으로 하지 않고 타설콘크리트중의 잉여수 및 공기를 단시간내에 다량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성형용거푸집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접하여 이 콘크리트중의 잉여수 및 공기는 통과시킬 수 있으나 콘크리트의 통과는 저지하는 제1의 시이트와 이 제1의 시이트에 고정되어 잉여수를 스며들게 하는 제2의 시이트와 이 제2의 시이트에 고정된 거푸집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의 시이트는 이 제1의 시이트에 접하는 타설콘크리트로부터 제1의 시이트내로 스며드는 잉여수 및 이 잉여수와 함께 제1의 시이트내로 침입하는 공기의 통로를 제공한다. 이 통로는 상기 제1의 시이트가 직물의 경우는 이들을 구성하는 다수의 실 사이를 간격인 조직간격 상기 실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사시이의 간격 및 역사를 구성하는 다수의 섬유사이를 간격으로 되어 잉여수 및 공기는 이들의 간격을 통하여 거푸집 외부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제1의 시이트에는 예를들면 거푸집판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는 함침(含浸)되지 않고 제2의 시이트에 함침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의 시이트의 간격이 적착제로 막히는 것 없이 제1의 시이트 전체를 또한 제1의 시이트와 제2의 시이트 사이의 간격을 잉여수 및 공기의 유로로 이용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잉여수 및 공기를 단시간에 다량으로 비출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접착제가 함침되는 제2의 시이트를 비교적 거친 조직밀도의 것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많게 보다 용이하게 접착제를 제2의 시이트에 함침시킬 수 있다. 다량으로 함침된 접착제는 거푸집판(지지판)이 구비하여야 할 상기 제1의 시이트의 유지력을 보다 증대시켜 탈형시에서의 성형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제1의 사이트의 박리를 보다 확실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은 상기 제1의 시이트 또는 제 1 및 제2의 시이트를 통과한 잉여수 및 공기의 통로를 규정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의 시이트 또는 제1의 시이트 및 제2의 시이트를 통과한 타설 콘크리트중의 잉여수 및 공기를 상기 스페이서의 통로를 통하여 거푸집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통로를 흐르는 수분 및 공기의 량은 스페이서와 제1 또는 제2의 시이트와의 접촉면적을 적게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상기 스페이서에 통로의 일부로 되는 구멍을 많이 설하는 것에 의하여 배출량을 많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것에 의하여 거푸집판의 강도는 손상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거푸집판과 타설콘크리트 사이에 비교적 다량의 잉여수 및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통로를 설하는 것은 상기 거푸집판에 잉여수 및 공기를 위한 유통로를 설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또 거푸집판의 강도를 저하 시키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시의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푸집(1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도시하지 않음)에 접하게 되는 제1의 시이트 (12)와 이 제1의 시이트(12)에 고정된 제2의 시이트(14)와 이 제2의 시이트의 고정된 거푸집판(16)을 포함한다.
다수의 거푸집(10)은 형성되는 콘크리트 성형물 예를들면 건축물의 벽인 경우는 그 벽면으로 되는 적어도 한쪽을 규정하도록 상하방향 및 옆방향으로 접합하여 사용된다. 거푸집(10)의 서로 접합을 위하여 거푸집판(16)의 제1의 시이트(12) 및 제 2의 시이트(14)가 배치된 한쪽면과 반대측의 다른 쪽면에 접하여 프레임상의 틀판(18)이 부착되어 있다.
틀판(18)은 제1의 시이트(12), 제2의 시이트(14), 거푸집판(16) 및 들판(18)을 관통하는 다수의 리벳(20)에 의하여 거푸집판(16)에 고정되어 있다. 서로 상대하여 결합된 거푸집판(16)보다 큰 면적을 가진 제1 및 제2의 시이트(12), (14)의 결합체는 거푸집판(16)의 주연으로 절곡되며 상기 주연부가 거푸집판(16)과 틀판(18)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거푸집판(16) 및 들판(18)는 각각 예를 들면 유리섬유 강화플래스틱(FRP) 제 및 철제로 할 수가 있다. 거푸집판(16)은 또 합성수지재료로 사용할 수가 있다.
타설콘크리트는 이것이 제1의 시이트(12)에 의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규정되는 타설공간의 구석구석까지 들어가 닫게 시멘트의 수화에 필요한량이 외의 수분, 즉잉여수를 포함한 상태로 사용된다. 또 상기 타설공간에 콘크리트를 투입할 때 공기가 기포의 형태로 타설 콘크리트중에 혼입된다. 이들의 잉여수 및 기포는 콘크리트 성형물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제1의 시이트(12)는 여기에 접하는 콘크리트중의 잉여수는 통과시키니 콘크리트의 통과는 저지하는 도시예와 같은 직포 혹은 도시하지 않는 부직포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잉여수는 통과시키나 콘크리트의 통과는 저지한다. 함은 미경화의 콘크리트로부터 잉여수와 함께 스며나오는 시멘트립자나 다른 미립자는 통과시키나 잉여수가 다 나온후의 콘크리트, 즉 시멘트, 이 시멘트의 수화에 필요한 수분, 골재등으로 되는 결합립자의 통과를 못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직포, 부직포등은 내알카리성, 내수성, 내후성에 풍부하며 또한 인장강도가 비교적 높은 합성섬유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시이트(14)는 일면에서 제1의 시이트와 결합되며 또한 타면으로 합성수지제의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22)에 의하여 거푸집판(16)에 접착되어 제1의 시이트(1)보다도 직목이 거츠른 제2의 시이트(14)에 잉여수를 스며들게 한다. 이 제2의 시이트는 제1의 시이트(12)와 동일한 합성섬유제의 직포로 구성할 수가 있다. 제2의 사이트(14)가 합성섬유이며 또한 거푸집판(16)이 합성수지재료로 되는 경우는 접착제 사용대신으로 이들의 한쪽의 표면을 열용융하여 이 용융상태동안에 양자를 압착하여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제2의 시이트(14)를 직목이 거치른 것의 도시예에서는 위사(14a)와 경사 (14b)사이의 조직간격이 큰 직포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제2의 시이트(14)에 다량의 접착제(22)를 용이하게 함침시킬 수가 있다. 이것은 거푸집판(16)과 제2의 시이트(14)사이에 접합력을 보다 높일 뿐만 아니라 제1의 시이트(12)와 거푸집판(16)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높힌다. 이것에 의하여 콘크리트 성형물로부터 제1의 시이트(12)를 박리하여 탈형할 때 거푸집판(16)에서의 제1의 시이트(12)의 박리를 방지할 수가 있다. 접착제(22)는 제2의 시이트 (14)의 두께의 절반에 달할정도로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시이트(12)와 제2의 시이트(14)는 인장강도의 비교적 높은 예를들면 합성섬유제의 실(26)에 의하여 결합할 수가 있다.
상기 타설공간에 투입되어 제1의 시이트(12)에 접하는 콘크리트로부터 스며나온 잉여수 및 이 잉여수에 운반되는 공기는 제1의 시이트(12)에 침입한다. 그러나 콘크리트, 즉 시멘트, 골재, 시멘트의 수화에 필요한 수분등으로 되는 결합립자는 제1의 시이트(12)에 침입이 저지되어 타설공간에 머무른다. 또 제1의 시이트(12)에 침입한 잉여수 및 공기의 일부는 다시 제1의 시이트(12)를 통하여 이 제1의 시이트와 제 2의 시이트(14) 사이의 간격으로 다시 제2의 시이트(14)가 접착제로 완전하게 함침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제2의 시이트(14)내로 침입한다.
제1의 시이트(12), 제1의 시이트(12)의 시이트(14) 사이의 간격 및 제2의 시이트 (14)의 각각에서의 잉여수 및 공기는 중력의 작용하에서 거푸집(10)의 아래쪽 및위쪽으로 각각 유동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1의 시이트(12)를 구성하는 직포중의 잉여수 및 공기는 이 직포의 다수의 경사 (12b) 사이(또는 위사 12a사이)의 조직간격, 이들의 실을구성하는 다수의 연사 (도시하지 않음)사이의 실오리간격 및 연사를 구성하는 다수의 섬유사이의 섬유간격을 통하여 흐른다.
이와 같은 사정은 직포로 되는 제2의 시이트(14)중에 침입한 잉여수 및 공기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이다.
상기 잉여수 및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제1의 시이트(12)에서의 상기간격은 이 제1의 시이트(12)의 전체에 결쳐서 존재하고 또 여기에 더하여 제2의 시이트(14)에서의 간격 및 제1의 시이트(12) 및 제2의 시이트(14) 사이의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시간내에서의 다량의 잉여수 및 공기를 통과시키므로서 거푸집(10) 외부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잉여수의 배출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가 저하하고 이것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초기강도의 발현시간이 빨라진다. 그 결과 초기 탈형이 가능하게 되며 콘크리트의 공사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또 물.시멘트비의 저하의 강도는 제1의 시이트(12)에 접하는 콘크리트 표면에 있어서 가장 현저하기 때문에 표면은 매우 경질의 콘크리트 성형물이 형성된다. 또한 공기의 배출에 의해서 콘크리트 성형물의 표면에 공기흔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시이트(12),(14)는 타설 콘크리트의 단열재로 작용하기 때문에 동기, 하기, 고지, 산간부등에서의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온도차에 따른 콘크리트표면의 균열 발생방지에 기여한다. 또 제1의 사이트(12)에 있는 통기성, 통수성 및 잉여수 및 공기의 유통성을 거푸집의 여러 번사용에 의해서는 없어지지 않는다. 제1 및 제2의 시이트(12),(14)의 기능 또는 작용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스페이서 (24)를 가진 거푸집(30)를 도시한다.
이 스페이서(24)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시이트와 동일한 시이트(12)를 통과한 잉여수 및 공기의 통로를 규정하는 판상부재(32)로 된다. 판상부재(32)는 한쌍의 평행한 평판부(32a), (32b) 및 양평판부에 연결되는 격벽부(32c)로되며 한쪽의 평판부(32a)에 제1의 시이트(12)가 접착제(34)에 의하여 접합되고 다른 쪽의 평판부(32b)가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거푸집판(16)에 접합되어 있다. 또 한쪽의 평편부(32a)에 양평판부 및 격벽부에 둘러쌓인 4각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또한 대기에 개방된 각 공간(36)에 연결되어서 이 공간과 함께 통로를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38)이 뚫려져 있다.
시이트(12), 판상부재(32), 거푸집판(16) 및 틀판(18)은 상기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들을 관통하는 다수의 리벳(2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단, 시이트(12) 및 판상부재(32)가 거푸집판(16)과 대략같은 평면형상을 가지고 이것이 그 주연을 균일하게 하여 적층(積層)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서와 다르다. 거푸집(30)은 그 사용할 때 상기 잉여수 및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확보하기 위하여 판상부재의 공간(36)이 상하방향으로 뻗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푸집(30)에 규정된 타설 공간에 타입되어 시이트(12)에 접하는 콘크리트중의 잉여수 및 공기는 판상부재(32)의 다수의 구멍(38)에 대향함에 따라 접착제(34)가 도포되어 있지않는 시이트(12)의 여러 부분에 침입한 다음 통로 즉 구멍(38) 및 공간(36)을 통하여 거푸집(3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구멍(38)을 통하여 공간(36)에 들어가는 잉여수 및 공기의 량은 실질적으로 전부의 구멍(38)의 개구면적, 즉 이들의 구멍에 대향하는 시이트(12)의 부분총면적에 의존하므로 비교적 적은구멍(38)을 많이 설하는 것에 의하여 잉여수 및 공기의 배출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한 판상부재(32)의 다른 쪽의 평판부(32b)에 공간(36)으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40)을 설치하 며또한 이구멍에 대응하는 구멍(42)에 의하여 배출하는 것이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다량의 배수 및 배기가 가능하게 된다. 단, 구멍(40) 및 구멍(42)의 뚫음은 거푸집판(16)이 유지하여야할소요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한다.
판상부재(32)는 강성을 가진 재료 혹은 도시예에서와 같이 폴리에치렌, 폴리프로피렌, 염화비닐, 나일론과 같은 합성수지재료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판상부재(32)는 가요성이 있으며 또 경량이기 때문에 여기에 시이트(12)를 첩착한 접합체를 감거나 혹은 접어서 건설현장, 건축현장등으로 반입하여 그것에서 각종치수의 거푸집판(16)의 크기, 평면형상등에 맞추어 절단하여 부착할 수 가 있다. 시이트(12)는 판상부재(32)에 미리 접착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접합체의 절단에 의한 시이트(12)의 실마리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또 시이트(12)는 미리 판상부재(32)에 주름없는 상태로 첩착하여 둘수가 있으므로 상기접합체를 현장에서 거푸집판(16)에 부착은 시이트만을 판에 부착이 필요로 하는 종래 의 거푸집에 비하여 용이하며 신속하게 또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제6도는 잉여수 및 공기의 통로를 규정하는 다른 실시예의 스페이서 (24)를 가진 거푸집(50)를 도시한다. 이 스페이서(24)는 제7도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부재(52)로 되며 이 판상부재는 상기한 바와 동일한 제1의 시이트(12)에 결합된제2의 시이트(14)가 접합되어 있다.
제 2의 시이트(14)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제1의 시이트(12)보다도 거츠른 직목을 가진다. 제1 및 제2의 시이트(12), (14)는 상기한바와같이 실(26)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판상부재(52)는 제3도 내지 제5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일면(52a)에 더욱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기(54)가 있고, 이돌기의 정상면에 제2의 시이트(14)가 접합되어 있다. 제2의 시이트(14)와 판상부재(52)의 접합은 접착제에 의하든가 열용융시킨 돌기 (54)에 제2의 시이트(14)를 고착하는 것에 의하여할 수가 있다.
도시의 각돌기 (54)는 평행 4변형의 평면형상으로 다수의 돌기 (54)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열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의 실시예에서는 판상부(52)의 일면(52a), 제2의 시이트 (14) 및 다수의 돌기 (54)에 규정된 공간(56)이 잉여수 및 공기의 통로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의 시이트(12)의조직 간격, 실오리간격 및 섬유간격과 제1의 시이트(12)와 제2의 시이트(14)에 완전히 함침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제 2의 시이트(14)의 조직간격, 실오리간격 및 섬유간격이 잉여수 및 공기의 통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타설되어 제1의 시이트(21)에 가닿는 콘크리트로부터 스며나온 잉여수 및 공기의 일부는 제1 및 제2의 시이트(12),(14) 사이의 간격으로 되는 통로를 통하여 또 제1 및 제2의 시이트(12), (14)를 횡단한 잉여수 및 공기는 판상부재(52)에 형성된 공간(56)으로 되는 통로를 통해서 거푸집(50)외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콘크리트로부터 스며나온 대량의 잉여수 및 공기에 따라서 배출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10도는 다수의 구멍(58)를 가진 점을 제외하고 판상부재(52)와 완전동일현상을 가진 판상부재(60)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판상부재(60)는 그 일면(60a)에서 접착제에 의하여 제2의 시이트(14)에 접착되고 타면(60b)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62)의 정상면에서 판(16)에 접합되어 있다. 각 구멍(58)은 양면(60a)(60b)에 뚫려있다. 이실시예에서는 거푸집판(16), 판상부재의 타면(60b) 및 돌기(62)에 규정된 공간(64)와 구멍(58)이 판상부재(60)의 잉여수 및 공기의 통로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의 시이트(12),(14)를 통하고 판상부재의 일면(60a)에 도달한 잉여수 및 공기는 구멍(58) 및 공간(64)을 통하여 거푸집외부로 배출된다.
제11도 내지 제13도, 제14도 내지 제16도, 제17도 및 제18도 내지 제19도는 상기합성수지재료로 합성되며 또한 돌기가 설한 또다른 실시예의 판상부재이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판상부재(66)는 상기합성수지재료로 되는 판재로 임보스(imboss)가공을 한 것에 의하여 서로 간격을 둔 4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진 다수의 돌기(68)를 형성하여 된다. 판상부재(66)는 그일면(66a)에 형성된 돌기(68)의 정상면에서 접착제에 의하여 제2의 시이트(14)에 접합되고 그타면(66b)으로 거푸집판(16)에 접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판상부재에 관한 잉여수 및 공기의 통로는 판상부재(66)의 일면(66a), 제2의 시이트 (14) 및 돌기(68)의 측부가 규정하는 공간(70)이 형성하고 있다.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도시한 평상부재(72)는 상기 합성수지재료로 되는 판재에 임보스 가공을 한것에 의하여 서로 간격을 둔 단원통상의 다수의 돌기(74)를 형성하여도 된다.
판상부재(72)는 그 일면(72a)에 형성된 돌기 (74)의 정상면에서 접착제에 의하여 제2의 시이트(14)에 접합되고 그 타면(72b)으로 거푸집판(16)에 접합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판상부재(72)에 관한 잉여수 및 공기의 통로는 판상부재(72)의 일면(72a), 제2의 시이트 (14) 및 돌기(74)의 측부가 규정하는 공간(75)이 형성하여 있다.
제17도에 도시한 판상부재(76)는 일면(76a)에서 제2의 시이트(14)에 또 타면(76b)에 설한 다수의 돌기(80)의 정상면으로 거푸집판(16)에 각각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판상부재(76)에 관한 상기통로는 구멍(78)과 거푸집판(16), 타면(76b) 및 돌기(80)로 규정된 공간(82)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한 판상부재(84)는 상기 합성수지재료로되는 판재에 임보스 가공을 하는 것에 의하여 더욱 간격을 둔 주발상(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의 다수의 돌기 (86)(88)를 그 양면(84a)(84b)에 대칭으로 형성하여된다. 판상부재(84)에는 또 그양면측으로 개구하는 다수의 구멍(90)이 뚫려져있다.
판상부재(84)는 일면측의 돌기(86)의 정상면에서 제2의 시이트(14)에 또 타면측의 돌기(88)의 정상면에서 거푸집판(16)에 접착제에 의하여 각각 접합되어 있다. 이실시예에서는 판상부재(84)에 관한 상기 통로는 공간(92)으로 되는 부분과 구멍(90) 및 공간(94)으로 되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공간(92)은 제2의 시이트(14), 일면(84a) 및 돌기(86)로 규정되고 또 공간(94)은 거푸집판(16), 타면(84) 및 돌기(88)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19도에 도시한 판상부재가 규정하는 통로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다르며 무방향성이기 때문에 거푸집판(16)에 대한 스페이서 (24)의 배치방향 및 콘크리트의 성형시에서의 거푸집의 설치방향을 규정하지 않는다. 또 상기 판상부재의 도시예에 대신하여 강성의 판재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거푸집판(16)은 FRP제의 것에 대신으로 금속제 또는 목제의 것으로서도 좋다.

Claims (19)

  1. 타설되는 콘크리트 중의 잉여수는 통과시키나 상기 콘크리트의 통과를 저지하는 제1의 시이트와 이 제1의 시이트에 결합되어 잉여수만을 스며들게 하는 제2의 시이트와 이 제2의 시이트에 고정된 거푸집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2. 상기 제2의 시이트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거푸집판에 고정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콘크리트성형용 거푸집.
  3. 상기 접착제는 제2의 시이트의 두께의 절반까지 함침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4. 상기제 1 및 제2의 시이트는 각각 직포로 되며 제2의 시이트는 제1의 시이트보다 직목이 거츠른것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거푸집.
  5. 상기 제1 및 제2의 시이트는 실로 격합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6. 상기 직포는 합성섬유로 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7. 타설되는 콘크리트중의 잉여수는 통과시키나 상기 콘크리트의 통과를 저지하는 시이트와 이 시이트에 고정된 스페이서와 이 스페이서에 고정된 거푸집판을 포함하여 상기 스페이서는 시이트를 통과한 잉여수의 통로를 규정하는 콘크리트 성형 거푸집.
  8. 상기 스페이서는 한쌍의 평행평판부 및 양평판부에 연결되어 서로 간격을둔 다수의 격벽부로 되는 판상부재로 되며 적어도 상기 시이트가 적합되는 한쪽의 평판부에 양평판부 및 격벽부에 규정된 공간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뚫려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9. 상기 판상부재는 합성수지제로서 가요성을 가진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10. 타설되는 콘크리트중의 잉여서는 통과시키나 상기 콘크리트의 통과를 저지하는 제1의 시이트와 이 제1의 시이트에 고정되어 잉여수의 스며들게 하는 제2의 시이트와 이제2의 시이트에 고정된 스페이서와 이 스페이서에 고정된 거푸집판을 포함하여 상기 스페이서는 제1 및 제2의 시이트를 통과한 잉여수의 통로를 규정하는 콘크기트 성형용 거푸집.
  11. 상기 스페이서는 일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가지고 이돌기의 정상면에서 상기 제2의 시이트에 접착되고 또 타면으로 상기 거푸집판이 접착된 판상부재로 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12. 상기 스페이서는 일면에서 상기 제2의 시이트에 접착되고 타면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가지며 또한 양면에 개구한 다수의 구멍을 가진 판상부재로서 상기 돌기의 정상면에서 거푸집판에 접착된 판상부재로 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13. 상기 스페이서는 양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가지며 또한 양측면측에 개구한 다수의 구멍을 가진 판상부재로서 일면에서의 돌기의 정상면에서 상기 제2의 시이트에 접합되고 또 타면에서의 돌기의 정상면으로 거푸집판에 접착된 판상부재로 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14. 상기 판상부재는 합성수지제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1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15. 상기 판상부재로 합성수지제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2항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16. 상기 판상부재는 합성수지제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3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17. 상기 제1 및 제2의 시이트는 각각 직포로 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18. 상기 직포는 합성섬유로 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7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19. 상기 제1 및 제2의 시이트는 실로 결합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7항 기재의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KR1019860003893A 1985-05-28 1986-05-20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KR910007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15139A JPS61274046A (ja) 1985-05-28 1985-05-28 コンクリ−ト工事用型枠
JP1985079781U JPH0328670Y2 (ko) 1985-05-28 1985-05-28
JP85-115139 1985-05-28
JP115139 1985-05-28
JP85-79781 1985-05-28
JP1985101467U JPH0330500Y2 (ko) 1985-07-03 1985-07-03
JP85-101467 1985-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203A KR860009203A (ko) 1986-12-20
KR910007372B1 true KR910007372B1 (ko) 1991-09-25

Family

ID=2730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893A KR910007372B1 (ko) 1985-05-28 1986-05-20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30805A (ko)
KR (1) KR910007372B1 (ko)
CN (1) CN1003182B (ko)
AU (1) AU586480B2 (ko)
CA (1) CA1277846C (ko)
GB (1) GB21756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7597A (en) * 1985-05-28 1988-11-29 Kabushiki Kaisha Kumagaigumi Cloth faced form for forming concrete
FR2610658A1 (fr) * 1987-02-09 1988-08-12 Saint Gobain Isover Feuille composite pour panneaux de coffr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GB2206633A (en) * 1987-06-12 1989-01-11 Sgb Group Plc A formwork panel
US4856754A (en) * 1987-11-06 1989-08-15 Kabushiki Kaisha Kumagaigumi Concrete form shuttering having double woven fabric covering
JPH0647874B2 (ja) * 1987-12-04 1994-06-22 株式会社熊谷組 堰板の表面形成用織物
US5139722A (en) * 1987-12-24 1992-08-18 P. G. Lawton (Industrial Svcs.) Limited Method of forming concrete structures
GB8808832D0 (en) * 1988-04-14 1988-05-18 British Cement Ass Formwork panel
US4945701A (en) * 1989-05-16 1990-08-07 Tate Access Floors, Inc. Composite concrete floor panel
EP0429752B1 (en) * 1989-11-20 1993-05-0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orm for patterned concrete
EP0429730B1 (en) * 1989-12-01 1993-03-17 Kabushiki Kaisha Central Engineering A composite material for attachment to a concrete panel
US5124102A (en) * 1990-12-11 1992-06-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abric useful as a concrete form liner
WO1992014014A1 (en) * 1991-02-09 1992-08-2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 form for concrete
US5247730A (en) * 1991-10-25 1993-09-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attaching and bidirectionally tensioning a porous fabric over a form support
US5206981A (en) * 1991-10-25 1993-05-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abric tensioning frame
US5302099A (en) * 1992-09-28 1994-04-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minated fabric useful as a concrete form liner
FR2696654B1 (fr) * 1992-10-09 1995-02-03 Normandie Const Meca Structure filtrante pour la filtration de produits liquides, pâteux ou semi-pâteux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DE19623584B4 (de) * 1996-06-13 2004-10-14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Denver Textiles Flächengebilde zur Verwendung als Betonformzwischenlage
US5824347A (en) * 1996-09-27 1998-10-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crete form liner
DE19812517C2 (de) * 1998-03-21 2000-06-21 Johns Manville Int Inc Betonschalung zur Herstellung von Betonartikeln
DE19834983C1 (de) * 1998-08-03 1999-09-16 Fibertex As Betonschal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etonschalung
US6647639B1 (en) * 1999-03-08 2003-11-18 Injectidry Systems Inc. Moisture removal system
FR2831897B1 (fr) * 2001-11-07 2004-05-28 Alstom Procede de construction d'une voie ferree sur une dalle de beton et selle provisoir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FR2831898B1 (fr) * 2001-11-07 2004-10-01 Alstom Procede de construction d'une voie ferree sur une dalle de beton et selle provisoir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7584581B2 (en) * 2005-02-25 2009-09-08 Brian Iske Device for post-installation in-situ barrier cre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565779B2 (en) * 2005-02-25 2009-07-28 W. R. Grace & Co.-Conn. Device for in-situ barrier
CN100402279C (zh) * 2005-09-08 2008-07-16 武汉科技学院 非织造布透水保湿模板衬的制造方法
DE102009004573A1 (de) 2009-01-14 2010-07-15 Johns Manville Europe Gmbh Betonschal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202009000393U1 (de) 2009-01-14 2009-03-19 Johns Manville Europe Gmbh Betonschalung
EP2427611A2 (de) * 2009-05-04 2012-03-14 Max Frank GmbH & Co. KG Schalungshilfsmaterial zur verwendung bei einer betonschalung, schalungselement und betonschalung
US8579248B2 (en) * 2010-05-17 2013-11-12 James Edward Ray Concrete form system and method
US20110278765A1 (en) * 2010-05-17 2011-11-17 James Edward Ray Concrete form system and method
CN105604233B (zh) * 2015-12-23 2017-11-14 武汉纺织大学 一种纤维织物养护‑饰面混凝土构件及其制备方法
PL3622121T3 (pl) 2017-05-10 2022-04-25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Urządzenie barierowe in-situ z wewnętrznym kanałem iniekcyjnym
CN109457947A (zh) * 2018-12-13 2019-03-12 江阴普顿塑胶有限公司 防渗漏式复合材料建筑模板单元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1277A (en) * 1939-03-30 1943-06-08 Edward D Boyle Method of making concrete pipe
US2349469A (en) * 1941-08-14 1944-05-23 Jesse B Hawley Filter
US2474721A (en) * 1946-03-01 1949-06-28 Vacuum Concrete Inc Vacuum mold for molding concrete and the like
US2688175A (en) * 1947-08-11 1954-09-07 Vacuum Concre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reinforced concrete products
US2671940A (en) * 1949-02-07 1954-03-16 Vacuum Concrete Inc Molding apparatus
GB735451A (en) * 1951-12-29 1955-08-24 Billner Vacuum Concrete S A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ncrete bodies
FR1123281A (fr) * 1955-08-18 1956-09-19 Vacuum Concrete Soc Du Perfectionnements aux procédés et dispositifs de traitement interne du béton frais
DE1684137A1 (de) * 1965-07-23 1970-03-05 Alimak Verken Aktiebolaget Verfahren zum Bauen von Haeusern und Vorrichtungen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3600771A (en) * 1968-08-01 1971-08-24 Tremix Ab Device for draining newly cast concrete by vacuum treatment
US3844527A (en) * 1972-01-04 1974-10-29 S Scott Water reservoir liner for concrete forms
SU486121A1 (ru) * 1972-05-31 1975-09-30 Днепропетровский инжене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Вакуумщит
SE390749B (sv) * 1975-05-30 1977-01-17 Tremix Ab Sett och anordning for vakuumbehandling av betong
JPS52137136A (en) * 1976-05-12 1977-11-16 Yasunaga Riken Co Ltd Method of removing water after placing concrete and concrete shaping form
JPS6043528A (ja) * 1983-08-22 1985-03-08 Kumagai Gumi Ltd 法面のコンクリ−ト打設工法
AT393862B (de) * 1984-03-22 1991-12-27 Rund Stahl Bau Gmbh & Co Schalpl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182B (zh) 1989-02-01
KR860009203A (ko) 1986-12-20
GB2175635B (en) 1988-06-08
CA1277846C (en) 1990-12-18
CN86103638A (zh) 1986-11-26
AU586480B2 (en) 1989-07-13
US4730805A (en) 1988-03-15
AU5796286A (en) 1986-12-04
GB2175635A (en) 1986-12-03
GB8611781D0 (en) 1986-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372B1 (ko) 콘크리트 성형용 거푸집
US4787597A (en) Cloth faced form for forming concrete
GB2259102A (en) Precast concrete slab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604326A1 (de) Zierelement
KR100301693B1 (ko) 지하벽용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JPH03271463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JPH0330500Y2 (ko)
KR950001617Y1 (ko) 건축용 외장재
JPH0782808A (ja) 型枠兼用断熱パネル
JP3568998B2 (ja) 型枠部材
JP3739569B2 (ja) 残存型枠
JPS62236959A (ja) コンクリ−ト打設型枠用堰板
CN109811950B (zh) 一种带天窗的预制预应力双t板
FI68443B (fi) Golvelement foer byggnad och foerfarande foer elementets framstaellning
JP2884618B2 (ja) 壁体構造
JPH08184194A (ja) 流体注入方法
JP3576712B2 (ja) コンクリートの捨て型枠材
JPH066530U (ja) 透水性能付き型枠兼用断熱パネル
JPS62258055A (ja) コンクリ−トの打設方法およびコンクリ−ト打設用型枠
KR20240001531A (ko) 슬림형 경량 합성보드
JPH03100269A (ja) 透水型枠
JPH0626674Y2 (ja) 透水面木及び目地棒
JPH0529846Y2 (ko)
JP3005785U (ja) 型枠部材
JPH02279853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