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215B1 - 전자사진 감광체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15B1
KR910007215B1 KR1019890011110A KR890011110A KR910007215B1 KR 910007215 B1 KR910007215 B1 KR 910007215B1 KR 1019890011110 A KR1019890011110 A KR 1019890011110A KR 890011110 A KR890011110 A KR 890011110A KR 910007215 B1 KR910007215 B1 KR 910007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member
polycarbonate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bis
polycarbonat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091A (ko
Inventor
슈지 사까모또
Original Assignee
이데미쯔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쯔 쇼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쯔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쯔 쇼스께 filed Critical 이데미쯔고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9001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215B1/ko
Publication of KR91000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005Silver halide emulsions; Preparation thereof; Physical treatment thereof; Incorporation of additives therein
    • G03C1/04Silver halide emulsions; Preparation thereof; Physical treatment thereof; Incorporation of additives therein with macromolecular additives; with layer-forming substan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2Photosensitive compositions not covered by the groups G03C1/005 - G03C1/7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 감광체
본 발명은 전자사진 감광체(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사진에서 요구되는 특성인 우수한 가계적 강도 및 탁월한 전자사진적 특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시키는 그의 능력으로 인해 전자사진의 다양한 적용 분야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전자사진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의 최근 분야에서 감광체의 주류는 감광층(photosenstive layer)이 적어도 두 기본층, 즉, 노출에 의해 전하가 발생하는 전하 발생층(charge generation layer) 및 전위의 운반이 일어나는 전하 운반층(charge transport layer)을 포함하는 적층-형 유기 전자사진 감광체이다. 이런 종류의 적층-형 유기 감광체에서, 결합제-수지는 전하 운반층의 구성 성분으로 사용되고, 비스페놀-A를 출발 단위체로 사용하여 수득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이 결합제-수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스페놀-A로부터 만든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전하 운반 물질과 양호한 상화성을 지니므로, 이 결과로 생성된 감광체에 양호한 전기적 특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는 유리한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비스페놀-A로부터 만든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결합제-수지로서 사용하여 감광체의 전하 운반층을 형성한 경우 하기 문제점(1) 내지 (3)을 포함한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1) 감광체의 제조에 있어서, 전하 운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하는 코팅 용액의 백화(겔화)는 도포될 코팅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매의 종류에 의존허여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형성된 전하 운반층은 쉽게 결정화 되는 경향이 있다.
광-유발 방전이 전하 운반층의 결정화된 부위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이 부위에 바림직하지 않은 전위를 발생시키는 잔류 전하를 남기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화는 현상된 상의 질적 결함을 유발시킨다.
(2) 비스페놀-A로부터 유도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용매-분해는 전하 운반층위로 다른 층을 도포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른 용매에 의해 전하 운반층에서 종종 일어난다. 바꾸어 말하면, 일단 제조된 전하 운반층을 용매에 노출시키면 전하 운반층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감소한다.
생성된 감광체를 장시간 동안 복사기에서 회전시키며 사용하면 이 전하 운반층은 생성된 복사물에 몇몇 분해-형태의 출현을 초래하며 분해될 것이다.
(3) 비스페놀-A로부터 만든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결합제-수지로서 사용하여 형성한 전하 운반층은 기층에 대한 그의 열등한 접착력 때문에 기층으로부터 벗겨져 나가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생성된 감광체는 복사를 위한 실질적 사용에 있어 그의 수명이 짧다는 결점에 종종 직면한다. 상기의 기층은 통상적으로 전하 발생층을 가리킨다. 그러나, 기층은 전기 도체상에 전하 운반층 및 전하 발생층이 이 순서로 연속적으로 층을 이룬 양-전하-형(positively-charged-type) 전자사진 감광체의 경우에 있어 전기도체를 가리키거나, 또는 기층은 전자사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간층이 전기도체 및 전하 운반층 사이 또는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운반층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 중간층(차폐층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상기한 상황을 고려하여, 특히 비스페놀-A로부터 만든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결합제-수지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종래의 전자사진 감광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상기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추구하며 수행하였다.
본 발명 목적에 따라, 결합제-수지를 함유하는 코팅 용액의 백화 및 형성된 층의 용매-분해를 수반함이 없이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실질 사용시 장기간 동안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탁월한 전자사진적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감광체를 제공한다.
연구 결과, 본 발명자들은 특수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전자사진 감광체의 감광층, 특히 이 감광층의 전하 운반층내 결합제-수지로서 사용하여, 그 결과로 생성된 감광체에, 감광체 제조시 비스페놀-A로부터 만든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결합제-수지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종래의 전자사진 감광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코팅 용액의 백화(겔화) 또는 용매-분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 결과로 생성된 감광체가 실질적 사용시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탁월한 전자사진적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게한다.
상기 발견을 토대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광층이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A) 또는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및 하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모두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를 함유하는 결합제-수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 기판 및 상기 전기전도 기판의 한 표면에 배치된 감광층을 함유하는 전자사진 감광체를 제공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중, X1
Figure kpo00002
(R1및 R2는 각각 개별적으로 수소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알킬기 또는 6 내지 12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아릴기이다.)
Figure kpo00003
(n은 4 내지 10개의 정수이다.), -(CH2)p-(p는 2 내지 10의 정수이다.), 단일 결합, -O-, -S-, -SO- 또는 -SO2-이며 R3및 R4는 각각 개별적으로 할로겐 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 또는 시클로헥실기이며, k 및 m은 각각 개별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X2의 정의는 X1및 X2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다는 조건으로, 일반식(Ⅰ)의 X1의 정의와 동일하다.]
상기
Figure kpo00004
예는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1-메틸프로필기, 2-메틸프로필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n-헥실기, 이소헥실기, 페닐기, 톨릴기, 크실일기, 트리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나프틸기, 메틸나프틸기 및 비페닐일기를 포함한다. 이들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메틸기 및 페닐기이다. 단, R1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Figure kpo00005
기중 특히 바림직 기의 예는
Figure kpo00006
를 포함한다.
상기
Figure kpo00007
기의 예는 1, 1-시클로펜틸리덴기, 1,1-시클로헥실리덴기 및 1, 1-시클로옥틸리덴기롤 포함한다. 이들중, 특히 바람직한 예는 1, 1-시클로헥실리덴기를 포함한다.
-(CH2)p-기의 예는 메틸렌기, 디메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및 데카메틸렌기를 포함한다. 이들중, 특히 바람직한 예는 디메틸렌기를 포함한다.
R3및 R4의 예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및 브롬원자와 같은 할로겐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1-메틸프로필기, 2-메틸프로필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및 이소헥실기이다. 단, R3및 R4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게다가,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가 둘 또는 그 이상의 R3기를 함유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둘 또는 그 이상의 R4기를 함유하면, 이들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k 및 m은 각각 개별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특히 바람직한 예는 k=m=0이다.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A)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디히드릭 페놀의 1종 또는 그 이상을 적절한 산 수용체 존재하 적절한 중성 극성 용매 내에서 포스겐과 같은 탄산염 전구체와 축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8
[상기 식중, X1은 일반식(Ⅰ)의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A)는 비스아릴 카르보네이트와 디히드릭 페놀(Ⅰ')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및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는 상기 디히드릭 페놀(Ⅰ')의 1종 또는 그 이상 및 하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디히드릭 페놀의 1종 또는 그 이상을 적절한 산 수용체 존재하 적절한 중성 극성 용매내에서 포스겐 등과 같은 탄산염 전구체와 축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9
[상기 식중, X2, R3, R4, k 및 m은 상기와 동일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는 비스아릴 카르보네이트와 디히드릭 페놀(Ⅰ') 및 디히드릭 페놀(Ⅱ')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디하드릭 페놀(Ⅰ')의 예는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페닐-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에탄, 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3, 3-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펜탄, 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술폰, 3, 3'-디페닐-4, 4'-디히드록시비페닐, 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메탄, 1-페닐-1,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메탄, 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에탄, 1,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에탄, 1, 3-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부탄, 1, 4-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부탄, 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1-페닐부탄,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옥탄, 1, 8-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옥탄, 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술피드, 및 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시클로펜탄을 포함한다.
이들중 특히 바람직한 예는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페닐-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에탄, 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및 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술폰을 포함한다.
상기 디히드릭 페놀(Ⅱ')의 예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 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 2-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 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 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부탄, 2, 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 2-비스(4-히드록시페닐)옥탄, 4, 4-비스(4-히드록시페닐)헵탄, 4, 4'-디히드록시테트라페닐메탄, 1, 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1, 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1, 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펜탄, 1, 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2-(3-메틸-4-히드록시페닐)-2-(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 1-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4, 4'-디히드록시비페닐, 2, 2-비스(2-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 1-비스(2-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부탄, 1, 1-비스(2-t-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에탄, 1, 1-비스(2-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판, 1, 1-비스(2-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부탄, 1, 1-비스(2-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이소부탄, 1, 1-비스(2-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헵탄, 1, 1-비스(2-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1-페닐메탄, 1, 1-비스(2-t-아밀-4-히드록시-5-메틸페닐)부탄, 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 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2, 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 2-비스(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 2-비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 2-비스(3, 5-디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 2-비스(3, 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 2-비스(3, 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 2-비스(3-브로모-4-히드록시-5-클로로페닐)프로판, 2, 2-비스(3, 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부탄, 2, 2-비스(3, 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부탄, 1, 1-비스(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에테르, 3, 3'-디플루오로-4, 4'-디히드록시비페닐, 및 1, 1-비스(3-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포함한다. 이들중, 특히 바람직한 예는 2, 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포함한다.
상기 산 수용체는 공지된 것을 포함하여 각종 산 수용체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 수용체의 예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피리딘 같은 유기염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 벤젠 및 크실렌을 포함한다.
축 중합을 가속화시키고 중합도를 조정하기 위해 촉매 및 분자량 조절인자 존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촉매의 예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3차 아민 및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분자량 조절인자의 예는 p-t-부틸 페놀 및 페닐 페놀을 포함한다.
아황산 나트륨 및 아황산 수소 나트륨 같은 산화 방지제 소량을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 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에 첨가할 수 있다.
이 반응(즉, 축중합)은 통상적으로 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온도 범위에서 수행한다. 반응 시간은 수행하는 반응 온도에 의존하지만, 반응은 통상적으로 0.5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한다. 또한, 반응중 반응계의 pH값을 10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있어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려면, 상기 디히드릭 페놀 화합물 및 비스아릴 카르보네이트를 혼합하고, 감압하 고온에서 서로 반응시킨다. 이 반응을 통상적으로 15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온도 범위에서 수행한다.
비스아릴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유도된 페놀을 반응계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반응 압력을 최종적으로 1㎜Hg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반응 시간이 반응온도 및 압력의 감소도 등을 포함한 사용되는 반응 조건들에 의존하더라도 통상적으로 1 내지 4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 반응을 질소 및 아르곤 같은 불활성 기체 대기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을 상기의 분자량 조절인자, 산화 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 존재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 감광체의 감광층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A)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내, 20℃, 0.5g/dl 농도에서 측정할때 통상적으로 0.25dl/g이상,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0dl/g의 감소된 점성도 [ηsp/C]를 지니는 것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A)는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종을 함유하는 단일 중합체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Ⅰ)을 임의의 비율로 함유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A)는 개별적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와 같이, 이들의 두종류 또는 그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는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1종 또는 그 이상 및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종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에서 반복 단위의 비, 즉, (Ⅰ)대 (Ⅱ)는 본 발명에서 반드시 구체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는 반복단위 (Ⅰ) 및 (Ⅱ)의 총량을 기준으로 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의 양으로 반복단위(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는 개별적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와 같이, 이들의 두 종류 또는 그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종 또는 그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A)와 1종 또는 그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를 그들의 혼합물 또는 유사 형태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폴리카르보네이트(A) 및/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는 기타 공지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한 공지된 결합제-수지와 함께 혼합없이 또는 혼합하여, 본 발명 목적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 감광체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전기전도기판의 한 표면에 배치된 감광층-전하 발생층 및 전하 운반층을 함유하는 적층임-을 함유한다. 전하 발생층이 전하 운반층과 전기전도 기판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전하 운반층이 전하 발생층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전하 운반층이 전하 발생층과 전기전도기판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전하 발생층이 전하 운반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전자사진 감광체는 필요하다면 그 표면상에 전기전도 또는 절연 보호 필름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발생된 전하의 재결합을 막는데 효과적인 차폐층 또는 그 안의 막간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착층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층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 전자사진 감광체는 감광층내, 바람직하게는 감광층의 전하 운반층내에 적어도 폴리카르보네이트(A)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를 함유하는 결합제-수지를 함유한다.
본 발명 전자사진 감광체에 사용되는 전기전도 기판은 공지된 것을 포함하여 각종 전기전도 기판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기전도 기판의 예는 알루미늄, 놋쇠, 구리, 니켈, 강철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든 판(plate) 또는 박판(sheet) : 유리판, 플라스틱판, 옷감, 종이, 블랙-쉬트와 같은 부-또는 저-전도 기판에 전기 전도도를 도입하기 위한 처리를 하거나 전기전도층을 씌워 수득한, 전도도-도입 또는 전도-층-함유 기판 : 알루미늄, 니켈, 크로미움, 팔라듐 또는 그라파이트와 같은 전도물질을 상기 부- 또는 저-전도 기판에 부착, 산포 또는 도포시켜 제조한 전기전도 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하발생층은 적어도 전하 발생 물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 전자사진 감광체내 전하발생층은, 전기전도 층과 같은 기층상에 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전하 발생 물질과 결합제-수지를 혼합 및 결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공지된 방법을 포함하여,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는 각종 방법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하 발생층은 전하 발생 물질을 결합제-수지와 함께 적절한 용매내에서 용해 또는 현탁시켜 수득한 코팅액을 기층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전하 발생층내에 사용되는 전하 발생 물질은 공지된 것들을 포함하여 각종 유기 또는 무기 전하 발생 물질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사용되는 전하 발생 물질의 예는 삼방전계의 비결정성 셀레늄 및 결정성 셀레늄과 같은 셀레늄의 단체, 셀레늄-텔루리움합금, As2Se3와 같은 셀렌화물, 셀레늄-함유 조성물, 산화아연, CdS-Se와 같은 주기율표의 Ⅱ족 및 Ⅳ족 원소를 함유하는 무기 물질, 및 산화 티타늄과 같은 산화 반도체, 무정형 실리콘과 같은 실리콘-기재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금속 착체, 시아닌, 안트라센, 피렌, 페릴렌, 피릴륨염, 티아피릴륨염, 폴리비닐카르바졸, 스콸륨, 피그먼트(squarelium pigment)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 그들의 혼합물 형태로 그들의 2종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하 발생층에 사용되는 결합제-수지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공지된 것들을 포함하여 각종 결합제-수지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전하 발생층내에 사용되는 결합제-수지의 예는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탈, 알키드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케톤,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부틸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 폴리우레탄, 에폭시수지 및 페놀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A) 및/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는 전하 발생층 내에 결합제-수지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결합제-수지는 전하 발생층 내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예를 들면 그들의 혼합물 형태로 그들의 2종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을 혼합하여 또는 혼합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전자사진 감광체내 전하 운반층은 기층상에 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전하 운반 물질을 결합제-수지와 혼합 및 결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전하 운반층은 공지된 것들을 포함하여 각종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하 운반 물질을 적절한 용매내에서 결합제-수지와 함께 용해 또는 현탁시켜 수득한 코팅액을 기층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A)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는 본 발명 전자사진 감광체의 감광층내 결합제-수지로서 사용되어야 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A)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가 감광층내 결합제-수지로서 사용되는 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A)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를 본 발명의 감광층의 전하 운반층내 결합제-수지로서 사용하는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폴리카르보네이트(A) 및/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를 본 발명의 전하 운반층내 결합제-수지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하 운반층에 사용되는 전하 운반 물질은 전자 전달 물질 및 정공 운반물질(positive hole transporting material)를 포함하여 종래 사용되는 것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운반 물질의 예는 클로르아닐, 브롬아닐,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2, 4, 7-트리니트로-9-플루오르에는 2, 4, 5, 7-테트라니트로-9-플루오르에는, 2, 4, 7-트리니트로-9-디시아노메틸렌플루오르에는, 2, 4, 5, 7-테트라니트로크산톤, 및 2, 4, 9-트리니트로티오크산톤과 같은 전사 회수(withdrawing) 화합물 및 그들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한다. 이들 전자 운반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예를 들면 그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그들을 두종류 또는 그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공 운반 물질의 예는 피렌류, N-에틸카르바졸, N-이소프로필카르바졸, N-메틸-N-페닐히드라지노-3-메틸리덴-9-에틸카르바졸, N, N-디페닐히드라지노-3-메틸리덴-9-에틸카르바졸, N, N-디페닐히드라지노-3-메틸리덴-10-에틸페노티아진, N, N-디페닐히드라지노-3-메틸리덴-10-에틸페녹사진, p-디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N, N-디페닐히드라존, p-디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N-α-나프틸-N-페닐히드라존, p-피롤리지노벤즈알데히드-N, N-디페닐히드라존, 1, 3, 3-트리메틸인돌에닌-ω-알데히드-N, N-디페닐히드라존 및 p-디메틸벤즈알데히드-3-메틸벤즈티아졸리논-2-히드라존과 같은 히드라존류, 2, 5-비스(p-디에틸아미노페닐)-1, 3, 4-옥사지아졸, 1-페닐-3-(p-디에틸아미노스티릴)-5-(p-디에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 1-[퀴노릴(2)]-3-(p-디에틸아미노스티릴)-5-(p-디에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 1-[레피딜(2)]-3-(p-디에틸아미노스티릴)-5-(p-디에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1-[6-메톡시-피리딜(2)]-3-(p-디에틸아미노스티릴)-5-(p-디에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 1-[피리딜(5)]-3-(p-디에틸아미노스페닐)피라졸린, 1-[피리딜(2)]-3-(p-디에틸아미노스티릴)-5-(p-디에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 1-[피리딜(2)]-3-(p-디에틸아미노스티릴)-4-메틸-5-(p-디에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1-[피리딜(2)]-3-(a-메틸-p-디에틸아미노스티릴)-4-메틸-5-(p-디에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 1-페닐-3-(p-디에틸아미노스티릴)-4-메틸-5-(p-디에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 1-페닐-3-(α-벤질-p-디에틸아미노스티릴)-5-(p-디에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 및 스피로피라졸린과 같은 피라졸린류, 2-(p-디에틸아미노스티릴)-δ-디에틸아미노벤즈옥사졸 및 2-(p-디에틸아미노페닐)-4-(p-디메틸아미노페닐)-5-(2-클로로페닐)옥사졸과 같은 옥사졸류, 2-(p-디에틸아미노스티릴)-6-디에틸아미노벤즈티아졸과 같은 티아졸 화합물, 비스(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페닐메탄과 같은 트리아릴메탄 유도체류, 1, 1-비스(4-N, N-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헵탄 및 1, 1, 2, 2-테트라키스(4-N, N-디메틸아미노-2-메틸페닐)에탄과 같은 (폴리아릴)아민류, N, N'-디페닐-N, N'-비스(메틸페닐)벤지딘, N, N'-디페닐-N, N'-비스(에틸페닐)벤지딘, N, N'-디페닐-N, N'-비스(프로필페닐)벤지딘, N, N'-디페닐-N, N'-비스(부틸페닐)벤지딘, N, N'-디페닐-N, N'-비스(이소프로필페닐)벤지딘, N, N'-디페닐-N, N'-비스(sec-부틸페닐)벤지딘, N, N'-디페닐-N, N'-비스(tert-부틸페닐)벤지딘, 및 N, N'-디페닐-N, N'-비스(클로로페닐)벤지딘과 같은 벤지딘 화합물, 트리페닐아민, 폴리(N-비닐 카르바졸), 폴리(비닐피렌), 폴리(비닐안트라센), 폴리(비닐아크리딘), 폴리(9-비닐페닐안트라센), 피렌-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에틸카르바졸-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포함한다.
이 물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 이들의 혼합물 형태로 2종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하 발생층 또는 전하 운반층 형성에 사용되는 용매의 예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및 클로로벤젠과 같은 방향족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 메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같은 알코올류, 에틸 아세테이트 및 에틸 셀로솔브와 같은 에스테르류, 테트라클로로메탄, 테트라브로모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테트라클로로에탄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등을 포함한다.
이 용매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이들의 2종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하여 혼합용매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 감광체의 제조시, 각 층을 형성함에 있어 코팅액의 도포는 공지된 것을 포함하여 각종 도포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사용되는 도포 장치의 예는 어프리케이터(applicator), 분무 도포기, 막대 도포기, 딥 코터(dip coater), 롤 코터(roll coater) 및 닥터 브레이드(doctor blad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고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를 설명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한이 아니라 예로서 해석해야 한다.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실시예 1]
1-리터 플라스크에 2,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 95g(0.25mol)을 수산화칼륨의 3N 수용액 600㎖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250㎖에 용해시켜 수득한 용액을 넣고, 플라스크 외면을 냉각시켜 혼합물의 온도를 10℃ 근처로 유지시키며, 포스겐을 30분 동안 340㎖/min의 공급량으로, 생성된 혼합물에 버블링시키며 플라스크 안에 넣는다.
중합은 p-tert-부틸페놀 0.7g 및 트리에틸아민의 0.5M-수용액 2㎖를 첨가하여 시작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며 계속한다. 반응 완료후, 유기상을 생성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500㎖로 희석시킨다. 희석된 유기상을 물, 묽은염산, 및 물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메탄올에 도입시켜 목적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중합체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내 20℃, 0.5g/dl의 농도에서 측정했을때 0.6dl/g의 감소된 점성도[ηsp/C]를 지니고, 145˚C의 Tg를 지닌다.1H-NMR 스팩트럼분석 결과로부터, 이 중합체가 하기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임을 확인하였다.
Figure kpo00010
위에서 제조한 폴리카르보네이트 50중량 % 및 전하 운반 물질로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히드라존 화합물 50중량 %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용액을, 이 용액중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히드라진 화합물의 혼합물의 용량이 10중량부가 되도록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서 제조한다.
히드라존 화합물 :
Figure kpo00011
위에서 제조한 용액(코팅액)의 백화 및 겔화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또한 이 코팅액을 10달 동안 방치할때 다른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았다.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피그먼트 화합물을 함유하며 알루미늄으로 만든 전기전도 기판상에 약 0.5㎛의 두께로 형성된 전할 발생층에, 이 코팅액을 딥 코팅법으로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시켜 전하 발생층 상에 20㎛의 두께를 갖는 전하 운반층을 형성시켜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를 제조한다.
디스-아조 화합물 :
Figure kpo00012
이 도포 과정에서 전하 운반층의 물질의 결정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수득된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특성의 평가는 가와구찌 덴끼 세이사꾸-쇼(주)사(Kawaguchi Denki Seisaku-sho Co., Ltd)에서 제조한 정적 충전 시험 장치(static charging testing device)에 의해 수행된다. -6㎸에서 코로나 전기 충전 수행후, 초기 표면 전위, 전도가 10LUX인 광방사후 잔류전위, 반감기 노출(half decay exposure)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나아가, 전하 운반층의 표면 경도는 H도이다(JIS K-5400에 따른 연필 경도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실시예 2]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 95g(0.25몰)을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 76g(0.2몰) 및 2, 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4g(0.05몰)의 혼합물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중합체 제조방법을 정확히 반복 실시한다. 하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ηsp/C]=0.58dl/g, Tg=146℃)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3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는, 수득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위에서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코팅액의 안정성, 도포시 결정화 및 표면 경도에 관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의 것들과 유사하다.
[실시예 3]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1-페닐-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에탄 77g(0.174몰) 및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16.5g(0.076몰)의 혼합물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중합체 제조방법을 정확히 반복 실시한다. 하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ηsp/C]=0.53dl/g, Tg=172℃)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4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는 수득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위에서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코팅액의 안정성, 도포시 결정화 및 표면 경도에 관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의 것들과 유사하다.
[실시예 4]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 76g(0.2몰) 및 1, 1-비스(3-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1.6g(0.05몰)의 혼합물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실시예 1의 중합체 제조 방법을 정확히 반복 실시한다. 하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ηsp/C]=0.59dl/g, Tg=156℃)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5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는 수득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위에서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코팅액의 안정성, 도포시 결정화 및 표면 경도에 관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의 것들과 유사하다.
[실시예 5]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05g(0.25몰)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중합체 제조방법을 정확히 반복 실시한다. 하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ηsp/C]=0.59dl/g, Tg=156℃)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6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는 수득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위에서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코팅액의 안정성, 도포시 결정화, 및 표면 경도에 관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의 것들과 유사하다.
[실시예 6]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84g(0.2몰) 및 4, 4'-디히드록시테트라페닐메탄 18g(0.05몰)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중합체 제조방법을 정확히 반복실시한다. 하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ηsp/C]=0.62dl/g, Tg=167℃)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는 수득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위에서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코팅액의 안정성, 도포시 결정화, 및 표면 경도에 관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의 것들과 유사하다.
[실시예 7]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술폰 50g(0.125몰) 및 2, 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32g(0.125몰)의 혼합물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중합체 제조 방법을 정확히 반복 실시한다. 하기의반복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ηsp/C]=0.83 dl/g, Tg=148℃)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9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는 수득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위에서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코팅액의 안정성, 도포시 결정화 및 표면 경도에 관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의 것들과 유사하다.
[실시예 8]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1, 1-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32g(0.076몰) 및 2, 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0g(0.174몰)의 혼합물로 대치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중합체 제조방법을 정확히 반복실시한다. 하기의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ηsp/C]= 1.13dl/g, Tg=150℃)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20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는 수득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위에서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코팅액의 안정성, 도포시 결정화, 및 표면 경도에 관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의 것들과 유사하다.
[실시예 9]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8g(0.0125몰) 및 2, 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54g(0.238몰)의 혼합물로 대치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중합체 제조방법을 정확히 반복실시한다. 하기의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공중합체([ηsp/C]= 1.47 dl /g, Tg=148℃)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21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는 수득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위에서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수득한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코팅액의 안정성, 도포시 결정화, 및 표면 경도에 관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의 것들과 유사하다.
[비교실시예 1]
2, 2-비스(3-페닐-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2, 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57g(0.25몰)로 대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중합체 제조방법을 정확히반복실시한다. 하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공중체([ηsp/C] =0.62dl/g, Tg=148℃)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22
실시예 1에 사용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로 대치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층-형 전자사진 감광체를 제조하려고 시도하였다.
이 결과, 제조된 코팅액은 2일만에 그의 겔화를 일으키며 백화되었다. 또한 코팅 액의 도포시 형성된 전하 운반층의 몇몇 부분의 결정화(백화)가 관찰되었다. 게다가, 형성된 전하운반층의 표면경도는 연필 경도 스케일로 B도였다.
[표 1]
Figure kpo00023

Claims (17)

  1. 감광층이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A) 또는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모두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를 함유하는 결합제-수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 기판 및 상기 전기전도 기판의 한 표면에 배치된 감광층을 함유하는 전자사진 감광체(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Figure kpo00024
    [상기식중, X1
    Figure kpo00025
    (R1또는 R2는 각각 개별적으로 수소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알킬기 또는 6 내지 12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알킬기이다.)
    Figure kpo00026
    (n은 4 내지 10의 정수이다), -(CH2)p-(p는 2 내지 10의 정수이다), 단일결합, -O-. -S-, -SO-, 또는 -SO2-이며, R3및 R4는 각각 개별적으로 할로겐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 또는 시클로헥실기이며, k 및 m은 각각 개별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X2의 정의는 X1및 X2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다는 조건으로 일반식(Ⅰ)의 X1의 정의와 동일하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전하발생층 및 전하 운반층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운반층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A) 또는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운반층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A) 또는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를 함유하고, 상기 전하 발생층이 상기 전기전도기판 및 전하운반층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A)를 함유하는 결합제수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A)가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 20℃, 0.5g/dl 농도에서 측정할때 0.25dl/g 이상의 감소된 점성도 [ηsp/C]를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A)가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27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A)가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28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를 함유하는 결합제수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가,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 20℃, 0.5g/dl의 농도에서 측정할때 0.25dl/g 이상의 감소된 점성도 [ηsp/C]를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중의 반복단위(Ⅰ)의 몰%가 1몰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가 각각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모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가 각각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모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31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가 각각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모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32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가 각각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모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33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가 각각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모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34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B)가 각각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모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35
KR1019890011110A 1989-08-03 1989-08-03 전자사진 감광체 KR910007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110A KR910007215B1 (ko) 1989-08-03 1989-08-03 전자사진 감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110A KR910007215B1 (ko) 1989-08-03 1989-08-03 전자사진 감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091A KR910005091A (ko) 1991-03-30
KR910007215B1 true KR910007215B1 (ko) 1991-09-20

Family

ID=1928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110A KR910007215B1 (ko) 1989-08-03 1989-08-03 전자사진 감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2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091A (ko) 199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54029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US5213924A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ontaining polycarbonate resin as binder resin
JP3770920B2 (ja) ビフェノール共重合ポリカーボネ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315584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重合体と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H05310904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重合体と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H04175337A (ja) カルバゾール系ポリカーボネ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3297469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3179219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とその製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EP0411192B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JPH03273256A (ja) 電子写真感光体
JP315582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重合体、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KR910007215B1 (ko) 전자사진 감광체
JP3096344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と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2680599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2915055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2744429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315579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の製造法
JP2824288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310505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と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3151065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309634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と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H02113257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002169310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6110224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5107781A (ja) 電子写真感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