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693B1 - 지하벽용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 Google Patents

지하벽용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693B1
KR100301693B1 KR1019940700772A KR19940700772A KR100301693B1 KR 100301693 B1 KR100301693 B1 KR 100301693B1 KR 1019940700772 A KR1019940700772 A KR 1019940700772A KR 19940700772 A KR19940700772 A KR 19940700772A KR 100301693 B1 KR100301693 B1 KR 100301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ter
mold
concrete wal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교멘쥰스케
사카구치마사유키
와타나베미치오
다카다가즈타가
가와무라히로마사
호리나카순지
이와타케히데아키
다케사코료이치
다카이신이치로
Original Assignee
기오이 아키오
무라모토 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009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016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기오이 아키오, 무라모토 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기오이 아키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벽용 주입식 콘크리이트형틀(10)(56)(60)(62)(64)(74)(76)(78)(80)에 관한 것으로써, 콘크리이트벽(14)에서의 누수등을 배출하기 위한 투수층(28) 및 도수로(30)를 포함하고 이 형틀을 이용하여 콘크리이트벽을 주입설치하면 콘크리이트의 시멘트페이스트가 투수층(28)에 함침되고 그에따라서 형틀(10)(56)(60)(62)(64)(74)(76)(78)(80)과 콘크리이트벽(14)이 접합되며, 콘크리이트의 경화전의 잉여수 또는 경화후의 누수등은 투수층을 통하여 도수로(30)내에 유입하고 도수로(30)를 유하하여 형틀(10)(56)(60)(62)(64)(74)(76)(78)(80)의 바닥부에서 배출되고, 또 콘크리이트벽에서의 열은 도수로에서 실내측에 설치된 단열층(24)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본 발명은 주입설치한 콘크리이트벽과 일체화하여 남겨지는 동시에 콘크리이트벽에서의 잉여수, 용수(湧水) 또는 누수(漏水) 등을 배출할 수 있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지하벽용콘크리이트형틀의 한 예가 1991년 5월 19일에 공고된 일본국 실공평 3-28670호의 제2도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도수로로써의 플루트(flute)와 투수층으로써의 직물을 갖는 시트를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기판에 설치하고 형틀로써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 형틀을 이용하여 콘크리이트벽을 주입설치하면 콘크리이트의 경화전에는 콘크리이트의 잉여수가 직물을 통하여 플루트내에 유입하고 플루트내를 유하하여 형틀의 바닥부에서 배출되고 콘크리이트의 경화속도가 빨라지며 표면상태 및 물성이 향상한다. 그리고 콘크리이트의 경화후에는 형틀을 콘크리이트벽에서 떼어내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서는 시트를 기판에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었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형틀을 콘크리이트에서 떼어내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콘크리이트경화후의 크랙발생등에 의한 실내에 대한 누수침입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래서 도수로, 투수층 및 기판을 미리 일체로 형성한 주입식형틀이 1991년 12월12일에 공개된 일본특개평 3-281863호와 1992년 3월 5일에 공개된 일본륵개평 4-7046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종래기술에 따르면 시트를 기판에 부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형틀을 떼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크리이트경화후의 누수를 형틀의 바닥부에서 배출할 수 있고 실내에 대한 누수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수로 및 투수층을 기판에 부착한 구조이기 때문에 기판의 재료(베니어등)에 의하여 형틀로써의 기능, 특히 강도가 크게 변화해버리고, 또 형틀로써의 강도가 기판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얻으려고 하면 형틀 전체의 두께가 증대하고 중량이 증대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요]
그 까닭에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신규의 지하벽용 주입식 콘크리이트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성 및 지하벽 방수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으로 하여 시공상 충분한 강도를 갖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은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은 주입설치한 콘크리이트벽과 일체화되는 것이며 지하벽면을 형성하는 패널과 콘크리이트벽에서의 물을 배출하는 도수로가 합성수지로 일체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과 도수로가 협동하여 형틀의 구조를 지지하기 때문에 경량인 동시에 고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 기판에 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국면에서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은 콘크리이트벽측에서 이 차례로 배치되는 콘크리이트벽에서의 물을 흡수하는 투수층, 물을 아랫쪽으로 배출하는 도수로 및 도수로와 일체로 성형되는 동시에 콘크리이트벽에서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을 구비한다.
이 국면에 있어서는 콘크리이트 주입 설치시에는 투수층이 콘크리이트내의 잉여수를 흡수한다. 투수층에 흡수된 잉여수는 투수층 또는 도수로를 유하하고 형틀의 바닥부에서 배출된다. 콘크리이트 경화후에는 투수층과 콘크리이트가 강고하게 일체화하여 벽구조를 형성하고 콘크리이트에 발생한 크랙에서의 누수는 상기 잉여수와 똑같이하여 배출된다. 또 콘크리이트벽에서의 열은 단열층에 의하여 차단된다. 따라서 단열층에 의하여 콘크리이트벽에서의 열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형틀표면에 대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수로 및 단열층을 염화비닐등의 합성수지로 일체성형하는 동시에 단열층에 발포수지층 또는 공기층을 이용하면 종래의 형틀보다도 경량인 동시에 고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 투수층으로써 부직포를 이용하면 크랙발생등에 의한 콘크리이트벽의 변위에 동반하여 투수층(부직포)이 변위되기 때문에 콘크리이트벽의 변위가 형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형틀의 깨어짐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투수층으로써 부직포가 이용되는데 이와같은 투수층은 투수구멍을 갖는 합성수지층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형틀과 콘크리이트벽의 접합성을 향상하기 위해 형틀에 앵커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콘크리이트를 도입하는 도입구 및 도입구에서 안쪽방향으로 퍼지는 동시에 콘크리이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형성함에 의해서도 형틀과 콘크리이트벽의 접합성을 향상할 수는 있다.
그리고 투수층, 도수로 및 단열층을 투명부재로 형성하면 콘크리이트의 주입설치상태를 확인하면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은 콘크리이트벽측에서 이 순서로 배치되는 콘크리이트벽에서의 물을 흡수하는 동시에 이것을 아랫쪽으로 배출하는 도수층 및 콘크리이트벽에서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 국면에 있어서는 투수층과 도수로를 따로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그외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잇점은 첨부도면에 관련하여 실시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2도는 제1도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3도는 제1도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1도 실시예에 있어서 도입구 및 저장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9도는 제8도 실시예에 있어서 앵커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0도는 앵커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1도는 제5도 실시예에 있어서 도입구 및 저장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2도는 제6도 실시예에 있어서 도입구 및 저장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3도는 제7도 실시예에 있어서 도입구 및 저장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4도는 제8도 실시예에 있어서 도입구 및 저장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그밖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그밖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그밖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그밖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제1도~제3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형틀(10)은 지하실(12)(제2도)의 콘크리이트벽(14)을 주입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는 제1패널(16) 및 제2패널(18)을 포함한다. 제1패널(16)과 제2패널(18)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20)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1패널(16), 제2패널(18) 및 리브(20)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층이 횡방향으로 연속하고 단열층(24)으로 된다. 또 제1패널(16)의 콘크리이트벽(14)측 주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대략 T자상의 복수의 지지편(26)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고 지지편(26)의 단부에는 부직포등의 투수층(28)이 고정부착된다. 지지편(26), 제1패널(16) 및 투수층(28)에 의하여 둘러싸여진 공간이 도수로(30)가 된다. 그리고 단열층(24)의 한쪽단 및 다른쪽단에는 다른 형틀(10)과 연결할 수 있도록 제1걸림편(32) 및 제2걸림편(34)이 형성된다. 슬릿폭(a), 두께(b), 리브피치(p) 및 살두께(t)는 각각 예를들어 12.5mm, 32mm, 25mm 및 1mm로 설정된다. 또한 제1패널(16), 제2패널(18), 리브(20) 및 지지편(26)은 예를들어 폴리염화비닐등의 열전도성이 낮은 경질합성수지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성형된다.
제2도를 참조하여 콘크리이트벽(14)의 주입설치시에는 우선 그 일부에 용수통(36)이 형성된 슬래브(38)의 윗면에 홈(40)이 형성되고 이 홈(40)내에 통수로(42)가 설치된다. 그리고 그 바닥면이 통수로(42)의 스토퍼(44)에 맞붙도록하여 통수로(42)상에 형틀(10)이 조립된다. 이때 제1도 및 제3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하나의 형틀(10)의 제1걸림편(32)과 다른 형틀(10)의 제2걸림편(34)이 부틸테이프등의 방수양면테이프(44)에 의하여 접합된다. 그리고 형틀(10)과 방토(防土)용 콘크리이트벽(46) 사이에 콘크리이트벽(14)이 주입 설치된다. 콘크리이트벽(14)을 주입 설치하면 콘크리이트의 시멘트페이스트가 투수층(28)에 함유침투되고 그에 따라서 콘크리이트 경화후에는 특별한 접합부재를 이용하는 일없이 콘크리이트벽(14)과 형틀(10)이 강고하게 접합된다.
콘크리이트벽(14)의 경화전에는 콘크리이트의 잉여수가 투수층(28)을 통하여 도수로(30)내에 유입하고 도수로(30)를 유하하여 통수로(42) 및 슬래브(38)에 설치된 통수관(48)을 통하여 용수통(36)으로 배출된다. 한편 콘크리이트벽(14)의 경화후에는 콘크리이트벽(14) 및 (46)에 발생한 크랙(50)(제3도)을 통하여 콘크리이트벽(14)의 표면에 누출된 물이 앞서의 잉여수와 똑같이하여 용수통(36)으로 배출된다. 클럭(50)이 발생하는 것등에 의하여 콘크리이트벽(14)의 표면이 변위한 경우에는 그에 동반하여 투수층(28)이 변위된다. 따라서 형틀(10) 본체에 대한 변위의 전달이 방지되고 형틀(10)의 깨어짐이나 구부러짐등이 방지된다. 이와같이 투수층(28)은 완충층으로써도 기능한다.
또 콘크리이트벽(14)에서의 열은 단열층(24)에 의하여 차단된다. 따라서 형틀(10)(제2패널(18)) 표면에 대한 결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예를들어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콘크리이트를 도입하는 도입구(52)를 투수층(28)에 형성하고 도입구(52)에서 안쪽방향으로 퍼지도록 저장부(54)를 형성하고 주입 설치된 콘크리이트가 저장부(54)에 저장되도록 하면 콘크리이트벽(14)과 형틀(10)을 보다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형틀(56)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지편(26)에 대신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중공블럭(58)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고 각 블럭(58)의 콘크리이트벽(14)측 주면에 부직포등의 투수층(28)이 고정부착된다. 제1패널(16), 블럭(58) 및 투수층(28)에 의하여 둘러싸여진 공간이 도수로(30)가 된다. 슬릿폭(a), 두께(b), 리치피치(p) 및 살두께(t)는 각각 예를들어 12.5mm, 32mm, 25mm 및 1mm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패널(10), 제2패널(18), 리브(20) 및 블럭(58)은 예를들어 폴리염화비닐등의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성형되는데 그 구조상 앞서의 실시예보다도 안정된 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단열층(24)을 공기층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데, 예를들어 제6도에 나타내는 형틀(60)과 같이 단열층(24) 및 지지편(26)을 예를들어 발포경질염비등의 발포합성수지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형틀(60)에 의하면 형틀내면에 대한 완성내장재의 못박음이 보다 강고해진다. 또 예를들어 제7도에 나타내는 형틀(62)과 같이 부직포등의 투수층(28)을 비교적 두껍게 형성하고 콘크리이트벽(14)에서의 잉여수와 누수등을 투수층(28)에 의하여 흡수함과 동시에 이것을 유하하여 형틀(62)의 바닥부에서 배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형틀(62)에 따르면 도수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들어 제8도에 나타내는 형틀(64)과 같이 지지편(26)(또는 블럭(58)과 일체로 제3패널(66)을 형성하고 이 제3패널(66)에 복수의 투수구멍(68)을 뚫어 설치하여 이것을 투수층으로 하도록 해도 좋다. 이 형틀(64)에 따르면 부직포를 후공정으로 고정부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상의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3패널(66)의 콘크리이트벽(14)측 주면에 콘크리이트벽(14)에 매립설치되는 앵커부(70)를 형성하고 형틀(64)과 콘크리이트벽(14)의 접합성을 향상하도록 해도 좋다. 콘크리이트벽(14)에 크랙(50)(제3도)이 발생하면 앵커부(70)의 위치가 어긋나고 그 어긋남에 형틀본체(72)가 추종하면 형틀(64)이 깨어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형틀본체(72)가 앵커부(70)의 어긋남에 추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부(70)는 일러스트머와 연질염화비닐등의 연질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0도에 나타내는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앵커부(70)가 연질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앵커부(70)의 연질재와 형틀본체(72)의 경질재가 공압출(2층압출)된다.
또 형틀(64)(제8도, 제9도)에 있어서의 제1패널(16), 제2패널(18) 및 제3패널(66)등을 폴리카보네이트와 아크릴등의 투명재료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들을 투명재료로 형성하면 콘크리이트의 주입 설치상태를 실내측에서 확인하면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을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콘크리이트벽(14)과의 접합성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형틀(56)(60)(62) 및 (64)에 있어서도, 예를들어 제11도~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도입구(52) 및 저장부(54)를 형성함에 따라서 콘크리이트벽(14)과의 접합성을 향상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열층(24)의 실내측주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들어 석고보드, 타일등의 완성내장재를 못, 접착재등에 의해 미리 또는 시공후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표 1은 현행의 형틀과 실시예의 형틀(10)(제1도) 및 형틀(56)(제5도)에 대하여 휨강성(E · I) 및 최대 허용구부림모멘트(f · Z)를 구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표 1]
일반적으로 형틀의 강도는 수 1로 나타내어지는 주입설치시의 휨(δ)과 수 2로 나타내어지는 최대허용구부림모멘트(M)에 의하여 평가된다.
[수 1]
W : 콘크리이트주입설치시의 최대측압
ℓ : 잔목(棧木)의 간격
E : 형틀의 영률(young′s modulus)
I : 형틀의 단면 2차 모멘트
[수 2]
f : 최대허용구부림응력
Z : 형틀의 단면계수
수 1 및 수 2에서 어떤 형틀의 E · I 및 f · Z가 현행형틀의 E · I 및 f · Z 이상이면 그 형틀은 실용상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표 1에서 형틀(10)(제1도) 및 형틀(56)(제5도)에 따르면 치수 또는 재질을 적절하게 설정함에 따라서 실용상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현행형틀 보다도 비약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6도~제8도에 나타내는 형틀(60)(62) 및 (64)에 있어서도 치수 또는 재질을 적절하게 설정함에 따라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제5도에 나타낸 형틀(56)에서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중공블럭(58)이 리브(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중공블럭(58)은, 예를들어 제15도에 나타내는 형틀(74)과 같이 리브(20)를 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 형틀의 특히 횡방향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예를들어 제16도~제18도의 각각에 나타내는 형틀(76)(78) 및 (80)과 같이 제1패널(16)과 제2패널(18)을 경사로 연결하는 리브(82)가 형성되어도 좋다. 제16도에 나타내는 형틀(76)은 제5도에 나타낸 형틀(56)에 있어서, 그와같은 리브(82)가 추가하여 형성된 것이며 제7도에 나타내는 형틀(78)은 그와같은 리브(82)가 대략 V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제18도에 나타내는 형틀(80)은 그와같은 리브(82)가 대략 X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표 2는 형틀(74)(제15도), 형틀(76)(제16도), 형틀(78)(제17도) 및 형틀(80)(제18도)의 각각에 대하여 표 1과 똑같이 종방향휨강성(E · 1 × (kg·cm2)), 횡방향휨강성(E · Iz(kg·cm2) 및 중량(Wkg/m2)을 구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또한 횡방향에 대해서는 구부림 시험에 의해 외관상의 휨강성을 구했다.
[표 2]
표 2에서 제1패널(16)과 제2패널(18)을 경사로 연결하는 리브(82)를 형성함에 따라서 형틀의 횡방향강도를 큰 폭으로 강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주입식형틀에서는, 예를들어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형틀(84)에 남겨진 세퍼레이터구멍(86)을 통하여 콘크리이트벽(14)에서의 물이 실내에 누출할 염려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형틀에 따르면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도수로(30) 또는 단열층(24)등의 중공부에서 물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와 같은 누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어 도시되었지만 그것은 단순한 도해 및 한 예로써 이용한 것이며 한정되어 있다고 해석해야 하는 것은 아닌 것이 명백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4)

  1. 주입설치한 콘크리이트벽과 일체화되는 지하벽용 주입식 콘크리이트형틀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일체성형된 지하벽면을 형성하는 패널 및 상기 콘크리이트벽에서의 물을 배출하는 도수로, 및 형틀본체와 상기 콘크리이트벽을 고정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콘크리이트벽의 변위에 동반하여 변위하는 완충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 콘크리이트형틀.
  2. 주입설치한 콘크리이트벽과 일체화되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트리이트형틀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벽 측에서 이 순서로 배치되는 상기 콘크리이트벽에서의 물을 흡수하는 투수층, 상기 물을 아랫쪽으로 배출하는 도수로 및 상기 도수로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콘크리이트벽에서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은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 콘크리이트형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의 상기 콘크리이트벽측 주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주입설치한 상기 콘크리이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앵커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크리이트를 도입하는 도입구 및 상기 도입구에서 안쪽방향으로 퍼지는 동시에 상기 콘크리이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6.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발포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7.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공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 콘크리이트형틀.
  8.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 도수로 및 단열층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9. 주입설치한 콘크리이트벽과 일체화되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벽층에서 이 순서로 배치되는 상기 콘크리이트벽에서의 물을 흡수하는 동시에 이것을 아랫쪽으로 배출하는 도수층 및 상기 콘크리이트벽에서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수층은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 콘크리이트형틀.
  11. 주입설치한 콘크리이트벽과 일체화되는 지하벽용 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벽 측에서 이 순서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2패널과, 상기 제 1 및 제2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제1패널의 상기 콘크리이트벽측 주면에 종방향으로 연장하여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중공블럭, 및 상기 중공블럭에 고정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중공블럭간에 형성된 공간을 봉쇄하는 부직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용 주입식 콘크리이트형틀.
  12. (a) 투수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수로 및 단열층을 포함하는 형틀을 배치하고 상기 투수층은 그 한쪽면에서 다른쪽면에 투과한 물을 상기 도수로에 인도하고, (b) 상기 형틀의 상기 투수층으로 규정되는 공간에 콘크리이트를 주입 설치하고, (c) 상기 콘크리이트를 경화시키고, 상기 투수층표면이 벽면에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콘크리이트에서의 물이 상기 투수층에서 상기 도수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콘크리이트벽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하실과 상기 콘크리이트벽이 상기 단열층에서 열적으로 차단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의 콘트리이트벽의 형성방법.
  13. 콘크리이트를 주입설치하는 공간을 규정하는 한쪽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한쪽면에서 다른쪽면으로 물을 투과하는 투수층, 상기 공간에 콘크리이트를 주입설치함에 따라서 콘크리이트벽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이트벽의 벽면에 상기 투수층이 부착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투수층을 투과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도수로 및, 상기 도수로와 일체성형되는 동시에 상기 콘크리이트벽과 상기 지하실을 열적으로 차단하는 단열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의 콘크리이트벽.
  14. 콘크리이트벽 및, 상기 콘크리이트벽의 벽면에 부착되는 형틀과, 상기 형틀은 상기 콘크리이트벽측에서 이 순서로 배치되는 상기 콘크리이트벽에서의 물을 흡수하는 투수층과, 상기 물을 아랫쪽으로 배출하는 도수로 및 상기 도수로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콘크리이트벽에서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실의 콘크리이트벽.
KR1019940700772A 1992-07-09 1993-07-08 지하벽용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KR100301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195892 1992-07-09
JP92-181958 1992-07-09
JP4323002A JP2897944B2 (ja) 1992-07-09 1992-12-02 地下壁用打込式コンクリート型枠
JP92-323002 1992-12-02
PCT/JP1993/000954 WO1994001625A1 (en) 1992-07-09 1993-07-08 Drive-in type concrete form for underground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1693B1 true KR100301693B1 (ko) 2001-10-22

Family

ID=2650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772A KR100301693B1 (ko) 1992-07-09 1993-07-08 지하벽용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623793A (ko)
EP (1) EP0603417B1 (ko)
JP (2) JP2897944B2 (ko)
KR (1) KR100301693B1 (ko)
AU (1) AU685749B2 (ko)
CA (1) CA2118581A1 (ko)
DE (1) DE69323050D1 (ko)
WO (1) WO1994001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7944B2 (ja) * 1992-07-09 1999-05-31 村本建設株式会社 地下壁用打込式コンクリート型枠
JPH084035A (ja) * 1994-06-24 1996-01-09 Takenaka Komuten Co Ltd 透水型枠による地下外壁の構築工法
JP3855217B2 (ja) * 1997-12-17 2006-12-06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発泡体からなる防蟻パネル
US6308470B1 (en) 2000-02-04 2001-10-30 Savo Durkovic Water seepage controlling device
US7082728B1 (en) * 2002-05-20 2006-08-01 Plantilock Corporation Electrical box for use with insulated concrete form building systems
US20090001185A1 (en) * 2007-06-28 2009-01-01 Corvid Homes Structural wall panel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interior climates
US20090007509A1 (en) * 2007-07-05 2009-01-08 Jordan Todd A Insulated board having an integral drain
JP6475971B2 (ja) * 2014-12-18 2019-02-27 株式会社河本組 木製残存型枠
US9909307B2 (en) * 2015-04-23 2018-03-06 Hughes General Contractors Joint-free concre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8642U (ko) * 1986-03-13 1987-09-19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3146A (en) * 1962-08-28 1965-08-31 Johns Manville Wall construction
US3654765A (en) * 1971-02-10 1972-04-11 Research Corp Subterranean wall drain
US3852925A (en) * 1973-06-25 1974-12-10 J Gazzo Method and means for maintaining a dry basement
US3965686A (en) * 1974-03-04 1976-06-29 Ohbayashi-Gumi, Ltd. Drain sheet material
US4333281A (en) * 1980-02-14 1982-06-08 Scarfone Construction Limited Basement wall draining molding
JPS6178921A (ja) * 1984-09-25 1986-04-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エアマツトを用いた土留め工法
JPH03425Y2 (ko) * 1984-10-30 1991-01-09
JPS61146924A (ja) * 1984-12-21 1986-07-04 Showa Aircraft Ind Co Ltd 地下住居の内部構造
JPS62148642A (ja) * 1985-12-23 1987-07-02 日本電気三栄株式会社 生体信号解析方式
CA1275659C (en) * 1986-09-05 1990-10-30 Yoshihiro Abe Green glasses for containers, capable of intercepting ultraviolet rays and near ultraviolet ray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US4730953A (en) * 1986-10-15 1988-03-15 Tarko Paul L Insulated waterproof drainage material
JPS63100541A (ja) * 1986-10-17 1988-05-02 Nec Corp プロセス出力レポ−ト制御方式
US4840515A (en) * 1986-12-05 1989-06-20 Mirafi, Inc. Subterranean drain
JPS63100541U (ko) * 1986-12-18 1988-06-30
DE3710822A1 (de) * 1987-04-01 1988-10-20 Johann Dipl Ing Kassmannhuber Tiefbauwerk in grundwasserfuehrendem erdreich
JPS63185841U (ko) * 1987-05-25 1988-11-29
US4856240A (en) * 1988-04-11 1989-08-15 Mchale James J Method for forming a soil moisture barrier in a stucco wall and stucco wall incorporating same
DE3831188A1 (de) * 1988-09-14 1990-03-22 Mueller Bauchemie Oberflaechendichtung fuer insbes. stahlkonstruktionen, betonkonstruktionen od. dgl.
US4943185A (en) * 1989-03-03 1990-07-24 Mcguckin James P Combined drainage and waterproofing panel system for subterranean walls
JPH0328670A (ja) * 1989-06-23 1991-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装置
US4956951A (en) * 1989-06-26 1990-09-18 Sealed Air Corporation Laminated sheet for protecting underground vertical walls
US5035095A (en) * 1989-12-15 1991-07-30 Joseph Bevilacqua Basement wall structure to prevent water leakage
JPH03281863A (ja) * 1990-03-29 1991-12-12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型枠材及びその型枠材を組み込んだ地下壁構造
JPH0470467A (ja) * 1990-07-10 1992-03-05 Shimizu Corp 透水型枠
DE9107313U1 (ko) * 1991-06-13 1991-08-14 Gefinex Gesellschaft Fuer Innovative Extrusionsprodukte Mbh, 4803 Steinhagen, De
JP2897944B2 (ja) * 1992-07-09 1999-05-31 村本建設株式会社 地下壁用打込式コンクリート型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8642U (ko) * 1986-03-13 1987-09-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85749B2 (en) 1998-01-29
AU4514293A (en) 1994-01-31
WO1994001625A1 (en) 1994-01-20
CA2118581A1 (en) 1994-01-20
US5623793A (en) 1997-04-29
JP2897944B2 (ja) 1999-05-31
EP0603417A4 (en) 1995-05-17
EP0603417B1 (en) 1999-01-13
EP0603417A1 (en) 1994-06-29
US5761858A (en) 1998-06-09
DE69323050D1 (de) 1999-02-25
JPH0673749A (ja) 1994-03-15
JPH1193195A (ja)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531B1 (en) Pressure equalized compartment for exterior insulation and finish system
KR100301693B1 (ko) 지하벽용주입식콘크리이트형틀
US6477811B1 (en) Damp-proof base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0770565B1 (ko) 다기능성 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의 조립식 설치구조
KR100950086B1 (ko) 옥상용 단열방수공법 및 단열방수용 복합판재
SK284954B6 (sk) Škárová vložka na dilatačnú trhlinu
CN110528728B (zh) 一种免支模的建筑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CN211774597U (zh) 墙板与钢梁的装配结构
KR20010026954A (ko) 방수·단열용 복합패널 및 방수/단열시공방법
FI77502C (fi) Foerfarande foer taetning eller foer taetning i efterhand av isynnerhet byggnadsvaeggar mot fukt samt stoedelement foer tillaempning av foerfarandet.
JP2579419Y2 (ja) 地下壁用打込式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401875Y1 (ko) 지수재
CN212153775U (zh) 一种低能耗建筑外墙防火保温复合板
JP2930390B2 (ja) 壁面の結露防止用断熱部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工法
CN217439327U (zh) 一种装配式建筑防水密封装置
JPS6143859Y2 (ko)
KR950001617Y1 (ko) 건축용 외장재
JP3734967B2 (ja) パネル間の面出し部材及び該部材を用いた地下壁排水構造
JPH06306876A (ja) 地下壁
JPS623445Y2 (ko)
JP2897945B2 (ja) 打込み式型枠の接続構造
JP3381217B2 (ja) 排水パネルを使用した地下壁排水構造
JPH03462B2 (ko)
EP1258573B1 (en) Structural element in block form
CN116770998A (zh) 一种用于墙体竖向结构拉缝板处的防水抗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